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633A -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633A
KR19980068633A KR1019970005331A KR19970005331A KR19980068633A KR 19980068633 A KR19980068633 A KR 19980068633A KR 1019970005331 A KR1019970005331 A KR 1019970005331A KR 19970005331 A KR19970005331 A KR 19970005331A KR 19980068633 A KR19980068633 A KR 1998006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signal
key
input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박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순 filed Critical 박지순
Priority to KR101997000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633A/ko
Publication of KR1998006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633A/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록(100)으로부터 일정거리에 물체나 출입자를 물체감지수단(143)이 감지하여 자동으로 키조명수단(136)을 점등시키거나 본체(200)의 모니터(212)를 통해 외부의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실외에서 도어록(10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거나 실내에서 외부의 방문자나 출입자 또는 무단으로 도어록(100)을 해정시키려는 자의 신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록의 일정거리내에 물체 또는 출입자가 감지되었을 때에 실내의 모니터로 실외의 물체나 출입자의 화상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식 도어록은 도어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외측의 도어록으로부터 소정의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도어를 해정시키거나, 또는 수동으로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정상태로 절환시키는 기능이 있다. 또한, 전자식 도어록은 실내에서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전자식 도어록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특히 전자식 도어록은 비밀번호를 설정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비밀번호만 기억하고 있으면, 도어를 해정시키거나 잠금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전자식 도어록내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유지시키는 저장수단 및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식 도어록에는 비밀번호의 입력으로 도어를 해정시키는 기능이나, 비상키로 도어록을 해정시킬 수 있는 기능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식 도어록에서는 외부에서 실내로 방문을 알리는 초인종을 누르면, 실내에서 이를 인식한 후에 외부와의 통화를 위하여 인터폰으로 송수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실내에서 외부인의 화상을 인식하기 위하여 송수화기를 들거나 별도의 키의 입력이 있어야만 외부의 상황을 영상으로 인식할 수가 있었다. 또한, 외부인이 도어로부터 일정거리에 떨어져 있어야 외부인의 영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지만, 도어로부터 일정의 거리이내에 근접하여 있을 때에는 외부인의 영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방문자나 출입자가 초인종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록의 해정을 위하여 도어록을 조작시킬 경우에는 실내에서 외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외부에서 무단으로 도어록을 해정시켜 실내로 침입할 수 있어 전자식 도어록의 안전성이 결여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록으로부터 물체 또는 방문자나 출입자가 일정거리내로 근접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키패드부를 조명시키고, CCD카메라를 통해 화상신호를 발생시켜 전송시키며, 본체의 모니터를 통해 외부의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실내에서 외부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전체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을 인식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전자식 도어록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정면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으로부터 근접된 위치에 물체나 출입자가 감지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CCD카메라로부터 화상신호를 촬영 및 전송하여 이를 표시하는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도어록110 : 제어부
112 : 화상신호발생기113 : 화상신호전송기
114 : 무선신호수신기115 : 키패드신호수신기
116 : 작동표시기117 : 음성메모리부
118 : 음성발생기119 : 미이크로폰신호증폭기
120 : 마이크로프로세서122 : 전원제어기
123 : 축전지124 : 도어록개폐구동기
125 : 인터폰신호중계기130 : 수신용안테나
132 : CCD카메라134 : 키패드부
136 : 키조명수단138 : 스피커
140 : 마이크로폰142 : 키인식수단
143 : 물체감지수단144 : 도어해정/잠금수단
146 : 작동표시수단147 : 2차 해정/잠금수단
148 : 전원공급부150 : 화상신호 전송라인
152 : 인터폰신호 전송라인154 : 도어해정/잠금신호 전송라인
160 : 개폐손잡이162 : 도어
200 : 본체210 : 송수신용 안테나
212 : 모니터214 : 콘트롤러
216 : 송수화기218 : 키입력부
300 : 리모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체감지수단의 발신기 및 수신기의 구동으로 근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와, 설정된 일정거리로부터 물체가 감지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일정거리내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키패드부를 조명시키는 키조명수단을 점등상태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키조명수단의 구동과 동시에 CCD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CCD카메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변환된 화상신호를 화상신호전송기에서 본체로 전송시키는 단계와, 본체로 전송되어 온 화상신호에 의해 모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모니터를 통해 외부의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와, 키패드부로부터 키입력이 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키패드부를 통해 해당되는 키를 입력시킨 후에 비밀번호 또는 비상키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키패드부의 키입력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키패드부의 키입력이 없을 경우에 초인종의 입력이 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초인종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물체감지수단에서 근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로 궤환되고, 초인종의 입력이 