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320A - Rearview mirror device - Google Patents

Rearview mirr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320A
KR19980071320A KR1019980004277A KR19980004277A KR19980071320A KR 19980071320 A KR19980071320 A KR 19980071320A KR 1019980004277 A KR1019980004277 A KR 1019980004277A KR 19980004277 A KR19980004277 A KR 19980004277A KR 19980071320 A KR19980071320 A KR 19980071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curved surface
rearview mirro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2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
Original Assignee
이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수 filed Critical 이택수
Publication of KR1998007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320A/en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백미러 장치는 차량 직후방의 도로상황을 볼수 있도록 차량 후문창 위에 외곽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러는 중심선에서 벗어나서 장착되나 차량 직후방 시야를 균일하게 제공한다. 이러한 미러는 수직후부를 가지고 차량 중심선에 장애물을 가지는 차량에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러는 피봇 결합되고 시야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리창위에서 움직일수 있도록 가변 이동된다.The rearview mirror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so as to view road conditions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irror is mounted off the centerline but provides a uniform view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Such mirrors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vehicles with a vertical rear and obstacles on the vehicle center lin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irror is pivotally coupled and variably moved to move on the windshield to minimize visual disturbances.

Description

백미러장치Rearview mirror device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1995. 7. 18일자로 출원된 백미러에 관한 미합중국 출원번호 08/504,059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후면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자동차 바로 뒤쪽의 시야를 균등하게 확보할수 있는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장애물이 있는 자동차 중심선에서 벗어나서 장착되어 자동차 바로 뒷편의 시야를 거의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al application of US Application No. 08 / 504,059 for Rearview Mirrors filed on July 18, 1995, of the invent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view mirror device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to allow the driver to equally secure the field of view immediately behind the vehicle. As shown i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he rearview mirror is mounted off the vehicle centerline with an obstacle so that the field of view is directly behind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view mirror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almost evenly.

자동차의 백미러는 장착위치와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는데, 자동차가 전진할 때, 중심에 장착된 실내경은 운전자가 운전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운전자 바로 뒤편의 교통상황을 제공한다. 많은 자동차는 운전자에게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하기 위하여 좌우외부 장착 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The rearview mirrors of the vehicle vary depending on the mounting position and structure. When the vehicle moves forward, the center-mounted interior mirror provides a traffic situation directly behind the driver to assist the driver. Many cars provide left and right externally mounted side mirrors to give the driver a wider field of view.

이러한 외부미러는 차량을 통한 후면시야의 확보가 불가능한 트럭 등에 필요하다. 때때로 이러한 외부 미러는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볼록 미러형태인 경우도 있다.Such an external mirror is required for a truck that cannot secure a rear view through a vehicle. Sometimes these external mirrors are in the form of convex mirrors to ensure a wide field of view.

이러한 미러는 차량이 전진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후진할 때는 안전과 기동면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차량의 뒤편에는 상당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이러한 사각지대는 밴, 캠핑카 및 적재함을 가진 차량 예를 들면 시보레 서버번, 포드 레인저”등과 같이 후면이 높은 차량에서는 더욱 크다. 또한 이런 차량에서는 중심선에서의 장애물이라는 또 다른 복잡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미러는 중심선에서 벗어나서 장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 중심선에서 벗어나서 장착되면서 자동차 바로 뒤편의 시야를 자동차 중심선 좌우로 균등하게 제공하는 외부 장착 백미러가 유용할 것이다.These mirrors are intended to help the vehicle move forward, and they do not help much in terms of safety and maneuvering when moving backwards. There is a considerable blind spot behind the vehicle. These blind spots are larger in vehicles with high rears such as vans, motorhomes, and stowage-carrying vehicles such as the Chevrolet Suburban and Ford Ranger. Also in these vehicles there is another complex problem of obstacles in the centerline, so the mirrors must be mounted off the centerline. In such a case, an externally mounted rearview mirror that would be mounted off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and equally visible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erline of the car would be useful.

달링(Darling)의 미합중국특허 1,872,905는 자동차 뒤쪽 차창 바로 위의 실내에 장착된 실내경을 개시하고 있다. 샤피로의 미합중국특허 1,877,997 또한 후면 차창 위에 장착된 보조 구면미러로 되는 미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미러는 자동차 바로 뒤쪽의 길을 볼 수 있도록 늘려지거나 접어질 수 있다. 친-윤의 미합중국특허 제 4,469,405는 모터 홈이나 적재함 트럭과 같은 대형차량에 사용되는 미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의 후부는 뒤쪽 지붕 위에 장착되고 미러는 사용이 필요할 때 뻗쳐진다. 선행기술의 이러한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차량 뒤편의 사각지대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Darling's U.S. Patent No. 1,872,905 discloses an interior mirror mounted in a cabin directly above a rear window of an automobile. US Patent No. 1,877,997 to Shapiro also discloses a mirror device comprising an auxiliary spherical mirror mounted on a rear window. These mirrors can be stretched or folded to see the road just behind the car. US Patent No. 4,469,405 to Chin-Yun discloses a mirror device for use in a large vehicle such as a motor groove or a loading box truck. The rear of the device is mounted on the rear roof and the mirror is stretched out when it is needed. Despite these teachings of the prior art, the problem of blind spots behind the vehicle has not been solv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동차의 뒤쪽에 자동차의 중심선에서 벗어나서 장착되어 자동차 바로 뒤쪽의 시야를 자동차 중심선 좌우로 대칭되고 균등하게 제공하는 백미러이다. 이 백미러는 운전자가 그러한 후방시야를 확보할수 있는 위치에서 확보할수 없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main object of the invention is mounted off the center line of the car to the rear of the car provides a view immediately behind the car symmetrically and equal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ar center line It's a rearview mirror. The rearview mirror can be moved from a position where the driver can secure such a rear view to a position that cannot be secu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과 잇점은 차량의 뒷편에 부착하여 차량운전자가 안전운행이나 평행주차할 때 자동차 운전자에게 도움을 주는 백미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and a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view mirror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a vehicle to assist a motor vehicle driver when driving a vehicle safely or parallel park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뒤 외곽부에 부착되어 반사면의 좌우면이 원곡면이고 미러가 차량중심선에서 벗어나서 배치되더라도 좌우 동일한 시야를 제공하도록 미러 두 개의 좌우 측반면에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백미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tach a rearview mirror device having different curvatures on the two left and right side halves of the mirror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flective surface are curved surfaces and the mirrors are arranged out of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to provide the same left and right view even when the mirror is disposed away from the vehicle center lin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후문 상측의 외곽측에 부착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후방의 시선 방향에 있지 않도록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미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view mirror device which is attached to the outer side of the vehicle rear door and is movably mounted so as not to be in the rear view direction when not in use.

