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907A - Electric Wheelchair - Google Patents

Electric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907A
KR19980069907A KR1019970041822A KR19970041822A KR19980069907A KR 19980069907 A KR19980069907 A KR 19980069907A KR 1019970041822 A KR1019970041822 A KR 1019970041822A KR 19970041822 A KR19970041822 A KR 19970041822A KR 19980069907 A KR19980069907 A KR 19980069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ipe
electric wheelchair
driv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05617B1 (en
Inventor
다케자와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오다시게루
가부시키가이샤나부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다시게루, 가부시키가이샤나부코 filed Critical 오다시게루
Publication of KR1998006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9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6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08Wheelchairs having brakes for gradually slowing down th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62K5/007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power-dri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과제) 소형 경량화의 달성에 의하여 취급이 용이한 전동휠체어를 제공한다.(Problem) Provides an electric wheel chair that is easy to handle by achieving small size and light weight.

(해결수단) 구동륜(2)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유니트(U)의 케이싱을 측면 프레임(10)의 구성요소로 한다.(Solution means) A casing of the drive unit U that transmits power to the drive wheels 2 is a component of the side frame 10.

Description

전동휠체어Electric Wheelchair

본 발명은 전동휠체어에 관하고, 특히, 구동장치를 구비한 측면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chair, and in particular, to the structure of a side frame with a drive.

종래, 전동휠체어의 의자가대(架台)는 파이프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장치는 파이프 프레임 간의 빈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었다(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8-150179호 공보, 미국특허 제5,161,630 및 미국특허 제5,186,269참조).Conventionally, the chair stand of an electric wheelchair is formed of a pipe frame, and a drive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rive wheels is disposed in an empty space between the pipe frames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150179). , US Pat. No. 5,161,630 and US Pat. No. 5,186,269).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파이프 프레임의 의자가대로서의 내하중성을 고려하여 구성되고, 한편, 구동장치는 구동시의 회전토크를 받기 위한 강도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그리고 소정의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파이프 프레임 및 구동장치를 구조적으로 조합하여, 전동휠체어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고 있었다. 그 결과, 전동휠체어는 대형으로 되고, 중량도 늘기 때문에, 취급의 용이성이 저해되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electric wheel chair as described above, the chair of the pipe frame is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resistance as a stand, while the driving device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for receiving rotational torque during driving. 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electric wheelchair was constructed by structurally combining the pipe frame and the driving device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As a result, since the electric wheelchair became large and the weight increased, the ease of handling was impair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소형 경량화의 달성에 의하여 취급이 용이한 전동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n view of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wheel chair that is easy to handle by achieving small size and light weight.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전동휠체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동휠체어의 배면도이다.FIG. 2 is a rear view of the electric wheelchair shown in FIG. 1.

도 3은 구동부 유니트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drive unit.

도 4는 구동부 유니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rive unit.

도 5는 본 발명의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전기 제어 계통의 접속도이다.5 is a connection diagram of an electric control system in the electric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는 구동륜의 바퀴지름이 22인치의 경우의 본 발명의 전동휠체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ctric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heel diameter of the drive wheel is 22 inche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휠체어 본체 2: 구동륜 10: 측면 프레임1: wheelchair body 2: driving wheel 10: side frame

11: 백 파이프 11b: 하 파이프부 11c: 부착부11: Bag pipe 11b: Lower pipe part 11c: Attachment part

16: 베이스 파이프 51: 케이싱 51c: 턱부16: base pipe 51: casing 51c: jaw

U: 구동부 유니트U: drive unit

본 발명은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가 의자가대를 구성하는 양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하우징으로서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이 케이싱이 측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청구항 1).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wheel chair provided with a drive frame for transmitting power to drive wheels on both side frames forming a chair mount, wherein the drive device includes a casing as a housing, and the casing constitutes a part of the side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claim 1).

이와같이 구성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는 구동장치의 케이싱이 측면 프레임의 일부로 되므로, 그 만큼 구조부재가 생략되고, 의자가대의 소형 경량화에 기여한다.In the electric wheel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sing of the drive device becomes part of the side frame, the structural member is omitted by that amount, contributing to the compact weight of the chair mount.

상기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모터, 감속기 및 상기 구동륜의 차축과 접속되는 축받이부를 이 차축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과 동심으로 배치하여 이루는 것으로도 좋다(청구항 2).In the electric wheel chair, the drive device may be formed by arranging a bea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axle of the motor, the reducer and the drive wheel concentrically with a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le (claim 2).

이와같이 구성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는 동심 배치에 의하여 구동장치는 콤팩트한 구성을 얻을 수가 있다.In the electric wheel chair configured in this way, the drive device can obtain a compact structure by concentric arrangement.

