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394A -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394A
KR19980072394A KR1019970007205A KR19970007205A KR19980072394A KR 19980072394 A KR19980072394 A KR 19980072394A KR 1019970007205 A KR1019970007205 A KR 1019970007205A KR 19970007205 A KR19970007205 A KR 19970007205A KR 19980072394 A KR19980072394 A KR 1998007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plate
collecting plate
discharge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1994B1 (ko
Inventor
박문찬
Original Assignee
박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찬 filed Critical 박문찬
Priority to KR101997000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99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43Cleaning the electrodes by using friction, e.g. by brushes or sli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방법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그 전기집진방법은: 상기 오염공기를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흡입단계; 방전극(54)을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시켜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상기 집진판(41)을 상기 방전극(54)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시켜 그 간격들사이로, 이물질이 이온화된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그 다수의 집진판(41)에 이온화된 이물질을 포집시키는 집진단계; 그리고 상기 집진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중앙 개구(흡입관)을 통해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본 발명은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회전가능한 다수의 집진판을 대향전극으로 하고 그 주위에 다수의 방전극이 배치됨으로써 흡입구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내지 오염공기(이하 오염공기라 한다)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하면서 방전시키고 1차 전기집진을 수행한 후, 1차 정화된 공기(가스)를 관축방향으로 배출시키고, 나아가, 원심 재생형 브러쉬 필터를 통과시켜 2차 집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재생판과의 마찰에 의해 제어하여 집진판을 건식으로 재생하고 또한, 그 재생판을 건식이나 습식으로 세정할 수 있는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방전극과 집진극(판)으로 구성되고 인위적으로 방전극에 고전압을 공급, 코로나(CORONA)방전에 의하여 입자를 하전시켜 상대극성을 띤 집진극(대향전극)에서 전기적인 힘으로 집진하는 것을 말하여, 통상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기집진장치에 자동으로 그 집진극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장치와 전단의 필터 및 비산방지필터가 함께 사용된다.
그와 같은 전기집진장치는 세정장치에 의해 수용성 점액을 집진판에 도포하여 집진판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집진후에는 물분사에 의한 재생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공기조화장치나 배기가스 정화장치 등에 있어서는 직접 또한 연속적으로 오염공기나 배기가스를 청정시키면서 필터를 연속적으로 세정시켜 재생시키지 못하고 있다. 즉, 통상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오염공기 내지는 배기가스의 정화운전을 중단하고 필터만을 분리하여 또는 장착한 상태대로 별도의 진공흡입수단이나 분사(이하 분무를 포함함)식 세정수단 등에 의해 세정되어 재생되며, 이와 같이 재생된 후에 다시 정화를 위한 운전이 재개된다.
상술한 전기집진장치의 경우 평면형태로 방전극과 집진판이 배열되어 통과면적에 비해 큰 공간을 차지하며, 세정액의 분사시 분무액이 비산되어 방전을 일으키기 때문에 세정을 위해서는 정화를 위한 운전이 정지되지 아니할 수 없고, 또한, 진공흡입수단 내지는 에어분사(무)식 세정장치에 의해서는 완전한 세정이 어려워 일시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을 뿐, 본래의 필터의 수명을 지니도록 재생되지는 못하였다. 또, 부직포, 유리섬유 등의 필터 소재의 성질에 따라서는 완전한 재생이 불가능하고 일시적인 재생만이 가능할 뿐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가능한 다수의 집진판을 대향전극으로 하고 그 주위에 다수의 방전극이 배치됨으로써 흡입구로 유입된 배기가스 내지 오염공기(이하 오염공기라 한다)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하면서 방전시키고 1차 전기집진을 수행한 후, 1차 정화된 공기(가스)를 관축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며, 나아가, 원심 재생형 브러쉬 필터를 통과시켜 2차 집진을 수행할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재생판과의 마찰에 의해 제거하여 집진판을 건식으로 재생하고, 또한, 그 재생판을 건식이나 습식으로 세정시킴으로써 오염공기 내지는 배기가스를 직접 연속적으로 전기집진장치를 통과시켜 청정시키면서 동시에 연속적으로 그 집진판을 재생시켜 완전히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소규모 구조로도 대용량의 처리능력을 지니는 집진판의 재생방법을 제공하며, 나아가, 이들을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정면도,
