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606A -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606A
KR19980071606A KR1019980005572A KR19980005572A KR19980071606A KR 19980071606 A KR19980071606 A KR 19980071606A KR 1019980005572 A KR1019980005572 A KR 1019980005572A KR 19980005572 A KR19980005572 A KR 19980005572A KR 19980071606 A KR19980071606 A KR 19980071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beam
light receiving
receiv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아끼 이노우에
다께노리 고또
아쯔시 다지리
가즈시 모리
미노루 사와다
아끼라 이바라끼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상요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1998007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6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11B7/131Arrangement of detectors in a multiple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23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both tracking and focusing pull-i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3Integrated head arrangements, e.g. with source and detectors mounted on the same subst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3Diffractive elements, e.g. holograms or gratin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11B7/0903Multi-beam track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by astigmatic methods

Abstract

스템의 상면에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를 배치하고,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에 의해 +1차 회절된 귀환 광속을 제1 포토 다이오드로 수광하고, -1차 회절된 귀환 광속을 제2 포토 다이오드로 수광한다. 제1 포토 다이오드는 복수의 수광 영역을 갖고, 귀환 광속에 기초하여 재생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한편, 제2 포토 다이오드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갖고, 귀환 광속에 기초하여 재생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
본 발명은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속의 분리 수단으로서 홀로그램 소자를 이용한 광 픽업 장치가 연구개발되고 있다. 도 11은 종래의 광 픽업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광 픽업 장치는 정보 검출 동작외에 비점 수차법에 의한 포커스 서보 및 3빔법에 의한 트랙킹 서보를 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3-7603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픽업 장치는 레이저 광을 수직 상측으로 출사시키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102), 레이저 광을 3개의 광속으로 분할하는 3분할용 회절 격자(103), 분할된 3개의 광속을 투과하고, 또한 광 디스크(100)로부터의 귀환 광속을 회절시키는 홀로그램 소자(104), 홀로그램 소자(104)를 투과한 3개의 광속을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 3개의 스폿으로서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105) 및, 홀로그램 소자(104)로 회절된 귀환 광속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10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광 픽업 장치에서 반도체 레이저 소자(102)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은 3분할용 회절 격자(103)에 의해 0차 및 ±1차의 3개 회절광으로 분할된 후 홀로그램 소자(104)에 입사된다. 3개의 회절광은 홀로그램 소자(104)를 투과하고, 집광 렌즈(105)의 집광 작용에 의해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 주 스폿 및 2개의 부 스폿으로서 집광된다.
광 디스크(100)에 집광된 3개의 레이저 광은 광 디스크(100)에 기록된 정보를 갖는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3개의 귀환 광속으로서 반사된다. 귀환 광속은 집광 렌즈(105)를 통해 홀로그램 소자(104)에 입사된다. 홀로그램 소자(104)는 3개의 귀환 광속을 +1차 및 -1차의 회절광으로서 투과시킨다. 그리고, +1차 회절광은 광 검출기(106)의 수광면에 입사된다. 광 검출기(106)는 수광된 귀환 광속(+1차 회절간)에 기초하여 재생 신호, 비점 수차법에 의한 포커스 에러 신호 및 3빔법에 의한 트랙킹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광 픽업 장치로는 홀로그램 소자(104)에서 +1차 회절 및 -1차 회절로 투과된 귀환 광속 중 한쪽의 귀환 광속, 예를 들면 +1차 회절광만이 광 검출기(106)에 유도되며 다른 쪽의 귀환 광속, 예를 들면 1차 회절광은 이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반도체 레이저 소자(102)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에 대응하는 광 검출기(106)로부터의 검출 전류가 작다. 그래서, 광 디스크(100)로부터의 정보 검출 신호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102)의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광 검출기(106)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증폭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반도체 레이저 소자(102)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102)로의 부하가 과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 검출기(106)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증폭하는 방법에서는 증폭율이 커짐에 따라 검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좁아져서 주파수 특성이 열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특성을 열화시키는 일없이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광학 기록 매체에 광속을 조사하고,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귀환 광속을 검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픽업 장치는, 광속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투과시켜 광학 기록 메체로 안내함과 동시에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귀환 광속을 적어도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제1 회절 소자와,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광학 기록 매체 상의 광속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 소자와,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2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 픽업 장치는 제1 및 제2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수광 소자는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도록 배치되며, 귀환 광속 중 재생용 광속을 수광하여 재생용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수광 소자는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2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도록 배치되며, 귀환 광속 중 검출용 광속을 수광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함과 동시에, 재생 시에 검출 신호를 이용한 각종의 제어 동작이 가능해지며 광학 기록 매체에 대한 재생 동작의 제어성이 향상한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광속의 상태가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이고, 재생용 광속이 주 광속이며, 검출용 광속이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고, 제1 수광 소자가 부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제2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출력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이 가능해지며, 제1 수광 소자가 수광한 부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에러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에서는 수광부의 영역 내로 주 광속이 입사되면 되고 주 광속과 수광부와의 정렬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수광 소자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광속의 