KR19980075378A -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378A
KR19980075378A KR1019970011589A KR19970011589A KR19980075378A KR 19980075378 A KR19980075378 A KR 19980075378A KR 1019970011589 A KR1019970011589 A KR 1019970011589A KR 19970011589 A KR19970011589 A KR 19970011589A KR 19980075378 A KR19980075378 A KR 19980075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water
washing machine
tub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대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5378A/ko
Publication of KR19980075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378A/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순환시켜 세탁물에 분산시킴은 물론 스핀 터브 내에 기포를 공급하므로써 세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그 세탁기는 원심펌프를 구비한다. 상기 원심펌프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세탁수를 상기 분사 노즐로 순환시키거나 또는 외측 터브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에 내장되는 임펠러, 정역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중심부네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 샤프트, 및 상기 임펠러에 공기를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스핀 터브 내에 난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에 상기 스핀 터브의 중심부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원심펌프에 의해 스핀 터브 내로 공급된 기포는 자연적으로 또는 펄세이터에 의해 형성된 수류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스핀 터브 내에서 터지므로써, 상기 스핀 터브에 내장되어 있는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세제를 용이하게 용해시킨다.

Description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과정에서 세탁수를 순환시켜 세탁물에 분사시킴은 물론 스핀 터브 내에 기포를 공급하므로써 세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그 세탁방식에 따라 펄세이터(pulsator)형 세탁기, 애지테이터(agitator)형 세탁기, 및 드럼(drum)식 세탁기로 분류된다.
상기 세탁기들 중에서, 펄세이터(pulsator)형 세탁기는 스핀 터브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핀 터브 내에 수류를 발생시켜 펄세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펄세이터(pulsator)형 세탁기에서는 상기 펄세이터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스핀 터브 내에 소용돌이 형태의 수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소용돌이 형태의 수류와 세탁물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세탁물이 세탁된다. 상기 펄세이터형 세탁기는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펄세이터(pulsator)형 세탁기는 세탁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펄세이터의 회전속도가 빠르면 수류의 원심력이 강해져서 상기 세탁물들이 상기 스핀 터브의 측벽과 강하게 부딪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세탁물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속도가 느리면 상기 세탁물이 깨끗하게 세탁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중에 스핀 터브 내에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탁력을 향상시키는 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가 최근에 제안된 바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5,307,649호는 이러한 기포 발생장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개시한다.
제 5도에는 상기 임 등에게 허여된 세탁기(400)가 도시되어 있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탁기(400)는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세탁수 또는 세제용액을 수납하는 외측 터브(12)를 구비한다. 상기 외측 터브(12)의 바닥에 연결된 것은 배수 파이프(14)인데, 상기 배수 파이프(14)는 세탁, 탈수, 및 헹굼 작동시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12)로부터 배수시킨다. 상기 세탁기(400)는 구동축(16)을 갖는 전기 모터(18) 및 제 1 및 제 2 피동축(20, 22)를 갖는 클러치 조립체(24)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전기 모터(18)와 클러치 조립체(24)는 용접 또는 나사결합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외측 터브(12)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축(16)은 벨트전동기구(26)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축(20, 22)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클러치 조립체(24)는 상기 전기 모터(18)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이 상기 제 1 및 제 2 피동축(20, 22)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피동축(20)은 스핀 터브(2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핀 터브(28)의 측벽에는 세탁수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수구(30)가 형성되며, 그 바닥 벽에는 상기 스핀 터브(28)내로 기포가 유입될 수 있도록 기포 통로(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피동축(22)은 상기 스핀 터브(28)의 하부에 장착된 펄세이터(34) 다수개의 관통공(도시 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기포발생장치(35)는 상기 외측 터브(12)의 바닥 벽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포발생장치(35)는 에어 도관(36)을 통해 에어펌프(38)와 연통한다. 상기 에어 펌프(38)는 제어장치(40)의 정확한 제어 하에 압력 공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세탁기(4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세탁모드에서, 스핀 터브(28)내의 수위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마이크로 컴퓨터(도시 안됨)는 상기 전기 모터(18)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 모터(18)가 구동한다. 상기 전기 모터(18)의 구동력은 상기 전기 모터(18)의 구동축(16), 벨트 전동기구(16), 및 클러치 조립체(24)를 거쳐 상기 제 2 피동축(22)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피동축(2)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펄세이터(34)가 좌우한다.
