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479A -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 Google Patents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479A
KR19980070479A KR1019980000712A KR19980000712A KR19980070479A KR 19980070479 A KR19980070479 A KR 19980070479A KR 1019980000712 A KR1019980000712 A KR 1019980000712A KR 19980000712 A KR19980000712 A KR 19980000712A KR 19980070479 A KR19980070479 A KR 19980070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member
side frame
rib
diagonal tens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키위츠로버트디.
토우세인트브라이언에이.
Original Assignee
브로사우스에드워드제이.
암스테드인더스트리즈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사우스에드워드제이., 암스테드인더스트리즈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로사우스에드워드제이.
Publication of KR19980070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4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Handcart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이 우수한 바닥부재를 갖춘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을 제공한다. 상기 측면프레임은 길이가 간 상측 압축부재, 상기 상측 압축부재의 단부 근처로부터 예각으로 하향 연장하는 복수개의 사선형 장력부재, 및 상기 사선형 장력의 서로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바닥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표면은 궤도트럭용 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그룹 지지용 상부표면으로 제공된다. 상기 바닥부재와 이에 결합된 사선형 장력부재는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와의 교차점 부근에서 통상의 중공형 바닥부재내에 내장 지지리브를 부가함에 의하여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표면과 사선형 장력부재 및/또는 기둥과의 교차점에서의 두께가 증가된다.

Description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본 발명은 궤도차량용 트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능과 강성이 향상된 바닥부재를 가지는 궤도차량 트럭의 측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궤도수송차량용 트럭은 3개의 부품이 조합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트럭은 서로 측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프레임은 측면프레임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받침대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중앙부에 위치되는 구멍 또는 받침대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각 측면프레임의 단부는 통상 측면프레임의 축받이죠오(pedestal jaw)라 불리우는 축바퀴세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나란히 정렬된다.
전형적인 3개의 부품으로 된 수송차량용 트럭이 미국특허번호 제 2,235,799호, 제 4,363,276호 및 제 4,838,174호에 개시되어 있다.
전형적인 궤도수송용차량용 트럭의 측면프레임은 길이가 긴 상측 압축부재를 포함하고, 이는 궤도트랙에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은 복수개의 사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력부재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상측 압축부재의 단부 근처로부터 예각으로 연장한다. 바닥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사선형장력부재의 저부측 단부를 연결한다. 통상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는 측면프레임의 스프링안착면이기도 하며, 그 상부에 스프링 그룹을 수용하여 받침대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사용된다. 상기 받침대는 각각의 측면프레임의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측면프레임은 수반하는 받침대가 그러하듯이 일체형 주조 강구조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은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주로 중공형으로 설계된 구조물인 것이 좋다.
전체 차량중량이 286,000파운드에 이르는 오늘날의 수송용 차량의 증가된 하중에 의하여, 수송용 차량 트럭에 구조적인 측면이 요구되고, 특히 측면프레임과 받침대에 있어서는 보다 엄격하다. 미국철도협회(AAR)는 수송차량용 트럭의 적재운행에 대한 일정한 기준을 제정하였다. 이 기준은 정적인 시험요구뿐만 아니라 동적인 시험요구를 포함한다. 상기 정적인 시험요구는 측면프레임과 받침대를 주조하는 강재의 등급에 관계된다. 수송차량용 트럭이 운행될 다양한 적재요구에 부합하는 가장 경제적인 등급의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생산성측면의 경제성에서 바람직하다. 종래의 경감된 하중을 가지도록 한 측면프레임 설계가 최대의 정적인 수직굽힘이 등급 B 강재에 대한 한계를 초과한다는 것은 주목할만하다. 따라서, 측면프레임의 바닥부재와 그에 근접한 사선형 장력부재의 경계면에서 특별한 강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강도를 증가시키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들은 바닥부재의 상부, 바닥부와 측벽부 및 사선형 장력부재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강도를 증대시키는 다른 방법들로는 상기 바닥부재-사선형 장력부재 연결부에서 금속부재를 부가함으로써 그 연결부에서 곡률반경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최소한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수송용 차량 트럭과 받침대의 무게는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량되고 강성이 우수한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복수개의 측면프레임과 하나의 받침대를 포함하는 궤도트럭을 도시한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요부를 도시한 부분 횡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측면프레임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궤도트럭