또, 상기 전동휠체어(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싱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 두께의 중심이 이 케이싱을 제외한 상기 측면 프레임의 동방향에 있어서 두께의 중심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도 좋다(청구항 3).In the electric wheelchair (claim 2), the casing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center of the thicknes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thickness in the same direction of the side frame except the casing (claim 3). ).

이와같이 구성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는 구동장치의 중심(重心)과 측면 프레임에 걸리는 하중방향과를 대략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강도를 필요 최소한으로 한정시킬 수가 있다. 또 차체의 안쪽으로의 케이싱의 돌출량이 적다.In the electric wheel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can be limited to the minimum necessary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oad direction applied to the side frame can be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each other. Moreover,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casing to the inside of the body is small.

또, 상기 전동휠체어(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싱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백 파이프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청구항 4).In the electric wheelchair (claim 2), the casing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pipe of the side frame (claim 4).

이와같이 구성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는 승객의 체중이 가장 많이 부하되는 백 파이프에 대하여 케이싱이 직접 고정되므로 휠체어의 내하중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구동륜과 종동륜(캐스터)과의 사이의 차축간 거리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전동휠체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In the electric wheel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asing is directly fixed to the bagpipe in which the weight of the passenger is most loaded, thereby increasing the load resistance of the wheelchair.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axles between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en wheel (caster) can be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 wheel chair can be ensured.

또, 상기 전동휠체어(청구항 4)에 있어서, 케이싱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백 파이프의 하단부와 다른 파이프와의 사이에 3점 지지로 접속되어, 그 중의 2점은 상기 백 파이프와의 접속이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청구항 5).In the electric wheelchair (claim 4), the casing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ack pipe of the side frame and another pipe by three-point support, and two of them are connected to the back pipe. (Claim 5).

이와같이 구성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케이싱은 강도를 확보하기 쉬운 백 파이프에 직접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구동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휠체어의 내하중성이 더욱 향상한다.In the electric wheel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asing is directly and firmly fixed to the bagpipe which is easy to secure the strength, thereby preventing the twisting of the driving wheel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load resistance of the wheelchair.

또, 상기 전동휠체어(청구항 5)에 있어서, 케이싱은 상기 백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2점 지지용의 부착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일 지라도 좋다(청구항 6).In the electric wheelchair (claim 5), the casing may be connected to an attachment portion for two-point support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g pipe (claim 6).

이와같이 구성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는 부착부를 사용하여 케이싱과의 견고한 접속을 할수 있으므로, 구동륜의 바퀴지름에 응하여 백 파이프의 길이를 조절(예를들면 절단) 하더라도 접속에 단점이 생기지 않는다.In the electric wheelchai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ttachment part can be used for firm connection with the casing, even if the length of the bagpipe is adjusted (for example, cut) in response to the wheel diameter of the driving wheel, there is no disadvantage in connection.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전동휠체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배면도이다. 이 전동휠체어는 간호자에 의하여 휠체어 본체(의자가대)(1)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응한 구동력을 보조동력으로서 좌우 한쌍의 구동륜(2)에 부여하여 이 구동륜(2)을 회전구동시키는 방식의 것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rear view. The electric wheelchair is a method of rotating the driving wheel 2 by applying a driving force in response to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wheelchair main body (chair stand) 1 by the nurse to the left and right pair of driving wheels 2 as auxiliary powers. will be.

상기 한쌍의 구동륜(2)은 각각에 대응시켜 설치된 구동장치로서의 구동부 유니트(U)를 통하여 휠체어 본체(1)의 후부 양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휠체어 본체(1)의 전방부 양측에는 케스터(3)가 설치되어 있다.The pair of drive wheels 2 are attached to both rear portions of the rear part of the wheelchair body 1 through a drive unit U as a drive device provided correspondingly to each other. In addition, casters 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wheelchair body 1.