도 1은 차량 후면 외부에 장착된 백미러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view mirror mounted outside the rear of the vehicle,

도 2는 부분 차량에 표시된 확대 후면도이며,2 is an enlarged rear view of a partial vehicle;

도 3은 도 2의 분할선 3-3에서 본 차량부분단면이 표시된 측면도이고,3 is a side view showing the vehicle partial cross section seen from the dividing line 3-3 of FIG.

도 4는 도 2의 4-4로 분할된 백미러의 종단면도이며,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view mirror divided into 4-4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의 평면도이고,5 is a plan view of a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분할선 6-6에 따른 도 5의 백미러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arview mirror of FIG. 5 according to the dividing line 6-6 of FIG.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차량 12 : 백미러장치10 vehicle 12 rearview mirror device

14 : 좌측뒷문 16 : 우측뒷문14: Left rear door 16: Right rear door

18 : 좌측후면창 20 : 우측후면창18: Left rear window 20: Right rear window

22 : 베이스 24 : 아암22: base 24: arm

26 : 피봇핀 28 : 미러본체26: pivot pin 28: mirror body

30 : 요크 32 : 피봇볼트30: York 32: pivot bolt

34 : 미러 35,52,54 : 반경34: mirror 35,52,54: radius

36 : 초점 38,39 : 좌측선36: focus 38, 39: left line

40 : 중심선 42,43 : 우측선40: center line 42, 43: right line

44 : 상측부선 45 : 전방부선44: upper barge 45: front barge

46 : 중간선 47 : 중간부선46: middle bar 47: middle bar

48 : 하측부선 49 : 후방부선48: lower barge 49: rear barge

50 : 착지지점 56 : 반경선50: landing point 56: radial line

58 : 백미러장치 60 : 본체58: rearview mirror 60: main body

62 : 미러지지브라케트 64 : 장착베이스62: mirror support bracket 64: mounting base

68 : 창 70,72 : 귀68: Window 70,72: Ear

74 : 요크 76,78 : 아암74: York 76,78: arm

80,82 : 피봇핀 84 : 코일스프링80,82: Pivot Pin 84: Coil Spring

86 : 아암 88 : 구멍86: arm 88: hole

90 : 스프링아암 92 : 액튜에이터90: spring arm 92: actuator

94 : 미러 96 : 램프주머니94: Mirror 96: Lamp pocket

98 : 램프 100 : 반사체98 lamp 100 reflector

102 : 표면102: Surface

제 1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백미러장치(12)는 차량 뒤편에 운전자가 미러를 보고 차량 바로 뒤편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미러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운전자가 고개를 돌려 바로 볼 수 있거나 보통의 승용차의 실내 중앙 백미러를 통하여 운전자의 시선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백미러 장치(12)는 운전자의 시선 방향에 장착되고 차량 바로 뒤편의 도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시야는 주차 및 다른 방향조정에서 운전자를 돕도록 차량너비보다 조금 넓게 확대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arview mirror devic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mirror and secure the view immediately behind the vehicle. The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driver's line of sight. In addition, the driver may turn his head straight to see or may be positioned in the driver's line of sight through the interior center rearview mirror of a typical passenger car. The rearview mirror device 12 is mounted in the driver's line of sight and positioned to grasp the road situation immediately behind the vehicle. This view extends slightly wider than the vehicle width to assist the driver in parking and other orientations.