상기 세탁모드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제어장치(4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에어펌프(38)를 작동시킨다. 상기 에어펌프(38)에 의해 파생된 공기는 상기 에어 도관(36) 및 상기 외측 터브(12)의 바닥 벽에 장착되어 있는 기포 발생장치(35)를 통해 상기 외측 터브(12)로 유입된다. 상기 외측 터브(1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외측 터브(12)에 수납되어 있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기포(air bubble)를 형성한다.
상기 기포들은 상기 스핀 터브(28)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기포 통로(32) 및 상기 펄세이터(34)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스핀 터브(28)내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기포들은 자연적으로 또는 상기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한 수류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스핀 터브(28)내에서 터지므로써 상기 스핀 터브(28)에 내장되어 있는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세제를 용이하게 용해시킨다.
그러나, 상기 세탁기(400)는 세탁물이 펄세이터(34)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수류에 의해서만 세탁되기 때문에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세탁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펄세이터(34)를 빠르게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기 전기 모터(18)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또한, 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 펌프(38), 상기 공기 펌프(38)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0), 및 기포발생장치(35)가 별도의 부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각각 세탁기(400)에 장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들이 필요하고, 따라서 부품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세탁기(400)의 조립공정이 증가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세탁행정 과정에서 세탁수를 순환시켜 세탁물에 분사시킴은 물론 스핀 터브내에 기포를 공급하므로서 세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심 펌프를 구비한 물분사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발생수단과 기포 발생수단이 통합되어 있는 원심 펌프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심 펌프의 확대도.
도 3은 유체의 유동경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의 확대도.
도 5는 종래 세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12 : 외측터브
14 : 배수파이프16 : 구동축
18 : 전기모터20 : 제 1 피동축
22 : 제 2 피동축24 : 클러치조립체
28 : 스핀터브30 : 통수구
32 : 기포통로34 : 펄세이터
35 : 기포발생장치36 : 에어 도관
38 : 에어 펌프40 : 제어장치
@@ : 벨트전동기구100 : 세탁기
110 : 캐비넷120 : 외측터브
122 : 제 1 유체터브124 : 제 2 유체터브
130 : 펄세이터132 : 센터호올
134 : 제 1 블레이드136 : 천공호올
140 : 회전판142 : 세탁수수납부
144 : 가이드호올146 : 가이드 스트립
150 : 스핀 터브152 : 통수구
160 : 모터162 : 모터축
164 : 제 1 풀리166 : 제 2 풀리
170 : 기어 메카니즘172 : 스핀터브 구동축
174 : 펄세이터 구동축180 : 분사노즐
182 : 순환튜브184 : 제 1 유체관
186 : 제 2 유체관200 : 펌프부
210 : 제 1 하우징212 : 입수부
214 : 제 1 덕트216 : 제 2 덕트
218 : 2-방향밸브220 : 힌지축
230 : 임펠러232 : 흡입구
234 : 허브236 : 유체채널
238 : 공간부240 : 커버
250 : 제 2 하우징252 : 스테이터
254 : 로터260 : 구동샤프트
262 : 유체통로264 : 리세스
266 : 체크밸브268 : 공기 유입구
270 : 제 1 솔레노이드밸브조립체280 : 베어링 홀더
282 : 베어링284 : 스크류 호올
300 : 케이싱305 : 개구부
310 : 스크류부320 : 보빈
330 : 제 1 솔레노이드335 : 제 1 간극
340 : 제 1 가동코어350 : 지지부재
360 : 작동로드365 : 제 2 간극
370 : 스풀밸브400 : 종래의 세탁기
500 : 제 2 솔레노이드 조립체505 : 중공형 실린더
510 : 제 2 솔레노이드520 : 제 2 가동코어
530 : 피스톤 밸브540 : 제 2 스프링
550 : 밸브시트560 : 배수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 캐비넷 ; 상기 캐비넷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수납하는 외측 터브 ; 상기 외측 터브에 내장되며, 그 측벽에 다수의 통수구가 형성된 스핀 터브 ; 상기 스핀 터브의 바닥 벽에 장착되어 상기 스핀 터브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 상기 스핀 터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수단 ;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수단 ; 및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로 순환시키며, 세탁수내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로 공급하는 제 3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터브의 바닥 벽에는 상기 제 3 수단으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유체 포트 및 상기 제 3 수단으로부터 세탁수를 수납하는 제 2 유체포트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스핀 터브의 하면에 고정되는 회전판 및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 터브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 터브 구동축은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펄세이터 구동축을 포함한다.