12,14 ... 측면프레임
16 ... 받침대
18,20 ... 축바퀴세트
24 ... 상측 압축부재
30,32 ... 사선형 장력부재
36,38 ... 기둥
40 ... 받침대 구멍
42 ... 스프링 안착면
50,51 ... 리브
60 ... 중앙 지지리브
본 발명은 개량되고 강성이 우수한 바닥부재와 사선형 부재를 가지는 궤도수송차량용 측면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 표면과 기둥부재 사이의 우수한 강성을 가지는 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측면프레임이 도 2에 도시되며,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궤도트럭에 평행한 긴 상측 압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프레임은 일체로 된 주조 강주조물이다. 복수개의 단부 구간은 상기 상측 압축부재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바퀴세트의 축베어링 단부를 수용하도록 갖추어진 축받이 죠오를 형성한다. 복수개의 사선형 장력부재가 상측 압축부재의 단부 근처로부터 상측 압축부재에 대한 예각으로 하부측으로 연장한다. 바닥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의 타측 단부를 연결한다. 복수개의 기둥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바닥부재와 상측 압축부재와의 사이에서 수직하게 연장한다. 상기 기둥부재는 각 측면프레임의 받침대구멍 또는 중앙부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부재의 상측 표면은 스프링안착면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받침대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그룹을 상부면에 수용한다.
오늘날 수송용 차량에 의하여 수송되는 하중의 증가는, 균열 또는 항복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특히 각 기둥부재와 스프링안착면 사이의 경계면인 구석부분에서 그러하다. 항복 및 응력파단은 스프링안착면의 둘레 또는 상기 기둥부재와 스프링안착면 사이의 구석 교차부 영역에서 나타난다. 상기 측면프레임은 대부분이 중공으로 형성되는 복잡한 공학적 구조를 가진다. 절단면을 살펴보면, 통상 상기 측면프레임은 어떠한 단면에서도 상부구간, 바닥구간, 및 상부와 바닥구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부재를 포함하게 된다. 이는 또한 상기 바닥부재 자체가 스프링안착면으로 언급되는 상부부재, 바닥부재, 및 상기 상부와 바닥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부재를 포함하게 된다. 종래의 측면프레임 구조는 중앙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이는 바닥부재의 내부에 내장되어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바닥부재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매우 짧은 거리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안착면 영역 또는 스프링안착면과 기둥부재 사이의 교차부 영역의 강성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한다. 이러한 강성은 완전한 주조로 이루어지면서 내장된 리브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이는 바닥부재의 외측 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위치되지만, 중앙 지지리브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적정공간 떨어진다. 본 지지리브의 각각은 스프링안착면 영역의 둘레 또는 기둥부재와 바닥부재의 교차부 근처 위치로부터 상기 바닥부재의 중앙부에 미치지 아니하는 길이방향의 한 점까지 연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리브는 사선형 장력부재와 바닥부재의 교차점으로부터 상기 바닥부재의 중앙부에 미치지 아니하는 한 점까지 길이방형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지지리브는 평활한 구조이며, 바닥부재의 바닥벽 상부면으로부터 바닥부재의 상부 벽까지 연장한다. 나아가, 강성은 바닥부재의 상부 표면과 기둥 또는 사선형 부재 사이의 연결부 구석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차축거리의 기준이 5피트-10인치인 궤도트럭에 대하여, 시험하중 140,000파운드에 대한 등급 B,B+ 및 C 강재의 최대수직굽힘이 다음과 같다. 하기 표 1은 등급별 수직굽힘을 나타내며, 표 2는 등급별 장력시험결과이다.
B B+ C
수직굽힘(단위:인치) 0.042 0.051 0.058
B B+ C
장력(PSI) 70,000 80,000 90,000
항복점(PSI) 38,000 50,000 60,000
2in에서의 신장율(5%) 24 24 22
면적감소율(%) 36 36 45
나타난 바와같이, 예컨데 트럭이 등급 B보다는 등급 B+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더 큰 굽힘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등급 B+ 강재는 사용할 때에 더 큰 가격을 가진다. 이는 가능하다면 경제적인 등급의 강재로 하중굽힘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궤도트럭이 10으로 도시된다. 궤도트럭(1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적정간격 떨어진 복수개의 측면프레임(Sideframe)(12)(14)을 포함한다. 축바퀴 세트(Axle wheelsets)(18)(20)는 측면프레임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축받이 구멍(27)(29)에 수용된다. 받침대(16)는 측면프레임(12)(14)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양측 측면프레임의 축받이 단부 위치인 중앙부에 있는 받침대 구멍에 수용된다. 받침대 구멍(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면프레임(12)에 형성된다.
