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341A -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 Google Patents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341A
KR19980070341A KR1019980000054A KR19980000054A KR19980070341A KR 19980070341 A KR19980070341 A KR 19980070341A KR 1019980000054 A KR1019980000054 A KR 1019980000054A KR 19980000054 A KR19980000054 A KR 19980000054A KR 19980070341 A KR19980070341 A KR 1998007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mount
spring
frame
integra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랭크제이.포라디쉬
제리엘.테일러
Original Assignee
추후보충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충,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보충
Publication of KR1998007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2Holders for supporting the complete device in operation, i.e. detachable f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집적 회로가 시스템의 다른 부품에 대해서 정밀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10)에 관한 것이다. 마운트(10)는 다른 시스템 부품의 일부이며 2개의 장착 포스트(210)를 갖는 기부(200) 상에 놓여진다. 마운트(10)의 본체는 집적 회로를 보유하며 장착 포스트(210)를 수용하는 포스트 구멍(210)을 갖는 프레임(110)이다. 프레임에는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며 플런저/스프링 쌍(150, 160)이 수용되는 내부 채널(170)이 구비된다. 플런저(150)의 웨지형 단부(152)에 대해 가압되는 스크류(181)는 플런저가 장착 포스트(210)를 가압하도록 하며, 마운트(10)가 기부(200)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한다. 플런저/스프링 쌍(150, 160)에 의해 평행 이동 및 회전 조정된다. 삼각대형의 스크류 세트(181)에 의해 경사 및 높이 조정된다.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내측 프레임(53)이 부가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적 회로가 시스템의 한 요소로서 정밀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집적 회로용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 이외에도 집적 회로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시스템에 합체되는 일은 점증하고 있다. 신호 제어, 정보 처리 및 음성 및 화상 생성은 집적 회로 용도의 일부이다. 마이크로 공학적 IC는 초소형 장치로 사용되기도 한다.
시스템 내에서의 IC의 물리적인 위치 결정이 최적의 시스템 성능에 결정적인 요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전시용 화상을 생성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가 있다. 화상의 초점이 정확하게 맞추어지도록 DMD는 광학 장치에 대해 정밀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각각이 동시에 다른 색상의 화상을 생성하는, 다중 DMD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위치 결정은 특히 중요하다. 여러 개의 화상이 결합되어 천연 색상의 화상을 제공하게 되므로, DMD는 화상들이 일치되도록 정확하게 위치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착 포스트를 갖는 기부 상에 장착되는, 집적 회로(IC)용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마운트는 마운트의 가장 단순한 형태인 단일 장착 포스트를 갖는 기부용으로 설계된다. 마운트의 본체는 외벽 및 내벽을 갖는 프레임인데, 여기서 내벽은 IC의 외주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그보다는 약간 크다. 이는 마운트가 프레임 내에 보유되도록 IC를 수용하여 마운트와 IC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에는 외벽과 내벽 사이에 위치되어서 장착 포스트를 수용하는 포스트 구멍이 구비된다.
제1 이동축을 따라 평행 이동하면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에는 플런저 채널과 스프링 채널이 구비되는데, 각각은 프레임 평면과 대체로 평행한 평면에서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프레임 속으로 연장한다. 플런저 채널 및 스프링 채널은 포스트 구멍의 대향 측면 상에 있다. 스프링은 스프링 채널 속으로 삽입되며, 플런저는 플런저 채널 속으로 삽입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플런저/스프링 쌍을 형성한다. 플런저는 단부가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먼 쪽에 있는 웨지형이며, 프레임 내의 조정 구멍에는 상기 웨지형 단부를 내리누르는 스크류가 수용된다. 스크류가 조정 구멍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플런저의 다른 단부가 포스트 구멍 속으로 삽입되는 정도가 결정된다. 플런저가 포스트 구멍 속으로 연장됨에 따라, 마운트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된 실시예는 제2의 평행 이동 조정을 위한 추가적인 플런저/스프링 쌍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평행 이동 조정은 제1 평행 이동 조정의 축에 수직한 이동축을 따라 수행된다.