상기 휠체어 본체(1)는 금속파이프에 의하여 형성된 좌우 한쌍의 측면 프레임(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측면 프레임(10)은 휠체어 본체(1)의 후부에 입설된 백 파이프(11)와, 후단부가 백 파이프(11)에 접합되어 전방으로 뻗은 암파이프(12)와 이 암파이프(12)의 전단부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뻗은 프론트 파이프(13)와 상기 백 파이프(11)와 프론트 파이프(13)와를 연결하는 시트 파이프(14)와, 상기 프론트 파이프(13)의 하방에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뻗은 다리파이프(15)와 상기 시트 파이프(14)의 하방으로 배치되어 차제의 전방에서 다리파이프(15)와 접속된 베이스 파이프(16)와, 상기 시트 파이프(14)와 베이스 파이프(16)와의 사이에 가설되어, 시트 파이프(14)의 전단부 근방에서 하방으로 뻗은 캐스터 브래킷(17)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 유니트(U)는 상기 백 파이프(11)의 하단부에 설치된 부착부(11c)와 상기 베이스 파이프(16)와의 사이에 지지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고정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The wheelchair body 1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10 formed by a metal pipe. The side frame 10 includes a bag pipe 11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wheelchair body 1, an arm pipe 12 joined to the bag pipe 11 and extended forward, and the arm pipe 12 of the arm pipe 12. The front pipe 13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front end, the seat pipe 14 connecting the back pipe 11 and the front pipe 13, and the leg pipe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front pipe 13; The base pipe 16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15 and the said seat pipe 14, and connected with the leg pipe 15 from the front of a vehicl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said seat pipe 14 and the base pipe 16. The caster bracket 17 extends downward from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 of the sheet pipe 14. The drive unit U is supported and fixed between the attachment portion 11c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g pipe 11 and the base pipe 16. The detail of this support fixing is mentioned later.

상기 휠체어 본체(1)는 중앙부가 회동 자유로이 축고정된 X자 모양의 크로스바(18, 19)에 의하여, 좌우 한쌍의 상기 측면 프레임(10)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들의 크로스바(18, 19)의 동작에 의하여 차체의 폭이 작게 되도록 절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백 파이프(11)는 상 파이프부(11a)와 하 파이프부(11b)와를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고, 연결부에 설치된 핀(37)을 떼므로서, 그립(34)과 함께 상파이프부(11a)를 도 1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콤팩트하게 절첩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wheelchair body 1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s 10 to each other by X-shaped crossbars 18 and 19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pivotally freely fixed. By the operation of these crossbars 18 and 19, it is the structure which can be folded so that the width | variety of a vehicle body may become small. In addition, the bag pipe 11 has the structure which connected the upper pipe part 11a and the lower pipe part 11b, and removes the pin 37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pipe part with the grip 34 is carried out. In FIG. 1, 11a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it can be folded compactly.

상기 시트 파이프(14)의 좌우간에는 승객이 착좌하기 위한 착좌시트(41)가, 그리고 상기 백 파이프(11)의 좌우간에는 등받이 시트(42)가 각각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2참조). 또, 상기 다리파이프(15)의 하단부에는 승객의 발을 놓기 위한 푸드 플레이트(31)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백 파이프(11)의 상부에는 간호자가 잡는 그립(34)이 설치되어 있어, 이 그립(34)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도시하지 않는 검지수단(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8-47114호 참조)이 검지하고, 이 가압력에 따른 구동력을 구동부 유니트(U)가 보조동력으로서 한상의 구동륜(2)에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백 파이프(11)에는 브레이크 레버(35)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 본예는 구동륜(2)의 직경이 16인치의 경우를 표시되어 있고, 이 경우, 브레이크 레버(35)는 백 파이프(11)에 부착되어 차제 후방에 배치되지만, 구동륜(2)이 22인치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레버(35)는 시트파이프(14)에 부착되어 차제 전방으로 배치된다.A seat seat 41 for seating a passenger is se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eats of the seat pipe 14, and a back seat seat 42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eats of the bag pipe 11, respectively (see FIG. 2).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leg pipe 15 is attached to the food plate 31 for placing the foot of the passenger.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bag pipe 11 is provided with a grip 34 that the nurse grasps, and a detecting means that does not show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grip 34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47114, for example). It detects this an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drive part unit U may give the drive wheel 2 of one phase as auxiliary power to the drive force according to this pressing force. In addition, a brake lever 35 is attached to the bag pipe 11. Further, this example shows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drive wheel 2 is 16 inches, in which case the brake lever 35 is attached to the bag pipe 11 and disposed behind the vehicle, but the drive wheel 2 is 22 inches. In the case of the brake lever 35 is attached to the seat pipe 1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vehicle.

승객의 팔금치를 놓는 암 레스트(32)는 암 파이프(12)를 덮도록 설치되어 백 파이프(11)와 프론트 파이프(13)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암레스트(32)는 팔금치 놓기 위한 부재임과 동시에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S)에 배터리(33)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터리(33)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32)의 후방에서 소정 위치까지 삽입하면, 배터리(33)의 전극(33t)이 암 레스트(32)의 내부에 설치된 수전단자(受電端子; 도시하지 않음)에 자동적으로 접속된다. 이 수전단자는 케이블(C3)과 접속되어 있다.An arm rest 32 for placing a passenger's armchair is installed to cover the arm pipe 12 and is fixed to the bag pipe 11 and the front pipe 13 with bolts or the like. The armrest 32 is a member for placing the palm bracelet and is capable of storing the battery 33 in the space S formed therein. When the battery 33 is inserted in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from the rear of the arm rest 32 as shown in FIG. 1, the power receiving terminal 33t of the electrode 33 of the battery 33 is provided inside the arm rest 32. ; Not shown). This power receiv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able C3.

