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4287A -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 Google Patents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287A
KR19980074287A KR1019970010025A KR19970010025A KR19980074287A KR 19980074287 A KR19980074287 A KR 19980074287A KR 1019970010025 A KR1019970010025 A KR 1019970010025A KR 19970010025 A KR19970010025 A KR 19970010025A KR 19980074287 A KR19980074287 A KR 19980074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ester
sheet
plat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말식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101997001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4287A/ko
Publication of KR1998007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287A/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시험기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시험기의 트위스터 가압용 웨이트를 적층시켜 보관하기 위한 웨이트 플레이트와; 시험기 베이스에서 수직 고정된 포스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포스트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시험기(seat tester)의 웨이트 적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시험기의 트위스터를 가압하는 웨이트를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시험기의 베이스에서 돌설된 포스트에 웨이트 보관용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형성한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장기간에 걸친 탑승자의 반복되는 착석 동작과, 노면의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도로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반복 하중에 의하여 표피재가 마모되어 늘어지거나, 주름 현상이 생기거나 또는 들뜨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며, 또한 표피재의 내부에 수납되는 폴리우레탄 폼(foam) 등의 충격 완충부재가 상기와 동일한 원인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져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시트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실제 시트를 동일한 사용 상태의 조건에서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여 표피재의 외관 품질이 변화되는 시점 등의 환경을 측정하고, 충격 완충 부재의 완충력 저하의 시점 등의 환경을 측정하여 보다 고품질의 시트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초기에 알려진 시트의 내구성 시험 기술은 실제로 인간이 시트에 반복적으로 착석하는 등, 작업량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 결과를 얻기 위하여 장기간이 소요됨으로써 유,무형의 손실을 감수하여야 하며, 또한 시험 결과도 일률적이지 못하여 시험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되는 등, 시트의 시험을 위한 전체적인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시트의 내구성을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내구성 시험장치가 알려지고 있으며, 그 전형적인 실시 형태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평 4-15893호(차량용 시트 등의 승강내구성 시험장치)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시트 등의 승강내구성 시험장치는 피시험용 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시트고정수단과; 상기 피시험용 시트에 마찰 및 충격력을 가하는 고형부재와; 상기 고형부재를 가압하는 고형부재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고형부재 구동수단은 고형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드럼의 회전력으로 피시험용 시트에 마찰력을 부여하고, 고형부재를 상하 작동시키는 상하작동용 실린더를 통하여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부여한다.
상기한 고형부재 구동수단중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하작동용 실린더를 적용한다.
상기 상하작동용 실린더는 고형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피스톤로드와, 피스톤을 통하여 상기 고형부재를 상하로 작동시켜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트시험기는 상하작동용 실린더를 통하여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시트시험기의 시험 환경을 변화하기 위한 충격력의 제어가 어렵고, 상하작동용 실린더의 노후화에 따라서 피시험용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변화가 발생하며, 시트시험기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부여하는 다른 수단을 연구하고 있으며, 하나의 수단으로 다수의 웨이트를 적층하여 이 웨이트의 가압력을 통하여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부여하려 한다.
이때, 피시험용 시트에 가하는 충격력을 웨이트의 적층 개수로 조정하게 되고, 피시험용 시트에 가압력을 가하지 않는 잔류 웨이트의 보관이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웨이트를 적층하여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부여할 경우에는 잔류 웨이트의 보관이 요구 되는데, 이 잔류 웨이트를 시험기 베이스의 바닥이나, 시험기 외부의 바닥 등에 방치하거나 정층시키는 것은, 시트시험기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진로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피시험용 시트에 충격력을 가하기 위하여 웨이트를 장착하고, 다시 웨이트를 분리하는 등의 웨이트 이송작업의 거리가 멀어서 작업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시험기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적재구조를 적용한 시트시험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적재구조를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은 웨이트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사용된부호의설명*
10 : 트위스터20 : 시험기 베이스
30 : 웨이트40 : 포스트
50 : 웨이트 플레이트52 : 고정브라켓
54 : 고정봉 56 : 지지부재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시험기의 트위스터 가압용 웨이트를 적층시켜 보관하기 위한 웨이트 플레이트와; 시험기 베이스에서 수직 고정된 포스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포스트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이송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적재구조를 적용한 시트시험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한 시트시험기는 피검사용 시트부재 구동수단과, 트위스터 구동수단 및 피시험용 시트부재 고정수단 등을 포함하는 시험기를 일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트시험기의 작동을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제 1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받아 트위스터(10)가 회전하며, 동시에 제 1 플레이트(12)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리고, 제 2 모터(14)의 동력을 받아서 제 2 플레이트(16)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제 3 모터(18)의 동력을 받아서 트위스터(10)가 상방향으로 들려진 후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자유낙하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을 센싱수단과 제어수단 등을 통하여 각각 수행하는 과정에서 피시험용 시트부재의 시험이 실시된다.