회전 조정을 위해, 제2 포스트 구멍은 2개의 포스트를 갖는 기부에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포스트 구멍에 있는 플런저/스프링 쌍은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공할 것이며, 다른 포스트 구멍은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공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있어서, 평행 이동 조정은 하나의 포스트 구멍에 있는 플런저/스프링 쌍에 의해 혹은 하나의 포스트 구멍에 있는 플런저와 다른 포스트 구멍에 있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플런저/스프링 쌍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경사 및 높이 조정을 위해서는, 프레임에 삼각대형의 3개의 구멍이 배열된다. 이들 구멍에는 한 세트의 삼각대형 스크류가 수용되며, 이는 각각 조정되거나(경사 조정), 또는 동시에 조정될 수 있다(높이 조정).
마운트의 장점은 IC가 사용되는 시스템 내에서 IC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마운트는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끼워지며 IC용 탄성 중합체성 전기 접속부를 수용하는 제2 프레임을 갖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마운트는 IC가 부품으로 사용되는 시스템의 다른 부품에 대한 장착, 위치 결정 및 전기 연결이라는 기능을 통합시키게 된다.
마운트는 하나의 이동축 또는 최대한 6 개까지의 이동축을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마운트가 몇 개의 이동축을 제공하든지 간에, 조정의 정밀도는 수 마이크론 정도이다. 또한, 일단 위치되면 IC는 제자리에 위치된다.
IC를 시스템의 다른 특정 부품에 대해서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IC와 그 부품 간의 경로는 짧게, 직선이면서 단단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이는 강한 기계적인 커플링을 보장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의 분해 사시도.
도2는 장착 포스트를 갖는 기부와 함께 사용된 경우의, 도1의 마운트의 포스트 구멍의 단면도.
도3은 3개의 이동축을 따른(또는 이동축에 대한) 조정을 도시한, 도1의 마운트의 개략 평면도.
도4는 도1의 마운트의 포스트 구멍 중의 하나와 연관된 채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5는 광학 유니트 상에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장치를 장착하여 회로 기판에 전기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도1의 마운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단 하나의 포스트 구멍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의 단순화된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0 : 마운트
110, 610 : 프레임
111 : 외벽
112, 612 : 내벽
120, 620 : 포스트 구멍
150, 650 : 플런저
160 : 스프링
170, 670 : 채널
190 : 삼각대형 구멍
200 : 기부
210 : 포스트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 설명될 바와 같이, 도1의 실시예에서의 마운트(10)는 6개의 이동축을 따라 조정되어진다. 그러나, 보다 단순한 변형예에서는 단 하나,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이동축을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마운트(10)의 본체는 외벽(111)과 내벽(112)을 갖는 프레임(110)이다. 내벽(112)은 집적 회로(IC)를 수용하도록 된 형상이며, 집적 회로의 외주와 동일하면서 약간 큰 형상이다.
내벽(112)은 플로어(floor)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싼다. 도1에서, 부분 플로어(113)는 IC가 프레임(11)의 상측면에서 내벽(112)의 내부 지역으로 낙하된 후에 하측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10)의 하측면은 개방되지 않고 폐쇄되어 있어서, IC가 내벽(112) 내부 지역의 바닥에 대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C를 내벽(112)의 내부에 보유하는 다른 소정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IC를 내벽의 내부에 보유하는 데 어떠한 수단이 사용되었든 간에, 일단 IC가 마운트(10)에 위치되면, 마운트(10)와 IC는 단일한 유니트로서 움직인다.
내벽(112)의 두께, 즉 내벽(112)에서의 프레임(110)의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IC를 수용하기에 충분하다. 도5를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상기 두께는 IC를 다른 시스템 부품들과 연결시키는 전기 커넥터용 홀더를 수용하기에도 충분하다.
프레임(110)은 임의의 강성 재료로 제조되며, 통상적으로 성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마운트(10)의 하측면은 평평하며 매끈하거나, 하측면이 놓여지는 기부에 대한 마운트(10)의 마찰 이동이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2는 도1의 2개의 포스트 구멍(120)의 단면도이며, 기부(200) 상에 위치된 마운트(10)를 도시하고 있다. 기부(200)는 2개의 포스트(210)를 가지며, 각각은 포스트 구멍(120) 속으로 삽입된다.