도 2에 의하면, 측면프레임(12)은 길이방향으로 긴 상측 압축부재(24)를 포함하고, 이는 측면프레임(12)의 상측 부분과 양측 단부구간(26)(28)의 끝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축받이 구멍(27)은 단부구간(26)의 저부에 형성되고, 축받이 구멍(29)은 단부구간(28)의 저부에 형성된다. 사선형 장력부재(30)(32)가 단부구간(26)(28) 근처의 한 점에서 상부 압축부재(24)로부터 하향하여 연장한다. 사선형 장력부재(30)(32)가 연장하는 각은 약 45°이다. 바닥구간(3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사선형 장력부재(30)(32)의 저부측 단부구간을 연결한다. 기둥부재(36)(38)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적정간격 떨어져 있고, 이는 사선형 장력부재(30)와 (32)와의 연결점 근처인 바닥구간(34)의 상부로부터 상측 압축부재(24)의 하부면까지 수직하게 연장한다. 상기 상측 압축부재(24)의 저부, 상기 바닥구간(34)의 상부 및 기둥부재(36)(48)가 통상적인 사각형상의 받침대구멍(40)을 형성함을 보인다. 상기 바닥구간(34)의 상측 표면은 스프링안착면(42)이기도 하다.
측면프레임(12)(14)은 일체형 주조 강구조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조물은 현대주조기술에 의하여 주조되며, 이는 측면프레임(12)의 구성요소를 통상적인 중공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코어(core)를 사용하는 것이고, 이에 의하여 상측 압축부재(24)와 바닥구간(34)과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가 일반적인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각은 바닥구간과 상부구간 및 상기 상부와 바닥구간에 연결된 복수의 측면구간을 포함한다.
측면프레임은 여러 가지 탄소와 합금 강재로 주조될 수 있는바, 등급 B, B+ 및 C와 같은 것이다. 이 강재의 특성은 전술한 바와같다.
도 3 및 4에 나타난 바와같이, 측면프레임(12)이 적정한 절개단면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바닥부재(34)는 바닥벽(62), 상부벽(64), 스프링안착면(42)으로 작용하는 상부면을 포함함을 보인다. 스프링안내부재(44)가 스프링안착면(42)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한다. 스프링안내부재(44)는 원통형스프링이 받침대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되고 위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작용한다. 또한 바닥구간(34)이 측벽(66)(68)을 포함하고, 이는 바닥벽(62)으로부터 상부벽(64)까지 상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며, 바닥구간(34)의 길이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벽웨브(wall web)(70)(72)가 각각 벽(66)(68)으로부터 연장하여 상부벽(64)의 외측 가장자리와 교차함으로서 스프링안착면(42)에 대한 향상된 강성을 제공한다.
지지리브(50)(51)가 바닥구간(34)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함을 보인다. 이는 지지리브(50)(51)의 각각이 중앙 지지리브(60)로부터 측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하고, 바닥벽(62)으로부터 상부벽(64)까지 수직하게 연장함을 보인다. 지지리브(50)(51)는 그들의 측방향 간격을 제외하면 동일한 형상이다. 이는 측면프레임(12)이 지지리브(50)(5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고 바닥구간(34)으로부터 사선형 장력부재(32)를 향하여 연장하는 다른 지지리브 세트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설명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단지 지지리브(50)(52)만이 상세하게 기술되고, 이는 바닥구간(34)으로부터 사선형 장력부재(30)를 향하여 연장한다. 또한 지지부재(50)(51)가 기둥(36)을 향하여 연장한다.
