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991A -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991A
KR19980070991A KR1019980002762A KR19980002762A KR19980070991A KR 19980070991 A KR19980070991 A KR 19980070991A KR 1019980002762 A KR1019980002762 A KR 1019980002762A KR 19980002762 A KR19980002762 A KR 19980002762A KR 19980070991 A KR19980070991 A KR 19980070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rail
slide
support
carrier
rai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흠볼커
Original Assignee
게르트한스만
독토르.잉그.에이치.씨.에프.포르세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트한스만, 독토르.잉그.에이치.씨.에프.포르세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게르트한스만
Publication of KR1998007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9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22Chain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슬라이드 레일은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로 내마모성 또는 기계적 고응력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와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레일은 한편으로는 부쉬에 의해 수납되는 볼트로 하우징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에 지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볼트 및 부쉬를 제거한 지지 장치는 하우징의 지지부와 슬라이드 레일의 지지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지지 영역은 마찬가지로 내마모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각각 합성 수지로 제조된 슬라이드 본체와 캐리어를 포함하는, 독일 특허 출원 제DE-PS 37 06 136호에 공지된 슬라이드 레일은 포르쉐 911 카레라 엔진-포르쉐 서비스 정보-94, 911 카레라, 그림 649에 실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뿐만 아니라 인장 레일로도 예시되어 있다. 또한, 심한 하중 속에서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중량 및 제조 비용은 독일 특허 출원 제DE-OS 35 06 010호에 개시된 알루미늄 캐리어와 합성 수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로 구성된 종래 레일의 경우보다 확실히 낮다.
독일 특허 출원 제DE 195 07 770 Al호에서는 앞서 실증된 레일을 근거로 하여 캐리어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를 체인과 대면하는 측면에서 U자형으로 형성하도록 제안되었다. 이 경우에,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는 U자형 횡단면의 레그부상에 캐리어를 지나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는 U자형 횡단면을 레일의 실제 길이 이상으로 연장시켜 한편으로는 중량을 무겁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적인 재료가 필요하게 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선택된 횡단면을 갖는 슬라이드 레일은 비교적 넓은 구조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내연 기관을 소형으로 설계하는데 악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적으로 실증된 슬라이드 레일, 특히 내연 기관에 체결시키는 것을 개선시키는 데 있다.
도1은 슬라이드 레일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3은 도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3에 일치하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5는 도1에 일치하는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6은 도5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도5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도8은 또 다른 실시 형태의 도1에 따른 부분도.
도9는 도8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3, 78 : 슬라이드 레일
4 : 크랭크 케이스부
5 : 캐리어
6, 62, 82 :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
7 : 체인 주행면
31, 67 : 지지 장치
32, 68, 79 : 지지부
33, 69, 77 : 지지 영역
34' : 선접촉 지지부
37, 38 : 레그부
39 : 제1 웨브
40 : 제2 웨브
41, 42 : 리브
47 : 안내 장치
48 : 수납 장치
49 : 삽입부
50 : 부쉬
51 : 원통형 슬리브
53, 54 : 팽창부
58' : 절개부
70 : 상부벽
71 : 하부벽
74 : 절곡부
80 : 스프링 장치
81 : 판 스프링
89 : 러그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은 이하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지지부와 지지 영역으로 구성되는 지지 장치의 도움으로 볼트 및 부쉬만으로도 슬라이드 레일을 소기 목적한 대로 지지하는데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또 다른 중량 감소 및 비용 감축에 기여한다. 지지부와 지지 영역과의 효과적인 상호 작용은 지지 영역이 내마모성 합성 수지로 구성될 경우에 달성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방법에 의해 (즉, 금속으로 된 지지부와 합성 수지로 된 지지 영역의 재료 결합에 의해) 고하중을 긴 작동 시간동안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조 기술 측면으로 보면,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와 일체로 제조되도록 지지부를 구성할 수 있다.
선접촉 지지부는 지지부와 지지 영역 사이에서 제한된 기능을 가능케 하고, 그것은 오목면 형상에 의해, 양호하게는 지지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 결합(즉, 합성 수지로 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 및 캐리어)과 하나의 볼트와 지지 장치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의 돌출 단부는 제어된 체인 주행을 허용하고, 이 경우 구조적 위치를 기초로 한 체인의 구동에 따른 운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것은 역시 국부적 저항 모멘트를 증가시키는 프로파일에 의해 발생된다.