도3은 마운트(10)의 상측면의 개략 평면도로서, 마운트(10)가 기부(200)에 대해서 어떻게 이동 가능한지를 보다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포스트(210)들이 도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포스트가 수용되는 각 구멍(120)의 내경은 포스트(210)의 외경보다 크다. 이는 마운트(10)가 기부(200)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0)는 평행 이동 (x 또는 y 축을 따른) 또는 회전 이동 (대략 θ) 모두가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타입의 이동(평행 이동 또는 회전 이동)만이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축(x 또는 y)을 따른 평행 이동이 필요하거나, 단독으로 또는 회전 이동과 함께 필요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포스트(210)에 대한 포스트 구멍(120)이 클수록, 이동 범위는 커질 것이다. 통상적인 실시예에서의 이동 범위는 3개 중 임의의 이동축을 따라(또는 이동축에 대해서) 기부(200)에 대해서 0.02 인치 정도이다.
도1과 도3 모두를 참조하면, 플런저(150)와 복귀 스프링(160)의 시스템은 기부(200)에 대한 마운트(100)의 이동을 제어한다. 이들 플런저(150) 및 스프링(160)들은 프레임(110) 내의 채널(170) 속으로 삽입된다. 채널(170)은 마운트(10)의 하측면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 있다. 3개의 플런저/스프링 쌍이 있는, 본 설명의 실시예에서는, 6개의 채널이 있으며, 각각은 각 플런저(150)와 각 복귀 스프링(160)에 대한 것이다.
각 채널(170)은 2개의 포스트 구멍(120) 중의 하나 속으로 연장되어 개방된다. 3개의 채널(170)은 하나의 포스트 구멍(120) 내에서 개방되며, 3개의 채널(170)은 상호 개방되어 있다.
도4는 마운트(10)의 한 코너를 도시한 세부도로서, 포스트 구멍(120) 및 이와 연관된 채널(170)과, 플런저(150) 및 구동 스프링(153) 및, 2개의 복귀 스프링(160)을 도시하고 있다. 2개의 채널(170) 각각에는 복귀 스프링(160)이 수용된다. 제3 채널(170)은 플런저(150)와 구동 스프링(153)을 수용한다.
또한 도4는 구멍(41)과 핀(42)을 이용하여 각 플런저(150) 및 스프링(160)이 해당 채널(170) 내의 제위치에 보유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각 플런저(150) 또는 스프링(160)이 외벽으로부터 채널(170) 속으로 삽입된 후, 핀(42)이 구멍(41)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위치에 보유되도록 한다. 그러나, 플런저(150)와 스프링(160)을 제위치에 보유시키는 임의의 다른 소정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채널(170)은 포스트 구멍(120) 속에서만 개방되어 있어서, 채널의 단부가 막혀져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플런저(150)와 스프링(160)은 제조 중에 또는 제조 후에 상기의 특정 형태에 의해 가능한 바와 같이 채널(17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각 플런저(150)는 대항하는 복귀 스프링(160)을 갖는다. 플런저/스프링 쌍의 플런저(150) 및 스프링(160)은 동일한 포스트 구멍(120)에 있거나, 또는 다른 포스트 구멍(120)에 있을 수 있다.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는 이러한 모든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3을 참조하면, 포스트 구멍(120)은 이동축(x)을 따라 정렬된다. 이 축을 따라 조정하기 위해, 하나의 포스트 구멍(120)에는 플런저(150)가 구비되며, 하나의 포스트 구멍(120)에는 대향 스프링(160)이 구비된다. y축을 따라 조정하기 위해, 양 포스트 구멍(120) 각각에는 플런저(150) 및 스프링(160)이 구비된다.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각 플런저(150)에는 포스트 구멍(120) 속으로 연장 가능한 탭 단부(151)가 구비된다. 플런저(150)에 대해 추가적인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동 스프링(153)이 탭 단부(151) 상에 위치된다.
플런저(150)와 마찬가지로, 각 스프링(160)에는 포스트 구멍(120) 속으로 연장 가능한 탭 단부(161)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각 포스트 구멍(120)에는 3개의 탭 단부(151 또는 161)가 수용된다.