상기 넓게 확대되는 종 방향의 시야는 매우 넓을 필요는 없다. 종 방향의 최대 시야는 너비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이 백미러 장치(12)는 사각형의 시야를 제공하도록 적절한 곡률을 가진다.The wider longitudinal field of view need not be very wide. The maximum field of vi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not be greater than the width. This rearview mirror device 12 has a suitable curvature to provide a rectangular field of view.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장치는 중심선에 벗어나서 장착될 때, 차량 바로 뒤편의 시야가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그 표면이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의 차량(10)은 그러한 차량을 예시하고 있다. 차량(10)은 좌우 뒷문(14)(16)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된다. 상기 좌우 뒷문은 각각 좌우 후면창(18)(20)을 가진다. 상기 좌우 유리창을 가지는 좌우 뒷문은 수직 힌지를 가지므로 후면창(18)(20) 사이에는 뒤쪽 시야 방향으로 장애물을 가진다. 이 장애물은 실질적으로 차량(10)의 전후 중심선상에 있다. 백미러 장치(12)는 중심선에서 벗어난 장착 때문에 특히 유용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중간 의자에 탑승자가 있어서 후면 시야가 방해될 때 유용하다.The rearview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its surface configured such that when mounted off the center line, the view immediately behind the vehicle is uniformly provided. The vehicle 10 of FIGS. 1 and 2 illustrates such a vehicle. The vehicle 10 is described as having left and right rear doors 14 and 16. The left and right rear doors have left and right rear windows 18 and 20, respectively. Since the left and right rear doors having the left and right glass windows have a vertical hinge, there are obstacles in the rear view direction between the rear windows 18 and 20. This obstacle is substantially on the front and rear centerline of the vehicle 10. The rearview mirror device 12 is particularly useful because of its off-center mounting. This is useful when there is an occupant in the middle chair that obstructs the rear view.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러 장치(12)는 우측 후면창(20)의 우측뒷문(16)에 결합되어 있다. 아암(24)은 피봇핀(26)으로 베이스(22)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피봇핀(26)은 아암(24)이 적절하게 세팅되었을 때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rearview mirror device 12 is coupled to the right rear door 16 of the right rear window 20. Arm 24 is pivotally coupled to base 22 with pivot pin 26, which may be bolted to secure when arm 24 is properly set.

미러 본체(28)는 후부에 부착된 요크(30)를 가진다. 이 요크(3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4)을 고정한다. 피봇 볼트(32)는 미러 본체(28)가 아암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피봇핀으로서 역할한다. 상기 피봇 볼트(32)는 적절하게 조정되었을 때 상기 요크(30)를 잠글 수 있도록 조여질 수 있다.The mirror body 28 has a yoke 30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This yoke 30 secures the arm 24 as shown in FIG. The pivot bolt 32 serves as a pivot pin such that the mirror body 28 is pivotably mounted to the arm. The pivot bolt 32 may be tightened to lock the yoke 30 when properly adjusted.

상기 피봇핀(26)과 피봇볼트(32)의 축은 바람직하게 서로 평행하며 차량(10)의 중심선에 대한 횡축 방향이 된다. 차량(10)은 일반적 운동방향인 전후축 방향을 가진 것으로 예시되고, 또한 일반적인 상향축을 가지는 바 대략 중력적인 수직축이다. 상기 차량이 완전한 평면에 있다면, 상기 상향축은 수직방향이다. 상기 전후축은 좌우측의 중간부위가 된다. 이러한 축은 차량의 수직 중심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피봇핀(26)과 피봇볼트(32)의 축은 상기 평면에 대해 바람직하게 수직이다. 상기 평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Ab∼Cb를 따라 차량 후면 도로를 분할한다.The axes of the pivot pin 26 and the pivot bolt 32 are preferab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10. The vehicle 10 is illustrated as having a front and rear axis direction, which is a general movement direction, and also has a general upward axis, which is an approximately gravity vertical axis. If the vehicle is in a perfect plane, the upward axis is vertical. The fore and aft axis becomes an intermediate par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se axes form the vertical center plane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axes of the pivot pin 26 and pivot bolt 32 are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 plane divides the vehicle back road along the lines Ab to Cb, as shown in FIG.

미러(34)는 미러 본체(28)에 장착되는데, 상기 미러(34)의 표면은 곡률을 가지며, 상기 곡률은 두 가지의 곡률을 가지는 혼합곡면이다.The mirror 34 is mounted to the mirror body 28, the surface of the mirror 34 has a curvature, the curvature is a mixed surface having two curvatures.

상기 미러(34)의 일반적인 곡률은 도 3에 도시된 반경(35)을 가지는 곡률(R1)은 측면 방향으로 대체로 일정하다고 할 수 있으며, 상기 곡률(R1)을 가지는 실린더의 축은 일반적으로 피봇 볼트(32)에 평행하고 차량(10)의 전후방 중심평면에 대해서는 직각이다.The general curvature of the mirror 34 may be said that the curvature R1 having the radius 35 shown in FIG. 3 is substantially constan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axis of the cylinder having the curvature R1 is generally a pivot bolt ( It is parallel to 32 and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center planes of the vehicle 10.

백미러장치(12)는 차량(10)의 중심선에서 벗어나 있지만 시야는 차량 중심선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대칭적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미러의 우측은 곡률(R2) 중심에서 반경(52)을 가진다. 미러면에 부드러운 동작 즉, 스무드한 변이상태를 제공하고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경(54)은 반경점(R3)에서 중심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반경(54)은 부드러운 변이를 위하여 두 원의 접점에서 결합된다.The rearview mirror 12 is off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10 but the view is preferab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hicle centerline. For this reason, the right side of the mirror has a radius 52 at the center of curvature R2. In order to provide smooth operation to the mirror surface, ie smooth transition and to minimize distortion, the radius 54 has a center point at the radius point R3. Thus, the radius 54 is coupled at the contact of two circles for a smooth transition.