지지 영역은 캐리어를 관통한 리브에 의해 제1 및 제2 웨브가 구조적인 유니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본체에 단단히 연결된다.
체인 주행 방향을 가로질러 슬라이드 레일은 안내 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캐리어 부쉬안에, 내마모성 재료로 된 슬리브가 마련되고, 이는 저비용 구성 요소로 구성된 볼트의 정밀 구멍이다.
마지막으로, 탄성 댐핑 장치 또는 스프링 장치는, 디젤 엔진과 같은 구조적으로 특정 작동 특성을 갖는 내연 기관의 경우에 중요한, 저소음이 되도록 슬라이드 레일은 크랭크 케이스 상에 지지하는 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는 체인(2)의 안내나 인장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레일(1)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크랭크 케이스부(4)만이 도시된 내연 기관(3)의 구성 요소가 되는 체인 주행의 무단 링크에 관한 것이다. 체인 주행은 크랭크축과 캠축 사이에서 작용한다(포르쉐 서비스 정보 공학 '94, 911 카레라, 그림 649, 포르쉐 복스터 특별호 ATZ, 자동차 기술 잡지 및 MTZ 엔진 기술 잡지, 1996년 12월, 55쪽과 스포츠 카 1/1997, 25쪽).
슬라이드 레일(1)은 체인(2)을 위한 슬라이딩면(7)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와 캐리어(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5) 및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7)는 상이한 특성의 합성 수지, 특히 폴리아미드로 구성되고, 이 경우에 캐리어(5)를 위해서는 유리 섬유 첨가물이 있는 폴리아미드가 사용되고,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를 위해서는 유리 섬유 첨가물이 없는 내마모성 폴리아미드가 사용된다.
슬라이딩면(7)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가 U자형의 형상을 갖도록 견부(8, 9)에 의해 한정된다.
캐리어(5)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는 A-A면에서 끼워진다. 유니트를 형성한 이들 사이에서는, 상호 맞물리고 상대방 뒤로 연장되고 도2의 실시예에서 2개의 도브테일 조인트(11, 12)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10)가 마련된다. 이 도브테일 조인트(11, 12)는 체인 주행선 B-B를 따라 연장된다(도1).
도브테일 조인트(11, 12)는 횡단면으로 보아 위치상 거리 (C)만큼 오프셋되도록 배치되고 상대방 뒤로 연장된 프로파일(13, 14, 15, 16)을 제공한다. 도브테일 조인트(9)의 프로파일(13, 15)은 슬라이드 레일(1)의 중앙 평면 (D-D)에 인접해 배치되어 있다. 도브테일 조인트(12)의 프로파일(14, 16)은 슬라이드 레일(1)의 모서리 영역(17, 18)에 인접해 있다.
슬라이드 레일은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먼저, 캐리어(5)를 사출 성형법에 의해 도브테일 조인트(11, 12)의 대응 프로파일과 함께 제작한다(도2). 그 다음에, 캐리어(5)는 기부 본체로서 사용되고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상술한 캐리어와 결합된다. 또한, 다른 단계적 제작 공정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즉, 우선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를 만들고 그 다음으로 캐리어를 슬라이드 본체와 결합시킬 수 있다.
캐리어(5)는 종단부(19, 20)를 구비하는데, 종단부(20)는 참조 번호 (21)에서 캐리어 표면(22)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한다. 종단부(20)에는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가 위치하여 있고, 또한 캐리어(5)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 사이에 (도브테일 조인트와 같이) 작용하는 장치(23)가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도2에는 캐리어(5)에 웨브(2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이격 횡단 플랜지(24, 25)를 마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2중 T자형 형상을 하고 있다. 웨브(26)의 측면으로는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횡단 리브(27)가 마련되어 있고, 이 리브는 횡단 플랜지(24, 25) 사이로 연장하고, 체인 주행선 (B-B)에 대해 경사 각도로 그리고/또는 직각으로 정렬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1)을 내연 기관(3)에 지지하기 위하여 캐리어(5)의 부쉬(30)안에 위치하게 되는 단일 볼트(29)를 사용한다. 부쉬(30)로부터 일정 거리에는 크랭크 케이스부(4)와 슬라이드 레일(1) 사이에 지지 장치(31)가 마련되고, 이는 크랭크 케이스부(4)의 지지부(32)와 슬라이드 레일(1)의 지지 영역(33)에 의해 이루어진다. 지지 영역(33)은 지지부(32)에 대항하여 지지되고, 체인(2)은 인장되고 슬라이딩면(7)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캐리어(5)에 장착되며 내마모성 합성 수지(유리 섬유 첨가물이 없는 폴리아미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영역(33)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와 일체로 제작된다.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와는 상관없는 지지 영역을 캐리어(5)에 고착시킬 수도 있다.