한쌍의 측면 프레임(10)의 각각의 프론트 파이프(13)와 백 파이프(11)와의 사이에는 착좌시트(41)(도 2)에 앉은 승객의 의류등이 측면 프레임(10)에서 차 밖으로 불거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알루미늄 판으로 이루어지는 측면받이(4)가 설치되어 백 파이프(11), 암 파이프(12), 프론트 파이프(13) 및 시트 파이프(14)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각 측면받이(4)에는 구동부 유니트(U)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등을 수용하는 제어부 케이스(7)가 설치되어 있다.Between the front pipe 13 and the back pipe 11 of each of the pair of side frames 10, the clothing of the passenger sitting on the seat 41 (FIG. 2) is blown out of the vehicle from the side frame 10. In order to prevent this, a side stand 4 made of a thin aluminum plate is provided and screwed to the bag pipe 11, the arm pipe 12, the front pipe 13, and the seat pipe 14. Each side support 4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rt case 7 for accommodating a control circuit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drive unit U.

상기 제어부 케이스(7)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품으로 이루어지는 얕은 용기모양의 것이고, 그 개구측의 측면을 상기 측면받이(4)에 따르게 한 상태로, 이 측면받이(4)에 나사고정되어 있고, 또, 제어부 케이스(7)의 측면에는 내장하는 제어회로등의 냉각을 촉진하기 위한 복수조의 핀(71)이 돌출설치되어 있다.The said control part case 7 is a shallow container shape which consists of aluminum die-cast articles, is screwed to this side support 4 in the state which made the side of the opening side along the said side support 4, A plurality of sets of pins 7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case 7 for promoting cooling of a control circuit or the like to be built in.

제어부 케이스(7)는 케이블(C1, C3 및 C4)를 통하여 각각 그립(34), 배터리(33) 및 구동부 유니트(U)와 접속되어 있다. 또 좌우 한쌍의 제어부 케이스(7) 사이는 잼퍼선(Cm)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The control part case 7 is connected with the grip 34, the battery 33, and the drive unit U via cables C1, C3, and C4, respectively. In addi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ontrol part casings 7 are connected via a jamper line Cm.

다음에 구동부 유니트(U)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구동부 유니트(U)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Nex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rive unit U will be described. 3 and 4 are sid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drive unit U, respectively.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 유니트(U)는 구동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으로서의 케이싱(51)의 일부가 턱부(51c)로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51)의 중심선과 백 파이프(11)의 중심선이 공통의 중심선(CL)으로 되도록, 턱부(51c)의 상부 2개소가 백 파이프(11)의 하단부에 설치된 부착부(11c)에 체결되어 있다. 이로서 구동부 유니트(U)의 케이싱(51)은 백 파이프(11)와 함께 차체의 지주로 되고, 측면 프레임(10)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더욱, 턱부(51c)의 하부 1개소가 베이스 파이프(16)에 체결됨으로서 케이싱(51)은 3점 지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drive unit U, a part of the casing 51 serving a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drive device is the jaw portion 51c. And the upper two places of the jaw part 51c are attached to the attachment part 11c provid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bag pipe 11 so that the center line of the casing 51 and the center line of the bag pipe 11 may become a common center line CL. It is fastened. As a result, the casing 51 of the drive unit U becomes a prop of the vehicle body together with the bag pipe 11 and forms part of the side frame 10. Furthermore, the casing 51 is supported by three points by being fastened to the base pipe 16 by the lower one part of the jaw part 51c.

구동부 유니트(U)의 내부의 구동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싱(51)의 내부에, 모터(52)와, 이 모터(52)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2단 감속구조의 감속기(53)와, 이 감속기(53)를 통하여 모터(52)의 구동력을 출력하는 출력부(54)와, 구동륜(2)의 차축(21)을 회전 자유로이 지지하는 베어링(55)과를 설치한 것이다. 이 베어링(55)은 차축(21)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L)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drive device inside the drive unit U has a motor 52 and a reduction gear of a two-stage reduction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52 is input into the casing 51. 53, an output unit 54 for outpu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2 through the reduction gear 53, and a bearing 55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axle 21 of the driving wheel 2 is provided. . This bearing 55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le 21.

모터(52)는 박형의 평반모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체가 구동륜(2)의 차축(21)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L)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motor 52 is comprised by the thin flat plate motor, and the whole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L which passes through the rotation center of the axle 21 of the drive wheel 2.