상기 반경(54)은 반경선(56)의 좌측에 더 큰 곡률을 제공하기 위하여 반경(52)보다 작다. 이에 의하여 좌측광선(a)에서 중심 광선(b)까지의 거리가 중심광선(b)에서 우측광선(c)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광선이 펼쳐진다. 이러한 구조는 적당한 장축과 단축을 가지는 2개의 타원체의 표면이 된다. 급격한 변이를 피하고 다른 왜곡을 극복하기 위하여 곡면은 합성되어 있고 거의 타원체 표면에 가깝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운전자는 후방시야를 정확하게 얻고 안전운행에 도움을 준다.The radius 54 is smaller than the radius 52 to provide greater curvature to the left of the radius line 56. As a result, the light rays are sprea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left ray a to the center ray b is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ray b to the right ray c. This structure is the surface of two ellipsoids with the appropriate major and minor axes. To avoid abrupt variations and to overcome other distortions, the surface is synthesized and nearly close to the ellipsoid surface. By this means, the driver can get the rear view accurately and help the safe driving.

차량(10)의 운전자는 미합중국에서 앞좌석좌측에 착석한다. 백미러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그는 중앙 실내백미러를 보거나 고개를 돌려 상기 백미러장치를 직접 볼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그의 시선은 도 4의 초점(36)에 있다.The driver of the vehicle 10 is seated in the front seat left in the United States. To use the rearview mirror, he can either see the central indoor rearview mirror or turn his head to see the rearview mirror directly. In any case, his gaze is at the focal point 36 of FIG. 4.

눈으로부터 백미러(34)의 반사면 까지의 시선거리는 도 4에서 단축되어 표시되어 있다. 눈과 백미러 사이에서 좌측선을 (38)이라 하고 백미러와 시선의 착지지점 사이에서 좌측선(39)로 나타내고 소문자 a로 표시된다. 눈과 백미러 사이의 중심선은 (40)이라 하고 미러와 착지지점(50) 사이의 중심선은 b로 표시된다. 눈과 미러(백미러) 사이의 우측선은 (42)이라 표시되고 미러(백미러)와 착지지점 사이의 우측선은 (43)이고 c로 나타내어 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과 백미러 사이의 상측부선(44)는 백미러와 착지지점 사이의 전방부선(45)이 되고 A로 나타내어 진다. 눈과 백미러 사이의 중간선(46)은 착지지점 까지의 중간부선(47)이 되고 B로 표시된다. 하측부선(48)은 후방부선(49)이 되고 C로 표시된다. 무한한 이러한 시선이 선정될수 있으나 특히 몇가지 특별한 시선 방향을 선택하여 초점(36)에 있는 운전자의 눈에 비치는 시선의 착지지점의 모양에 대하여 설명하였다.The line of sight from the eye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rearview mirror 34 is shortened and shown in FIG. 4. The left line between the eye and the rearview mirror is referred to as (38), and the left line (39) between the rearview mirror and the landing point of the line of sight is represented by a lowercase letter a. The centerline between the eye and the rearview mirror is denoted by 40 and the centerline between the mirror and the landing point 50 is denoted by b. The right line between the eye and the mirror (rear mirror) is denoted by (42) and the right line between the mirror (rear mirror) and the landing point is (43) and denoted by c. As shown in FIG. 3, the upper side line 44 between the eye and the rearview mirror is the front side line 45 between the rearview mirror and the landing point and is denoted A. The midline 46 between the eye and the rearview mirror is the midline 47 to the landing point and is denoted by B. Lower bar line 48 becomes rear bar line 49 and is indicated by C. FIG. This infinite gaze can be selected, but in particular, some special gaze directions have been chosen to describe the shape of the landing point of the gaze visible to the driver's eye at the focal point 36.

도 1은 도 2내지 도 4와 함께, 중심선에서 벗어난 곳에 장착된 혼합곡률을 가진 백미러가 차량 바로 뒷편의 후방시야에 대하여 4각형의 시야를 확보함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경우에 차량 너비보다 약간 넓은 사각시야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곡률반경은 혼합곡률에 대한 특정한 설명에 불과하다.1 to 4 show that a rearview mirror with a mixed curvature mounted away from the centerline ensures a quadrangular view of the rear field of view immediately behind the vehicle. In most cases it is desirable to have a slightly wider field of view than the vehicle width. The special curvature radius is only a specific description of the mixed curvature.

도로 평면에 대하여 좌,우각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사분면은 각기 다르게 보여진다. Aa와 Ab사이의 거리는 Ab와 Ac 사이의 거리와 실지로 동일하기 때문에 반경(R3)는 반경(R2)보다 짧다. 그러나 Ac가 미러 바로 밑 지점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의 예상보다는 미러 좌측면이 다소 긴 반경을 가진다. Ab 에서 Bb 까지의 거리가 Bb 와 C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면, 지면의 후방부를 보이는 쪽의 반경이 그렇지 않은 경우의 예상보다는 다소 짧으므로, 전,후방 방향도 앞과 동일하다. 미러의 복합곡률은 착지지점의 시야에서 변이를 어지럽히지 않으면서 전체 시야를 보여준다.The quadrants look different because the left and right angles are different for the road plane. Since the distance between Aa and Ab is actual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Ab and Ac, the radius R3 is shorter than the radius R2. However, since Ac is not just below the mirror, the left side of the mirror has a somewhat longer radius than expected otherwise. If the distance from Ab to Bb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Bb and Cb,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the same as before because the radius of the side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ground is somewhat shorter than expected. The compound curvature of the mirror shows the entire field of view without disturbing the variation in the field of view of the landing point.