각 플런저(150)에는 포스트 구멍(120)으로부터 먼 쪽 단부인 웨지형 외측 단부(152)가 구비된다. 프레임(110) 내의 3개의 웨지 접근 구멍(180)의 각각은 상기 웨지형 외측 단부(152)의 하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형 스크류(181)는 웨지 접근 구멍(180) 속으로 삽입된다. 스크류(181)가 구멍(180)속으로 삽입되면 될수록, 플런저(150)의 탭 단부(151)는 포스트 구멍(120) 속으로 연장한다. 마찰이 적도록 하기 위해, 스크류(181)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웨지 단부(151)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포스트(210) 및 스크류(181)가 웨지 접근 구멍(180) 속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부(200) 상에 마운트(10)가 위치되면, 탭(151)은 포스트(210)에 대해 가압된다. 이는 마운트(10)가 기부(200)에 대해 이동하도록 한다. 이동 방향은 가압 방향과 반대이다. 각 플런저(150)의 대향 스프링(160)은 저항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x축을 따라 조정하기 위해서는 x 축을 따른 플런저/스프링 쌍이 사용된다. 스크류(181)는 소정 웨지 구멍(180) 내에서 속으로 가압되거나 당겨져서, 플런저(150)가 구멍(120) 속으로 연장하여 포스트(210)에 대해 가압하는 정도에 변화를 준다. 다른 포스트(210) 상의 스프링(160)은 대향력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y축을 따른 조정을 위해서, y축을 따른 2개의 플런저/스프링 쌍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 플런저/스프링 쌍은 동일한 포스트 구멍(210)에 있다.
회전 조정을 위해서는, y축을 따라 위치된 하나의 플런저(150)가 사용된다. 어느 플런저(150)가 조정될지를 선택하는 것은 조정 방향을 결정한다.
탭(151, 161)의 사용은 기부(200)에 대한 마운트(10)의 이동 범위를 확장시킨다. 하나의 플런저/스프링 쌍에 대한 2개의 탭(151, 161)은 임의의 다른 플런저/스프링 상에 대한 2개의 탭(151, 161)과는 달리 포스트 구멍(120) 내에서 상이한 높이에 있다. 이는 채널(170)을 상이한 높이로 설치하거나 또는 단순히 탭(151, 161)을 각 플런저(150) 또는 스프링(160)의 단부에서 다른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런저(150) 및 스프링(160)의 단부가 포스트(210)에 직접 놓여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 구멍(120)이 프레임(110)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면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는 프레임(110)의 상측면으로부터 장착 포스트(21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포스트 구멍(120)이 포스트(210)를 수용하여 채널(170)이 플런저(150) 및 스프링(160)을 수용함으로써 그 내측 단부에 의해 포스트(210)가 가압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만 하측면으로부터 프레임 속으로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마운트(10)는 경사 및 높이 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측면으로부터 하측면으로 연장하는 3개의 삼각대형 구멍(190)을 갖는다. 구멍(190)은 대체로 삼각형 패턴으로 배열된다. 각 구멍(190)에는 기부(200) 상에 놓여지는 삼각대형 스크류(191)가 수용된다. 각 스크류(191)는 상이한 정도로 각 구멍(190) 속에 삽입된다. 스크류(191)를 개별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기부에 대한 마운트(100)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마운트(10)의 높이는 동일한 정도로 모든 세트 스크류(191)들을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조정 작업은 기부(200)를 가압하는 스크류(191)의 단부를 둥글림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전술된 플런저(150) 및 스프링(160) 시스템은 마운트가 3개의 축, 예를 들어, 2개의 평행 이동 축과 1개의 회전 이동 축을 따라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삼각대형 스크류(191) 시스템은 3개의 추가적인 이동축을 따른 조정, 예를 들어 양 방향 및 높이 상의 경사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플런저/스프링 쌍과 삼각대형 스크류의 조합은 6가지의 충분한 이동 자유도를 제공한다.
도5는 광학 유니트(52)에 대해서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장치(DMD)를 위치시키는 데 사용되는 마운트(10)를 도시하고 있다. DMD(51)는 마운트(10) 내에 낙하되어 도1을 참조로 하여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쉘프(shelf)(113)의 내표면에 의해 마운트(10) 내의 제위치에 보유된다.