있으면 외부인과 통화를 하거나 외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또는 비상키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외부인과 통화 및 확인하는 단계에서 비밀번호나 비상키가 일치하거나 다를 경우 또는 외부인과의 통화 또는 확인에 의해 도어록을 해정시키거나 또는 잠금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송신용 안테나를 통해 원격에서 무선으로 도어록 및 본체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리모콘의 송신용 안테나 또는 본체의 송수신용 안테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안테나와, 촬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카메라와, 도어록을 해정시키는 비밀번호 또는 각종 키신호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배면에 구성되어 소정의 광도로 점등되는 키조명수단과, 각종 음성 및 음성안내를 일정크기로 증폭시켜 출력시키는 스피커와, 입력된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과, 삽입되는 비상키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키인식수단과, 도어를 이중으로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2차 해정/잠금수단과,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도어해정/잠금수단과, 도어록의 작동상황을 표시하는 작동표시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변압 및 정류시켜 도어록에 공급시키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된 도어록;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도어록으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용 안테나와, 상기 CCD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형태로 표시하는 모니터와, 발생된 각종신호를 입력받아 판단하고 비교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콘트롤러와,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음성을 송수신하는 송수화기와,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각종 키신호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키입력부가 포함된 본체;로 이루어진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근접된 물체로 광신호를 송출시키는 발신기와, 상기 발신기로부터 발생되어 소정의 거리내에서 반사되어 오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이루어진 물체감지수단이 포함된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전체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된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을 인식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된 전자식 도어록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정면 및 측면도이다.
도어록(100)은 도어의 내측 및 외측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외측에는 방문자나 출입자가 도어를 해정시키거나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음성안내를 녹음 및 청취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이 부가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록(100)의 제어부(110)는 도어록(100)에 구성된 각종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수신용 안테나(130)는 리모콘(300)의 송신안테나(310)나 본체(200)의 송수신용 안테나(21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출력시키는 것이고, CCD카메라(132)는 방문자의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10)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출력시킨다.
키패드부(134)는 복수의 디지탈키로 구성된 것으로, 도어록을 해정시킬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고, 입력된 키신호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10)로 입력되며, 제어부(110)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에 관한 신호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키조명수단(136)은 상기 키패드부(134)의 배면에 소정의 광도를 갖는 발광소자로서, 키패드부(134)의 시작 또는 종료키를 누르거나 설정된 소정의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점등되게 한 것이다. 또한, 키조명수단(136)은 점등된 후에 마지막으로 키가 입력된 시점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등된다.
스피커(136)는 실내의 있는 사람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인터폰기능을 갖는 것으로, 각종 음성안내 및 음성을 전달하는 장치로써, 실내에서 입력된 음성을 일정크기로 증폭된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방문자에서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이다. 마이크로폰(140)은 방문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실내의 본체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도어록(100)에는 상기 스피커(136) 및 마이크로폰(140)로 음성대화를 할 수 있고, 실내에 장치된 본체(200)에는 송수화기(216)를 통해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키인식수단(142)은 상기 키패드부(134)를 통해 도어록을 해정시킬 수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시키는 것과는 달리, 비상키를 키인식수단(142)이 포함된 키삽입부에 삽입시켜 도어록을 비상해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삽입되는 비상키의 진위여부를 감식하는 것이다. 즉, 비상키가 정상적인 키일 경우에는 도어록이 해정상태가 되지만, 비정상적인 키일 경우에는 제어부(110)를 통해 도어록이 해정되지 않도록 하거나 별도로 구성된 경보수단을 통해 경보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체감지수단(143)은 도어록(10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내에 물체 또는 출입자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제어부(110)의 제어신호로 일정크기의 파장 또는 주파수를 갖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기(143a)와, 상기 발신기(143a)에서 발생된 적외선이나 초음파신호가 소정의 거리에 위치한 물체나 출입자에 반사되어 회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다시 제어부(110)로 출력시키는 수신기(143b)로 이루어진다. 발신기(143a)는 도어록(100)의 전면일측에 구성되고,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나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가 사용된다. 또한, 수신기(143b)는 상기 적외선신호나 초음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광소자나 동조기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물체감지수단(143)은 사용자의 요구나 도어록(100)의 설치시에 주변의 조건에 따라 감지할 수 있는 접근거리를 임의로 설정시켜 둘 수 있다.