대형차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지점이 있으므로 차량 바로뒤의 후방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안전성이 증가된다. 시야의 너비는 차량폭 보다 조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백미러 장치(12)를 차량 중심선에서 오른쪽에 위치시키는 것은 부가적인 잇점이 있는데, 주차시 후방지형의 굴곡면을 볼수 있기 때문이다.In a large vehic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lind spot is located, safety is increased by securing a rear view immediately behind the vehicle. The width of the field of view is preferably slightly larger than the vehicle width. As shown in FIG. 1, positioning the rearview mirror device 12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centerline has an additional advantage, since the curved surface of the rear terrain can be seen when parking.

특별한 경우에는 백미러가 동일한 잇점을 가지도록 곡률반경이 조정된다면 좌측편에 장착될수도 있다. 이 경우 착지지점의 전개부는 우측이 된다. 미러의 이러한 특별한 구조는 시야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준다. 좀더 일반적인 경우에는 미러는 중앙선에 장착되고 후진시 안전성 확보와 평행주차시 굴곡을 볼 수 있도록 차량 직후방의 지형에 대한 시야를 제공할수 있도록 차량중심선에 장착될수 있다.In special cases, it may be mounted on the left side if the radius of curvature is adjusted so that the rearview mirror has the same advantage. In this case, the developed part of the landing point becomes the right side. This special structure of the mirror minimizes the distortion of the field of view, which aids in safe operation. In more general cases, the mirror can be mounted on the centerline and on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to provide visibility into the terrain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to ensure safety when reversing and to see the curvature on parallel parkin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백미러 장치(58)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의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다. 미러장치(58)은 미러지지브라케트(62)에 장착된 본체(60)을 가진다. 미러지지브라케트(62)는 창(68) 위의 차량 뒤표면에 부착된 장착베이스(64)를 포함한다. 장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파스너에 의하여 될 수 있다. 귀(70),(72)는 장착베이스(64)에 부착되어 있고 피봇 구멍을 가진다. 요크(74)는 귀(70)(7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아암(76)(78)을 가진다. 피봇핀(80),(82)는 장착베이스 상에 요크를 피봇 가능하게 장착시킨다. 코일스프링(84)는 요크아암(76)의 구멍(88)에 걸어붙임된 아암(86)을 가진다. 다른 스프링아암(90)은 장착베이스(64)에 대항하여 걸어붙임되어 있다. 스프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선방향의 제 2 위치에서 점선방향의 제 1 위치로 미러지지브라케트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부세되어 있다. 상기 두 위치점에서 조정가능한 멈치가 바람직하게 제공된다.5 and 6 is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irror device 58 has a main body 60 mounted to the mirror support bracket 62. The mirror support bracket 62 includes a mounting base 64 attached to the vehicle back surface above the window 68. Mounting may be by screw fasteners as shown in FIG. 5. Ears 70 and 72 are attached to mounting base 64 and have pivot holes. Yoke 74 has arms 76 and 78 positioned adjacent ears 70 and 72. Pivot pins 80 and 82 pivotally mount the yoke on the mounting base. The coil spring 84 has an arm 86 that is fastened to the hole 88 of the yoke arm 76. The other spring arm 90 is fastened against the mounting base 64. The spring is biased to apply the mirror support bracket counterclockwise from the second position in the solid direction to the first position in the dashed direction as shown in FIG. 6. An adjustable stop at these two location points is preferably provided.

피봇핀(80)은 귀(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요크아암(76)은 피봇핀에 고정되어있다. 피봇핀(80)은 액튜에이터(92) 바깥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액튜에이터(92)는 요크아암 사이에서 장착베이스(64)에 장착되어 있다. 액튜에이터(92)는 피봇핀(80)의 축방향운동보다 회전방향의 운동을 하게하는 내부기구를 가진 솔레노이드 구조이다. 이러한 기구는 시장에서 구할수 있다. 어떤 종류의 모터도 포함될수 있다. 모터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동이 후진등 회로로부터 되는 것이라면, 단지 기어 선택을 통과할때의 구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이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시간지연을 포함한다. 모터의 구동은 미러지지브라케트(62)와 미러 본체를 도 6의 점선방향 즉 제 1 위치에서 실선방향의 제 2 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액튜에이터가 구동하지 않으면 미러는 원위치로 돌아간다.Pivot pin 80 is rotatably mounted to ear 70 and yoke arm 76 is secured to pivot pin. Pivot pin 80 is an axis extending out of actuator 92. The actuator 92 is attached to the mounting base 64 between the yoke arms. Actuator 92 is a solenoid structure having an internal mechanism to make the movement in the rotation direction than the axial movement of the pivot pin (80). Such instruments are available on the market. Any kind of motor can be included. The motor is preferably driven electrically. If this drive is from a reversing light circuit, this circuit preferably includes a time delay in order to discourage drive when passing through gear selection. The driving of the motor causes the mirror support bracket 62 and the mirror main body to move from the dotted line direction in FIG. 6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solid line direction. If the actuator is not running, the mirror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미러본체(60)은 미러(34)와 동일한 표면을 가지는 미러(94)를 가진다. 어떤차량은 전면후면창을 가짐으로써 미러는 차량 중심선에 장착될수 있다. 이러한 차량에서 미러 표면은 비대칭일 필요가 없다. 그러나 중심선에 대해 대칭인 단일후면창을 가지는 이러한 경우에도 백미러장치(58)을 중심선 우측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시선에 장애가 되지 않기위하여 시선방향에서 벗어난 최초의 비사용 위치에서 액튜에이터(92)의 작동에 의해 가시방향으로 전환할수 도 있다.The mirror body 60 has a mirror 94 having the same surface as the mirror 34. Some vehicles have a front rear window so that the mirror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centerline. In such a vehicle the mirror surface need not be asymmetric. However, even in this case having a single rear window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line,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rearview mirror device 58 to the right of the center li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visibl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92 at the first non-use position deviated from the gaze direction so as not to obstruct the gaze.