상기 펄세이터는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1블레이드를 구비하며, 그 중심부에는 센터 호올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 1 블레이드에는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부에 인접한 소정 위치에 한 개 이상의 천공 호올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수단은,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세탁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순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 유체포트로 유동시키는 제 4 수단, 상기 제 4 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5 수단, 및 상기 제 4 수단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6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내장되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입수부를 통해 세탁수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된 세탁수를 원심력을 부여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 1 덕트, 또는 선택적으로, 제 2 덕트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제 2 블레이드, 및 상기 제 5 수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5 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허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 5 수단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내장되어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둘러싸여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소정의 시간 주기로 정역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중심부에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6 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및 상기 구동 샤프트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체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세탁행정시, 상기 스핀 터브내의 수위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모터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상기 모터가 구동한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은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펄세이터가 좌우로 반전한다.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및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로터가 회전 및 반전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로터의 회전력은 상기 임펠러에 전달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 및 반전시키며, 이에 따라, 세탁수가 상기 임펠러의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다.
동시에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에 단속적인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따라서, 대기 중의 공기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통해 상기 임펠러로 단속적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로 유입된 공기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기포를 형성하며, 따라서,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가 상기 제 1 덕트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덕트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적당한 양의 기포가 형성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제어하여,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임펠러가 정회전할 때, 상기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는 상기 임펠러의 제 2 블레이드를 통해 상기 제 2 덕트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된 세탁수는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센터 호올 및 상기 제 1 블레이드에 형성된 상기 천공 호올을 통해 상기 스핀 터브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중에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가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부를 통해 상기 스핀 터브로 공급되기 때문에, 세탁물이 상기 스핀 터브의 중심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가 반전할 때, 상기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는 상기 제 1 덕트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세탁수는 순환 튜브를 통해 상기 외측 터브의 상부에 형성된 분사노즐로 순환된다. 상기 순환된 세탁수는 상기 스핀 터브에 내장된 세탁물 상에 분사되어 세탁효과를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행정시 적정량의 기포를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부를 통해 상기 스핀 터브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스핀 터브내에 난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이 상기 스핀 터브의 중심부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펌프부가 세탁수를 순환시킴은 물론 기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세탁기에 장착시키기 위한 부품이 필요치 않게 되고, 세탁기의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
아울러, 상기 스핀 터브내로 공급된 기포는 자연적으로 또는 펄세이터(34)에 의해 형성된 수류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스핀 터브내에서 터지므로써, 상기 스핀 터브내에 내장되어 있는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세제를 용이하게 용해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기(100)는 캐비넷(110)을 구비한다. 상기 캐비넷(110)내에는 공급되는 물을 수납하는 외측 터브(120) 및 상기 외측 터브(120)에 내장되며 그 측벽에 다수의 통수구(152)가 형성된 스핀 터브(15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측 터브(120)의 바닥 벽에는 제 1 및 제 2 유체 포트(122, 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핀 터브(150)의 바닥 벽에는 상기 스핀 터브(150)내에 발생시키는 펄세이터(130)가 장착된다. 상기 스핀 터브(150)의 하면에는 상기 스핀 터브(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14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140)의 하면에는 상기 제 2 유체 포트(124)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누설시킴이 없이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터브(120)의 바닥 벽에 밀착 접촉하는 세탁수 수납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140)의 중심부에는 상기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130)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호올(1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호올(144)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회전판(14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스트립(146)에 의해 상기 펄세이터(130)의 중심부로 안내된다.