지지리브(50)가 (52)로 나타낸 가장자리에서 끝남을 보이며, 이는 금속으로 형성된 리브(50)가 측면프레임(12)의 주조동안에 사용되어진 코어에 교차함으로써 형성된다. 지지리브(50)의 다른 길이방향 가장자리가 (54)로 나타나며, 이는 금속으로 형성된 리브(50)가 바닥구간(34)의 내부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중앙코어에 교차함으로써 형성된다. 코어구멍이 바닥벽(62)으로부터 사선형 장력부재(30)의 하부측 표면을 향하여 연장하는 측면프레임(12)의 부분에 의해 바닥벽(62)에 형성된다. 이 코어구멍은 가장자리(56)(58)에서 형성되고, 바닥벽(62)의 측방향 중앙에 위치된다. 이는 구멍가장자리(58) 근처의 코어구멍 부분을 피하기 위하여 지지리브(50)가 측벽(68)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져야 하고, 지지리브(51)가 측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져야 함을 보인다.
지지리브(50) 및 그와 유사한 지지리브들의 일반적인 크기는, 0.44∼0.75inch(1.12∼1.90㎝)의 두께와, 바닥부재(34)에서의 길이방향에 대한 약 5inch(13㎝)의 길이를 가진다.
스프링안착면(42)(46)에서 기둥(36)의 연결부에서의 본 발명의 금속두께는 종래기술에서의 두께에 비하여 약 0.69inch(1.75㎝)∼0.94inch(2.39㎝) 증가되는 것은 주목할 만 하다. 이렇게 증가된 두께는 기둥(36)에서의 스프링안착면 사이의 접합부 영역에서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측면프레임(12)의 강도와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도 5에 지지리브(5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지지리브(50)는 지지리브 가장자리(52)로부터 지지리브 가장자리(54)까지 연장함을 보이며, 이 가장자리는 바닥구간(34)과 경사형 장력부재(30)내에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특별한 코어들을 갖추어 주조가 행해질 때 지지리브 금속의 접촉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코어구멍은 상기하였듯이 장력부재의 구멍가장자리(56)로부터 바닥구간의 구멍부분(58)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함을 보인다. 지지리브(50)의 측면구간이 상기 코어구멍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코어구멍 개구부로부터 측벽(68)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져 위치함을 보인다. 상기 기둥(36)과 상부벽(64)의 접합부에서의 증가된 두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다.
도 6에는 종래기술의 측면프레임(112)이 보여진다. 측면프레임(112)은 단부구간(126)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측 압축부재(124)를 포함한다. 물론, 도 6은 동일한 형상의 타측 단부구간이 보여지지 않은 부분도이다. 단부구간(126)은 축바퀴세트를 수용하기 위해 채택된 축받이죠오(127)를 형성하도록 하부측으로 연장하는 구간을 가진다. 사선형 장력부재(130)가 단부구간(126) 근처로부터 예각으로 하부측으로 연장하고 바닥구간(134)을 형성하기 위해 연장한다. 바닥구간(134)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다른 사선형 장력부재를 연결하고, 이는 그 자신이 측면프레임(112)의 타측 단부를 향하여 연장함을 보인다.
바닥구간(134) 자체가 바닥벽(162)과 상부벽(164)을 포함하고, 서로 측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지고 바닥벽(162)과 상부벽(164)에 연결되는 미도시된 측벽을 가진다. 중앙지지리브(160)가 측벽들사이에서 측방향의 중앙과, 바닥벽(162)과 상부벽(164) 사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보인다. 스프링안착면(144)이 상부벽(164) 상부표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보인다. 기둥(136)이 스프링안착면(144)과 상측 압축부재(124)의 바닥표면과의 구석 접합부에서 수직하게 하부측으로 연장한다. 통상적인 사각형상으로 된 받침대구멍(140)이 기둥(136)과 그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동일형상의 기둥 사이에 형성된다. 코어구멍이 길이방향 가장자리(156)(158)을 갖춘 사선형 장력부재(130)의 바닥표면을 향하여 연장하는 바닥벽(162)에 형성됨을 보인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에 의하면, 개량되고 강성이 우수하다.