미러본체(60)은 램프주머니(96)을 가질수 있다.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는 미러의 한쪽면에 있다. 그 램프주머니는 반사체(100)에 의하여 둘러싸인 램프(98)을 가진다. 반사체(100)은 도 6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미러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운전자는 반사체 표면이 가시되지 않는다. 반사체 앞쪽 표면(102)는 비반사체 이다. 램프(98)는 액튜에이터(92)가 기동될 때마다 기동될 수 있다. 램프는 종래의 후진등보다 더 가까운 후방의 조명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증가시킨다.The mirror body 60 may have a lamp pocket 96. The lamp is on one side of the mirror as shown by the dashed line in FIG. 5. The lamp pocket has a lamp 98 surrounded by a reflector 100. The reflector 100 is not visible to the driver when the mirror is in the second position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6. The reflector front surface 102 is non-reflective. The lamp 98 can be activated every time the actuator 92 is activated. The lamps provide rearward illumination that is closer than conventional reverse lights to increase safety.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기재되었지만 당 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형을 가할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 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뒤쪽에 자동차의 중심선에서 벗어나서 장착되어 자동차 바로 뒤쪽의 시야를 자동차 중심선 좌우로 대칭되고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자가 그러한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서 확보할수 없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차량의 뒷편에 부착하여 차량운전자가 안전운행이나 평행주차할 때 자동차 운전자에게 도움을 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ff the center line of the car at the rear of the car to provide a view immediately behind the car symmetrically and equal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ar center line, and also in a position where the driver can secure such a rear view. It can be moved to a location that cannot be secured. And attached to the back of the vehicle has the effect of helping the vehicle driver when the vehicle driver driving safely or parallel parking.

Claims (27)