홀더(53)는 DMD(51) 상에 위치된다. 홀더(53)에는 슬롯(53a)이 있으며, 각각에는 탄성 중합체성 전기 커넥터 스트립(54)이 수용된다. 홀더(53)는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소정 재료로 만들어진다.
홀더(53) 및 커넥터(54)는 DMD(51) 상의 내벽(112) 내에 안착된다. 쉘프(113) 위의 내벽(112)의 깊이는 커넥터(54)가 마운트(10)의 상측면으로부터 약간 높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단 홀더(53)와 커넥터(54)가 제자리에 위치되면, 회로 기판(55)은 상기 홀더 및 커넥터 위에 위치되고 마운트(10)의 상측면에 클램프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 동작은 회로 기판(55) 내의 구멍(56b)을 통해 스크류(56)에 의해 완성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스크류(56)는 프레임(110) 내의 구멍(56b) 속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클램핑 동작에 의해, 커넥터(54)는 DMD(51) 상의 전기 패드를 회로 기판(55) 상의 전기 패드와 연결시킨다. 상기 소켓형 전기 인터페이스에 의하면 DMD(51)의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는 납땜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55)에 연결되는 많은 개수의 DMD 핀이 구비된다.
광학 유니트(52)는 도2의 기부(200)에 해당하는 상측면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상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포스트(210)는 도2의 2개의 포스트(210)에 해당한다. 이들 포스트들은 프레임(110) 내에 대응하는 포스트 구멍(120)을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멍(120)들은 포스트(210)보다 커서, 마운트(100)가 광학 유니트(52)(또는 임의의 기부; 200)에 대해서 재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플런저/스프링 쌍(150, 160)은 임의의 조정도 설정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나, 도5는 추가적인 안정성이 어떻게 제공되는지를 보여준다. 광학 유니트(52)의 상측면(기부; 200에 해당)에는 3개의 포팅(potting) 핀(52a)이 구비된다. 마운트(10)가 기부(10) 상에 위치되면, 구멍(52b)에는 포팅 핀(52a)이 수용된다. 일단 마운트(10)가 위치되면, 구멍(52b)에 에폭시를 인가함으로써 마운트는 제위치되어 고정된다. 편리함을 위해, 회로 기판(55)에 에폭시가 전체 조립체의 상측면으로부터 인가될 수 있도록 구멍(52b)에 대응하는 추가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기술한 바와 같이, 조정은 다중 DMD를 사용하는 DMD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하다. 도5의 조립체가 이와 같은 시스템 내에 설치되면, DMD에 의해 투영된 화상이 적절하게 정위될 때까지 다양한 조정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나서, 다른 DMD(들)의 화상이 처음의 화상과 정렬된다.
도6은 도1의 마운트의 단순한 변형예의 평면도로서, 마운트(60)에는 단 하나의 포스트 구멍(620)만이 구비된다. 이는 단일 장착 포스트만을 갖는 기부와 함께 사용되도록 고안된 것이다. 프레임(610)에는 마운트(10)의 프레임(110)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IC를 수용하는 내벽(612)이 구비된다.
프레임(610)에는 4개의 채널(670)이 구비되며, 각각은 포스트 구멍(620)으로부터 연장한다. 2개의 채널(670) 각각에는 플런저(650)가 수용된다. 2개의 채널 각각에는 플런저(650)에 대항하는 스프링(660)이 구비된다. 플런저(650)에는 웨지형 단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크류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플런저(650)가 해당 채널(670) 속으로 연장하는 거리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마운트(60)는 이동축(x)과 이동축(y)을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회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트랙 또는 다른 안내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마운트(60)의 변형예로는 단 하나의 이동축(x 또는 y)을 따라 조정하기 위해 단 하나의 플런저/스프링 쌍을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시스템에 도1의 구멍(190) 및 스크류(191)와 유사한 삼각대형 구멍 및 스크류를 첨가함으로써 높이 및 경사 조정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설명이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대안적인 실시예뿐만 아니라 개시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변형도 자명하겠으므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를 사용하여 집적 회로를 시스템의 한 요소로서 정밀하게 위치할 수 있다.