Claims (12)

  1.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상측 압축부재와,
    상기 상측 압축부재의 단부로부터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 축받이 죠오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단부구간과,
    상기 상측 압축부재의 단부 근처로부터 각각 상측 압축부재와 예각을 형성하면서 연장하는 복수개의 사선형 장력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사선형 장력부재의 저부측 단부에서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를 연결하는 바닥부재와,
    서로 길이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상측 압축부재 사이에서 수직하게 연장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와 인접한 사선형 장력부재는 통상의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재는 상부벽, 바닥벽 및 상기 상부벽을 상기 바닥벽에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는 각각 상기 상부벽과 바닥벽 사이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4개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각각의 지지리브는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를 가로지르는 상기 인접한 사선형 장력부재의 교차부 근처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지지리브는 측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진 쌍으로 갖추어져 상기 바닥부재의 측벽으로부터 측방향 내부로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벽에 복수개의 중앙 코어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코어구멍의 각각은 상기 바닥부재의 측벽 사이에 측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연결부 근처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상기 중앙 코어구멍과 상기 바닥부재 측벽의 하나와의 사이에서 상기 바닥벽을 수직하게 따르는 한 점으로부터 상기 상부측과 상기 바닥부재의 바닥벽 사이에 수직하게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의 각각은 측면프레임에 일체로 된 주조 강재부분이며,
    상기 지지리브의 각각은 길이방향 두께가 0.44∼0.75inch(1.12∼1.90㎝)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4. 제 2항에 있어서,
    측면프레임의 주조공정중에, 상기 지지리브의 길이방향 한계를 상기 바닥부재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으로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 한 점으로 제한하기 위한 바닥 중앙코어가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의 각각은 상기 바닥부재와 인접 사선형 장력부재와의 연결부를 초과하여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의 한 점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6. 긴 상측 압축부재와,
    상기 상측 압축부재의 단부 근처로부터 각각 하부측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사선형 장력부재와,
    각각의 사선형 장력부재의 저부측 단부에서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를 연결하는 바닥부재와,
    서로 길이방향으로 적정거리 떨어지며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상측 압축부재 사이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복수개의 기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는 상부벽, 바닥벽 및 상기 상부벽을 상기 바닥벽에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에 갖추어지는 4개의 지지리브는, 상기 상부벽과 바닥벽 사이에 수직하게 연장하고, 이들 각각의 지지리브는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인접한 사선형 장력부재의 교차부 근처로부터 상기 바닥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점까지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바닥벽에 복수개의 중앙 코어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코어구멍의 각각은 측방향으로는 상기 바닥부재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연결부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각각은 중앙 코어구멍과 상기 바닥부재 측벽의 하나와의 사이에서 상기 바닥벽을 수직하게 따르는 한 점으로부터 상기 상부벽과 상기 바닥부재의 바닥벽 사이에 수직하게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의 각각은 측면프레임에 일체로 된 주조 강재부분이며,
    상기 지지리브의 각각은 길이방향 두께가 0.44∼0.75inch(1.12∼1.90㎝)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9. 제 7항에 있어서,
    측면프레임의 주조공정중에, 상기 지지리브의 길이방향 한계를 상기 바닥부재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으로 절반을 초과하지 않는 한 점으로 제한하기 위한 바닥 중앙코어가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의 각각은 상기 바닥부재와 인접 사선형 장력부재와의 연결부를 초과하여 상기 사선형 장력부재의 한 점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등급 B+강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상부벽은 상기 기둥부재의 각각에 구석구간에서 교차하며,
    상기 구석구간의 두께는 0.94inch(2.39㎝)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KR1019980000712A 1997-01-14 1998-01-13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KR19980070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83,479 1997-01-14
US08/783,479 US5718177A (en) 1997-01-14 1997-01-14 Railway truck sideframe with internal ribs in bottom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479A true KR19980070479A (ko) 1998-10-26

Family

ID=2512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712A KR19980070479A (ko) 1997-01-14 1998-01-13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18177A (ko)
KR (1) KR19980070479A (ko)
AU (1) AU719846B2 (ko)
BR (1) BR9800231A (ko)
CA (1) CA2219511C (ko)
CO (1) CO4770863A1 (ko)
ID (1) ID19503A (ko)
NO (1) NO975577L (ko)
PL (1) PL323855A1 (ko)
TR (1) TR199701653A2 (ko)
ZA (1) ZA98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9810B2 (en) * 1998-01-30 2001-10-18 Columbus Steel Castings Company Lightweight truck bolster