감속기(53)는 상기 모터(52)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차축(21)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L)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감속기(53)는 모터(52)의 회전축(52a)에 연결된 태양기어(53a)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기어(53b)를 배치하고, 각 유성기어(53b)를 링기어(53c)에 내접상태에서 맞물린 유성기어식 감속기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reduction gear 53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L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center of the axle 21 in the state facing the motor 52. The speed reducer 53 arranges a plurality of planetary gears 53b around the sun gear 53a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2a of the motor 52, and integrates each planetary gear 53b to the ring gear 53c. It is composed of a planetary gear reducer engaged in a state.

상기와 같이, 모터(52), 감속기(53) 및 베어링(55)이 차축(21)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L)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서, 구동부 유니트(U)는 콤팩트한 구조로 되므로, 케이싱(51)을 측면 프레임(10)의 일부로서 사용하더라도, 주변부재와의 간섭이 생기지 않는다. 또, 부착도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tor 52, the reducer 53, and the bearing 55 are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le 21, the drive unit U has a compact structure. Therefore, even if the casing 51 is used as part of the side frame 10, no interference with the peripheral member occurs. Moreover, it is easy to attach.

구동부 유니트(U)의 출력부(54)는 출력축(54a)의 일단부에 원판상의 플랜지부(54b)를 일체형성한 것이고, 상기 플랜지부(54b)는 출력축(54a)이 감속기(53)의 각 유성기어(53b)와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각 유성기어(53b)의 지지축(53d)에 연결되어 있다. 이 출력부(54)는 차축(21)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L)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output portion 54 of the drive unit U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disc-shaped flange portion 54b at one end of the output shaft 54a. The flange portion 54b has an output shaft 54a of the reducer 53. I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53d of each planet gear 53b so that it may rotate integrally with each planet gear 53b. This output part 54 is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le 21.

상기 베어링(55)은 도면의 경우 복열 볼 베어링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55)에 대하여도 차축(21)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L)과 동심으로 설치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figure, the said bearing 55 is comprised by the double row ball bearing, and this bearing 55 is also provided concentrically with the axis L which passes the rotation center of the axle 21.

차축(21)은 상기 출력축(54a)과 동심으로 일체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55)을 통하여 케이싱(51)에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이 차축(21)의 선단측은 구동륜(2)의 허브(22)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구동륜(2)은 차축(21)의 선단부에 설치된 수나사(21a) 및 이에 나사맞춤된 너트(N1)에 의하여 차축(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The axle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put shaft 54a concentrically, and a rotational freedom path is supported by the casing 51 via the bearing 55. The front end side of the axle 21 is fitted to the hub 22 of the drive wheel 2, and the drive wheel 2 is connected to the male screw 21a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axle 21 and the nut N1 screwed thereto. It attaches to the axle 21 so that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동부 유니트(U)의 케이싱(51)이 측면프레임(1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므로서, 케이싱(51)은 회전토크를 받는 구조부재임과 동시에, 의자가대를 구성하는 측면 프레임(10)의 일부로서의 하중을 받는 구조부재이기도 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하면, 부재의 겸용에 의하여, 부재의 점유 공간의 감소와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이점이 얻어진다. 예를들면, 승객의 체중이 가장 많이 부하되는 백파이프(11)에 대하여 케이싱(51)이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휠체어의 내하중성이 높아진다. 또, 실질적으로 차체의 최후부에 있는 백파이프(11)에 직접 케이싱(51)이 부착되어 있으므로서, 구동륜(2)과 캐스터(3)와의 사이의 차축간 거리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전동휠체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백파이프(11)와 연결하여 있으므로서, 구동부 유니트(U)에 걸리는 회전토크를 백파이프(11)와 함께 지지하는 것으로 되므로, 백파이프(11)는 다른 파이프부에 비하여 강도를 확보하기 쉽기 때문에, 하중을 부담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51)과 백파이프(11)와는 공동의 중심선(CL)상에 있으므로, 전동휠체어의 전중량의 태반이 차축에 걸리더라도, 도 1에 도시하는 측면상에 있어서는 백파이프(11)에 대한 굽힘 모멘트가 작다. 따라서 백파이프(11)에 요구되는 강도도 최소한으로 충분하게 된다.Since the casing 51 of the drive unit unit U constitutes a part of the side frame 10 as described above, the casing 51 is a structural member receiving rotational torque and at the same time the side frame constituting the chair mount ( It is also a structural member subjected to a load as part of 10). With such a configuration, not only can the member occupy a reduction in space and weight, but also various advantage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since the casing 51 is directly fixed to the bagpipe 11 to which the weight of the passenger is most loaded, the load resistance of the wheelchair is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casing 51 is directly attached to the bagpipe 11 substantially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axles between the drive wheel 2 and the caster 3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electric wheelchair Stability can be secured.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al torque applied to the drive unit U is supported together with the bagpipes 11 by being connected to the bagpipes 11, the bagpipes 11 are more easily secured than other pipe parts. It is easy to bear the load. 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sing 51 and the bagpipes 11 are on the common center line CL, even if the placenta of the full weight of the electric wheelchair is caught by the axle, the bagpipes ( The bending moment for 11) is small. Therefore, the strength required for the bagpipes 11 is also at least sufficient.