상태가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이며 재생용 광속 및 검출용 광속이 공통의 주 광속이고 제1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제2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출력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이 가능해지며, 제1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가 고정밀도로 유지되며 재생 정밀도가 높은 광 픽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에서는 수광부의 영역 내로 주 광속이 입사하면 되고, 주 광속과 수광부와의 정렬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수광 소자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광속의 상태가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 및 포커스 상태이며, 검출용 광속이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고, 재생용 광속 및 검출용 광속이 주 광속이며, 제1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부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제2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출력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이 가능해지며, 제1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지며, 부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에러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 고정밀도의 정보 재생이 가능한 광 픽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에서는 수광부의 영역 내로 주 광속이 입사하면 되고, 주 광속과 수광부와의 정렬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수광 소자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제1 수광 소자는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더 수광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제2 수광 소자뿐만 아니라 제1 수광 소자에서도 재생용 광속을 수광하고 재생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개의 수광 소자만으로 재생용 광속을 수광하는 종래의 광 픽업 장치에 비해 재생용 광속의 수광량이 거의 배증하고, 이로 인해 광원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일없이 제1 및 제2 수광 소자로부터의 재생 신호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광속의 상태가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이고, 재생용 광속이 주 광속이며, 검출용 광속이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고, 제1 수광 소자는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와 부 광속을 수광하는 부 광속용 수광부를 갖고, 제2 수광 소자는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출력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이 가능해지고, 제1 수광 소자가 수광한 부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에러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재생 신호의 출력이 증대되며, 또한 트랙킹 정밀도가 높은 광 픽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에서는 수광부의 영역 내로 주 광속이 입사하면 되고, 주 광속과 수광부와의 정렬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수광 소자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부 광속이 주 광속의 양측에 위치한 2개의 부 광속을 포함하며, 제1 수광 소자의 부 광속용 수광부가 주 광속용 수광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2개의 부 광속을 수광하는 2개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며, 제2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가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수광 영역에 입사하는 부 광속의 광속량에 기초하여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트랙킹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광속의 상태가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이고, 재생용 광속 및 검출용 광속이 공통의 주 광속이며, 제1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갖고, 제2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출력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이 가능해지고, 제1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재생 신호의 출력이 증대되며, 또한 재생 정밀도가 높은 광 픽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에서는 주 광속용 수광부의 영역 내로 주 광속이 입사하면 되고, 주 광속과 주 광속용 수광부와의 정렬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수광 소자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제1 회절 소자는 광학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분할선과 제1 분할선과 직교하는 제2 분할선으로 분할된 4개의 영역을 갖고, 제1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는 제1 회절 소자의 4개의 영역 중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와 제1 회절 소자의 4개의 영역 중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를 갖고,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은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해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집광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에서의 집광 스폿의 이동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고, 제2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회절 소자의 4개의 영역 중 한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이 제1 수광부에 수광되며, 또한 제1 회절 소자의 4개의 영역 중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이 제2 수광부에서 수광된다. 따라서, 제1 수광부에서의 귀환 광속의 수광 면적과 제2 수광부에서의 귀환 광속의 수광 면적과의 상이를 비교함으로써 포커스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회절 소자가 광학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분할선과 그 제1 분할선과 직교하는 제2 분할선으로 분할된 4개의 영역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제1 회절 소자에서의 귀환 광속의 입사 위치가 변화된 경우라도 제1 회절 소자의 한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으로의 귀환 광속의 입사 면적과 제1 회절 소자의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으로의 귀환 광속의 입사 면적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회절 소자로의 귀환 광속의 입사 위치에 변화가 생긴 경우라도 포커스 에러 신호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 상태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이,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집광 스폿이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해 이동되는 방향에서 집광 스폿의 이동 거리 이상의 길이(즉, 집광 스폿이 이동해도 그것이 수광부 내에 위치하는 것과 같은 길이)를 갖으므로, 광원의 파장 변동이 발생해도 제1 수광 소자의 각 수광부에서 검출되는 귀환 광속의 광량이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한 포커스 에러 신호의 열화가 억제된다.
제1 회절 소자의 한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과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은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과 다른 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과의 비교에 의해 포커스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지도록 포커스 상태에 대응한 공간 변동을 각각 각 귀환 광속에 제공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회절 소자의 4개의 영역 중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에 포커스 상태에 대응한 공간 변동이 제공되어 제1 수광 소자의 제1 수광부에서 검출되며, 또한 다른 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에 포커스 상태에 대응한 공간 변동이 제공되어 제1 수광 소자의 제2 수광부에서 검출된다.
