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059A -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059A
KR19980069059A KR1019970005932A KR19970005932A KR19980069059A KR 19980069059 A KR19980069059 A KR 19980069059A KR 1019970005932 A KR1019970005932 A KR 1019970005932A KR 19970005932 A KR19970005932 A KR 19970005932A KR 19980069059 A KR19980069059 A KR 1998006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matching
board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2708B1 (ko
Inventor
허비또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0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70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패킷 핸들러가 특정 정합만을 함으로서 가졌던 단점을 보완하여 모뎀, 옥내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SU : Digital Service Unit, 이하 DSU라 약칭함) 및 타임 스위치 정합 회로를 동시에 포함하면서, 상위의 테이터 정보에 따라 특정 정합 회로만을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상위 프로세서에서 정의된 패킷 핸들러 보드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알고서 각각의 위치에 정의된 패킷 핸들러 보드를 실장하여야만 하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패킷 핸들러 보드 내에 모든 정합 회로를 다 포함하고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보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분석한 뒤 해당 정합 회로를 구동 시킴으로써, 보드의 부품 수를 줄일 수있으며, 옳바른 정합을 보드 내에서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 데이터 패킷 망과 접속하여 패킷 서비스 제공시 링크 레벨 접속, 데이터 패킷 교환등 패킷 호처리 이벤트를 처리하는 패킷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패킷 핸들러가 특정 정합만을 함으로서 가졌던 단점을 보완하여 모뎀, 옥내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SU : Digital Service Unit, 이하 DSU라 약칭함) 및 타임 스위치 정합 회로를 동시에 포함하면서, 상위의 테이터 정보에 따라 특정 정합 회로만을 구동시켜 정합하는 유동적인 패킷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패킷 핸들러의 경우에는 각각의 정합 기능에 따라 타임 스위치 만을 정합한다거나 모뎀 또는 DSU 정합 만을 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위 프로세서에서 가지고 있는 패킷 핸들러의 실장 정보와 다른 패킷 핸들러 보드가 실장되었을 경우에는 전혀 동작할 수 없었다.
즉, 상위 프로세서에서 정의된 패킷 핸들러 보드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알고서 각각의 위치에 정의된 패킷 핸들러 보드를 실장하여야 했다.
예를 들면, 시스템의 첫 번째 위치에는 타임 스위치 정합용 패킷 핸들러 보드를 실장하여야 한다는 상위 프로세서의 정보를 파악하고서, 그 위치에는 타임 스위치 정합용 패킷 핸들러 보드를 실장하여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모뎀, DSU 및 타임 스위치 정합 회로들을 동시에 포함하면서, 상위의 데이터 정보에 따라 특정 정합 회로만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교환기에서의 모뎀, DSU, 타임 스위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중 패킷 데이터망과 접속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환기에 구비된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위의 테이터 정보에 따라 특정 정합 회로만을 구동시켜 정합하는 유동적인 패킷 핸들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X.25 및 X.75 처리를 수행하고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의 제어를 수행하는 패킷 처리 제어부와, 모뎀 정합 기능을 갖는 모뎀 정합부와, 옥내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SU : Digital Service Unit, 이하 DSU라 약칭함)와의 정합 기능을 갖는 DSU 정합부와, 교환기 내의 타임 스위치와 연결하기 위한 타임 스위치 정합부와, 타임 스위치 정합부, DSU 정합부, 타임 스위치 정합부 중 특정 정합 회로를 구동함으로써 실제 접속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정합 선택부와, 정합 선택부와 연결되어 비트 스트림(Bit Stream)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링크 레벨 접속 기능 및 링크 레벨의 LAPB(Balenced Mode Link Access Procedure) 처리를 수행하는 링크 레벨 처리부 및 패킷 처리 제어부와,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와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 간을 연결하는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며, 또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패킷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공통 패킷 메모리와,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의 상태를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신용 메모리와, 각각의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 내에서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와 접속하여 송수신 하는 패킷 데이터 정보를 정합하는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와, 모뎀 정합부, DSU 정합부 및 타임 스위치 정합부 등의 정합 회로와 연결되어 비트스트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링크 레벨 접속 기능 및 링크 레벨의 LAPB 처리를 수행하는 링크 레벨 처리부와, 패킷 처리 제어부,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 및 링크 레벨 처리부가 공통 패킷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하나의 블록에게 패킷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수행하는 패킷 메모리 중재부로 구성된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와 모뎀, 디에스유 및 타임 스위치 간의 정합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의 패킷 서비스 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에 대한 상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패킷 상위 프로세서110 :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112, 114, ..., 116 : 제 1, 제 2, ..., 제 N 패킷 핸들러
200 : 모뎀 정합부202 : DSU 정합부
204 : 타임 스위치 정합부210 : 정합 선택부
212 : 링크 레벨 처리부214 : 공통 패킷 메모리
216 : 통신용 메모리218 : 패킷 처리 제어부