도어해정/잠금수단(144)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로 도어록을 해정상태 또는 잠금상태로 절환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어해정/잠금수단(144)은 통상적으로 도어가 잠금 또는 해정될 때에 구동되는 것으로, 1차적인 잠금 및 해정상태로 조작된다. 2차 해정/잠금수단(147)은 상기 도어해정/잠금수단(144)와 같이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정상태로 절환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황판단에 따라 도어를 이중으로 잠금 또는 해정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 2차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작동표시수단(146)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방문자나 출입자가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이나 별도의 조작을 수행할 때에 도어록이 조작중이라는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작동표시수단(146)은 소정의 색깔을 갖는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48)는 본체(200)로부터 인입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전원을 입력받아 도어록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시켜 주는 것으로, 입력된 전원이 교류일 경우에는 직류로 변환시키거나 소정의 전압으로 전압시켜 주는 기능이 있다. 전원공급부(148)에는 외부 전원이 무단으로 차단되는 것을 감안하여 일정용량의 축전지(123)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100)에는 본체(200)와의 각종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송라인이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전송라인중에 화상신호 전송라인(150)은 실외의 화상신호를 실내의 모니터(212)로 전달하는 것이고, 인터폰신호 전송라인(152)은 음성신호를 실내에서 실외로 또는 실외에서 실내로 전송하는 양방향성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이다. 또한, 도어해정/잠금신호 전송라인(154)은 실내에서 방문자의 신원을 파악한 후에 도어록을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해정상태로 절환시키는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도 3의 블록도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20)를 포함한 각종의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전자적인 제어를 총괄하는 장치로, 모든 전자회로의 기능을 제어하고,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해석하며, 작동에 관한 제어신호나 지시신호를 각 장치에 출력시키는 것이다.
무선신호수신기(114)는 상기 수신용 안테나(130)를 통해 입력된 원격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거나 증폭 및 분석하여 그 결과를 마이크로프로세서(120)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화상신호발생기(112)는 상기 CCD카메라(132)로부터 전송되어 온 전기적인 신호를 분석하여 전송이 가능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화시켜 화상신호전송기(113)로 보낸다. 이때, 화상신호발생기(112)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신호전송기(113)는 상기 화상신호발생기(112)로부터 입력된 전기적인 화상신호를 실내의 본체(200)에 구성된 모니터(212)로 전송시켜 실외의 방문자의 화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키패드신호수신기(115)는 복수의 키로부터 온 또는 오프된 상태를 전기적인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120)로 입력시켜 해독할 수 있도록 한다.
작동표시기(118)는 도어록이 작동되고 있음을 방문자나 출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작동표시수단(146)을 작동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음성메모리부(117)는 외출을 하거나 일정기간동안 집안에 사람이 없을 경우로 인하여 다른 방문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는 음성메세지를 저장시켜 두는 곳으로, 전달할 안내음성이 디지탈상태의 전기신호로 녹음된다.