Claims (20)

  1. 장착 포스트가 구비된 기부에 집적 회로를 장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마운트에 있어서,
    외벽 및 상기 집적 회로를 수용하는 형태의 내벽을 가지며, 상측면 및 상기 장착 포스트를 수용할 수 있는 포스트 구멍이 갖춰진 하측면을 가지며, 상기 하측면에 대체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프레임 속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 채널과 스프링 채널을 가지며, 상기 플런저 채널과 상기 스프링 채널이 상기 포스트 구멍의 대향 측면 상에 있는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 구멍 속으로 연장 가능한 내측 단부를 갖는, 상기 스프링 채널 속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포스트 구멍 속으로 연장 가능한 내측 단부를 가지며, 웨지형 외측 단부를 갖는, 상기 플런저 채널 속에 삽입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외측 단부 상에 웨지 접근 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를 내벽 내에 보유하도록 작용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플로어를 상기 내벽이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추가 플런저 채널과 추가 스프링 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마운트는 추가 스프링과 추가 플런저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마운트는 2개의 플런저/스프링 쌍을 가지며, 상기 플런저/스프링 쌍의 각각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프링의 내측 단부와 상기 각 플런저의 내측 단부는 탭이므로 각 플런저/스프링 쌍에는 한 쌍의 대향 탭이 구비되며, 대향하는 각 탭 쌍은 다른 대향 탭 쌍과는 상이한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대체로 삼각형 패턴으로 배열된 3개의 삼각대형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삼각대형 구멍의 각각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기부 상에 놓여지는 단부를 갖는 삼각대형 스크류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구멍은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장착 포스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내부에 전기 접속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8. 적어도 2개의 장착 포스트가 구비된 기부에 집적 회로를 장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마운트에 있어서,
    외벽 및 상기 집적 회로를 수용하는 형상의 내벽을 가지며, 상측면 및 각각이 상기 장착 포스트의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포스트 구멍이 갖춰진 하측면을 가지며, 상기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채널과 다른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향 플런저 채널을 가지며, 스프링 채널과 플런저 채널이 상기 하측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프레임 속으로 연장하는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 구멍 속으로 연장 가능한 내측 단부를 갖는, 상기 스프링 채널 속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포스트 구멍 속으로 연장 가능한 내측 단부를 가지며, 웨지형 외측 단부를 갖는, 상기 플런저 채널 속에 삽입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에는 상기 플런저의 외측 단부 상에 웨지 접근 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를 내벽 내에 보유하도록 작용하는 적어도 부분적인 플로어를 상기 내벽이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모두 상기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추가 플런저 채널과 추가 스프링 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마운트는 추가 스프링과 추가 플런저를 가지므로 상기 마운트는 2개의 플런저/스프링 쌍을 가지며, 상기 플런저/스프링 쌍의 각각은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프링의 내측 단부와 상기 각 플런저의 내측 단부는 탭이어서 각 플런저/스프링 쌍에는 한 쌍의 대향 탭이 구비되며, 대향하는 각 탭 쌍은 다른 대향 탭 쌍과 상이한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각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추가 플런저 채널과, 상기 각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2개의 추가 스프링 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마운트에는 2개의 추가 스프링과 2개의 추가 플런저가 구비되어 상기 마운트가 3개의 플런저/스프링 쌍을 가지며, 이중 2개의 플런저/스프링 쌍은 제3 플런저/스프링 쌍에 대체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대체로 삼각형 패턴으로 배열된 삼각대형 구멍이 구비되며, 각각의 삼각대형 구멍에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기부 상에 놓여질 수 있는 단부를 갖는 삼각대형 스크류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구멍은 상기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장착 포스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내부에 전기 접속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채널은 해당 포스트 구멍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외벽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17. 적어도 하나의 장착 포스트를 갖는 기부 상에 집적 회로를 장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착 포스트를 수용하도록 된 포스트 구멍이 갖춰진 프레임 내에 집적 회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을 상기 포스트에 대해 가압하여서 상기 플런저에 대항력을 부여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장착 포스트에 대해 가압되는 상기 플런저의 웨지형 단부에 대해 가압되는 스크류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기부에 대한 상기 마운트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플런저와 저항 스프링을 이용하는 단계와,
    전기 커넥터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된 슬롯을 갖는 전기 접속 홀더를 상기 집적 회로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장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플런저와 스프링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마운트를 제1 평행 이동 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플런저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제2 플런저를 이용하여 제2 평행 이동 축을 따른 상기 마운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장착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플런저와 스프링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마운트를 평행 이동 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플런저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제2 플런저와 제2 스프링을 이용하여 회전축에 대한 상기 마운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장착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두께를 통해 연장하는 한 세트의 삼각대형 구멍을 이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대응하는 한 세트의 삼각대형 스크류가 상기 삼각대형 구멍 내에 삽입되어 상기 마운트를 기부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회로의 장착 방법.