도 1b 는 도 1a 의 좌측면도,
도 2a 는 도 1a 의 평면도,
도 2b 는 도 1a 의 배면도,
도 3a 는 내부하우징 중심선을 절단한 도 2a 의 선 A-A 단면도,
도 3b 는 도 2a 의 선 B-B 단면도,
도 4a 는 도 1b 의 선 C-C 단면도,
도 4b 는 도 1b 의 선 D-D 단면도
도 5 는 1차 집진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6a 는 흡입관의 외형을 도시한 정면도,
도 6b 는 도 6a 의 선 E-E 단면도,
도 6C 는 흡입관의 우측면도,
도 6d 는 도 6c 의 선 F-F 단면도,
도 7a 는 도 6b 에서 집진판을 취부한 상태의 단면도,
도 7b 는 도 6d 에서 집진판을 취부한 상태의 단면도,
도 7c 는 재생장치의 단면도,
도 8a 는 2차 집진장치의 브러쉬 보호판과 브러쉬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8b 는 도 8a 의 선 G-G 투시도,
도 8c 는 도 8a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9a 는 도 6a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흡입관의 정면도,
도 9b 는 도 4b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는 본 발명의 집진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b 는 도 10a 와 다른 설치방법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플랜지2 : 하우징
3, 4, 5 : 취부브라켓(칸막이 겸용)
3a : 세정액 배수통로6 : 베이스
7 : 프레임8 : 흡입구 보호망
20 : 2차 집진부21 : 브러쉬(필터)
22, 22-1 : 브러쉬 보호판22a, 22-1a : 개구
22-1b : 브러쉬 지지부23 : 보스
24 : 회전축25 : 베이링
26 : 내부하우징(브러쉬가이드)27 : 세정액 파이프
28 : 스프레이 노즐
40 : 1차 집진부41 : 집진판
41a : 집진판 고정부재42 : 흡입부재
43 : 개구44 : 집진판 지지부재
45 : 집진판 삽입홀46 : 캡(흡입관)
46a, 49a : 흡입관 고정수단47 : 회전축
48, 50 : 내부링49 : 외부링
51 : 리테이너 가이드52 : 리테이너
52a : 리테이너 지지링53 : 간격유지봉
53a : 베어링54 : 방전극(극성제한없음)
54a : 절연체54b : 단자
55 : 롤러
60 : 재생부61 : 재생판
61a : 재생판 고정홀62 : 재생판 지지관
63 : 캡(재생판 지지관)63a : 고정수단(재생판지지관)
64 : 회전축65 : 내부링
66 : 스프레이관67 : 스프레이 노즐
68 : 칸막이(1차 집진부와 재생부사이)69 : 스크레이퍼
80 : 구동부(1차집진부 및 재생부)81 : 구동모터
82 : 메인기어(또는 체인, 타이밍벨트의 스프로켓)
83 : 집진판 구동기어84 : 재생판 구동기어
85 : 세정액 펌프85a : 토출구
85b : 세정액 흡입구86 : 세정액 파이프
100 : 송풍팬101 : 임펠러
102 : 모터
110 : 공급실(SUPPLY CHAMBER)
111 : 브러쉬(필터) 구동모터112 : 연결플랜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방법은, 방전극으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그 이온화된 이물질을 방전극의 대향전극인 집진판에 포집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전기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를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흡입단계; 방전극을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시켜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상기 집진판을 상기 방전극의 내주에 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시켜 그 간격들 사이로, 이물질이 이온화된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그 다수의 집진판에 이온화된 이물질을 포집시키는 집진단계; 그리고 상기 집진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중앙 개구(흡입관)를 통해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집진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반대측에서 그 다수의 집진판사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재생판과의 마찰에 의해 그 각 집진판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그 각 집진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반대측으로 포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출단계에서 1차 정화된 공기를 회전하는 브러쉬(필터)를 통해 축방향으로 통과시켜 2차적으로 집진시키며 집진된 이물질을 원주방향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원심재생에 의한 2차 집진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판 재생방법은, 방전극으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그 이온화된 이물질을 방전극의 대향전극인 집진판에 포집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전기집진방법에 있어서: 재생판을 집진판과 접촉시키고 상대적으로 운동시켜 마찰시킴으로써 그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집진판을 건식으로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재생판은, 