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 유니트(U)의 케이싱에 수납된 부분의 두께(차폭 방향의)의 중심위치는 백파이프(11)의 (다시 말하면 측면 프레임(10)의) 방향에 있어서 중심위치와 거이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부 유니트(U)의 중심과 측면프레임(10)에 걸리는 하중 방향과는 대략 일치시킬 수가 있다. 그 결과, 케이싱(51)의 강도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차체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또 차체의 안쪽으로의 케이싱(5)의 돌출량이 적으므로, 차체를 절첩하는 (폭방향으로 작아지도록) 경우에도 절첩 동작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center position of the thicknes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casing of the drive unit U is in the direction of the bag pipe 11 (that is, in the side frame 10). It is almost identical to the center position. Therefore, the center of the drive unit U and the load direction applied to the side frame 10 can be substantially matched.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casing 51 can be suppressed to the minimum necessary, contributing to the weight reduction of the vehicle body. Moreover, since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casing 5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is small, the folding operation is not disturbed even when the vehicle body is folded (to be smaller in the width direction).

도 5는 전기제어 계통의 접속도이다. 차체의 우측에 부착되는 제어부 케이스(7)(도면의 우측) 내의 회로는 제어회로(701), 전원회로(702), 및 구동회로(70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제어부 케이스(7)의 외면에는 전원회로(702)와 접속된 스위치(704) 및 배터리 잔량의 표시등(705), 및 5개의 커넥터(706∼7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립(34)은 케이블(C1) 및 커넥터(706)를 통하여 제어회로(701)와, 충전기(36)는 케이블(C2) 및 커넥터(707)을 통하여 전원회로(702)와, 배터리(33)는 케이블(C3) 및 커넥터(708)를 통하여 전원회로(702)와 구동부 유니트(U)는 케이블(C4) 및 커텍터를 통해서 구동회로(703)와 각각 접속된다. 다만, 충전기(36)는 통상의 사용할 때에는 접속되지 않고, 충전시에만 접속된다. 제어회로(701), 전원회로(702) 및 구동회로(703)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회로(701) 및 전원회로(702)는 커넥터(710)와 접속되어 있다.5 is a connection diagram of the electric control system. The circuit in the control part case 7 (right side of a figure) attached to the right side of a vehicle body is comprised by the control circuit 701, the power supply circuit 702, and the drive circuit 703.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switch 704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702, an indicator light 705 for remaining battery power, and five connectors 706 to 71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case 7. The grip 34 is the control circuit 701 via the cable C1 and the connector 706, the charger 36 is the power circuit 702 and the battery 33 via the cable C2 and the connector 707. The power supply circuit 702 and the drive unit U are connected to the drive circuit 703 through the cable C4 and the connector through the cable C3 and the connector 708, respectively. However, the charger 36 is not connected during normal use but is connected only during charging. The control circuit 701, the power supply circuit 702, and the drive circuit 70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trol circuit 701 and the power supply circuit 70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710.

한편, 차체의 좌측에 부착되는 제어부 케이스(7)(도면의 좌측)내에는 구동회로(703)만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 케이스(7)의 외면에는 4개의 커넥터(706, 708, 709 및 7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립(34)은 커넥터(706)를 통하여 커넥터(710)와, 배터리(33)는 커넥터(708)를 통하여 커넥터(710)와, 구동부 유니트(U)는 커넥터(709)를 통하여 구동회로(703)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구동회로(703)는 커넥터(710)와 접속되어 있다. 좌우의 제어부 케이스(7)는 각 커넥터(710) 끼리의 상응하는 단자가 집약 배선으로서 잼퍼선(Cm)을 통하여 접속되므로서 상호 접속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ly the drive circuit 703 is provided in the control part case 7 (left side of the figure) attach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body. Four connectors 706, 708, 709, and 71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part case 7. The grip 34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710 through the connector 706, the battery 33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710 through the connector 708, and the driving unit U is connected to the drive circuit 703 through the connector 709. ), Respectively. The drive circuit 7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710. The control unit cases 7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corresponding terminals of the respective connectors 710 through the jamper wire Cm as integrated wiring.

더욱,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동륜(2)이 16인치의 경우의 구성을 표시하였지만, 타의 바퀴지름의 경우에도 꼭같은 차체 구조를 구성할 수가 있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the drive wheel 2 is 16 inches is shown, but in the case of other wheel diameters, the same vehicle body structure can be configured.