상기한 시트시험기의 작동중 트위스터(1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서 자유낙하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기 베이스(20)에서 상향 돌설된 선반(22)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트위스터 샤프트(24)와, 상기 트위스터 샤프트(24)의 하단에 장착된 트위스터(10)와, 상기 트위스터 샤프트(24)의 상단에 고정된 웨이트 플레이트(26)와, 이 웨이트 플레이트(26)에 적층되는 다수의 웨이트(30)와, 상기 웨이트(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웨이트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한 일련의 구성요소들를 선택적으로 들어 올렸다가 자유낙하 시키기 위하여, 제 3 모터(18)의 동력을 받아서 상향으로 올라가는 레크 샤프트(28)를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26)의 하방으로 장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웨이트(30)는 소정의 지름과 높이를 갖는 원반형상으로, 그 중앙부에 고정공(30)을 형성한다.
상기한 웨이트고정수단은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26)의 중앙부 상면에 웨이트 고정봉(34)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봉의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웨이트(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볼트(36)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위스터(10)에 충격 하중을 부여하기 위한 웨이트 장착구조는 트위스터(10)의 회전 운동시에도 상기 트위스터(10)가 피시험용 시트부재에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트위스터(10)가 피시험용 시트부재에 마찰력 및 충격력을 가하는데, 상기한 마찰력과 충격력은 적층된 웨이트(30)의 개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시험기의 웨이트(30)를 바꾸는 작업은 빈번히 발생하며, 이를 위하여 웨이트 이송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웨이트 이송장치는 상기 시험기 베이스(20)에 수직 고정되는 포스트(40)와; 상기 포스트(4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아암(42)과; 상기 회전아암(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와이어(44)의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호이스트(46)와; 상기 와이어(44)에 장착되어 상기 웨이트(30)의 외주연에 형성한 결합공(38)에 끼워지는 후크부재(4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회전아암(42)과 포스트(40)의 결합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되어 회전아암(42)이 부드럽게 회전한다.
상기 호이스트(46)는 그 내부에 와이어(44)가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미도시)가 내설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38)은 웨이트(30)의 외주연에 형성된 하나의 결합공(38)과 이 결합공(38)에서 웨이트(30)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 선상의 웨이트(30) 외주연에 다른 하나의 결합공(38)을 포함하며, 상기한 한 쌍의 결합공(38)을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후크(48)는 상기한 한 쌍의 결합공(38)에 각각 끼워지져 결합되어, 호이스트(46)의 와이어(44) 장력으로 웨이트(30)를 들어 올릴 수 있게 한다.
상기한 호이스트(46)는 상기한 회전아암(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송중인 웨이트(30)의 변위를 자유롭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트시험기에는 다수의 웨이트(30)가 구비되며, 트위스터(10)를 가압하기 위하여 웨이트 플레이트(26)에 적층된 웨이트(30)를 제외한 잔류 웨이트(30)를 이송과 보관이 편리한 곳에 보관 하여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시험기 베이스(20)의 적당한 위치에 포스트(40)를 수직 고정시키고, 웨이트(30)를 적층시켜 보관하기 위한 웨이트 플레이트(50)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40)의 소정 높이에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50)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52)을 구비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적재구조를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은 웨이트이다.
상기한 웨이트 플레이트(50)의 중앙에는 상기 웨이트(30)의 고정공(32)에 끼워지는 고정봉(54)을 수직 고정시켜서, 상기 웨이트(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한 웨이트 플레이트(26)에 웨이트(30)를 적층하여 보관할 때 웨이트(30)의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웨이트 플레이트(5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52)의 외주연에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50)의 저면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56)를 장착한다.