상기 펄세이터(130)는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1 블레이드(134)를 구비한다. 상기 펄세이터(130)의 중심부에는 센터호올(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 1 블레이드(134)에는 상기 펄세이터(130)의 중심부에 인접한 소정의 위치에 한 개 이상의 천공호올(13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40)의 가이드 호올(144)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상기 센터 호올(132) 및 천공 호올(136)을 통해 상기 스핀 터브(150)내로 유입된다.
상기 캐비넷(110)의 하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모터 축(162)을 구비하는 모터(1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160)에 대향되는 상기 캐비넷(110)의 하부위치에는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120)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180)로 순환시키며 상기 외측 터브(120)에 기포를 공급하는 펌프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펌프부(200)는 순환 튜브(182)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80)과 연통하며, 제 1 유체관(184)를 통해 상기 제 1 유체 포트(122)와 연통하고, 제 2 유체관(186)을 통해 제 2 유체포트(124)와 연통한다. 상기 펌프부(200)는 원심펌프를 포함하며, 그 구성은 제 2 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모터축(162)의 단부에는 제 1 풀리(164)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풀리(164)는 펄세이터구동축(174)의 제 1 단부에 결합된 제 2 풀리(166)에 벨트(165)에 의해 연결되므로써, 상기 모터(160)의 회전력이 상기 펄세이터(130)에 전달된다. 상기 제 2 풀리(166)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160)의 회전력을 스핀터브 구동축(172) 또는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174)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어 메카니즘(170)이 제공된다.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174)은 상기 스핀터브 구동축(172)내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174)의 제 2 단부는 상기 펄세이터(130)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17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140)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핀 터브 구동축(172)은 상기 회전판(140)의 중심호올에 고정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핀터브 구동축(17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판(140)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스핀 터브(15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부(200)는 제 1 하우징(210),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일단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커버(240), 및 용접 또는 융착 등과 같은 접착방법에 의해 상기 커버(240)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5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하우징(210)에는 상기 제 1 유체관(184)를 통해 상기 외측 터브(120)의 제 1 유체 포트(122)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수납하는 입수부(212)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하부에는 순환튜브(182)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80)과 연결되는 제 1 덕트(214) 및 상기 제 2 유체관을 통해 상기 외측 터브(120)의 제 2 유체 포트(124)에 연결되는 제 2 덕트(2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덕트(214)와 제 2 덕트(216)의 사이에는 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선회이동하여 세탁수를 상기 제 1 덕트(214), 또는 선택적으로, 제 2 덕트(216)로 안내하는 2-방향 밸브(218)가 제공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하우징(210)에는 임펠러(230)가 내장된다. 상기 임펠러(230)는 상기 제 1 하우징(210)의 입수부(212)를 통해 세탁수를 흡입하는 흡입구(232), 상기 흡입된 세탁수를 원심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덕트(214, 216)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제 2 블레이드(233), 및 구동샤프트(26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2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허브(234)를 포함한다. 상기 허브(234)에는 상기 흡입구(232)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유체채널(2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허브(234)의 내부에는 공간부(2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250)에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안됨)으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 받는 스테이터(stator ; 252) 및 상기 스테이터(252)에 둘러싸여 상기 스테이터(252)에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rotor ; 254)가 내장된다. 상기 로터(524)의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샤프트(260)가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254)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상기 구동샤프트(260)는 상기 로터(25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하며, 그 제 1 단부는 상기 허브(234)에 고정적으로 삽입되고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250)의 말단부에 삽입된 베어링 홀더(280)의 베어링(282)내에 회전가능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구동샤프트(260)는 종방향으로 천공된 유체통로(262)를 갖는다. 상기 유체통로(262)의 제1 단부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26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제 2 단부에는 체크밸브(266)가 내장되는 리세스(2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통로(262)는 상기 펌프(200)의 작동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감속하여 공기와 세탁수의 충돌에 의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유체통로(262)의 제 1 단부를 향해 테이퍼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홀더(280)의 중심부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270)를 장착시키기 위한 스크류 호올(28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270)는 대기 중의 공기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305)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300) 및 상기 베어링 홀더(280)의 스크류 호올(284)에 나사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유체 통로(262)와 연통하는 밸브챔버(380)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310)를 포함한다. 밸브챔버(380)에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270)의 작동시 상기 밸브챔버(380)로 유입되는 공기를 주기적으로 차단하는 스풀 밸브(370)가 내장된다.