US6125767A (en) * 1998-06-26 2000-10-03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Railway truck sideframe with reinforced columns
US6823800B2 (en) * 2002-04-05 2004-11-30 Thomas R. Berg Spring seat for a railway truck sidefram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353759B2 (en) * 2005-12-19 2008-04-08 Asf-Keystone, Inc. Sideframe with adapters to connect surface brackets
US9637143B2 (en) 2013-12-30 2017-05-02 Nevis Industries Llc Railcar truck roller bearing adapter pad systems
US9216450B2 (en) * 2011-05-17 2015-12-22 Nevis Industries Llc Side frame and bolster for a railway tru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U2473439C2 (ru) * 2010-10-04 2013-0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оловное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вагоностроения имени Валерия Михайловича Бубнова" Боковая рама тележк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US9346098B2 (en) 2011-05-17 2016-05-24 Nevis Industries Llc Side frame and bolster for a railway tru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233416B2 (en) 2011-05-17 2016-01-12 Nevis Industries Llc Side frame and bolster for a railway tru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580087B2 (en) 2013-12-30 2017-02-28 Nevis Industries Llc Railcar truck roller bearing adapter pad systems
US10358151B2 (en) 2013-12-30 2019-07-23 Nevis Industries Llc Railcar truck roller bearing adapter-pad systems
US10569790B2 (en) 2013-12-30 2020-02-25 Nevis Industries Llc Railcar truck roller bearing adapter-pad systems
RU2623461C1 (ru) * 2016-07-11 2017-06-2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е технологии" Боковая рама тележк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US10507849B2 (en) * 2016-12-14 2019-12-17 Nevis Industries Llc Bolster for a railway tru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479276B2 (en) * 2018-05-24 2022-10-25 Transportation Ip Holdings, Llc Railroad car truck side frame
RU185680U1 (ru) * 2018-06-20 2018-12-13 РЕЙЛ 1520 АйПи ЛТД Боковая рама тележк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RU208360U1 (ru) * 2021-08-18 2021-12-1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лтайского вагоностроения (АО "Алтайвагон") Боковая рама тележк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1845A (en) * 1928-05-24 1929-12-31 Buckeye Steel Castings Co Car-truck side frame
US2235799A (en) * 1939-04-10 1941-03-18 American Steel Foundries Side frame
US3872795A (en) * 1969-08-26 1975-03-25 Amsted Ind Inc Resiliently frictionally roll stabilized railway car
US3687086A (en) * 1971-02-04 1972-08-29 Standard Car Truck Co Dampened railway truck bolster
US5546869A (en) * 1995-07-13 1996-08-20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Lightweight railcar truck sideframe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lateral twi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18177A (en) 1998-02-17
NO975577L (no) 1998-07-15
CA2219511C (en) 2000-08-08
AU5204598A (en) 1998-07-16
ID19503A (id) 1998-07-16
TR199701653A2 (xx) 1998-08-21
CA2219511A1 (en) 1998-07-14
AU719846B2 (en) 2000-05-18
ZA98213B (en) 1999-01-07
NO975577D0 (no) 1997-12-03
BR9800231A (pt) 1999-06-08
CO4770863A1 (es) 1999-04-30
PL323855A1 (en) 199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0479A (ko) 바닥부재에 리브를 내장한 궤도트럭용 측면프레임
US4751882A (en) Articulated lightweight piggyback railcar
US6978720B2 (en) Gondola railcar construction
US7438001B2 (en) Car body structure
US11155280B2 (en) Freight car truck bolster
US20220153322A1 (en) Rail road car truck bolster
JPH07172315A (ja) サイドフレー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鉄道車両台車
US6125767A (en) Railway truck sideframe with reinforced columns
US6543367B1 (en) Lightweight truck sideframe
US20230001963A1 (en) Railroad car truck side frame
US7353759B2 (en) Sideframe with adapters to connect surface brackets
US5305694A (en) Sideframe with increased fatigue life having longer cross-sectional thickness transition zone
CN212529631U (zh) 一种集装箱车车体及集装箱车
US3631815A (en) Railway tank car bolster
JP2002145060A (ja) 鉄道車両の台枠における枕梁・床結合構造
US3482531A (en) Reinforced railway truck bolster
CN109334696B (zh) 一种空轨货车的动车底架
CN107554546B (zh) 一种转向架构架及具有该转向架构架的转向架
CN207225371U (zh) 一种转向架构架及具有该转向架构架的转向架
CN211685105U (zh) 车体底架以及轨道车辆
US2097579A (en) Truck side frame
JP7419607B1 (ja) 軌条車両
CN213008128U (zh) 底架边梁、车体底架以及轨道车辆
RU217603U1 (ru) Балансир трехосной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тележки
CN212243361U (zh) 一种车顶结构及全侧开快捷棚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