참조 번호(34)에서 지지부(32)와 지지 영역(33)은 일종에 선접촉 지지부(34')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선접촉 지지부는 슬라이드 레일(1)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중시 편평해 진다. 실시예에서 지지 영역(33)은 이런 목적에 따라 볼록면형이거나 구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에 반해 지지부(32)는 평면이다.
볼트(30)로부터 멀리 위치한 슬라이드 레일(1)의 단부 영역(35)은 지지 장치(31)를 지나 돌출하고, 이 때 슬라이드 레일(1)은 지지 영역(33)에서 국부적인 프로파일(36), 예를 들어 U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도3). 이러한 프로파일(36)은 특히 이렇게 응력 적용 영역에서 슬라이드 레일의 저항 모멘트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 프로파일(35)의 레그부(37, 38)의 높이는 체인(2)의 주행 방향에서 정의된 영역(Bdef)을 따라 레그부(36, 37)가 국부적으로 원호형 곡선(Vb)을 갖도록 균일하게 감소한다. 도3에 따르면, 체인 주행면(7)을 포함하는 제1 웨브(39)와 지지 영역(33)을 갖는 제2 웨브(40)는 캐리어(5)에 위치되어 있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웨브(39, 40)는 캐리어(5)안의 통로(43, 44)를 관통하는 리브(41, 42)에 의해 연결된다. 레그부(37, 38)는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의 구성 부품이다. 또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는 모든 측면에서 캐리어(5)를 둘러싸고 있다.
도4에는 캐리어(5)와 일체로 제작되고, 측면 경계 치크(boundary cheek, 45, 46)의 연장부로 형성된 레그(37, 38)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부(32)와 지지 영역(33) 사이에는 슬라이드 레일(1)을 고정 위치시키기 위해 안내 장치(47)가 마련되어 있다. 그 안내 장치는 수납 장치(48)와 삽입부(49)를 포함하고, 수납 장치(48)에는 U자형 횡단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5에는 내마모성 합성 수지(즉, 유리 섬유 첨가물이 없는 폴리아미드)로 된 원통형 슬리브(51)를 부쉬(50)에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볼트(52)용 정밀 구멍을 포함하는] 슬리브(51)는 그 단부(53, 54)에 또 다른 형태의 칼라(55, 56)를 마련하고 있고, 이는 슬라이드 레일(60)의 캐리어(59)안의 수납 장치(57, 58)를 함께 결합시킨다. 캐리어(59)에 대해 [치수(UE)만큼] 측면 돌출된 팽창부(55, 56)와 수납부(57, 58)는 절개부에 의해 상호 작용한다. 팽창부(55, 56)의 돌출 영역은 슬라이드 레일(1)의 측면 보조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내연 기관의 하우징 상에 접촉부로서 사용된다. 또한, 참조 번호(60)에는 슬리브(51)와 캐리어(59) 사이에 방사상 방향으로 도브테일 조인트(6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슬리브(51)는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와 일체로 제작되고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는 캐리어(59)와 함께 슬라이드 레일(63)을 형성한다. 슬리브(51)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 사이로 벽(64)이 연장되어 있고, 이 벽은 캐리어(59) 외부에서 캐리어와 맞붙은 채 연장된다. 이 벽(64)은 캐리어(59)의 리세스(65)를 형성한다.
참조 번호(66)에는 볼트(52)나 부쉬(5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연장된 지지 장치(67)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장치(67)는 지지부(68)와 지지 영역(69)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 영역(69)은 캐리어(59)의 예각의 단부 영역(72)의 상부벽(70) 및 하부벽(71)을 둘러 싼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의 일부이다. 하부벽(71)은 지지 영역(69)을 형성하고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와 일체로 제작된다.
도7에는, 캐리어(59)와 지지 영역(69) 사이의 가능한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캐리어(59) 내에는 국부적으로 리세스(73)가 마련되어 있고, 그 안으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의 대응 핀(74)이 맞물려 있다.