이에 따라, 제1 회절 소자에서 귀환 광속의 입사 위치가 변화한 경우라도 제1 회절 소자의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귀환 광속의 합계 면적 및 다른 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으로 입사되는 귀환 광속의 합계 면적이 변화하지 않고 제1 수광부에서의 수광량의 합계 및 제2 수광부에서의 수광량의 합계도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광학 기록 매체에서의 포커스 상태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은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해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집광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에 따른 가상의 분할선으로 분할된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특히, 복수의 수광 영역은 제1 수광 영역과 제1 수광 영역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제1 수광 영역보다도 폭이 넓은 제2 수광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회절 소자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에 기초한 2개의 집광 스폿의 대향점이 폭이 좁은 수광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광학계를 비교적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에서 양측의 폭이 넓은 수광 영역에서 얻어진 출력 신호를 서로 가산하고 가산 결과의 차에 기초하여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의 수광 면적과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의 수광 면적과의 상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각 폭이 좁은 수광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출력 신호는 재생 신호를 얻을 때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수광부의 폭이 좁은 수광 영역의 출력 신호와 그 양측의 수광 영역의 출력 신호와의 합을 구함으로써 재생 신호의 강도가 커진다. 그 결과, 양호한 재생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제1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는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특히, 복수의 수광 영역은 서로 직교하는 분할선에 의해서 분할된 4개의 수광 영역이어도 된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광속의 상태가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 및 포커스 상태이고, 검출용 광속이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고, 재생용 광속 및 검출용 광속이 공통의 주 광속이며, 제1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와 부 광속을 수광하는 부 광속용 수광부를 갖고, 제2 수광 소자가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수광 소자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출력 신호에 의해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재생이 가능해지고, 1개의 수광 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광 픽업 장치에 비해서 재생 신호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가 수광한 주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부 광속용 수광부가 수광한 부 광속에 기초한 검출 신호에 의해서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정확한 트랙킹 제어를 행하며 또한 재생 정밀도가 높은 광 픽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부 광속이 주 광속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 광속을 포함하고, 제1 회절 소자가 광학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분할선과 제1 분할선과 직교하는 제2 분할선으로 분할된 4개의 영역을 갖고, 제1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가 제1 회절 소자의 4개의 영역 중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와 제1 회절 소자의 4개의 영역 중 다른 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를 갖고,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이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해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집광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에서 집광 스폿의 이동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고, 제1 수광 소자의 부 광속용 수광부가 주 광속용 수광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2개의 부 광속을 수광하는 2개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가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회절 소자에서의 귀환 광속의 입사 위치의 변화에 따른 포커스 에러 신호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부 광속이 주 광속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 광속을 포함하고, 제1 수광 소자의 주 광속용 수광부가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수광 소자의 부 광속용 수광부가 주 광속용 수광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2개의 부 광속을 수광하는 2개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수광 소자의 수광부가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광학 기록 매체에 조사하는 집광 렌즈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주요면을 갖는 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제1 및 제2 수광 소자는 베이스의 주요면 상에 광원으로부터의 출사 광속에 대해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진행 방향에 맞춰 제1 및 제2 수광 소자를 배치할 때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광원은 베이스의 주요면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광속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광학 기록 매체를 구동하는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는 광학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와, 광학 기록 매체에 광속을 조사하는 광 픽업 장치와, 광 픽업 장치를 광학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픽업 구동 기구와, 광 픽업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광 픽업 장치는 광속을 출사하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투과하여 광학 기록 메체로 안내함과 동시에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귀환 광속을 적어도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제1 회절 소자와,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광학 기록 매체 상의 광속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 소자와,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2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를 구비한다.
또한, 광 픽업 장치의 제1 수광 소자는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더 수광할 수 있다.
이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에서는 재생 신호의 출력이 증대되며 또한 고정밀도로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가 행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광 디스크의 기록면에서의 집광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도 1의 광 픽업 장치의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의 홀로그램면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 모식도.
도 4는 도 1의 광 픽업 장치에서의 제1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면의 평면도.
도 5는 제2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면의 평면도.
도 6은 제1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 상태를 도시한 평면 모식도.
도 7은 제2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 상태를 도시한 평면 모식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면의 평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면의 평면도.
도 10은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종래의 광 픽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템
2 : 히트 싱크
3 : 반도체 레이저 소자
4 : 3분할용 회절 격자
5 : 스페이서
6 : 투과형 호로그램 소자
7 : 집광 렌즈
8 : 제1 포토 다이오드
9 : 제2 포토 다이오드
10 : 홀더
11, 12 : 리드 단자
100 : 광 디스크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광 픽업 장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3), 3분할용 회절 격자(4),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 집광 렌즈(7), 제1 포토 다이오드(8) 및 제2 포토 다이오드(9)를 구비하고 있고, 집광 렌즈(7)를 제외한 부분이 스템(1) 및 홀더(10)에 의해 유닛화되어 있다.
