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4199A - 유선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기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선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기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199A
KR19980074199A KR1019970009903A KR19970009903A KR19980074199A KR 19980074199 A KR19980074199 A KR 19980074199A KR 1019970009903 A KR1019970009903 A KR 1019970009903A KR 19970009903 A KR19970009903 A KR 19970009903A KR 19980074199 A KR19980074199 A KR 19980074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remote
earphone
mobile phone
key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주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1997000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4199A/ko
Publication of KR1998007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19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형 마이크와,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어폰과, 상기한 휴대폰과 소형 마이크 및 이어폰의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키, 마이크 음량 조절키, 이어폰 음량 조절키, 접속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유선 리모콘과,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 경우에 상기한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으면 이어폰을 통하여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한 뒤에 소형의 마이크와 이어폰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유선 리모콘의 기능키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이 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통하여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유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접속동작을 할 수가 있음으로써 외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과 동시에 소형 마이크 또는 자동 응답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전화기의 장점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제어방법
이 발명은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이 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통하여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유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접속동작을 할 수가 있음으로써 외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과 동시에 소형 마이크 또는 자동 응답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전화기의 장점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사람이 어느때나 어느 곳에서 외부로부터 항상 억세스가 되고, 또한 자기자신이 다른 사람에게 전화를 할 수 있게 되기를 원한다. 특히, 직업에 따라 이러한 것이 절실히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면, 비즈니스맨인 경우 고객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항상 받을 수 있어야 하고, 회사의 간부는 회사로부터 언제든지 연결이 가능해야 하고, 또 조직의 중책을 맡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긴급한 일에 대한 결정을 위하여 항상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고 사람이 전화기가 있는 곳에 항상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이에따라, 전화기의 개념을 사람이 어느 곳에 있든지 또는 어느때나 항상 억세스가 될 수 있도록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환시킨 것이 바로 이동통신 서비스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사용지역에 따라 육상, 해상, 항공으로 구분되며, 기지국은 지상 또는 인공위성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이들중에서 가장 많은 수요자를 가지고 있는 육상 이동통신의 서비스 개발은 현재 단파에서 극초단파까지 실용화되어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자동차 전화기(car phone), 휴대폰(hand held phone), 무선 호출기(pager), 무선 전화기(Cordless Telephone, CT), 발신전용 휴대 전화기(CT-2) 등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 전화기 및 휴대폰을 포함한 이동 전화기는 셀룰러 시스템의 통신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화중에 지역(셀)이 변경되더라도 지역 기지국에 따라 계속적으로 채널이 변경됨으로써 통화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이동 전화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전화기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동작이 시작되면(S11), 송수신 대기상태가 된다(S12). 이와 같은 송수신 대기상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S13), 이동 전화기는 착신표시회수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14). 상기한 착신표시회수 제한설정이란 이동 전화기의 착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벨신호나 진동신호와 같은 착신음의 회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한 착신표시회수 제한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회수만큼 착신음을 발신시키게 되지만, 상기한 착신표시회수 제한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기본회수만큼 착신음을 발생시키게 된다(S16). 착신음의 발생이 끝나면, 이동 전화기는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S17),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과 전화를 접속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접속키는 특정키 또는 일반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립형 이동 전화기에서는 플립을 여는 경우에 접속키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이동 전화기는, 회의중인 경우와 같이 정숙을 요하는 곳에서 착신음이 발생하게 되면 회의 분위기를 망쳐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동 전화기를 주머니나 가방 깊숙한 곳에 넣어둔 경우에는 접속동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더더욱 곤란한 점이 많게 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이 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통하여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유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접속동작을 할 수가 있음으로써 외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과 동시에 소형 마이크 또는 자동 응답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전화기의 장점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대폰 20 : 유선 리모콘 30 : 이어폰 40 : 마이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형 마이크와,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어폰과, 상기한 휴대폰과 소형 마이크 및 이어폰의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키, 마이크 음량 조절키, 이어폰 음량 조절키, 접속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유선 리모콘과,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 경우에 상기한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으면 이어폰을 통하여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한 뒤에 소형의 마이크와 이어폰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유선 리모콘의 기능키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동작이 시작되면 송수신을 대기하면서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착신이 있는 경우에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휴대폰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고,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어폰으로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착신음을 중지시키고 전화를 접속시키는 단계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착신음을 발생시키고 난 후,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바로 접속모드가 서렁되어 있는 경우에 곧바로 전화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구성은, 기지국과 접속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폰(10)과,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형 마이크(40)와,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어폰(30)과, 상기한 휴대폰(10)과 소형 마이크(40) 및 이어폰(30)의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키, 마이크 음량 조절키, 이어폰 음량 조절키, 접속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유선 리모콘(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21)와, 송수신을 대기하는 단계(S22)와,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3)와, 착신이 있는 경우에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4)와,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일반적인 휴대폰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단계(S25)와,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이어폰으로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26)와,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7)와,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착신음이 종료되면 곧바로 전화를 접속시키는 단계(S28)와,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9)와,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착신음을 중지시키고 전화를 접속시키는 단계(S30)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S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제어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폰(10) 또는 유선 리모콘(20)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키를 온시킴으로써 전원이 인가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동작이 시작된다(S10).
동작이 시작되면, 휴대폰(10)은 송수신을 대기함과 동시에(S22), 기지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착신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23).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 경우에 휴대폰(10)은 유선 리모콘(20)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24), 유선 리모콘(20)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휴대폰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고(S25), 유선 리모콘(2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어폰(30)을 통하여 착신음을 발생시킨다(S26). 따라서, 회의도중에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 경우에,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착신표시회수 제한설정 기능을 도입할 수도 있다.
착신음을 발생시키고 나면 휴대폰(10)은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S27),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음이 종료되고 난 뒤에 곧바로 전화를 접속시킨다(S28). 상기한 바로접속 모드는 착신이 되면 접속키의 입력이 없더라도 전화접속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이를 위한 기능키는 휴대폰(10) 또는 유선 리모콘(20)에 설치할 수 있다.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휴대폰(10)은 사용자로부터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S29), 유선 리모콘(20)으로부터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착신음의 발생을 중지시키고 전화를 접속시킨다(S30). 이와 같이 전화접속이 이루어지고 나면, 사용자는 유선 리모콘(2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40) 및 이어폰(30)을 이용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1). 이때, 사용자는 유선 리모콘(20)의 마이크 음량 조절키 및 이어폰 음량 조절키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절절한 음량상태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정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 전화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이동 전화기에도 공히 적용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착신이 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통하여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유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접속동작을 할 수가 있음으로써 외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과 동시에 소형 마이크 또는 자동 응답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응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전화기의 장점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및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이동 전화 시스템 분야에서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4)