중심선을 가지며, 상기 중심선의 대칭면에 제 1 및 제 2 면을 가지며, 뒤끝단과 뒤끝단상의 뒷문과 뒷문내의 후면창을 가지는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있어서,In the rearview mirror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centerline, having a first and second surfaces on the symmetrical surface of the centerline, the rear door on the rear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rear window in the rear door, 후면창 위에 중심선의 상기 제 1 면 상에서 차량뒷문 외곽에 장착되어서 상기 미러가 차량상에서 비대칭이고 지면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되는 상기 미러의 장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미러는 적어도 2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며, 운전자가 상기 제 1 곡률반경 곡면으로 차량 직후방의 상기 중심선의 제 1 면 또는 제 2 면의 지면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곡률반경 곡면으로 차량 직후방의 상기 중심선의 다른 면의 지면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넓이로 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백미러장치.Mounting means of the mirror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utside the vehicle rear door on the first side of the centerline above the rear window, such that the mirror is asymmetrical on the vehicle and asymmetrical to the ground, the mirror having a curved surface having at least two curvature radii. A ground surface of the first or second surface of the center line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with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surface, and a ground of another surface of the center line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with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surface; The rearview mirror device is formed so as to see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 및 제 2 곡면이 볼록 곡면이고, 제 2 곡면이 제 1 곡면보다 더 볼록한 백미러장치.The rearview mirror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are convex curved surfaces,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is more convex than the first curved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 및 제 2 곡면은 제 1 반경 및 제 2 반경을 가진 복합 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경은 모두 중심선과 교차하여서 상기 제 1 곡면과 제 2 곡면이 서로 접하고 있는 백미러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constitute a complex curved surface having a first radius and a second radiu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adius both intersect a centerline and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Rear-view mirror device with curved surfac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는 미러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미러 장착수단은 상기 미러 프레임에 피봇 결합된 아암으로 구성되는 백미러장치.4. The rearview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rearview mirror is mounted to a mirror frame, and the mirror mounting means comprises an arm pivotally coupled to the mirror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러 장착수단이 후면창 위의 뒷문에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이 상기 베이스에 피봇 결합되는 백미러장치.5. A rearview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said rearview mirror mounting means comprises a base mounted to said rear door above said rear window, and said arm is pivotally coupled to said b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이 실질적으로 원기둥 곡면의 일부분인 백미러장치.3. The rearview mirror device of claim 2, wherein said first curved surface is substantially a portion of a cylindrical curved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착수단이, 차량뒷문의 후면창위에 부착되는 장착베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미러를 높은 제 1 위치에서 낮은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치는 운전자가 상기 미러의 상기 곡면을 통하여 차량 직후방의 도로 상황을 볼 수 있는 백미러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irror mounting means comprises a mounting base attached to the rear window of the rear door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n actuator for moving the mirror from a high first position to a low second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rearview mirror device allows the driver to see the road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through the curved surface of the mirr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미러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기동되는 백미러장치.8. The rearview mirror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actuator is electrically activated to move the mirror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뒤끝단과 뒤끝단상의 뒷문과 뒷문내의 후면창을 가지며 전후 중심선을 가지는 자동차량에 있어서,In a vehicle with a rear door on the rear end and a rear end and a rear window in the rear door and a front and rear center line, 상기 자동차량상의 백미러장치와;A rearview mirror device on the vehicle amount;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중심선의 제 2 면상에 위치할 때 상기 중심선의 제 1 면상에서 상기 후면창위에 상기 뒷문 외곽에 상기 미러를 장착하는 수단과;Means for mounting the mirror outside the rear door on the rear window on the first face of the center line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second face of the center line; 적어도 제 1 및 제 2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은 운전자가 상기 중심선의 제 1 면상에서 상기 차량의 후방의 지면을 상기 제 1 곡면으로 볼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운전자가 상기 중심선의 상기 제 2 면상에서 상기 제 2 곡면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지역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미러상의 볼록면과를 구비하여 되는 자동차량.Having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portion, the first portion being formed such that the driver can see the ground behind the vehicle as the first curved surface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enter line and the second portion is the driver's view of the center line. And a convex surface on the mirro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such that the substantially same area is visible on the second curved surfa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과 제 2 곡면이 서로 결합되는 자동차량.The vehicle amount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제 1 곡면이 실질적으로 제 1 반경을 가지는 복합곡면이고, 제 2 곡면이 실질적으로 제 2 반경을 가지는 복합곡면이며, 상기 제 1 곡면과 제 2 곡면의 접합부에서 연장된 선상에 상기 제 1 반경과 제 2 반경의 중심이 있어서 상기 곡면들이 서로 접하고 있는 자동차량.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curved surface of the mirror is a compound surface having a substantially first radius, the second surface is a compound surface having a second radius substantially, at the junction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A vehicle amount in which the curved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center of the first radius and the second radius on an extended lin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 및 제 2 곡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정도로 원기둥 곡면을 가져서, 상기 제 1 곡면 및 제 2 곡면에 의하여 보이는 지형이 실질적으로 같은 전후방 치수를 가지는 자동차량.12. The vehicle quantity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have a cylindrical surface to the same extent, such that the terrain seen by the first curved surface and the second curved surface has substantially the same front and rear dimension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 곡면의 축이 차량 중심선에 대하여 횡축방향인 자동차량.13. The vehicle amount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xis of the cylindrical curved surface is transverse to the vehicle center lin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면이 제 1 곡면보다 측면으로 더 만곡되어있지만 실질적으로 원기둥 곡면을 가지는 자동차량.15. The vehicle quantity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curved surface is more curved laterally than the first curved surface but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urved surfa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착수단이, 차량 외부뒷면에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피봇 결합된 아암, 상기 미러가 장착되는 미러 본체 및 상기 미러를 기동되지않은 제 1 위치에서 기동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미러장치는 운전자가 후면창을 통하여 차량 직후방의 도로 상황을 볼 수 있는 자동차량.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mirror mounting means comprises: a base for attaching to the vehicle exterior back and rear, an arm pivoted to the base, a mirror body to which the mirror is mounted, and a mirror that is started in a non-starting first position; The actuator comprises a actuator for moving to two positions, the mirror device is a vehicle amount that allows the driver to see the road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through the rear window.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중심선 좌,우에 제 1 및 제 2 후면창을 각각 가지는 제 1 및 제 2 뒷문을 가지며, 상기 장착수단은 제 1 후면창위 제 1 뒷문의 외부에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피봇 결합된 아암 및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미러는 본체내에 장착되고 상기 아암은 본체에 피봇 결합되며,상기 양피봇점은 차량에 대해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미러가 차량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는 자동차량.10.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vehicle has first and second rear doors having first and second rear windows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er line, and the mounting means is a base for attaching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ar door over the first rear window. And an arm and a body pivotally coupled to the base, wherein the mirror is mounted within the body and the arm is pivotally coupled to the body, the both pivot points extending approximately transverse to the vehicle so that the mirror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amount of cars that can be adjusted agains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착수단이 상기 제 1 후면창위에 상기 제 1 뒷문 외부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피봇 결합된 아암으로 구성되며, 상기 미러 본체가 본체내의 미러 인접부위에서 램프와 램프반사체를 가지는 자동차량.17. The system of claim 16, wherein the mirror mounting means comprises a bas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ar door on the first rear window and an arm pivotally coupled to the base, wherein the mirror body comprises a lamp at a mirror proximal portion within the body. Vehicle quantity with lamp reflecto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가 미러 본체내에 장착되고 상기 아암이 상기 미러 본체에 피봇 결합되고, 상기 양피봇점은 차량에 대해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미러가 차량에 대하여 조정될 수 있는 자동차량.18. The vehicle amount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said mirror is mounted in a mirror body and said arm is pivotally coupled to said mirror body, and said both pivot points exten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said vehicle so that said mirror can be adjusted relative to the vehicle. . 뒷문과 상기 뒷문내의 창문을 가지는 자동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있어서, 차량 뒷문 유리창위 외곽부에 운전자가 뒷문 유리창을 통하여 백미러를 볼 수 있고 차량 직후방의 도로 상황을 시선방향에서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백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과; 운전자가 도로 직후방 시야를 적어도 차량 너비만큼 확보할 수 있고, 전,후 시야는 시야 너비보다 크지 않아 후진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기 미러상의 볼록면과를 구비하여 되는 백미러장치.A rearview mirror device for an automatic vehicle having a rear door and a window in the rear door, wherein the rear mirror is locat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rear door window so that the driver can see the rear view mirror through the rear door window and can secure the road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in a visual direction. Means for mounting; And a convex surface on the mirror formed by the driver so as to secure the view immediately after the road at least as wide as the vehicle and the front and rear views not larger than the view width so as to secure safety when reversing.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의 볼록면이 실질적으로 타원체의 복합면인 백미러장치.20. The rearview mirror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convex surface of the mirror is substantially a compound surface of an ellipsoid. 뒤끝단과 뒤끝단내의 후면창을 가지는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있어서,In a rearview mirror device for a vehicle having a rear end and a rear window in the rear end, 미러와;A mirror; 차량 후면창위 외곽 끝에 상기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후면창위 뒤끝단에 부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결합되고 비선형 운동을 하도록 연결된 액튜에이터로 구성되는 장착수단과;Means for mounting the mirror at an outer end of the vehicle rear window, the mounting means comprising a base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rear window and an actuator coupled to the base and coupled to perform a nonlinear motion; 상기 미러를 보유하며, 실질적으로 차량 운전자의 시야선밖인 높은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미러가 차량의 후면창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보일 수 있는 제 1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상에 장착되며, 상기 미러는 미러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운전자가 실질적으로 차량의 직후방의 도로상황을 볼 수 있도록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는 미러본체와를 구비하여 되는 백미러장치.Retains the mirror and is mounted on the actuator to move the mirror from a high first position substantially outside the line of sight of the vehicle driver to a first position visible to the driver through the rear window of the vehicle, the mirror being And a mirror body configured to move when the mirror is in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driver can substantially see the road situation immediately after the vehicl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착수단내에 스프링이 형성되어서, 상기 액튜에이터가 기동되지 않을 때 상기 미러를 제 1 위치로 밀어 붙이고, 액튜에이터가 상기 미러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극복해야 하는 백미러장치.22. The spring force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a spring is formed in the mirror mounting means to push the mirror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actuator is not actuated and the actuator to spring the mirror to move the mirror to the second position. Rearview mirror device to overcom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가 전기적으로 기동되며, 상기 액튜에이터가 기동되면 상기 미러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백미러장치.22. The rearview mirror apparatus of claim 21, wherein the actuator is electrically activated and moves the mirror to a second position when the actuator is activate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본체가 본체내의 미러 인접부위에서 램프와 램프 반사체를 가지는 백미러장치.22. The rearview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said mirror body has a lamp and a lamp reflector at mirror adjacent portions in the body.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와 램프 반사체가 상기 미러 본체내에 상기 미러에 인접하여 측면으로 위치한 백미러장치.25. The rearview mirror of claim 24, wherein said lamp and lamp reflector are laterally positioned adjacent said mirror in said mirror body.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착수단내에 스프링이 형성되어서, 상기 액튜에이터가 기동되지 않을 때 상기 미러를 제 1 위치로 밀어 붙이고, 액튜에이터가 상기 미러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극복해야 하는 백미러장치.26. The spring force according to claim 25, wherein a spring is formed in the mirror mounting means to push the mirror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actuator is not actuated, and to cause the actuator to move the mirror to the second position. Rearview mirror device to overcome.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가 전기적으로 기동되며, 상기 액튜에이터가 기동되면 상기 미러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백미러장치.27. The rearview mirror apparatus of claim 26, wherein said actuator is electrically activated and said mirror is moved to a second position when said actuator is activated.
KR1019980004277A 1997-02-13 1998-02-13 Rearview mirror device KR199800713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9944297A 1997-02-13 1997-02-13
US8/799,442 1997-02-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320A true KR19980071320A (en) 1998-10-26