반도체 레이저 소자(3)는 스템(1)의 상면에 배치된 히트 싱크(2)의 측면에 레이저광의 출사 방향이 수직 상측으로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3분할용 회절 격자(4)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3)측의 표면에 등피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회절 격자면을 갖고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5)를 통해 홀더(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3분할용 회절 격자(4)와 반도체 레이저 소자(3)와의 간격은 스페이서(5)의 두께에 의해 조정된다. 3분할용 회절 격자(4)의 회절면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3)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을 0차 회절광(주 광속)과 ±1차 회절광(부 광속)으로 3분할하여 투과한다.
3분할용 회절 격자(4)의 상측에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가 배치되어 있다.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는 홀더(10)의 상면 개구부 상에 고정되어 있다.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의 3분할용 회절 격자(4) 측의 표면에는 홀로그램면이 형성되어 있다.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의 홀로그램면은 3분할용 회절 격자(4)로부터 출사된 3개의 레이저 광을 투과함과 동시에, 광 디스크(100)로부터의 3개의 귀환 광속을 각각 4분할하고, 또한 각 귀환 광속에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서의 포커스 상태에 대응한 비점 수차를 제공하도록 각 귀환 광속을 +1차 및 -1차로 회절시킨다.
집광 렌즈(7)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를 투과한 3개의 광속을 집광하여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 주 스폿 및 2개의 부 스폿으로서 집광한다. 도 2는 광 디스크의 기록면에서의 집광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3분할용 회절 격자(4)에 의해서 분할된 3개의 레이저 광은 각각 광 디스크(100)의 트랙면 TR의 연장된 방향에 맞춰 분할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집광 렌즈(7)에 의해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 집광되면 트랙면 TR에 따라서 3개의 스폿이 형성되는데, 주 스폿 S는 트랙면 TR에 집광되며, 2개의 부 스폿 X1, X2는 한개의 트랙면 TR을 거치도록 집광된다.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서 트랙면 TR과 트랙면 이외의 면에서는 레이저광의 반사율이 다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부 스폿 X1, X2가 트랙면 TR으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는 부 스폿 X1, X2로부터의 반사광의 강도에 차가 생긴다. 이 광 강도의 차를 검출하여 트랙킹 제어가 행해진다.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 집광된 3개의 레이저 광은 기록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3개의 귀환 광속 M(주 광속), S1(부 광속), S2(부 광속)로서 집광 렌즈(7)를 통해 재차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 입사된다.
또한, 집광 렌즈(7)는 트랙킹 서보를 위해서 광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포커스 서보를 위해 상하 방향[광 디스크(100)의 주요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은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의 홀로그램면의 형상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에서 홀로그램면은 광 디스크(100)의 트랙면 TR이 연장되는 방향에 거의 일치하는 가상 분할선(61)과 이것에 직교하는 가상 분할선 6m에 의해서 등면적의 4개의 영역(6a, 6b, 6c, 6d)으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각 영역에 입사된 귀환 광속 M, S1, S2에 대해 공간 변동, 예를 들면 비점 수차를 제공하도록 회절시킨다. 홀로그램면의 영역(6a, 6c)과 영역(6b, 6d)은 귀환 광속 M, S1, S2에 대해 서로 역 관계의 비점 수차를 제공한다.
제1 포토 다이오드(8)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 의해 +1차로 회절 투과된 3개의 귀환 광속 M, S1, S2를 수광하고 광 디스크(100)의 재생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제1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면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제1 포토 다이오드(8)의 수광면은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의 가상 분할선 6m에 따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포커스 서보용의 한쌍의 광 검출부(8a, 8b)와, 이 포커스 서보용 광 검출부(8a, 8b)의 양측에 배치되는 트랙킹 서보용의 한쌍의 광 검출부(8c, 8d)를 갖고 있다.
포커스 서보용 광 검출부(8a)는 폭이 좁은 수광 영역(80b)과 그 양측에 배치된 폭이 넓은 수광 영역(80a, 80c)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광 검출부(8b)는 폭이 좁은 수광 영역(80e)과 그 양측에 배치되는 폭이 넓은 수광 영역(80d, 80f)으로 구성된다.
이 제1 포토 다이오드(8)의 수광면에서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의 홀로그램면에서의 영역(6a) 및 영역(6c)에 의해 +1차 회절된 귀환 광속 M이 광 검출부(8a)에 입사되고, 홀로그램면의 영역(6b, 6d)에 입사된 귀환 광속 M이 광 검출부(8b)에 입사되도록 광학계가 조정되어 있다.