음성발생기(118)는 도어록(100)의 상황별 상태를 방문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음성메모리부(117)에 저장된 녹음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거나 본체(200)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스피커(136)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마이크로신호증폭기(119)는 도어록(100)의 마이크로폰(140)로부터 입력된 방문자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일정의 크기로 증폭시켜 인터폰음성중계기(125)로 출력시키는 것으로, 결국은 본체(200)의 송수화기(216)로 음성신호를 전송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체(200)의 송수화기(216)와, 도어록(100)의 스피커(136) 및 마이크로폰(140)을 통해 실내와 실외간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실외와 실내사이에서 전송되는 음성신호는 인터폰신호중계기(125)를 통해 중계된다.
전원제어기(122)는 도어록(100) 및 본체(200)가 구동중일 때에 필요에 의해 각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본체(200)로부터 입력되거나 별도의 전력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축전지(123)는 소정의 전력용량을 갖는 것으로, 전원제어기(122)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것이다.
도어록개폐구동기(124)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20)로부터 입력된 도어록의 개폐신호를 도어해정/잠금수단(144) 및 2차 해정/잠금수단(147)으로 각각 출력시키는 것으로, 도어록의 해정 및 잠금에 관한 신호는 본체(200)나 리모콘(300)로부터 전달된 신호이다. 따라서, 도어록개폐구동기(124)는 1차적으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정시키다가 위급한 상황이나 실내의 필요조건에 의해 2차적으로 도어록(100)을 잠금 또는 해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통상의 전자식 도어록과는 달리 도어록을 이중으로 잠금 또는 해정시킬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안전성을 부여하고, 원격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신속성이 포함된 기능이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20)에는 상기 키인식수단(142)로부터 감지된 비상키의 진위여부에 관한 키인식신호도 입력받아, 내장된 정상적인 비상키의 정보와 비교 및 판단후에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제어신호는 별도의 경보수단을 통해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스피커(136)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주변이나 이웃의 사람에게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기능도 부가시킬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20)는 물체감지수단(143)으로부터 근접된 물체나 출입자에 관한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해석한 후에 해당되는 부가장치로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리모콘(300)은 집안이나 집밖에서도 전자식 도어록을 원격에서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리모콘(300)에 무선으로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구성시키면, 무선으로 방문객과 통화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로 나가지 않고도 집안내에서 방문객을 확인할 수 있어 전자식 도어록의 사용에 편의성이 부여된다.
상기 리모콘(300)로부터 송출된 무선주파수는 도어록이나 집안내에 부착된 본체(200)를 통해 외부와 겅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0)은 개폐손잡이이고, (162)는 도어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록으로부터 근접된 위치에 물체나 출입자가 감지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CCD카메라로부터 화상신호를 촬영 및 전송하여 이를 표시하는 도 5의 제어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400)에서는 도어록(100)의 일측에 구성된 물체감지수단(143)의 발신기(143a) 및 수신기(143b)의 구동으로 근접된 물체 또는 출입자를 감지하고, 이때, 물체감지수단(143)의 발신기(143a)에서 발생된 적외선 또는 초음파신호가 소정의 거리내에 근접된 물체나 출입자로부터 반사되어 수신기(143a)로 회귀하는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에 단계(S401)에서는 설정된 일정거리로부터 물체가 감지되었나를 판단하게 된다. 즉, 도어록(100)에 물체감지수단(143)의 발신기(143a)는 도어록(100)이 잠금상태일 때에 제어부(110)의 제어신호로 적외선 또는 초음파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단계(S402)는 상기 단계(S401)에서 소정의 거리내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키패드부(134)를 조명시키는 키조명수단(136)을 점등상태로 구동시켜 키패드부(134)의 키패드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든다. 특히 도어록(100)의 주위가 일정조도이하로 어둡거나 야간에 키패드부(134)를 인식하기 곤란할 때에 출입자의 편의를 도모시킨 것이다. 또한, 단계(S402)에서 일정거리내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S400)으로 궤환되어 계속 물체나 출입자를 감지하게 된다.