상기 케이싱(300)내에는 중공형 보빈(320)이 설치된다. 상기 보빈(320)의 외주에는 제 1 솔레노이드(330)가 권선되어 있다. 상기 보빈(320)내에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330)에 단속적인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왕복 이동하는 제 1 가동코어(340), 상기 제 1 가동코어(340)와 상기 지지부재(3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가동코어(340)에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1 스프링(355), 및 상기 제 1 가동코어(340)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동코어(340)와 함께 왕복 이동하는 작동 로드(360)가 배치된다.
상기 작동로드(360)의 제 1단부는 상기 제 1 가동코어(3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동로드(360)의 제 2단부는 상기 지지부재(350)을 통과하여 상기 밸브챔버(380)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풀밸브(370)와 결합된다.
또한 대기중의 공기가 상기 케이싱(300)의 개구부(305)를 통해 상기 펌프부(200)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동코어(340)의 외벽과 상기 중공형 보빈(320)의 내벽사이에는 제 1 간극(335)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50)의 내벽과 상기 작동 로드(360)의 외벽 사이에는 제 2 간극(365)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 배출관(560)의 소정 지점에는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관(560)을 개방/폐쇄하는 제 2 솔레노이드밸브조립체(500)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500)는 중공형 실린더(505) 및 상기 중공형 실린더(505)의 외벽에 권선 되는 제 2 솔레노이드(51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내에는 피스톤 밸브(5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가동코어(520), 및 상기 제 2 가동코어(5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밸브(530)가 밸브시트(55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코어(520)에 하향 편향력을 가하는 제 2 스프링(540)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4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세탁행정시, 상기 스핀 터브(150)내의 수위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모터(16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상기 모터(160)가 구동한다. 상기 모터(160)의 구동력은 상기 모터축(162), 제 1 풀리(164), 벨트(165), 제 2 풀리(166) 및 기어 메카니즘(170)을 거쳐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174)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174)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펄세이터(130)가 좌우로 반전한다.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270)의 제 1 솔레노이드(330) 및 상기 펌프부(200)의 스테이터(252)에 전기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스테이터(252)에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스테이터에 둘러싸인 로터(254)가 마이크로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소정의 주기로 회전 및 반전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로터(254)의 회전력은 상기 임펠러(230)에 전달되어 상기 임펠러(230)를 회전 및 반전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외측 터브(120)내의 세탁수가 상기 외측 터브(120)의 제 1 유체포트(122), 제 1 유체관(184) 및 제 1 하우징(210)의 입수부(212)를 통해 상기 임펠러(230)의 흡입구(232)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구(232)로 유입된 세탁수중 소정량은 상기 허브(234)에 형성된 유체채널(236)를 통해 상기 공간부(238)로 유입되고, 나머지 세탁수는 상기 임펠러(230)의 제 2 블레이드(233)에 의해 제 1 덕트(214), 또는 선택적으로 제 2 덕트(216)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238)내의 압력은 상기 제 2 블레이드(233)의 회전으로 인해 대기압이하로 강화된다.