상기한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 및 제1 포토 다이오드(8)의 구성에 의해서 집광 렌즈(7)의 트랙킹 동작 시에 귀환 광속이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 입사된는 위치가 가상 분할선 6m에 따라서 이동한 경우라도 제1 포토 다이오드(8)의 광 검출부(8a, 8b)에 각각 입사되는 광속의 광량이 같아진다. 이 결과, 집광 렌즈(7)의 트랙킹 동작에 의해서 후술하는 포커스 에러 신호가 악화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홀로그램면의 영역(6a, 6c) 및 영역(6b, 6d)에 의해 +1차 회절된 귀환 광속 S1은 광 검출부(8c)로 각각 분할하여 입사되며, 또한 영역(6a, 6c) 및 영역(6b, 6d)에서 +1차 회절된 귀환 광속 S2는 광 검출부(8d)에 입사되도록 광학계가 조정되어 있다.
포커스 서보용 광 검출부(8a, 8b) 및 트랙킹 서보용 광 검출부(8c, 8d)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3)의 발진 파장의 변동에 의해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의 각 집광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에서 각 집광 스폿의 이동 거리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제1 포토 다이오드(8)는 광 검출부(8a)의 수광 영역(80a ∼ 80c)에서 각각 출력 신호 Sa ∼ Sc를 출력하고, 광 검출부(8b)의 각 수광 영역(80d ∼ 80f)으로부터 출력 신호 Sd ∼ Sf를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광 검출부(8a, 8b)로부터의 출력 신호 Sa ∼ Sf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 FES = (Sa+Sc+Se)-(Sb+Sd+Sf)를 산출한다.
또한, 재생 신호 RF1은 광 검출부(8a, 8b)로부터의 출력 신호 Sa ∼ Sf의 총 합으로서 구해진다. 즉, 광 검출부(8a, 8b)는 광 디스크(100)의 트랙면 TR에 집광된 주 스폿 S에 대한 +1차 회절된 귀환 광속 M을 수광하고, 포커스 에러 신호 FES 및 재생 신호 RF1을 출력한다.
또한, 제1 포토 다이오드(8)는 광 검출부(8c)로부터 출력 신호 SA를 출력하고, 광 검출부(8d)로부터 출력 신호 SB를 출력한다. 그리고, 트랙킹 에러 신호 TES는 광 검출부(8c, 8d)로부터의 출력 신호 SA 및 SB의 차, 즉 TES = (SA-SB)에 의해 구해진다.
제2 포토 다이오드(9)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서 -1차로 회절 투과된 3개의 귀환 광속 M, S1, S2 중 귀환 광속 M만을 수광하고, 광 디스크(100)의 재생 신호를 출력한다. 도 5는 제2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면을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제2 포토 다이오드(9)는 단일의 광 검출부(9a)를 갖고 있다. 이 광 검출부(9a)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의 홀로그램면을 회절 투과한 귀환 광속 M만이 입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귀환 광속 S1, S2는 검출되지 않는다. 광 검출부(9a)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는 광 디스크(100)의 재생 신호 RF2로서 제1 포토 다이오드(8)로부터의 재생 신호 RF1에 가산하여 이용된다.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는 스템(1)의 상면에서 광축 Z0(도 1 참조)에 대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리드 단자(11, 12)는 스템(1)을 관통하여 그 일단이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다른 단은 본딩와이어를 통해 제1 포토 다이오드(8) 및 제2 포토 다이오드(9)의 각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반도체 레이저 소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 단자(도시하지 않음)도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도체 레이저 소자(3)가 광원에 상당하고,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가 제1 회절 소자에 상당하며, 3분할용 회절 격자(4)가 제2 회절 소자에 상당하고, 제1 포토 다이오드(8)가 제1 수광 소자에 상당하며, 제2 포토 다이오드(9)가 제2 수광 소자에 상당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광 픽업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반도체 레이저 소자(3)로부터 수직 상측을 향해 출사된 레이저 광은 3분할용 회절 격자(4)에 의해 0차, +1차 및 -1차 3개의 회절광으로 분할되어 투과된다. 또한, 3개의 회절광은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를 투과하고, 집광 렌즈(7)에 입사된다. 집광 렌즈(7)는 3개의 회절광을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 도 2에 도시한 주 스폿 S 및 2개의 부 스폿 X1, X2로서 집광한다. 광 디스크(100)의 기록면에서 반사된 주 스폿 S 및 2개의 부 스폿 X1, X2에 대응하는 3개의 귀환 광속 M, S1, S2는 다시 집광 렌즈(7)를 통해 수직 아래쪽으로 진행하고,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 입사된다.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는 3개의 귀환 광속 M, S1, S2를 회절시키고, +1차 회절된 귀환 광속 M, S1, S2를 제1 포토 다이오드(8)에 유도하고, -1차 회절된 귀환 광속 M, S1, S2를 제2 포토 다이오드(9)에 유도한다.