세정액을 상기 재생판에 스프레이시켜 제거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드레인시킴으로써 그 재생판을 세정시키도록 스프레이관과 노즐이 설치되거나, 상기 재생판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마찰에 의해 건식으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재생판을 세정시키도록 스크레이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전극; 및 상기 오염공기가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방전극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되는 오염공기의 이물질을 이온화시켜 집진시키도록 상기 방전극에 대향하여 대향전극을 형성하고, 그 집진되어 정화된 공기를 중앙부에서 축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다수의 집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집진부(1차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그 다수의 집진판이 회전되도록 회전축을 개재하여 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반대측에서 마찰에 의해 그 각 집진판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그 각 집진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반대측으로 포집시키도록 그 다수의 집진판 사이사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재생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개방된 중앙부에 고정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고, 중앙 개구에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중앙부에서 흡입관을 형성하고 그 다수의 집진판을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흡입개구가 형성된 다수의 원호 형상의 흡입부재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된 다수의 집진판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흡입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외주에서 그 집진판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간격유지봉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배출되는 1차 정화된 공기가 축방향으로 통과되어 2차적으로 집진되며, 그 집진된 이물질을 원주방향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필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2차 집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브러쉬(필터)의 후단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이 그 송풍팬의 임펠러의 축과 공통의 축으로 사용되고 송풍팬의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재생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해, 집진판에 의해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포획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마찰에 의해 그 집진판에 포획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생시키도록 집진판에 접촉하여 상대적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재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그 집진판 재생장치는, 세정액을 상기 재생판에 스프레이시켜 제거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드레인시킴으로써 그 재생판을 습식으로 세정시키도록 스프레이관과 노즐이 설치되거나, 상기 재생판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마찰에 의해 건식으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재생판을 세정시키도록 스크레이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차 집진부(40), 재생부(60) 및 2차 집진부(20)를 지니는 집진장치의 구성이 도시된다(도 3a 참조). 그 각각의 1차 집진부(40)와 2차 집진부(20)는, 도 3a 에서 베이스(6) 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프레임(7)과 하우징(2)을 좌우로 취부브라켓(3,4,5)에 의해 유체적으로 거의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재생부(60)는 도 4a 와 도 4b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집진부(40)를 상하로 칸막이(68)에 의해 각각 유체적으로 거의 분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 그 집진장치는 흡입구에 설치된 흡입구 보호망(8)을 통해 굵기가 굵은 이물질들의 유입을 방지시키면서 오염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도 10a 에서와 같이 송풍기(100)에 의해 직접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며, 연결플랜지(1)를 통해 공급실(110)과 또 다른 연결플랜지(112)를 개재하여 덕트(도시 생략됨)에 연결됨으로써 소망의 장소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차 집진부(40)는, 전기집진장치로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전극(54); 및 상기 오염공기가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방전극(54)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되는 오염공기의 이물질을 이온화시켜 집진시키도록 상기 방전극(54)에 대향하여 대향전극을 형성하고, 그 집진되어 정화된 공기를 중앙부에서 축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다수의 집진판(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집진부(40)와 재생부(60)의 구체적 구성의 일예가 도 5 에 도시된다. 