동시에 상기 제 1 솔레노이드(330)에 단속적인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 1 가동 코어(340)가 상기 보빈(320)내에서 왕복이동하며, 따라서, 상기 작동 로드(360)의 제 2 단부에 결합된 스풀 밸브(370)가 단속적으로 개방/폐쇄된다. 그러므로, 대기중의 공기가 상기 개구부(305), 상기 보빈(320)의 내벽과 가동 코어(340)의 외벽사이에 형성된 제 1 간극(335), 및 상기 지지부재(350)의 내벽과 상기 작동로드(360)의 외벽사이에 형성된 제 2 간극(365)을 통해 밸브챔버(380)로 단속적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238)내의 압력이 대기압이하로 강하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밸브챔버(380)로 안내된 공기는 상기 구동 샤프트(260)의 유체통로(262)를 통해, 상기 리세스(264)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체크밸브(266)를 밀면서, 상기 공간부(238)로 유입된다. 상기 공간부(238)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간부(238)내에서 세탁수와 혼합되어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가 상기 제 1 덕트(214),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덕트(216)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적당한 양의 기포를 형성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270)를 제어하여,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한편,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230)가 정회전할 때, 상기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는 상기 임펠러(230)의 제 2 블레이드(233)를 통해 상기 제 2 덕트(216)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2방향 밸브(218)는 상기 제 2덕트(216)로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2 덕트(216)를 개방하고 상기 제 1 덕트(214)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세탁수는 제 2 유체관(186), 외측 터브(120)의 제 2덕트(214) 및 회전판(140)의 세탁수 수납부(142)를 통해 상기 회전판(140)의 가이드호올(144)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된 세탁수는 상기 펄세이터(130)의 중심에 형성된 센터호올(132) 및 제 1 블레이드(134)에 형성된 펀공호올(136)을 통해 상기 스핀 터브(150)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중에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가 상기 펄세이터(130)의 중심부를 통해 상기 스핀 터브(150)로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스핀 터브(150)내에는 난류가 형성되고 따라서 세탁물이 상기 스핀 터브(150)의 중심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탁부에 함유된 기포는 자연적으로 또는 상기 펄세이터(130)에 의해 발생한 수류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스핀 터브(150)내에서 터지므로써 상기 스핀 터브(150)에 내장되어 있는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세제를 용이하게 용해시킨다.
한편, 상기 임펠러(230)가 반전할 때, 상기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는 상기 임펠러(230)의 제 2 블레이드(233)를 통해 상기 제 1 덕트(214)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2 방향 밸브(218)는 상기 제 1 덕트(214)로 유동하는 세탁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덕트(214)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덕트(216)를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세탁수는 상기 순환튜브(182)를 통해 상기 외측 터브(120)의 상부에 형성된 분사노즐(180)로 순환된다. 상기 순환된 세탁수는 상기 스핀 터브(150)에 내장된 세탁물 상에 분사되어 세탁효과를 향상시킨다.
탈수행정시, 상기 모터(160)의 회전력은 상기 기어 메카니즘(170)에 의해 상기 스핀터브구동축(172)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핀터브구동축(172)과 고정결합되어 있는 회전판(140)이 회전하여 상기 스핀 터브(150)를 회전시킨다. 상기 스핀 터브(15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핀 터브(150)에 장입된 세탁물이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 스핀 터브(150)의 측벽으로 밀착되게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세탁물이 포함된 세탁수가 상기 스핀 터브(150)의 측벽에 형성된 통수구(152)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로터(254)가 반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스테이터(252)에 전기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임펠러(230)가 반전함에 따라, 상기 세탁물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상기 임펠러(230)의 제 2 블레이드(233)를 통해 상기 제 1 덕트(214)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500)에 전기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밸브시트(550)에 안착되어 있던 상기 제 2 가동코어(520)가 상기 제 2 스프링(540)의 편향력을 극복하며 상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덕트(214)를 통과한 세탁수는 상기 배수관(560)을 통해 상기 세탁기(4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행정시 적정량의 기포를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부를 통해 상기 스핀 터브 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스핀 터브 내에 난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이 상기 스핀 터브의 중심부에서 엉키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상기 펌프부가 세탁수를 순환시킴은 물론 기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세탁기에 장착시키기 위한 부품이 필요치 않게 되고, 따라서, 세탁기의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
아울러, 상기 스핀 터브 내로 공급된 기포는 자연적으로 또는 펄세이터의 의해 형성된 수류와의 충돌에 의해 상기 스핀 터브(28)내에서 터지므로써 상기 스핀 터브에 내장되어 있는 세탁물에 충격을 가해 세탁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세제를 용이하게 용해시킨다.