도 6은 제1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6에서 도 3에서의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 의해 회절된 귀환 광속 M의 경우, 홀로그램면의 영역(6a, 6c)을 투과한 광속이 각각 분할 광속 Pa, Pc로서 광 검출부(8a)에 입사되고, 영역(6b, 6d)을 투과한 광속이 각각 분할 광속 Pb, Pd로서 광 검출부(8b)에 입사된다. 또한, 부 스폿 X1에 대응하는 귀환 광속 S1의 경우, 영역(6a, 6c)을 투과한 광속이 각각 분할 광속 Qa, Qc로서 또한 영역(6b, 6d)을 통과한 광속이 분할 광속 Qb, Qd로서 광 검출부(8c)에 입사된다. 또한, 부 스폿 X2에 대응하는 귀환 광속 S2의 경우, 영역(6a, 6c)을 통과한 광속이 분할 광속 Ra, Rc로서, 또한 영역(6b, 6d)을 통과한 광속은 분할 광속 Rb, Rd로서 광 검출부(8d)에 입사된다.
제1 포토 다이오드(8)로는 광 검출부(8a) 및 광 검출부(8b)로 분할하여 입사된 귀환 광속 M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고, 재생 신호 검출용 및 포커스 서보용 출력 신호 Sa ∼ Sf를 출력한다. 또한, 광 검출부(8c)에 입사된 귀환 광속 S1 및 광 검출부(8d)에 입사된 귀환 광속 S2를 각각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고, 트랙킹 서보용 출력 신호 SA, SB를 출력한다.
도 7은 제2 포토 다이오드의 수광 상태를 도시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포토 다이오드(9)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 의해서 -1차 회절되고, 광 검출부(9a)에 유도되는 귀환 광속 M(Pa ∼ Pd)만을 검출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 신호 검출용 출력 신호 SS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포토 다이오드(8)로부터의 출력 신호 SA, SB에 기초한 트랙킹 서보 동작과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로부터의 출력 신호 Sa ∼ Sf, SS에 기초한 정보 재생 동작과 제1 포토 다이오드(8)로부터의 출력 신호 Sa ∼ Sf에 기초한 포커스 서보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장치에서는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에 의해 +1차 회절광 및 -1차 회절광으로 분할된 귀환 광속을 제1 포토 다이오드(8)와 제2 포토 다이오드(9)에 의해서 각각 수광하고, 수광한 광량에 기초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홀로그램 소자에 의해 2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의 한쪽만을 수광 소자에 의해 수광하는 종래의 광 픽업 장치에 비해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로부터의 재생 출력용 검출 전류가 거의 배증한다.
한편, 제2 포토 다이오드(9)에서는 광 검출부(9a) 내에 광 디스크(100) 상의 주 스폿 S에 대응하는 귀환 광속 M을 입사할 수 있으면 된다. 이 때문에, 귀환 광속 M의 입사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며, 제2 포토 다이오드(9)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는 각각 스템(1) 상에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별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며, 정확한 위치 조정을 필요로 하는 제1 포토 다이오드(8)와 상대적으로 고정밀도의 위치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제2 포토 다이오드(9)를 각각의 요구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광 픽업에서의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은 도 6에 대응하는 제1 포토 다이오드(8)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제2 포토 다이오드(9)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제1 포토 다이오드(8)는 4분할 광 검출부(8e ∼ 8h)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또, 이 제1 포토 다이오드(8)가 이용되는 경우,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의 홀로그램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분할될 필요는 없고 단일의 홀로그램면으로 구성된다.
4분할 광 검출부(8e ∼ 8h)에 입사된 +1차 회절에 의한 귀환 광속 M은 각 광 검출부(8e ∼ 8h)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며, 포커스 에러 신호용 및 재생 신호용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광 검출부(8i)에 입사된 귀환 광속 S1 및 광 검출부(8j)에 입사된 귀환 광속 S2는 트랙킹 에러 신호로서 출력된다.
한편, 제2 포토 다이오드(9)의 광 검출부(9b)는 단일의 영역으로 형성되며,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에 의해 -1차 회절된 귀환 광속 M을 수광한다. 그리고, 수광한 광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재생용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광면의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를 이용한 경우에도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수광면을 갖는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로서는 한쪽이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의 검출이 가능하고, 다른 쪽이 재생 신호의 검출이 가능하면 상기한 포토 다이오드에 한정되는 일없이 다른 형상 및 구성의 수광면을 갖는 포토 다이오드를 적용해도 된다. 특히, 제1 및 제2 포토 다이오드(8, 9)의 한쪽이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의 검출만을 행하고, 다른 쪽이 재생용 신호의 검출만을 행해도 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광 픽업 장치를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30)는 광 디스크(100)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27) 및 모터(27)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계(26)를 갖는다. 광 디스크(100)의 하면측에는 광 픽업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광 픽업 장치(20)는 이송 모터(22)에 의해서 정보 등의 검출 위치가 광 디스크(10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 모터(22)의 동작은 이송 모터 제어계(23)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광 픽업 장치(20)의 동작은 픽업 제어계(24)에 의해 제어되며, 광 픽업 장치(20)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신호 처리계(25)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30)의 각 처리계의 동작은 드라이브 컨트롤러(28)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27) 및 회전 제어계(26)가 회전 구동 기구에 상당하고, 이송 모터(22) 및 이송 모터 제어계(23)가 픽업 구동 기구에 상당하고, 신호 처리계(25)가 신호 처리 회로에 상당한다.