상기한 포스트(40)는 시트시험기가 웨이트 이송장치를 구비할 경우에는 웨이트 이송장치의 포스트(40)를 그대로 사용하고, 웨이트 이송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시트시험기에는 별도의 포스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시험기 베이스(20)상에 고정된 포스트(40)의 고정 위치는 트위스터(10)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웨이트(30) 장착위치에서 인접한 곳으로 결정하고, 웨이트 플레이트(50)의 높이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시험기용 웨이트 적재구조는 시트시험기의 초기 환경을 바꾸기 위하여 웨이트(30)를 이송할 때, 그 이송 거리를 단축시키며, 보관중인 웨이트(30)에 외력이 가해져도 웨이트 플레이트(50)에 돌설된 고정봉(54)이 웨이트(30)의 고정공(32)에 끼워져 있는 상태 이므로, 웨이트(30)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웨이트 플레이트(50)가 시험기 베이스(20)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포스트(4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웨이트(30)를 적층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웨이트(30)의 이송 및 보관 작업시 허리를 굽혀야 하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는 시트시험기 작업자의 피로를 해소하고, 이를 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시트 시험기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시트시험기의 트위스터 가압용 웨이트를 적층시켜 보관하기 위한 웨이트 플레이트와; 시험기 베이스에서 수직 고정된 포스트와;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포스트의 소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중앙에 고정봉을 수직 고정시켜서, 상기 웨이트를 웨이트 플레이트에 적층시킬 때 상기 고정봉이 상기 웨이트의 고정공에 끼워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주연에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저면으로 연장 형성된 강성보강용 지지부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시험기용 웨이트 적재구조.
KR1019970010025A 1997-03-24 1997-03-24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KR19980074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025A KR19980074287A (ko) 1997-03-24 1997-03-24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025A KR19980074287A (ko) 1997-03-24 1997-03-24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87A true KR19980074287A (ko) 1998-11-05

Family

ID=6595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025A KR19980074287A (ko) 1997-03-24 1997-03-24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42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835B1 (ko) * 2010-12-01 2014-08-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op 트랄리 하중 테스트 시트
KR101447308B1 (ko) * 2010-12-01 2014-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op 트랄리 하중 테스트 장치
KR20200035561A (ko) * 2018-09-27 2020-04-06 송민준 동적 변형 강도 시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835B1 (ko) * 2010-12-01 2014-08-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op 트랄리 하중 테스트 시트
KR101447308B1 (ko) * 2010-12-01 2014-10-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op 트랄리 하중 테스트 장치
KR20200035561A (ko) * 2018-09-27 2020-04-06 송민준 동적 변형 강도 시험 장치
KR102222676B1 (ko) 2018-09-27 2021-03-04 송민준 동적 변형 강도 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5613B1 (en) High speed tyre (uniformity) testing device
US20010029788A1 (en) Bend test for a wire harness and device for such a test
JP3190761U (ja) 振動・衝撃試験装置
US5569858A (en) Viscoelastic material testing system
CN112683678A (zh) 一种尼龙绳抗拉抗扭性能检测器
KR19980074287A (ko)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적재구조
JP2008532891A (ja) リフトケーブルの伸びを補償する装置
KR100654562B1 (ko) 쇽업소버의 충격시험기
US755264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rinkle resistance testing
CN1665737A (zh) 电梯的秤重装置
JPH1123434A (ja) 材料試験機
KR19980074286A (ko)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이송장치
KR19980074285A (ko) 시트시험기의 웨이트 장착구조
US5458002A (en) Viscoelastic material testing system
JPH0610649B2 (ja) 張力振動試験負荷装置
US1839376A (en) Apparatus for ascertaining the compressibility of articles or masses and grading theobjects so tested
KR19980074284A (ko) 차량용 시트 시험기의 트위스터 승하강장치
JPS6311248A (ja) 軟質環状ワ−クの組み付け装置
CN214749373U (zh) 一种尼龙拉力测试机
KR19980061305U (ko) 차량용 시트 시험기의 충격흡수장치
CN114814255B (zh) 一种全自动试验机及自动上下料方法
KR20090006325A (ko) 코일 적치용 패드장치
CN213148319U (zh) 一种具有抗震机构的车身强度试验装置
CN221006791U (zh) 一种汽车脚踏制动设备检测设备
KR20240032457A (ko) 와이어의 트위스트 인장시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