220 : 패킷 메모리 중재부222 :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서비스장치의 블록도로서, 패킷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120), 패킷 링크 접속 및 패킷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한 제 1∼N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 제 1∼N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와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120)간 또는 제 1∼N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 간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정합 처리를 하기 위한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120)와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는 직렬 버스로 접속되고,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와 제 1∼N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 간에는 병렬 버스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병렬 버스는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인터럽트 요구 신호 전송 버스,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에 대한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알람 신호 전송 버스,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를 초기화시킬 수 있는 리셋 신호 전송 버스, 제어 신호 전송 버스, 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 전송용 버스,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전송용 버스, 롱워드 전송을 나타내는 LWORD신호 전송용 버스, 데이터 전송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 및 확인 응답 신호(DTACK)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등이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따라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에 대한 상세 블록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N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토콜(예를 들어 X.75, LAPB)에 대한 처리를 하고, 모뎀 정합부(300)는 각각의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 내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패킷 처리 제어부(218)의 제어에 의하여 공중 패킷 데이터망과의 접속을 위하여 V.28 권고안에 따라 물리적인 모뎀 정합 기능을 한다.
DSU 정합부(202)는 패킷 교환망과의 접속 및 V.35 권고안에 준해 물리적인 DSU 정합 기능을 갖으며,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는 가입자 간의 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타임 스위치와의 정합을 담당한다.
정합 선택부(210)는 V.28 권고안에 준해 물리적인 모뎀 정합 기능을 갖는 모뎀 정합부(200), 물리적인 DSU 정합 기능을 갖는 DSU 정합부(202) 및 교환기 내의 타임 스위치와 연결하기 위한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 중 특정 정합 회로를 구동함으로써, 실제 접속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링크 레벨 처리부(212) 및 패킷 처리 제어부(218)는 모뎀 정합부(200), DSU 정합부(202) 및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 등의 정합 회로와 연결되어 비트 스트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링크 레벨 접속 기능 및 링크 레벨의 LAPB(Balenced Mode Link Access Procedure) 처리를 수행한다.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222)는 병렬 버스를 통해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정합 처리를 한다.
통신용 메모리(216)는 패킷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공통 패킷 메모리(214)는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222)에서 다른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다른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데이터를 공통 패킷 메모리(202)에 저장할 때 이용하며, 패킷 처리 제어부(218)에서 패킷 레벨 처리를 수행할 때 이용한다.
그리고, 공통 패킷 메모리(214)는 통신용 메모리(216)에 할당되어 패킷 처리를 위하여 패킷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패킷 메모리 중재부(220)는 정합부 선택부(210), 링크 레벨 처리부(212),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222) 및 패킷 처리 제어부(218)가 공통 패킷 메모리(214)를 공유할 수 있도록 중재 처리하여 서로간에 메모리를 공유하도록하여 메모리로 인한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4 개의 상이한 블록들, 즉, 정합 선택부(210), 링크 레벨 처리부(212), 패킷 처리 제어부(218),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222)들이 하나의 공통 패킷 메모리(214)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저장 및 독출하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시, 메모리를 공유한 4 개의 블록이 상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재 로직으로 구성된 패킷 메모리 중재부(220)가 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에, 패킷 데이터의 흐름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패킷 데이터망을 통해 전송된 패킷 데이터가 교환기 내의 제 1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로 인가되면, 수신 인터럽트 처리 루틴이 설정되어 각각의 정합부(모뎀 정합부(200), DSU 정합부(202),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는 패킷 처리 제어부(218)의 제어에 의거하여 인가된 패킷 데이터에 대하여 정합 선택부에서 이를 수신하여 어떤 블록의 정합부와 정합하여야 하는 가를 판단하고, 어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야 하는 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수행된 결과를 공통 패킷 메모리(214)의 소정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패킷 처리 제어부(218)는 공통 패킷 메모리(21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정합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읽어 분석하고, 송신할 형태로 변환시킨 뒤 공통 패킷 메모리(214)의 또 다른 소정 영역에 저장시킨 다음 패킷 데이터 수신 카운트(또는 도착 데이터 카운트) 값을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패킷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하여 일정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면 패킷 처리 제어부(218)는 통신용 메모리(216)에 패킷 데이터 수신 상태를 알리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록한다.