Claims (22)

  1. 캐비넷 ;
    상기 캐비넷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수납하는 외측 터브 ;
    상기 외측 터브에 내장되며, 그 측벽에 다수의 통수구가 형성된 스핀 터브 ;
    상기 스핀 터브의 바닥 벽에 장착되어 상기 스핀 터브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
    상기 스핀 터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수단 ;
    상기 펄세이터(34)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2 수단 ; 및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로 순환시키며, 세탁수내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포를 포함한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로 공급하는 제 3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터브의 바닥 벽에는 상기 제 3 수단으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유체 포트 및 상기 제 3 수단으로부터 세탁수를 수납하는 제 2 유체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은 상기 스핀 터브의 하면에 고정되는 회전판 및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 터브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 터브 구동축은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펄세이터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펄세이터구동축은 상기 스핀터브구동축내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그 선단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34)는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1블레이드를 구비하며, 그 중심부에는 센터 호올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 1 블레이드에는 상기 펄세이터(34)의 중심부에 인접한 소정 위치에 한 개 이상의 천공 호올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제 3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제 2 유체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누설없이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터브(12)의 바닥 벽에 밀착 접촉하는 세탁수 수납부, 상기 세탁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호올, 및 상기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34)의 센터호올 및 천공 호올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스트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세탁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순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 유체포트로 유동시키는 제 4 수단, 상기 제 4 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5 수단, 및 상기 제 4 수단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6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제 1 유체관을 통해 상기 외측 터브(12)의 제 1 유체포트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수납하는 입수부, 순환 튜브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제 1 덕트 및 제 2 유체관을 통해 상기 외측 터브(12)의 제 2 유체 포트에 연결되는 제 2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덕트와 제 2 덕트 사이에는, 세탁수의 배출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폐쇄하는 2-방향 밸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내장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입수부를 통해 세탁수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된 세탁수를 원심력을 부여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 1 덕트, 또는 선택적으로, 제 2 덕트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제 2 블레이드, 및 상기 제 5 수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5 수단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유체채널을 구비하여 상기 허브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에 내장되어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둘러싸여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소정의 시간 주기로 정역 회전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중심부에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상기 구동 샤프트의 제 1 단부는 임펠러의 상기 허브에 고정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단부에 반대되는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말단부에 삽입된 베어링 홀더의 베어링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 홀더의 중심부에는 스크류 호올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수단은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 및 상기 구동 샤프트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의 제 1 단부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부에 반대되는 제 2 단부에는 체크밸브가 내장되는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통로는 상기 유체 통로의 제 1 단부 방향으로 테이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대기중의 공기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베어링 홀더의 스크류 호올에 나사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유체통로와 연통하는 밸브챔버를 갖는 스크류부, 상기 밸브챔버로 유입되는 단속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중공형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단속적으로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상기 가동코어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코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챔버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풀 밸브를 단속적으로 밀어주는 작동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의 제 1 단부는 상기 가동코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 1 단부에 반대되는 상기 작동로드의 제 2 단부는 상기 밸브챔버까지 연장하여 상기 스풀밸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의 외벽과 상기 중공형 보빈의 내벽사이에는 제 1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벽과 상기 작동로드의 외벽사이에는 제 2 간극이 형성되므로써, 상기 작동로드의 외벽사이에는 제 2 간극이 형성되므로써, 상기 테이싱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간극을 통해 상기 밸브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덕트는 세탁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세탁수 배출관의 소정 지점에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관을 개방/폐쇄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원심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캐비넷 ;
    상기 캐비넷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수납하는 외측 터브 ;
    상기 외측 터브(12)에 내장되며, 그 측벽에 다수의 통수구가 형성된 스핀 터브 ;
    상기 스핀 터브의 바닥 벽에 장착되어 상기 스핀 터브내에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 ;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