이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30)는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9)를 통해 기록 재생 장치에 접속되며, 검출 신호에 기초한 정보 재생 처리 등이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30)에 본 실시예에 따른 광 픽업 장치(20)를 이용함으로써 정보 검출 신호의 출력이 증대된 고정밀도의 정보 재생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한 실시예의 광 픽업 장치 및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에서는 회절 소자로서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를 이용하고 있지만, 반사형 홀로그램 소자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투과형의 3분할용 회절 격자(4)를 이용하고 있지만, 반사형의 3분할용 회절 격자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3분할용 회절 격자(4)와 투과형 홀로그램 소자(6)를 일체로 한 광학 소자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트랙킹 서보의 방법으로서 상기한 3빔법 이외의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 고정밀도의 정보 재생이 가능한 광 픽업 장치를 얻을 수 있고, 재생 신호의 출력이 증대되며 또한 고정밀도로 포커스 제어 및 트랙킹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광학 기록 매체에 광속을 조사하고 상기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귀환 광속을 검출하는 광 픽업 장치에 있어서, 광속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투과하여 상기 광학 기록 메체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귀환 광속을 적어도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제1 회절 소자, 상기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의 광속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 소자, 및 상기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상기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광 픽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속의 상태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이고, 상기 재생용 광속은 상기 주 광속이며, 상기 검출용 광속은 상기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고,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부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는 광 픽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속의 상태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이며, 상기 재생용 광속 및 상기 검출용 광속은 공통의 상기 주 광속이고,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상기 제2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는 광 픽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속의 상태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 및 포커스 상태이고, 상기 검출용 광속은 상기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며, 상기 재생용 광속 및 상기 검출용 광속은 상기 주 광속이고,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부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고, 상기 제2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갖는 광 픽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상기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더 수광하는 광 픽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속의 상태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이며, 상기 재생용 광속은 상기 주 광속이고, 상기 검출용 광속은 상기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고,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와 상기 부 광속을 수광하는 부 광속용 수광부를 갖고, 상기 제2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갖는 광 픽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 광속은 상기 주 광속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 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광 소자의 상기 부 광속용 수광부는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2개의 부 광속을 수광하는 2개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속의 상태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포커스 상태이며, 상기 재생용 광속 및 상기 검출용 광속은 공통의 상기 주 광속이고,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갖는 광 픽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절 소자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분할선과 상기 제1 분할선과 직교하는 제2 분할선으로 분할된 4개의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상기 제1 회절 소자의 상기 4개의 영역 중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와, 상기 제1 회절 소자의 상기 4개의 영역 중 상기 다른 쪽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은 상기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해 상기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집광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집광 스폿의 이동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절 소자의 상기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과 상기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은 상기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과 상기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과의 비교에 의해 포커스 상태의 검출이 가능해지도록 포커스 상태에 대응한 공간 변동을 각각 각 귀환 광속에 제공하는 광 픽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은 상기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해 상기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집광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른 가상의 분할선으로 분할된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 영역은 제1 수광 영역과 상기 제1 수광 영역의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수광 영역보다도 폭이 넓은 제2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 영역은 서로 직교하는 분할선에 의해 분할된 4개의 수광 영역인 광 픽업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주 광속 및 부 광속으로 분할하는 제2 회절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속의 상태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에서의 트랙킹 상태 및 포커스 상태이며, 상기 검출용 광속은 상기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는 부 광속이고, 상기 재생용 광속 및 상기 검출용 광속은 공통의 상기 주 광속이며,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와 상기 부 광속을 수광하는 부 광속용 수광부를 갖고, 상기 제2 수광 소자는 상기 주 광속을 수광하는 주 광속용 수광부를 갖는 광 픽업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 광속은 상기 주 광속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 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절 소자는 상기 광학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분할선과 상기 제1 분할선과 직교하는 제2 분할선으로 분할된 4개의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상기 제1 회절 소자의 상기 4개의 영역 중 한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부와 상기 제1 회절 소자의 상기 4개의 영역 중 상기 다른 쪽의 대각선 위치의 2개의 영역에서 회절된 귀환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수광부 각각은 상기 광원의 파장 변동에 의해 상기 회절된 귀환 광속의 집광 스폿이 이동하는 방향에서 상기 집광 스폿의 이동 거리 이상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수광 소자의 상기 부 광속용 수광부는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2개의 부 광속을 수광하는 2개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 광속은 상기 주 광속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부 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광 소자의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는 복수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광 소자의 상기 부 광속용 수광부는 상기 주 광속용 수광부의 양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2개의 부 광속을 수광하는 2개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광 소자의 상기 수광부는 단일의 수광 영역을 포함하는 광 픽업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상기 광학 기록 매체에 조사하는 집광 렌즈를 더 구비하는 광 픽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주요면을 갖는 베이스(基臺)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광 소자는 상기 베이스의 주요면 상에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 광속에 대해 상호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 픽업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베이스의 주요면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광속을 출사하는 광 픽업 장치.