도 3을 참조하여 패킷 핸들러와 모뎀, 디에스유 및 타임 스위치 간의 정합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패킷 핸들러 보드를 시스템에 실장시 보드는 전원이 줄어들면서, 보드내의 각 디바이스들을 초기화한다(단계 300).
보드내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인 초기화는 각 디바이스가 동작하기 위한 변수를 셋팅 시키는 과정이다.
이렇게하여 보드 내의 디바이스들이 초기화 되면 상위 프로세서에서 현재 자기 PBA(Printed Board Assembly) 정보를 기다려서, 상위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PBA 보드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302).
상위 프로세서로 보드로부터 PBA 정보를 수신하면, 상술한 정보를 분석한다(단계 304).
분석한 정보에 따라 해당 정합 회로를 구동시킨다(단계 306).
해당 정합 회로를 구동시키는 과정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세가지 모드, 즉,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를 구동시킬 것인지, 모뎀 정합부(200), 또는, DSU 정합부(202)를 구동시킬 것인지의 모드값을 수신한 다음 정합 선택부(210)에서 이들중 한 개의 링크를 인애이블(enable) 시키는 것이다.
즉, 정합 선택부(210) 는 모뎀 정합부(200), DSU 정합부(202),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와 각각의 버퍼를 통해 링크 레벨 처리부(212)와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로 중 한 개를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통으로 연결된 링크 레벨 처리부(212)는 모뎀 정합부(200), DSU 정합부(202),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 중 하나의 특정 정합부와 버퍼를 통해 정합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정합 회로를 구동시킨 다음 패킷 핸들러 보드는 상위 프로세서에게 패킷 처리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요구한다(단계 308).
상술한 단계 108에서 해당되는 보드의 패킷 처리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요구하여 해당 보드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한다(단계310).
일 예로, 타임 스위치 정합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가입자 접속용 X.25 처리 소프트웨어나 ISDN 중계선 접속용 처리 응용 소프트웨어를 수신한다.
모뎀용이나 DSU 용일 경우에는 공중 패킷 데이터 망과 직접 접속하기 위한 X.75 처리 응용 소프트웨어를 수신한다.
이렇게 해당 응용 소프트웨어를 수신한 다음에는 실제 정합부를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들을 해당 프로토콜에 맞게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312).
패킷 처리를 수행하다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PBA 경보 발생 요구에 대한 인터럽트를 수신하면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상술한 단계 102의 해당 보드의 PBA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변경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하여 패킷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킷 핸들러 보드 내에 모든 정합 회로를 다 포함하고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보드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분석한 뒤 해당 정합 회로를 구동 시킴으로써, 보드의 부품 수를 줄일 수있으며, 옳바른 정합을 보드 내에서 신속하게 처리하는 효과가 있다.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전술하였는데, 이러한 기술된 바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공중 패킷 데이터망과 접속하여 패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환기에 구비된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에 있어서,
    상위의 테이터 정보에 따라 특정 정합 회로만을 구동시켜 정합하는 유동적인 패킷 핸들러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X.25 및 X.75 처리를 수행하고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의 제어를 수행하는 패킷 처리 제어부(218)와,
    모뎀 정합 기능을 갖는 모뎀 정합부(200)와,
    옥내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SU : Digital Service Unit, 이하 DSU라 약칭함)와의 정합 기능을 갖는 DSU 정합부(202)와,
    교환기 내의 타임 스위치와 연결하기 위한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와,
    상기 패킷 처리 제어부(218)의 제어를 받아 상기 모뎀 정합부(200), DSU 정합부(202),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 중 특정 정합 회로를 구동함으로써, 실제 접속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정합 선택부(210)와,
    상기 정합 선택부(210)와 연결되어 비트 스트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링크 레벨 접속 기능 및 링크 레벨의 LAPB(Balenced Mode Link Access Procedure) 처리를 수행하는 링크 레벨 처리부(212) 및 패킷 처리 제어부(218)와,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와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120) 간을 연결하는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며, 또 패킷 상기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패킷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공통 패킷 메모리(214)와,
    상기 각각의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의 상태를 패킷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통신용 메모리(216)와,
    상기 각각의 패킷 핸들링 제어 보드(110∼113) 내에서 패킷 상기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100)와 접속하여 송수신 하는 패킷 데이터 정보를 정합하는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222)와,