단계(S403)는 상기 키조명수단(136)이 구동되는 것과 동시에 CCD카메라(132)를 작동시켜 외부의 상황을 촬영하게 된다. 즉, 물체감지수단(143)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키조명수단(136)과 CCD카메라(132)가 동시에 구동되는 것이다. 단계(S404)에서는 상기 CCD카메라(132)가 구동된 후에 CCD카메라(132)에서 촬영된 영상신호가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면, 제어부(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제어로 화상신호발생기(112)에서 화상신호를 발생시킨다. 화상신호발생기(112)에서 발생된 화상신호는 단계(S405)에서 화상신호전송기(113)를 통해 본체(200)로 전송된다.
또한, 단계(S407)에서는 본체(200)로 전송되어 온 화상신호에 의해 본체(200)의 콘트롤러(214)는 모니터(212)를 구동시키게 되고, 단계(S407)는 모니터(212)를 통해 상기 CCD카메라(132)에서 촬영된 외부의 영상신호를 표시함으로써, 실내에서 외부의 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단계(S408)는 키패드부(134)로부터 키입력이 있나를 판단하는 것으로, 키조명수단(136) 및 모니터(212)가 작동된 후에, 실외에서 도어록(100)을 해정시키기 위하여 키패드부(134)를 통해 도어록(100)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었나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키패드부(134)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거나 키인식수단(142)에 비상키를 삽입시켜 도어록(100)을 비상 해정시키는 단계(S409)가 수행된다.
단계(S410)에서는 상기 키패드부(134)를 통해 키입력이 없으면 초인종이 입력되었나를 판단하고, 초인종의 입력이 없으면 단계(S400)으로 궤환되어 소정의 거리내에 물체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지만, 초인종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단계(S411)에서 외부의 방문자와 인터폰으로 통화를 하거나 신원을 확인하게 된다. 인터폰기능으로는 도어록(100)의 마이크로폰(140) 및 스피커(138)와 본체(200)의 송수화기(216)를 통해 실내와 실외간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단계(S412)는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이나 비상키의 삽입이 있을 경우에 비밀번호의 진위여부나 비상키의 진위여부를 제어부(1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20)에서 각각 판단하여 도어록(100)를 해정시키거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도어록(100)이 잠금된 상태에서 실내의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도어록(100)을 이중으로 잠그기 위하여 해당하는 별도의 조치를 수행하게 되면, 2차 해정/잠금수단(147)이 구동되어 도어록(100)은 이중 감금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록으로부터 일정거리내에서 감지된 물체 또는 출입자의 접근상태를 인식하는 방법과 그 장치는 도어록으로부터 일정거리에 물체나 출입자를 물체감지수단이 감지하여 자동으로 키조명수단을 점등시키거나 본체의 모니터를 통해 외부의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실외에서 도어록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거나 실내에서 외부의 방문자나 출입자 또는 무단으로 도어록을 해정시키려는 자의 신원을 인식할 수 있어 전자식 도어록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물체감지수단의 발신기 및 수신기의 구동으로 근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와,
    설정된 일정거리로부터 물체가 감지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일정거리내에서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 키패드부를 조명시키는 키조명수단을 점등상태로 구동시키는 단계와,
    키조명수단의 구동과 동시에 CCD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CCD카메라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화상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와,
    변환된 화상신호를 화상신호전송기에서 본체로 전송시키는 단계와,
    본체로 전송되어 온 화상신호에 의해 모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모니터를 통해 외부의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와,
    키패드부로부터 키입력이 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키패드부를 통해 해당되는 키를 입력시킨 후에 비밀번호 또는 비상키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키패드부의 키입력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키패드부의 키입력이 없을 경우에 초인종의 입력이 있나를 판단하는 단계와,
    초인종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물체감지수단에서 근접된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로 궤환되고, 초인종의 입력이 있으면 외부인과 통화를 하거나 외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또는 비상키를 입력시키는 단계와 외부인과 통화 및 확인하는 단계에서 비밀번호나 비상키가 일치하거나 다를 경우 또는 외부인과의 통화 또는 확인에 의해 도어록을 해정시키거나 또는 잠금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2. 송신용 안테나를 통해 원격에서 무선으로 도어록 및 본체를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리모콘; 입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리모콘의 송신용 안테나 또는 본체의 송수신용 안테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용 안테나와, 촬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CCD카메라와, 도어록을 해정시키는 비밀번호 또는 각종 키신호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키패드부와, 상기 키패드부의 배면에 구성되어 소정의 광도로 점등되는 키조명수단과, 각종 음성 및 음성안내를 일정크기로 증폭시켜 출력시키는 스피커와, 입력된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마이크로폰과, 삽입되는 비상키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키인식수단과, 도어록을 이중으로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2차 해정/잠금수단과,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도어해정/잠금수단과, 