    상기 스핀 터브의 하면에 고정되는 회전판 및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 터브 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스핀 터브 구동축은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 고정 결합되는 스핀터브 구동부 ;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스핀 터브 구동축 내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저면 중심부에 고정결합되는 상기 펄세이터 구동축 ; 및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12)의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로 순환시키며, 세탁수내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포를 함유한 세탁수를 상기 외측 터브로 공급하는 원심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 터브(12)의 바닥 벽에는 상기 원심펌프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 1 유체포트 및 상기 원심 펌프로부터 세탁수를 수납하는 제 2 유체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펄세이터는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제 1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펄세이터(34)의 중심부에는 센터호올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제 1 블레이드에는 상기 펄세이터(34)의 중심부에 인접한 소정의 위치에 한개 이상의 천공호올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판은 상기 원심펌프로부터 상기 제 2 유체 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누설시킴이 없이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터브(12)의 바닥 벽에 말착 접촉하는 세탁기 수납부, 상기 세탁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호올, 및 상기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의 센터 호올 및 천공 호올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스트림을 구비하고 상기 원심 펌프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에 고정결합되는 제 2 하우징, 상기 세탁수를 상기 분사노즐로 순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2 유체포트로 유동시키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에 내장되는 임펠러, 상기 제 2 하우징에 내장되어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전기신호를 인가 받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둘러싸여 상기 스테이터에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소정의 시간주기로 정역 회전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중심부에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동샤프트, 및 상기 임펠러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은 제 1 유체관을 통해 상기 외측 터브의 제 1 유체포트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수납하는 입수부, 순환 튜브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제 1 덕트 및 제 2 유체관을 통해 상기 외측터브의 제 2 유체포트에 연결되는 제 2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덕트와 제 2 덕트 사이에는 세탁수의 세탁수의 배출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폐쇄하는 2-방향 밸브가 제공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입수부를 통해 세탁수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된 세탁수를 원심력을 부여하여 상기 하우징의 제 1 덕트, 또는 선택적으로, 제 2 덕트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제 2 블레이드, 및 상기 구동샤프트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샤프트의 제 1단부는 임펠러의 상기 허브에 고정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단부에 반대되는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말단부에 삽입된 베어링 홀더의 베어링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베어링 홀더의 중심부에는 스크류 호올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샤프트에는 종방향으로 관통된 유체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의 제 1 단부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부에 반대되는 제 2 단부에는 체크밸브가 내장되는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 통로는 상기 유체 통로의 제 1 단부 방향으로 테이퍼되며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는 대기중의 공기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케이싱, 상기 베어링 홀더의 스크류 호올에 나사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유체통로와 연통하는 밸브챔버를 갖는 스크류부, 상기 밸브챔버로 유입되는 단속적으로 차단하는 스풀밸브,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중공형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에 권선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보빈 내에 배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단속적으로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상기 가동코어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코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밸브 챔버내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풀 밸브를 단속적으로 밀어주는 작동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로드의 제 1 단부는 상기 가동코어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 1 단부에 반대되는 상기 가동코어의 외벽과 상기 중공형 보빈의 내벽사이에는 제 1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벽과 상기 작동로드의 외벽사이에는 제 2 간극이 형성되므로써, 상기 작동로드의 외벽사이에는 제 2 간극이 형성되므로써,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간극을 통해 상기 밸브챔버로 유입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제 2 덕트는 세탁수 배출관과 연결되며, 상기 세탁수 배출관의 소정 지점에는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상기 배출관을 개방/폐쇄하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조립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70011589A 1997-03-31 1997-03-31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KR19980075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589A KR19980075378A (ko) 1997-03-31 1997-03-31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589A KR19980075378A (ko) 1997-03-31 1997-03-31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378A true KR19980075378A (ko) 1998-11-16

Family

ID=6595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589A KR19980075378A (ko) 1997-03-31 1997-03-31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53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1719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centrifugal pump
KR101618150B1 (ko) 버블발생장치 및 이를 갖춘 세탁기
KR0182528B1 (ko) 세탁기의 수류형성장치
EP1679401A2 (en) Drum washing machine
KR101932471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6110362A (ja) 洗濯機
KR2017009915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8454A (ko) 세탁기
KR102350317B1 (ko) 세탁기
KR20030027257A (ko) 드럼세탁기
WO2016027404A1 (ja) 洗濯機
KR200266764Y1 (ko) 보조펄세이터를구비한세탁기
CN107849792B (zh) 洗衣机
JPH11267397A (ja) 洗濯機
KR19980075378A (ko) 원심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KR20090061857A (ko) 스팀 분사 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세탁장치
KR20000027871A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1019921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244204B1 (ko) 세탁기의밸런서
KR20180077639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80077638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10037672A (ko)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KR20020080758A (ko) 절수(節水)형 세탁기
KR20000039118A (ko) 세탁수 순환식 통돌이 세탁기
KR100213134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