    상기 패킷 처리 제어부(218), 상위 프로세서 접속기 정합부(222) 및 링크 레벨 처리부(212)가 상기 공통 패킷 메모리(214)를 억세스하여 한 순간에 하나의 블록에게 패킷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중재 역할을 수행하는 패킷 메모리 중재부(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 정합부(200), DSU 정합부(202) 및 타임 스위치 정합부(204) 등의 정합 회로와 연결되어 비트 스트림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링크 레벨 접속 기능 및 링크 레벨의 LAPB 처리를 수행하는 링크 레벨 처리부(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3. 공중 패킷 데이터망과 접속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환기에 구비된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방법에 있어서,
    패킷 핸들러 보드를 시스템에 실장시 보드는 전원이 줄어들면서, 보드내의 각 디바이스들을 초기화한 후 상위 프로세서에서 현재 자기 PBA 정보를 기다려서, 상위 프로세서 보드로부터 PBA 보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위 프로세서로 보드로부터 PBA 정보를 수신하면, 상술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한 정보에 따라 해당 정합 회로를 구동시키는 단계;
    해당 정합 회로를 구동시킨 다음 패킷 핸들러 보드는 상위 프로세서에게 패킷 처리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요구하여 해당 보드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
    해당 응용 소프트웨어를 수신한 다음에는 실제 정합부를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들을 해당 프로토콜에 맞게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방법.
KR1019970005932A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의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KR10024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932A KR100242708B1 (ko)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의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932A KR100242708B1 (ko)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의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059A true KR19980069059A (ko) 1998-10-26
KR100242708B1 KR100242708B1 (ko) 2000-02-01

Family

ID=1949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932A KR100242708B1 (ko) 1997-02-26 1997-02-26 교환기에서의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512A (ko) * 1998-03-20 1999-10-15 김영환 에이디에스엘 모뎀용 에이티엠 핸들러 운용방법
KR100340039B1 (ko) * 1999-12-23 2002-06-12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의 에지 라우터에서의분리/재결합 패킷 메모리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512A (ko) * 1998-03-20 1999-10-15 김영환 에이디에스엘 모뎀용 에이티엠 핸들러 운용방법
KR100340039B1 (ko) * 1999-12-23 2002-06-12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의 에지 라우터에서의분리/재결합 패킷 메모리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2708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3643B1 (en) Apparatus including a host processor and communications adapters interconnected with a bus
US4470114A (en) High speed interconnection network for a cluster of processors
EP0471354B1 (en) 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circuit
EP0366935B1 (en) High-speed switching system with flexible protocol capability
CA2052500C (en) Pabx common channel relay system
US53176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ffer chaining in a communications controller
US4954950A (en) Terminal communications circuit
US4783778A (en) Synchronous packet manager
US4796022A (en) Double transit bus system
KR19980069059A (ko) 교환기에서의 정합용 통합 패킷 핸들러 장치 및 방법
US5432910A (en)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connection capability of a communication system
US6131133A (en) Data exchange interface that directly transmits control signals either to a microprocessor or a D.M.A. controller via a first and second control line respectively
US5737528A (en) Network connecting apparatus with separate data and control signal lines
US6178462B1 (en) Protocol for using a PCI interface for connecting networks
US5954800A (en) Data communications network adaptor with duplicate interface boards operating alternately in active and stand-by modes
KR100208229B1 (ko) 교환기에서의 병렬 구조를 갖는 옥내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정 합 패킷 서비스 장치
KR100255421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데이터처리용통합단말장치및방법
EP0602294A1 (en) Method for initializing a set of ISDN adapter cards being plugged in a workstation operating as an ISDN primary gateway, and apparatus
KR100221303B1 (ko)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KR100221302B1 (ko) 패킷 핸들러의 제어보드 정합회로
KR100208228B1 (ko) 교환기에서의 병렬 구조를 갖는 모뎀 정합 패킷 서비스 장치
JP2766559B2 (ja) パケット転送制御方式
KR0182678B1 (ko) 교환기에 있어서 패킷서비스 장치
KR100391712B1 (ko) 교환기의 아이피시 정합 장치
KR19980061852A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핸들러 중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