도어록의 작동상황을 표시하는 작동표시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변압 및 정류시켜 도어록에 공급시키는 전원공급부가 포함된 도어록;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도어록으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용 안테나와, 상기 CCD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가시적인 형태로 표시하는 모니터와, 발생된 각종신호를 입력받아 판단하고 비교하여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콘트롤러와,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음성을 송수신하는 송수화기와, 도어록을 잠금 또는 해정시키는 각종 키신호의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키입력부가 포함된 본체;로 이루어진 전자식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근접된 물체로 광신호를 송출시키는 발신기와,
    상기 발신기로부터 발생되어 소정의 거리내에서 반사되어 오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로 이루어진 물체감지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장치.
KR1019970005331A 1997-02-21 1997-02-21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68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331A KR19980068633A (ko) 1997-02-21 1997-02-21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331A KR19980068633A (ko) 1997-02-21 1997-02-21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33A true KR19980068633A (ko) 1998-10-26

Family

ID=6598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331A KR19980068633A (ko) 1997-02-21 1997-02-21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63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14B1 (ko) * 2000-08-22 2003-03-29 김성수 출입문의 잠금 장치
KR100761453B1 (ko) * 2006-09-07 2007-09-27 주식회사 원택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방법
KR100801605B1 (ko) * 2005-08-22 2008-02-11 이해석 보안용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KR101480509B1 (ko) * 2013-07-29 2015-0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록 물체감지센서의 감지거리 테스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314B1 (ko) * 2000-08-22 2003-03-29 김성수 출입문의 잠금 장치
KR100801605B1 (ko) * 2005-08-22 2008-02-11 이해석 보안용 전자식 도어락 시스템
KR100761453B1 (ko) * 2006-09-07 2007-09-27 주식회사 원택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방법
KR101480509B1 (ko) * 2013-07-29 2015-0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록 물체감지센서의 감지거리 테스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885B1 (ko) 비디오 도어폰과 연동된 얼굴인식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CA2399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US20070229218A1 (en) Wireless Gate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643564B1 (ko)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주차위치 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공동편의시설 제어방법
KR101952522B1 (ko)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 및 상기 자동 도어락 개폐장치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방법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KR19980068633A (ko) 전자식 도어록의 출입자 접근 인식방법 및 그 장치
KR100350347B1 (ko) 전자식도어록의무선원격이중잠금방법
JP2004355152A (ja) インターホン親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279106B1 (ko) 도어폰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983811B1 (ko) 방화문 삽입 설치 구조를 갖는 무선충전 기능이 탑재된 도어폰 내장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100338869B1 (ko) 전자식 도어록의 화상신호 전송방법
KR19980068634A (ko) 전자식 도어록의 전원공급방법 및 그 장치
US20070229220A1 (en) Wireless Gate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08246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68631A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키 인식방법
JP4510474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20110065171A (ko) 방범 기능이 강화된 리모콘식 도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법
KR20050104095A (ko) 지문인식 및 지문, 영상, 음성 저장과 외부 유무선 다중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복합기능 도어용 비디오 폰 및 도어키 시스템
KR101402694B1 (ko) 영상촬영장치를 내장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JP4927579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576231B1 (ko) 침입 감지 경보 장치
JP2526889B2 (ja) ホ−ムオ−トメ−シヨンシステム
KR100657049B1 (ko) 홈네트워크 연동 방범 도어록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218

Effective date: 200201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10003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218

Effective date: 200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