도 6은 구동륜(2)이 22인치인 경우의 전동휠체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와의 비교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바퀴지름에 맞추어서 구동부 유니트(U)의 부착 위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도 6에 있어서 백파이프(11)는 도 1의 백파이프(11) 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백파이프(11)의 길이를 조정(예를들면 절단) 함으로서, 구동부 유니트(U)를 바퀴지름에 맞춘 위치에서 지지고정할 수가 있다.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wheel chair when the drive wheel 2 is 22 inches.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those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apparent from the comparison with FIG. 1,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drive unit U increases with the wheel diameter, so that the bagpipes 11 are shorter than the bagpipes 11 of FIG. 1. Thus, by adjusting (for example, cutting) the length of the bag pipe 11, the drive unit U can be supported and fixed at a position matched to the wheel diameter.

더욱, 상기 각 실시형태는 절첩하는 식의 전동휠체어를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전동휠체어에 있어서 차체구조는 절첩하는 식 이외의 전동휠체어에도 꼭같이 적용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Moreover, although each said embodiment showed the electric wheelchair of folding type, in the electric wheelchair of this invention, a vehicle body structure can be applied to electric wheel chairs other than the folding type, and can be implemented.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휠체어는 후륜을 구동륜으로 하는 후륜 구동식의 구성이지만, 본 발명은 전륜구동식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도 1에 있어서, 캐스터 브래킷(17)을 적당한 길이로 조정하여, 이에 직접 구동부 유니트(U)의 케이싱(51)을 접속하고, 후륜을 캐스터로 하면, 케이싱(51)이 측면 프레임(10)의 일부를 구성한 전륜구동식의 전동휠체어가 얻어진다.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lectric wheel chair is a structure of the rear wheel drive type which makes a rear wheel the drive wheel,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structure of a front wheel drive type. For example, in FIG. 1, when the caster bracket 17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ngth, the casing 51 of the drive unit U is directly connected to it, and the rear wheel is the caster. A front wheel drive-type electric wheelchair that forms part of (10) is obtain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청구항 1의 전동휠체어에 의하면, 구동장치의 케이싱이 측면 프레임의 일부로 되므로, 그만큼 구조 부재가 생략되고, 의자가대의 소형 경량화에 기여한다. 따라서, 전동휠체어는 소형경량화되어 취급도 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electric wheelchair of Claim 1, since the casing of a drive device becomes part of a side frame, a structural member is omitted by that much and contributes to the compact weight reduction of a chair mount. Therefore, the electric wheelchair is light in size and easy to handle.

청구항 2의 전동휠체어에 의하면, 동심 배치에 의하여 구동부 유니트는 콤팩트한 구성을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구동부 유니트가 다른 구조부재와 간섭하는 일도 없고, 프레임의 일부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 wheelchair of Claim 2, a compact structure can be obtained by the drive unit by concentric arrangement. Therefore, the drive unit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structural members, and can be suitably used as part of the frame.

청구항 3의 전동휠체어에 의하면, 구동유니트의 무게 중심과 측면 프레임에 걸리는 하중 방향을 대략 일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강도를 필요 최소한에 한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 차체의 안쪽으로의 케이싱의 돌출량이 적으므로, 절첩 식의 전동휠체어의 경우에도 절첩하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electric wheel chair of claim 3,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rive unit and the load direction applied to the side frame can be substantially coincident, the strength can be limited to the minimum required. Therefore, weight reduction is achieved. Moreover, since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casing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is small, the folding operation is not prevented even in the case of a folding-type electric wheelchair.

청구항 4의 전동휠체어에 의하면 승객의 체중이 가장 많이 부하되는 백파이프에 대하여 케이싱이 직접 고정되게 되므로, 휠체어의 내하중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구동륜과 종동륜(캐스터)과의 사이의 차축간 거리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전동휠체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게다가, 이와같은 전동휠체어의 구성은 휠체어 전체의 중량의 대부분이 집중하는 차축을 백파이프의 측면의 중심선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백파이프에 걸리는 굽힘 모멘트도 작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강도도 비교적 작고, 경량화 소형화를 도모하기 쉽다.According to the electric wheelchair of claim 4, since the casing is directly fixed to the bagpipe in which the weight of the passenger is most loaded, the load resistance of the wheelchai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axles between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en wheel (caster) can be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 wheel chair can be ensured.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wheelchair can be arranged on the centerline of the side of the bagpipe, in which most of the weight of the wheelchair is concentrated, the bending moment applied to the bagpipe is small. Therefore, the required strength is also relatively small, and it is easy to reduce the weight and size.