도 4a 및 도 4b 와 도 5 에서 다수의 방전극(54)은 다수의 집진판(41)의 주위에 절연체(54a)를 개재하여 취부브라켓(4, 5)에 고정되고 단자(54b)를 통해 소정의 전압(양의 전압 또는 음의 전압)이 인가된다. 도 5 와 도 6 및 도 7a 와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집진판(41)은 그 중앙 개구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흡입관을 구성하는 다수의 원호상의 집진판 지지부재(44)에 형성된 집진판 삽입홀(45)에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의 돌기를 삽입시키고, 그 집진판 지지부재(44)의 사이사이에 다수의 개구(43)를 지니는 흡입부재(42)를 개재시켜 원통형상의 흡입관을 형성한 다음, 그 흡입관의 상부에 내부링(48)과 캡(46)을 삽입시켜 고정수단(46a)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이 고정되고 그 다수의 집진판(41)의 중앙 개구의 상부가 밀폐되어 하부로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금속판 조립구조이지만, 주물로 구성하는 때에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의 캡(46)에는 회전축(47)이 고정되고 그 회전축(47)은 도 3b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47a)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브라켓(5)에 지지되고 그 회전축(47)은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80)의 집진판 구동기어(83)에 고정되어 메인기어(82)를 개재하여 기어드 모터(81)에 의해서 회전된다. 그 모터의 회전력은 기타 체인이나 타이밍벨트에 의해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흡입관을 형성하는 집진판 지지부재(44)와 흡입부재(42)는 하부에서도 내부링(50)과 외부링(49)을 삽입시켜 고정수단(49a)에 의해 고정시키고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링(51)을 개재하여 취부브라켓(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회전이 도 2b 및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53)와 베어링(53a)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상기 집진판 지지부재(44)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가능한 다수의 집진판(41)은 원주상에서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다수의 간격유지봉(53)이 베어링(53a)을 개재하여 취부브라켓(4,5)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재생부(6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반대측에서 그 각 집진판(41)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마찰에 의해 제거하여 그 각 집진판(41)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반대측으로 포집시키도록 그 다수의 집진판(41) 사이사이에 다수의 재생판(61)이 상술한 집진판(41)의 구조와 유사하게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의 다수의 지지관(62)의 고정홈(61a)에 삽입된 채 서로 지지관(62)이 원통형상으로 조립되어 내부링(65) 및 캡(63)을 개재하여 고정수단(63a)에 의해 고정되며, 캡(63)에 고정되는 회전축(64)과 베어링(64a)을 개재하여 취부브라켓(4,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상부의 회전축(64)은 구동부(80)의 재생판구동기어(84)와 메인기어(82)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집진판(4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재생판(61) 역시 그 습식 세정을 위해 스프레이관(66)과 노즐(67)이 설치되어 세정액을 상기 재생판(61)에 스프레이시킴으로써 집진판(41)에서 제거된 이물질들을 드레인공(71)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스크레이퍼(69)가 설치하여 상기 재생판(61)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마찰에 의해 건식으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재생판(61)을 건식으로 세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한편, 2차 집진부(20)는 도 3 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필터)(21)가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의 개방된 중앙부(흡입관)를 통해 배출되는 1차 정화된 공기를 2차로 정화시키도록 설치된다. 그 브러쉬(필터)(21)는 집진된 이물질을 원주방향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회전축(24)과 베어링(25)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취부브라켓(3,4)에 설치된다.
