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867A - 외래어 발음표기 문자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외래어 발음표기 문자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867A
KR19980072867A KR1019970007849A KR19970007849A KR19980072867A KR 19980072867 A KR19980072867 A KR 19980072867A KR 1019970007849 A KR1019970007849 A KR 1019970007849A KR 19970007849 A KR19970007849 A KR 19970007849A KR 19980072867 A KR19980072867 A KR 19980072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nunciation
shape
korean
foreign
pho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박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환 filed Critical 박기환
Priority to KR101997000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867A/ko
Publication of KR1998007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867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리나 고유의 문자를 주제로한 외래어 발음 표기 기법상 발성 모양을 보다 구체화시켜 (1) (2) (3) (4) ......... 의 도면에 나열 표기 한대로 고유의 문자중 외래어 발음에 문제가 있는 부분을 목구멍 부분도(A-1,2 B-1.2.3, C-1.2.3, D-1,2)와 입술 모양 부분도 (가-1·2 나-1·2 다-1·2·3·4)등으로 모양과 형상을 새로이 합리적으로 형성하여 발음의 모양을 본따 ㅅ은으로 ㅈ은등으로 표기 해줌으로서 보다 정확한 외래어 발음을 낼 수 있도록 제작된 외래어 발음 표기 학습 문자의 변형 방법인 것이다.
예) 영어를 위한 한글 부호 및 중국어를 위한 한글 부호의 도표 참조

Description

외래어 발음 표기 학습 문자의 변형 방법
본고안은 우리나라 문자중 외래어 표기발음을 실용적으로 발전 향상시킨 것으로 발음을 좀더 구체화 시켜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외래어 학습을 보다 쉬운 방법으로 터득하게 하는 효과를 낼수 있는 외래어 문자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
(이유서참조)
종래에는 외래어의 발음을 표기할 때 특이한 발음을 보통 우리 나라 문자를 그냥 대비시키므로 해서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가 없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영어를 배우는 초보자는 발음을 할 때 완전한 음을 내지 못하고 우리 나라 문자의 발음을 그대로 답습하므로서 나중에 정확한 발음을 내기에 여간 애로 사항이 있었던 것이 주지의 사실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의 결정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 나라 고유의 문자 표기를 좀더 다양하게 형상화시키므로서 아예 처음부터 정확한 외래어 발음을 고정시켜 줌으로서 우리 나라 문자가 같은 특수성을 십분 살려줌과 동시에 초보자가 나중에 발음의 교정을 겪어서 오는 애로 사항을 미리 방지하게 할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우리의 고유문자를 변형시켜 학습기에 삽입하게 하는 보다 진일보한 변형된 외래어 학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 1. 3. 5. 6. 7. 9 도는 본 고안의 발음상 변화하는 형태의 목구멍 부분도
제 2. 4. 8 도는 입술 모양의 변화도
제 2. 4 도는 입술 모양과 문자 형태의 대비도
제 9 도는 혓소리 끝 부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A-1, A-2, B-1, B-2, B-3, C-1, C-2, C-3 은 발음기호와 문자의 모양도
가-1, 가-2, 나-1, 나-2 는 입술 형태에 따른 문자의 변화도
다-1, 다-2, 다-3 다-4 는 발음상 입술 모양도
D-1, D-2는 혓소리 변화도
① ∼ ⑩은 발음 상태에 따른 목구멍 변화도
a -1.2.3.4, b-1.2.3은 변형된 문자의 형태도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우리 나라 고유의 문자를 주제로한 발음의 표기 기법상 발성 모양을 보다 구체화시켜 제 1도서부터 제 9도의 도면에 표기한 대로 고유의 문자중 발음에 문제가 있는 부분을 목구멍 부분도(A∼D), 와 입술 모양 부분도(가∼다)등으로 모양과 형상을 새로이 형성하여,…… 등의 발음 문자로 여러 가지 형상, 모양을 달리하여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 나라 문제에서 제대로 외래어를 발음하게 표기할 수 없는 문자중 ㅅ은ㅈ은등으로 혓소리 끝부분을 올려 준 모양으로 표기함으로서 아예 처음부터 우리 나라 글자만이 갖는 특수성을 십분 활용한다면 어떠한 외래어의 어려운 발음을 내더라도 기존의 문자 표기로서 내기 어려운 문제를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고유문자를 쉽게 변형시켜 줄뿐만 아니라 육성으로도 녹음하여 초보자가 여러 번 반복 학습할 수 있게 해줌으로서 입체적 학습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이중적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는 [도1]에서와 같으며 목구멍 부분면 ① ∼ ⑩과 입술 모양 부분(가∼다)가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발음을 서로 크로스 되게 일체화시키고 목구멍 하단부(제 9도 D-1)과 혓소리 상단부가 (제 9도 D-2)와 같이 된 모양과 형상이 발음이 정확한 부분으로 어루어져 된 문자의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이 갖는 변형된 문자를 널리 상용 보편화시키므로서 정확한 외래어 표기를 할 수 있어 그 동안 무분별하게 받아 들이는 외래어를 표기한 여타 상품의 표시나 서적 등을 일정부분 배제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고 그들이 우리 나라 시장을 침투함으로 인해 겪는 애로 사항 가령 예를 들어 고유문자(로고등 포함)를 외래어로 그대로 표시하여 그에 반한 로열티나 지적 소유권을 주장하는 폐단을 막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누구라도 알기 쉽고 공부하기도 편하게 제작되어 외래어를 배우는 초보자 특히 초급 학생들이 배우기 쉬울 뿐만이 아니라 처음부터 아예 발음을 정확히 교정시켜 줌으로서 우리 나라 교육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장점과 대량 보급의 상품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우리 나라 고유문자중 외래어 발음 표기가 어려운 부분에 있어서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3. 5. 6. 7. 9]의 목구멍 부분도[① ∼ ⑩]과 혓소리 끝면 제9도[D-1, D-2]이 발음상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과 모양을 입술모양 부분도 [제6도 C-1, C-2] 및 [제 2. 4. 8]와 같이 새로운 형태를 변화시켜 이루어진 외래어 발음 표기 학습 문자의 변형 방법
  2. 제 2도의 가-1, 가-2, 제 4도 나-1, 나-2 와 같이 발음상 입술 모양의 변화에 따라 변형되어 질수 있는 소리음의 형태를 문자에 대비시켜 나가는 과정에서의 본 고안의 특수성을 살린 발음기호의 형상과 모양
  3. 제 9도 a-1.2.3.4, b-1.2.3에서 나타난 본 고안의 외래어 발음표기상 나타난 변형된 문자의 형태
    ◎ 영어를 위한 한글 부호
    ◎ 중국어를 위한 한글부호
KR1019970007849A 1997-03-08 1997-03-08 외래어 발음표기 문자의 형성방법 KR19980072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849A KR19980072867A (ko) 1997-03-08 1997-03-08 외래어 발음표기 문자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849A KR19980072867A (ko) 1997-03-08 1997-03-08 외래어 발음표기 문자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867A true KR19980072867A (ko) 1998-11-05