끝으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에는 하부벽(71)으로부터 절곡부(74)가 마련되고, 이 때, 그 단부(75)는 도브테일 조인트(76)에 의해 고정된다.
도8에 따르면, 지지부(79) 상에 위치한 슬라이드 레일(78)의 지지 영역(77)은 탄성 댐핑 장치나 스프링 장치(80)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 영역(77)은 판 두께(Bd)가 예를 들어 항상 정해진 판 스프링(81)으로 도시된다. 판 스프링(81)은 선접촉 효과가 달성되도록 슬라이드 레일(78)로부터 보면,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2) 및 지지 영역(33) 비교].
판 스프링(81)은 캐리어(84)의 단부 영역(83) 주위를 둘러싼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82)와 일체로 제작되는데, 판 스프링은 캐리어(84)의 2개의 종방향 측면(85, 86)을 따라 연장한다. 그 때, 판 스프링(81)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82)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또한, 판 스프링(81)은 중공부(88)를 제한하고 있는 러그(89)가 형성되도록 캐리어(84)의 리세스형 캐리어부(87)와 이루어지는데, 러그의 단부(90)는 캐리어(84)상의 참조 번호 (91)에서 지지된다. 중공부(88)에는 고무, 탄성 중합체 등과 같은 탄성재로 된 (도9의) 인서트(92)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해, 지지부와 지지 영역으로 구성되는 지지 장치의 도움으로 볼트 및 부쉬만으로도 슬라이드 레일을 소기 목적한 대로 지지하는데 충분하며, 중량 감소 및 비용 감축의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내마모성이나 기계적 고응력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와 캐리어를 포함하고, 한편으로는 부쉬에 의해 수납되는 볼트로 내연 기관의 크랭크 케이스부에 고정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장치가 마련된, 체인, 특히 내연 기관의 캠축 구동용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31, 67)는 크랭크 케이스부(4)의 지지부(32, 68, 79)와 슬라이드 레일(1, 63, 78)의 지지 영역(33, 69)에 의해 형성되고 그 지지 영역(33, 69, 77)은 마찬가지로 내마모성 합성 수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33, 69, 77)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 62, 82)와 일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 68) 및 상기 지지 영역(33, 69)은 선접촉 지지부(34')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접촉 지지부(34')는 볼록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 형상은 적어도 지지 영역(33, 69)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6.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의 자유 단부 영역(35)은 지지 영역(33)을 지나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33)에는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U자형 횡단면의 국부적 프로파일(3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8. 제7항에 있어서, U자형 횡단면의 레그부(37, 38)의 높이는 [체인 주행선(B-B) 방향에서 보면] 지지 영역(33)의 양측면으로 균등하게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의 체인 주행면(7)을 위한 제1 웨브(39)와 지지 영역(33)의 제2 웨브(40)는 캐리어(5)상에 위치하고, 캐리어(5)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41, 42)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0.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는 지지 영역(33)에서 캐리어(5)를 모든 측면에서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와 상기 지지 영역(33) 사이에 안내 장치(47)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2. 제11항에 있어서, 안내 장치(47)에는 수납 장치(48) 및 맞물림부(49)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3. 제12항에 있어서, 수납 장치(48)는 U자형 횡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4. 제1항에 있어서, 부쉬(50)에는 내마모성 합성 수지로 된 원통형 슬리브(5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51)는 그 단부(53, 54)에 캐리어 안에서 수납부(55, 56)를 지나 연장된 칼라형 팽창부(53, 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6. 제15항에 있어서, 팽창부(53, 54) 및 수납부(55, 56)는 절개부(58')에 의해 상호 작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 항에 있어서, 슬리브(51) 및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는 일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8. 제17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 및 슬리브(51) 사이에는 캐리어(59) 외부에서 접한 벽(64)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는 단부 영역(72)에서 캐리어(59)의 상부벽(70) 및 하부벽(71) 주위를 감싸고, 하부벽(71)을 지지 영역(6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0. 제19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62)에는 하부벽(71)의 방향으로부터 절곡부(7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1.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지지 영역(77)은 탄성 댐핑 장치나 스프링 장치(80)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2. 제21항에 있어서, 지지 영역(77)의 스프링 장치(80)는 판 스프링(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3. 제22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81)은 적어도 영역에 따라 볼록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4. 제21항 및 제2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82)는 캐리어(84)의 단부 영역(83) 주위로 안내되고, 지지부(79)와 대면한 판 스프링(81)은 슬라이드 라이닝 본체(82)와 일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5. 제24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81)은 중공부(88)를 제한하고 있는 러그(89)를 캐리어부(87)와 함께 형성하고, 그 러그의 단부(90)는 캐리어(84)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26. 제25항에 있어서, 중공부(88)는 예를 들어 고무, 탄성 중합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된 인서트(9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