그 구체적인 구성이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되며, 이 구성은 본 출원인이 한 특허출원 제96-14712호(1996년 5월 6일자 출원)의 발명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14230호에 상세히 개시된 바, 도면과 함께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브러쉬(필터)(21)는 다수의 와이어에 의해 원판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브러쉬(필터)(21)가 보스(23)를 개재하여 회전축(24)에 고정되며, 브러쉬(필터)(21)의 양측이 브러쉬 보호판(22, 22-1)에 의해 지지되며, 브러쉬 보호판(22, 22-1)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22a, 22-1a)를 통해 상술한 1차 정화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그 브러쉬 보호판(22, 22-1)사이의 브러쉬(21)에 의해 2차 정화되게 된다. 또한, 그 브러쉬(필터)(21)에 부착된 이물질은 회전하는 브러쉬(필터)(21)의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배출됨으로써 브러쉬(필터)(21)가 정지시킴이 없이도 자동으로 세정되게 되며, 나아가 세정액 파이프(27)를 설치하여 스프레이 노즐(28)을 통해 세정액을 스프레이시키고 세정액 배수통로(3a)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더욱 여과와 세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브러쉬 보호판(22, 22-1)에는 브러쉬 지지부(22-1b)를 설치하여 브러쉬(필터)(21)의 중간에서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의 상세한 작용을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 을 참조하여 그 집진방법 및 설치방법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입관과 집진판의 조리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관을 여러조각으로 나눈후 공기흡입부(42)와 집진판고정부(44)를 가공하고 흡입관 캡(46)과 외부링(49), 내부링(48, 50)을 결합하여 고정수단(46a, 49a)으로 조립함으로써 완료된다. 흡입관의 한쪽은 회전축(47)과 베어링(47a)에 의하여 지지 및 회전되며 다른 한쪽은 외부링(49)이 롤러(55)에 의하여 지지되어 회전한다.
상술한 집진장치는 도 10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필터)(21)의 후단에 송풍팬(100)이 설치하고 그 송풍팬(100)의 임펠러(101)의 축과 브러쉬(21)의 회전축(24)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그 회전축(24)이 송풍팬(100)의 모터(102)에 연결된다. 또, 연결플랜지(1)를 통해 공급실(110)과 또 다른 연결플랜지(112)를 개재하여 덕트(도시 생략됨)에 연결됨으로써 소망의 장소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별도의 구동 모터(111)에 회전축(24)을 연결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될 수 있는 집진장치는 1차 집진부(40)에서는 일반적인 전지 집진기의 원리에 의하여 1차 집진을 시킴과 동시에 구동부(80)에 설치된 모터(81)의 구동으로 원형의 집진판(41)을 회전시키고 집진판(41)들의 사이에서 집진판들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의 재생판(61)들을 회전시켜 집진판(41)에 포집된 입자들을 마찰에 의하여 제거시키고 오염된 재생판(61)은 스프레이관(66)과 노즐(67)을 통한 세정액이 분무에 의하여 재생시키며, 다른 운전방법으로는 재생판을 세정액의 분무에 의하여 재생시킨 후 재생판에 부착되어 있는 세정액과 분진을 스크레이퍼에 의하여 제거시키거나, 또다른 운전방법으로는 건식방법으로 세정액을 사용하지 않고 재생판을 스크레이퍼(69)에 의하여서만 재생시킨다.
1차 집진부(40)에서 포집되지 않은 분진과 응집되어 이탈된 분진은 2차 집진부(20)의 브러쉬(필터)(21)에 의하여 포집되며, 포집된 분진은 원심력에 의하여 내부하우징(26) 밖으로 배출되고, 이의 보조수단으로 세정액을 분무시켜 브러쉬의 재생을 용이하게 한다.
2차 집진부(20)에서 포집되어 이탈한 분진과 세정액은 배수통로(3a)를 통하여 재생부 수조(70)와 드레인(71)을 거쳐 외부(드레인 탱크 및 폐수 탱크)로 방출된다.
재생(세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속운전방식을 채용하여 고효율의 여과작용과 그 효율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오염방지에 박대하고도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집진부인 1차 집진부(40)에 있어서 다수의 집진판과 원통 흡입관의 분할형 조립구조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수의 집진판과 원통 흡입관이 일체형 주물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운전방법으로는 건식으로 운전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습식으로 운전하는 것도 가능하며, 건식과 습식을 혼합하는 구조로도 가능하다.