KR1019980000054A 1997-01-06 1998-01-05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KR19980070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68697P 1997-01-06 1997-01-06
US60/034,686 1997-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341A true KR19980070341A (ko) 1998-10-26

Family

ID=2187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054A KR19980070341A (ko) 1997-01-06 1998-01-05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13043A (ko)
EP (1) EP0853339A3 (ko)
JP (1) JPH10214913A (ko)
KR (1) KR199800703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5968A (zh) * 2018-09-18 2018-11-20 上海稼生实业有限公司 一种支付押金自动开柜门换取智能手牌的无人值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3736A (en) * 1984-04-18 1987-08-04 The Eastern Company Cabinet lock with recessed handle
US4866374A (en) * 1984-10-12 1989-09-12 Daymarc Corporation Contactor assembly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US4789769A (en) * 1985-12-13 1988-12-06 Allan Warner Adjustable electrode holder
US4803557A (en) * 1988-01-11 1989-02-07 Eastman Kodak Company Adjustable mount for image sensor
FR2648090B1 (fr) * 1989-06-13 1994-11-18 Sagem Tableau de bord de vehicule automobile
US4972079A (en) * 1989-07-19 1990-11-20 Eastman Kodak Company Mount for an optical device
GB9201810D0 (en) * 1992-01-28 1992-03-11 Rank Brimar Ltd Positioning mechanism
US5386313A (en) * 1993-03-11 1995-01-31 Szegedi; Nicholas J. Reflective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assembly
JP3318904B2 (ja) * 1993-07-14 2002-08-26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プロジエクタ装置
US5465927A (en) * 1993-11-05 1995-11-14 Acer Peripherlas, Inc. Metal bracket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S5847350A (en) * 1997-06-16 1998-12-08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m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14913A (ja) 1998-08-11
EP0853339A2 (en) 1998-07-15
EP0853339A3 (en) 1999-11-24
US6113043A (en)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61990B (zh) 应用于潜望式镜头模组的棱镜装置和潜望式镜头模组
CN114839825B (zh) 透镜驱动装置、摄影机模块及光学设备
US9736377B2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US6933584B2 (en) Solid state imaging device,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imaging unit including the same
KR100933013B1 (ko) 전자 장치 장착용 소켓
CN211741681U (zh) 摄像模块用光学系统
EP0442161A1 (en) Device for projecting television pictures
CN113132631B (zh) 摄像装置模块以及移动设备
US7359130B1 (en) Lens mount and alignment method
US20180024307A1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US4209745A (en) Interchangeable test head for loaded test member
US6218849B1 (en) Device for detecting proper mounting of an IC for testing in an IC testing apparatus
CN114460709A (zh) 用于摄像模组的驱动装置和摄像模组
CN110174742B (zh) 应用于潜望式镜头模组的棱镜装置和潜望式镜头模组
KR19980070341A (ko) 집적 회로 장치용 마운트
US20070229949A1 (en) Rear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H06510171A (ja) 仮想的接触カラーフィルムスキャナのためのフィルムゲート装置
KR101573725B1 (ko) 카메라 모듈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
CN114911025B (zh) 一种潜望式镜头驱动装置、摄像装置及移动终端
JP200403214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217181355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KR100418860B1 (ko) 카메라 모듈의 조립 장치
CN114637124A (zh) 底座组件和镜头驱动机构
JP2000069336A (ja) 撮像装置の取付け構造
JP3317436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試験接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