KR1019980002762A 1997-02-01 1998-02-02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 KR19980070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3788 1997-02-01
DE19714763A DE19714763C1 (de) 1997-02-01 1997-04-10 Gleitschiene zum Führen und/oder Spannen einer Kette
DE19703788.7 1997-04-10
DE19714763.1 1997-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991A true KR19980070991A (ko) 1998-10-26

Family

ID=781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762A KR19980070991A (ko) 1997-02-01 1998-02-02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9980070991A (ko)
DE (2) DE19714763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3288A1 (de) * 1999-03-24 2000-09-28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schiene für Kettenantriebe
DE19954481A1 (de) 1999-11-12 2001-05-23 Porsche Ag Kettenführung für einen Steuerwellenan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ettenführung
JP3322399B1 (ja) * 2001-10-23 2002-09-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プラスチック製可動ガイド
EP1323949B8 (en) * 2001-12-27 2006-10-25 BorgWarner Morse TEC Japan K.K. Hydraulic tensioner with stop mechanism
DE10302876A1 (de) * 2003-01-25 2004-08-05 Ina-Schaeffler Kg Baueinheit mit einer Hülse für Kettensteuertriebe
US6939259B2 (en) * 2003-04-25 2005-09-06 Borgwarner Inc. Two-shot unified chain tensioner arm or guide
DE102004022545B3 (de) * 2004-05-05 2005-11-24 Homag Holzbearbeitungssysteme Ag Einrichtung zur Führung einer Transportkette
JP5631825B2 (ja) * 2011-09-07 2014-11-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装置用ガイド
DE102014209124A1 (de) * 2014-05-14 2015-11-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ührungsschiene für einen Zugmitteltrieb
CN114012979A (zh) * 2021-12-01 2022-02-08 伊维氏传动系统(平湖)有限公司 一种导轨装配工艺及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06010A1 (de) * 1985-02-21 1986-08-21 Feldmühle AG, 4000 Düsseldorf Spann- oder gleitschiene fuer ketten von kettentrieben
DE3706136C1 (de) * 1987-02-26 1988-09-15 Porsch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ettenspanners
DE19507770C2 (de) * 1995-03-06 1997-03-20 Bosch Gmbh Robert Führungsschiene, insbesondere Kettenspanner für einen Nockenwellenan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14763C1 (de) 1998-07-02
DE59702602D1 (de) 200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20540A (ja) チェーンをガイドしかつ/又は緊張させるための滑りレール
US8323136B2 (en) Tensioning rail with a channel device in the pressure body
US4832664A (en) Guide rail for drive chains
US6599209B1 (en) Tensioning device for tensioning a traction medium
US6939259B2 (en) Two-shot unified chain tensioner arm or guide
US7476169B2 (en) Guide for transmission device
US8900079B2 (en) Transmission guide
KR19980070991A (ko) 체인의 안내 및/또는 인장을 위한 슬라이드 레일
CN100489345C (zh) 具有整体阻尼的皮带张紧器
US5662540A (en) Tensioning device for a ch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653652A (en) Hydraulic tensioning system with dual arm blade
US6482116B1 (en) Tensioning device for chains
US10378619B2 (en) Modular guide rail or modular tensioning rail
GB2143926A (en) Chain drive of a reciprocating-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36881B1 (en) Chain driv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6412464B1 (en) Chain guide for a control-shaft drive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producing a chain guide
US10495193B2 (en) Chain drive having a plurality of sliding elements
JP3719621B2 (ja) コイルスプリングチェーンテンショナ
CN105485275A (zh) 具有开口的张紧或引导轨道
US6889642B2 (en) Slide rail with two compression regions
US20020119848A1 (en) Blade tensioner
US9714693B2 (en) Tensioning rail with resilient press-on region
US10876603B2 (en) Chain drive with a combination rail
US20130196803A1 (en) Toothless Link Chain with Asymmetric Link Plates
US20050090346A1 (en) Compliant chain guide with multiple j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