Family

ID=6589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277A KR19980071320A (en) 1997-02-13 1998-02-13 Rearview mirr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13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731B2 (en) Vehicular rearview mirror with blind spot viewing system
US5237458A (en) Device for adjusting automobile side view mirror
US5691855A (en) Motor vehicle wide angle rear view mirror
US6422728B1 (en) Safety light
US57453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y view shifting of vehicle side mirror
US4685779A (en) Combined forward and rearward viewing mirror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US7216993B2 (en) Foldable vehicle external mirror having auxiliary mirror
JP2960736B2 (en) Backlight for vehicles
US4832476A (en) Blind spot viewing mirror system
KR19980071320A (en) Rearview mirror device
GB2188013A (en) Rear view mirror
KR200248494Y1 (en) Side mirror of automobile
JPS61146654A (en) Side dead angle eliminating device for automobile
KR100512446B1 (en) Mirror for observing front-side of a vehicle
JPH0114516Y2 (en)
CN2404759Y (en) Rear-view mirror avoiding blind zone
KR200368012Y1 (en) Sun screen of car having mirror
US20050134982A1 (en) Blind spot curved mirror
KR900007631Y1 (en) Rear view mirror
KR200203299Y1 (en) Mirrors for sight on the car bonet
CA2308574A1 (en) Forward viewing mirror assembly
IES81066B2 (en) Mirror for a commercial vehicle
RU58999U1 (en) FRONT VIEW MIRROR SYSTEM
RU2140861C1 (en) Forward view device of automobile with nonstandard arrangement of steering wheel
CN2225395Y (en) Full view rear-view mirror for automobile backword dr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