  1.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형 마이크와,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이어폰과, 상기한 휴대폰과 소형 마이크 및 이어폰의 사이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원키, 마이크 음량 조절키, 이어폰 음량 조절키, 접속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유선 리모콘과,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 경우에 상기한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으면 이어폰을 통하여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한 뒤에 소형의 마이크와 이어폰을 통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유선 리모콘의 기능키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
  2. 동작이 시작되면 송수신을 대기하면서 기지국으로부터 착신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착신이 있는 경우에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휴대폰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고, 유선 리모콘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어폰으로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접속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착신음을 중지시키고 전화를 접속시키는 단계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착신음을 발생시키고 난 후, 바로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바로 접속모드가 서렁되어 있는 경우에 곧바로 전화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착신표시회수 제한설정 모드에 따라 기본회수 또는 설정회수 동안 착신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기의 제어방법.
KR1019970009903A 1997-03-21 1997-03-21 유선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기 및 제어방법 KR19980074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03A KR19980074199A (ko) 1997-03-21 1997-03-21 유선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기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03A KR19980074199A (ko) 1997-03-21 1997-03-21 유선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기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99A true KR19980074199A (ko) 1998-11-05

Family

ID=6595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903A KR19980074199A (ko) 1997-03-21 1997-03-21 유선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기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41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710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즈프리용 외부 마이크가 착탈되는 스피커폰
KR100819287B1 (ko) * 2000-12-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287B1 (ko) * 2000-12-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 전환 방법
KR20030057106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즈프리용 외부 마이크가 착탈되는 스피커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185A (en) Cordless telephone having a call key capable of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and a method for assigning alternate functions to the call key and performing the multiple functions
JPH04150360A (ja) 無線電話装置
US2004019846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or vehicle-based private and conference calling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KR20000062086A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음성신호의 송/수신 상태 표시방법
GB2328842A (en) Monitoring signal quality in a wireless local loop communication system
KR19980074199A (ko) 유선리모콘을 이용한 휴대용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동전화기 및 제어방법
JP3339475B2 (ja) 無線通信端末の着信制御装置
US5765111A (en) Selective mobile station calling method for digital cordless telephone and system
JPH07111680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241723B1 (ko) 유무선 통화 기능을 가지는 전화기의 기능 확대장치 및방법
KR100291350B1 (ko) 유무선전화기의연계운영장치
JPH03213022A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860375B2 (en) CTI system and CTI control method
JP3141462B2 (ja) 無線電話装置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JP2734874B2 (ja) コードレス電話親機
JPH05130010A (ja) 携帯電話機および外部装置
KR2003004692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성을 이용한 호 신호 송수신방법
KR20000055309A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0120014B1 (ko)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JP3286521B2 (ja) 電話装置
KR200255283Y1 (ko) 다목적 핸즈프리의 무선 이어폰 장치
KR20030029283A (ko) 차량용 핸즈프리의 화상통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