또한, 2차 집진부(20)에서 직접여과방식으로 여과작용을 수행하며, 여과작용과 (부)직포나 브러쉬와 같은 여과체의 재생(세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속운전방식을 채용하여 고효율의 여과작용과 그 효율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오염방지에 막대하고도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방치와 재생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1차 집진부(40)인 전기집진부의 구성을 원통형상으로 하여 소규모로도 대용량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며, 나아가 집진판(41)을 회전시키고 일측에서 재생판(61)을 접촉시켜 운전중에도 재생시킬 수 있으며, 또, 그 재생판(61)을 회전시키고 스크레이퍼(69)나 세정액의 분사에 의해 재생판(61)을 세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차 집진부(40)와 2차 집진부(20)를 효율적이고도 컴팩트한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어 더욱 처리 효율과 용량이 향상되며, 2차 집진부(20)에서도 재생(세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속운전방식이 적용되어 고효율의 여과작용과 그 효율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오염방지에 막대하고도 실질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2)

  1. 방전극으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그 이온화된 이물질을 방전극의 대향전극인 집진판에 포집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전기집진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를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흡입단계;
    방전극(54)을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시켜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상기 집진판(41)을 상기 방전극(54)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시켜 그 간격들사이로, 이물질이 이온화된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그 다수의 집진판(41)에 이온화된 이물질을 포집시키는 집진단계; 그리고
    상기 집진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중앙 개구(흡입관)를 통해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을 회전시키고, 상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반대측에서 그 다수의 집진판사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재생판(61)과의 마찰에 의해 그 각 집진판(41)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그 각 집진판(41)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반대측으로 포집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출단계에서 1차 정화된 공기를 회전하는 브러쉬(필터)(21)를 통해 축방향으로 통과시켜 2차적으로 집진시키며 집진된 이물질을 원주방향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원심재생에 의한 2차 집진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방법.
  3. 방전극으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그 이온화된 이물질을 방전극의 대향전극인 집진판에 포집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전기집진방법에 있어서:
    재생판을 집진판과 접촉시키고 상대적으로 운동시켜 마찰시킴으로써 그 집진판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집진판을 건식으로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집진기의 집진판 재생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방법이:
    상기 오염공기를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흡입단계;
    상기 방전극을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시켜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되는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상기 집진판을 상기 방전극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시켜 그 간격들사이로, 이물질이 이온화된 오염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그 다수의 집진판에 이온화된 이물질을 포집시키는 집진단계; 그리고
    상기 집진단계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다수의 집진판의 중앙 개구(흡입관)를 통해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집진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의 반대측에서 그 다수의 집진판 사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재생판과의 마찰에 의해 그 각 집진판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그 각 집진판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반대측으로 포집시키는 단계와;
    마찰에 의해 재생시키는 동안 세정액을 재생판에 스프레이시켜 제거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이물질 제거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판재생방법.
  5. 방전극으로부터의 방전에 의해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이온화시키고 그 이온화된 이물질을 방전극의 대향전극인 집진판에 포집시킨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방전극(54); 및
    상기 오염공기가 외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방전극(54)의 내주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경방향 내측으로 흡입되는 오염공기의 이물질을 이온화시켜 집진시키도록 상기 방전극(54)에 대향하여 대향전극을 형성하고, 그 집진되어 정화된 공기를 중앙부에서 축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다수의 집진판(4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이 회전되도록 회전축(47)을 개재하여 구동부(80)에 연결되며, 상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반대측에서 마찰에 의해 그 각 집진판(41)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그 각 집진판(41)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흡입구와 유체적으로 분리되는 반대측으로 포집시키도록 그 다수의 집진판(41) 사이사이에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재생판(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의 개방된 중앙부에 고정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며;
    중앙 개구에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의 중앙부에서 흡입관을 형성하고 그 다수의 집진판(41)을 고정시키도록 다수의 흡입개구(43)가 형성된 다수의 원호 형상의 흡입부재(42)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45)이 형성된 다수의 집진판 지지부재(44)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의 외주에서 그 집진판(41)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간격유지봉(5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집진판(41)의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배출되는 1차 정화된 공기가 축방향으로 통과되어 2차적으로 집진되며, 그 집진된 이물질을 원주방향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회전축(2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러쉬(필터)(21)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필터)(21)의 후단에 송풍팬(10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24)이 그 송풍팬(100)의 임펠러(101)의 축과 공통의 축으로 사용되고 송풍팬(100)의 모터(10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10. 집진판(41)에 의해 오염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포획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마찰에 의해 그 집진판에 포획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재생시키도록 집진판(41)에 접촉하여 상대적으로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재생판(6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재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세정액을 상기 재생판(61)에 스프레이시켜 제거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드레인시킴으로써 그 재생판(61)을 세정시키도록 스프레이관(66)과 노즐(6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재생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판(61)에 부착된 이물질들을 마찰에 의해 건식으로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그 재생판(61)을 세정시키도록 스크레이퍼(6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재생장치.