청구항 5의 전동휠체어에 의하면, 케이싱은 강도를 확보하기 쉬운 백파이프에 직접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고, 구동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하중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고정부재등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경량화도 도모된다.According to the electric wheelchair of claim 5, the casing is directly and firmly fixed to the bagpipe which is easy to secure the strength, so that sufficient strength can be obtained, and torsion of the driving wheel can be prevented, and the load resistance is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since a fixing member or the like is not required separately, the weight can be reduced.

청구항 6의 전동휠체어에 의하면, 부착부를 사용하여, 케이싱과의 견고한 접속을 할수 있으므로 구동륜의 바퀴지름에 따라서 백파이프의 길이를 조절(예를들면 절단)하더라도 접속에 단점이 생기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electric wheel chair of claim 6, since the attachment part can be used for firm connection with the casing, even if the length of the bagpipe is adjusted (for example, cut) according to the wheel diameter of the driving wheel, there is no disadvantage in connection.

Claims (6)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가 의자가대를 구성하는 양측면 프레임에 설치된 전동휠체어에 있어서,In the electric wheel chair provided on both side frames of the chair mount is a drive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drive wheels, 상기 구동장치는 하우징으로서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이 케이싱이 측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The drive device includes a casing as a housing, and the casing constitutes a part of the sid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 감속기 및 상기 구동륜의 차축과 접속되는 베어링부를 이 차축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축선과 동심으로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2. The electric wheel 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device comprises a bea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axle of the motor, the reducer, and the driving wheel, concentrically with a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차폭 방향에 있어서 두께의 중심이 이 케이싱을 제외한 상기 측면 프레임의 동일방향에 있어서 두께의 중심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3.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sing is arranged such that the center of thicknes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ickness in the same direction of the side frame except for the ca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백 파이프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3.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sing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g pipe of the side 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백 파이프의 하단부와 다른 파이프와의 사이에 3점 지지로 접속되고, 그 중의 2점은 상기 백 파이프와의 접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5.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asing is connected by a three-point suppor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ag pipe of the side frame and another pipe, two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g pip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백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된 2점 지지용의 부착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휠체어.6. The electric wheelchai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asing is connected to an attachment portion for supporting two point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g pipe.
KR1019970041822A 1997-01-31 1997-08-28 Motorized wheelchairs KR10020561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2912A JPH10211239A (en) 1997-01-31 1997-01-31 Electric wheelchair
JP97-32912 199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907A true KR19980069907A (en) 1998-10-26
KR100205617B1 KR100205617B1 (en) 1999-07-01

Family

ID=1237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822A KR100205617B1 (en) 1997-01-31 1997-08-28 Motorized wheelchair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211239A (en)
KR (1) KR100205617B1 (en)
TW (1) TW38603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113A (en) * 2001-04-06 2002-10-15 Fuji Heavy Ind Ltd Auxiliary driving unit
DE102008063450B4 (en) * 2008-12-17 2019-09-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of a component and a component associated with this drive element
CN102357049A (en) * 2011-11-05 2012-02-22 陈戈平 Small wheel diameter electric manual wheelchair
KR20200067288A (en) 2018-12-03 2020-06-12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Wheelchair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WO2023272380A1 (en) 2021-06-29 2023-01-05 Game Changer Technologies Inc. Wheelchair propul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11239A (en) 1998-08-11
TW386032B (en) 2000-04-01
KR100205617B1 (en)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642B1 (en) Motorized scooter
JPH05261132A (en) Midget vehicle having adapter sleeve for folding chair
EP1452384B1 (en) Seat assembly for vehicle
JP2005507811A (en) Foldable personal mobility vehicle
KR100205617B1 (en) Motorized wheelchairs
KR20120114560A (en) Electric powered mode/manual mode convertable module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using the same
GB2269145A (en) Wheelchair wheel with self-contained motor
JP2000334001A (en) Motorized wheelchair
JPH10211240A (en) Electric wheelchair
JP2001224636A (en) Tumble preventive device for wheelchair
WO1992021550A1 (en) Knockdown electric motor-driven vehicle
KR100205356B1 (en) Motorized wheel chairs
US20200237589A1 (en) Electric wheelchair
JP3084205B2 (en) Electric wheelchair
JP3117690B2 (en) Electric wheelchair
JP3084206B2 (en) Electric wheelchair
JP3480195B2 (en) Clutch operating device for electric wheelchair
JP3430262B2 (en) Electric wheelchair
KR102665397B1 (en) Motorized device for manual wheelchair
JP3444582B2 (en) Electric wheelchair
JPH10151155A (en) Motor-driven wheelchair
JP3084204B2 (en) Electric wheelchair
JPH10211238A (en) Electric wheelchair
JPH08297521A (en) Operation device
JPH10118128A (en) Motor-driven wheel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