  21. 광학 기록 매체를 구동시키는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록 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 상기 광학 기록 매체에 광속을 조사하는 광 픽업 장치, 상기 광 픽업 장치를 상기 광학 기록 매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픽업 구동 기구, 및 상기 광 픽업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광 픽업 장치는, 광속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투과하여 상기 광학 기록 메체로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광학 기록 매체로부터의 귀환 광속을 적어도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제1 회절 소자, 상기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상기 광학 기록 매체 상의 광속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1 수광 소자, 및 상기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상기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수광하는 제2 수광 소자를 구비하는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픽업 장치의 상기 제1 수광 소자는 상기 제1 회절 소자에 의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절된 귀환 광속 중 상기 광학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용 광속을 더 수광하는 광학 기록 매체 구동 장치.
KR1019980005572A 1997-02-24 1998-02-23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장치 KR199800716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39595 1997-02-24
JP9039595A JPH10241188A (ja) 1997-02-24 1997-02-24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光学記録媒体駆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606A true KR19980071606A (ko) 1998-10-26

Family

ID=1255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572A KR19980071606A (ko) 1997-02-24 1998-02-23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2150B1 (ko)
JP (1) JPH10241188A (ko)
KR (1) KR19980071606A (ko)
CN (1) CN12821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210B2 (ja) * 1998-06-15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ホログラムレーザユニ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483650B1 (en) * 1998-08-04 2002-11-19 Sony Corporation Integrated optical element, optical pickup, and optical disk device
US6967908B2 (en) * 2000-09-07 2005-11-22 Pioneer Corporation Optical pickup device with focus error detec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for focus error detection
CN100472623C (zh) * 2001-11-22 2009-03-25 索尼株式会社 光学头装置及光盘装置
DE602004026372D1 (de) * 2003-01-29 2010-05-12 Ricoh Kk Optische Lesekopfvorrichtung und optisches Plattengerät
CN101171629B (zh) * 2005-04-27 2010-10-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头装置及光信息处理装置
DE102019206352B4 (de) 2019-05-03 2022-11-03 Audi Ag Detektionsvorrichtung mit einem holografisch-optischen Element zum Bestimmen einer Lichtintensität sowie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9732A (en) * 1988-10-21 1991-09-17 Sharp Kabushiki Kaisha Optical pickup device with diffraction device
US5233444A (en) 1989-07-25 1993-08-03 Olympus Optical Co., Ltd. Focus error detecting apparatus
JP2776487B2 (ja) * 1992-01-28 199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5307759A (ja) * 1992-04-28 1993-11-19 Olympus Optical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JPH07176095A (ja) * 1993-06-25 1995-07-14 Nec Corp 光磁気ヘッ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41188A (ja) 1998-09-11
CN1196550A (zh) 1998-10-21
US6212150B1 (en) 2001-04-03
CN1282178C (zh)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7674A (en) Three-beam generating diffraction grating, transmission typ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JPH0758559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770065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100401372B1 (ko) 광 픽업장치
US6452880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9980071606A (ko) 광 픽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기록 매체 구동장치
US7180668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c device
JPWO2006054383A1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697875B2 (ja) 光学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4654085B2 (ja) 光検出器、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60261243A1 (en)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using laser diode of two wavelengths
JP2595937B2 (ja) 光ヘツド装置
KR20040090967A (ko) 광 픽업
JP3389416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616722B2 (ja) 光ヘッド装置
KR900008404B1 (ko) 광학식 헤드 장치
JP3630902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記録媒体駆動装置
JP3163184B2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H0973017A (ja) 透過型ホログラム素子と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221636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学ディスク装置
JP3988442B2 (ja) 光学装置、複合光学素子、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学ディスク装置
KR100463424B1 (ko) 광 픽업장치의 광검출기
JPH1049884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1134542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記録媒体駆動装置
JP2004178771A (ja) サーボ装置並びに光ディスク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