KR1019970007205A 1997-03-05 1997-03-05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KR100221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205A KR100221994B1 (ko) 1997-03-05 1997-03-05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205A KR100221994B1 (ko) 1997-03-05 1997-03-05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394A true KR19980072394A (ko) 1998-11-05
KR100221994B1 KR100221994B1 (ko) 1999-09-15

Family

ID=1949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205A KR100221994B1 (ko) 1997-03-05 1997-03-05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9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626B1 (ko) * 1998-06-02 2001-09-29 윤종용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물 제거장치
KR100849416B1 (ko) * 2007-11-16 2008-07-31 주식회사 리트코 세정 기능을 갖는 집진 장치
KR100862796B1 (ko) * 2002-09-13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전기집진기 세정장치
WO2017051940A1 (ko) * 2015-09-23 2017-03-30 서정수 공기청정기
KR102017653B1 (ko) * 2018-08-08 2019-09-03 가람환경기술 주식회사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626B1 (ko) * 1998-06-02 2001-09-29 윤종용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물 제거장치
KR100862796B1 (ko) * 2002-09-13 2008-10-13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전기집진기 세정장치
KR100849416B1 (ko) * 2007-11-16 2008-07-31 주식회사 리트코 세정 기능을 갖는 집진 장치
WO2017051940A1 (ko) * 2015-09-23 2017-03-30 서정수 공기청정기
KR102017653B1 (ko) * 2018-08-08 2019-09-03 가람환경기술 주식회사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994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718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8844136B (zh) 一种具有清灰功能的空气净化器
KR20190025483A (ko)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20010019423A (ko) 회전형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JP3544273B2 (ja) 乾式電気集塵機用洗浄装置
KR100221994B1 (ko) 전기집진방법과 그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집진장치와 재생장치
JP4570200B2 (ja) 混合液体を利用する空気浄化装置および方法
CN109237769B (zh) 滤网组件、新风除霾机及空调器
CN111151378A (zh) 一种静电离心净化器
JPS61227860A (ja) 空気清浄機における集塵装置
JP3426899B2 (ja) 電気集塵装置及びその逆洗掃気方法
KR0182256B1 (ko) 배기가스 내지 오염공기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4141826A (ja) 電気集塵器
KR100212301B1 (ko) 오염공기 및 배기가스의 정화방법과 그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환형필터
KR100667271B1 (ko) 방전극 주행식 전기 집진기 청소 장치
CN111013276A (zh) 一种袋式除尘器
KR101769256B1 (ko) 효율이 향상된 집진기
JP2960267B2 (ja) 湿式電気集塵装置
CN213995234U (zh) 一种voc废气处理设备
CN211755994U (zh) 一种静电离心净化器
US20020178919A1 (en) Centripetal gas purifying system and method
CN211217121U (zh) 一种除尘效率高的除尘设备
KR100215285B1 (ko) 자동세정식 전기집진장치
KR100319710B1 (ko) 전기식 회전 집진장치
CN112023581A (zh) 一种湿式煤矿除尘装置及其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