Family

ID=6598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849A KR19980072867A (ko) 1997-03-08 1997-03-08 외래어 발음표기 문자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8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34A (ko) * 2000-05-17 2000-08-05 이영상 한글문자를 응용한 국제음성기호
KR20030013993A (ko) * 2001-08-10 2003-02-15 임윤식 인터넷을 이용한 한글표기식 외국어학습방법
KR101111487B1 (ko) * 2008-09-29 2012-02-21 배의봉 영어 학습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34A (ko) * 2000-05-17 2000-08-05 이영상 한글문자를 응용한 국제음성기호
KR20030013993A (ko) * 2001-08-10 2003-02-15 임윤식 인터넷을 이용한 한글표기식 외국어학습방법
KR101111487B1 (ko) * 2008-09-29 2012-02-21 배의봉 영어 학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niels Writing systems
Hannas Asia's orthographic dilemma
DeFrancis The Chinese language: Fact and fantasy
Trager Writing and writing systems
US4565459A (en) Phonetic Chinese printing apparatus
Taylor Learning to read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KR19980072867A (ko) 외래어 발음표기 문자의 형성방법
Pombo Variation and standardization in the history of Spanish spelling
Cook Background to the English writing system
KR20060095746A (ko) 악필글씨교정노트
Taylor et al. An introduction to reading the world’s scripts
KR102237725B1 (ko) 영어 초보자를 위한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Odinye Phonology of mandarin chinese: a comparison of Pinyin and IPA
Song et al. Resistance to complexity interacting with visual shape—German and Korean orthography
Owen A description and linguistic analysis of the Tai Khuen writing system
Vance Irregular phonological marking of Japanese compounds: Benjamin Smith Lyman’s pioneering research on rendaku
Yakubovich 13. ANATOLiAN hiErOgLyphiC wriTiNg
KR101612391B1 (ko) 한글 글씨 연습용 교재
KR102190002B1 (ko) 초보자를 위한 영어 학습 교재 및 이를 이용한 영어 학습 방법
Ivušić Developing Consistency in the Absence of Standards–A Manuscript as a Melting-Pot of Languages, Religions and Writing Systems
Wiedenhof Purpose and effect in the transcription of Mandarin
James The practical orthography of African languages
Vijūnas Some remarks regarding English transcription practices in Taiwan
TW512291B (en) A kind of teaching aids for language combination permutation method
Osterkamp Early adaptations of the Korean script to render foreign langu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624

Effective date: 200105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622

Effective date: 20020117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0221

Effective date: 2002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