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588A -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588A
KR19980068588A KR1019970005259A KR19970005259A KR19980068588A KR 19980068588 A KR19980068588 A KR 19980068588A KR 1019970005259 A KR1019970005259 A KR 1019970005259A KR 19970005259 A KR19970005259 A KR 19970005259A KR 19980068588 A KR19980068588 A KR 19980068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cher
soluble resin
san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윤식
강병길
Original Assignee
강창근
흥한주택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근, 흥한주택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창근
Priority to KR101997000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588A/ko
Publication of KR1998006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588A/ko

Links

Landscapes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용 죽상물과 패널을 10 ~ 65 중량%의 황토,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10 ~ 60 중량%의 가는 모래, 상기 황토와 상기 모래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10 ~ 30%의 수용성 수지 및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0 ~ 20%의 물로 구성함으로써 향토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되어서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으며, 수용성 수지에 의해 죽상물 및 패널이 뛰어난 접착성 및 결합력을 갖게 되어 상기 죽상물과 패널을 바닥, 벽 및 천장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용 죽상물 및 건축용 패널을 성형하는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높은 강도를 지닌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주거재료가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시멘트를 이용한 제품은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기성이 낮았고 시멘트를 이용한 제품으로부터 알칼리 성분이 실내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기성이 양호하고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는 10 ~ 65 중량%의 황토,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10 ~ 60 중량%의 가는 모래, 상기 황토와 상기 모래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10 ~ 30%의 수용성 수지 및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0 ~ 20%의 물로 이루어진 죽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는 10 ~ 65 중량%의 황토,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10 ~ 60 중량%의 가는 모래, 상기 황토와 상기 모래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10 ~ 30%의 수용성 수지,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5 ~ 10%의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0 ~ 20%의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건조·성형된 패널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의 제조방법은 채취된 황토를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황토를 분쇄기에 의해 분쇄시키는 분쇄과정과, 분쇄된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모래와 상기 황토 및 모래를 접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수용성 수지와 상기 유동성 접착제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물을 믹서기에 의해 상기 분쇄된 황토와 혼합하는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의 제조방법은 채취된 황토를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황토를 분쇄기에 의해 분쇄시키는 분쇄과정과,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모래와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과 상기 황토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수용성 수지와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물을 믹서기에 의해 상기 분쇄된 황토와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황토, 모래,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수용성 수지 및 물의 혼합물을 성형틀 내에 넣어서 건조하여 패널을 형성시키는 성형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건축 자재를 성형하는 성형틀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성형틀에 의해 제조된 건축자재인 패널의 외관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의한 건축 자재인 패널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도1에 도시된 성형틀에 설치되는 H빔용 홈 틀의 외관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H 빔용 홈 틀 및 상기 도1에 도시된 성형틀에 의해 성형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자재인 패널의 외관 사시도,
도5는 에이취(H) 빔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도4에 도시된 패널의 외관 사시도,
도6은 황토 혼합물의 상면과 하면에 그물 망을 결합하여 성형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인 패널의 외관 사시도,
도7은 반죽한 황토 혼합물에 각종 무기 안료를 혼합하여 색상과 무늬를 표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자재인 패널의 정면도,
도8은 반죽한 황토 혼합물에 각종 무기 안료를 혼합하여 색상과 무늬를 표현한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건축 자재인 패널의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자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 자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 16, 18, 20: 패널 4:성형 틀
6,8: H빔용 홈 틀 12: H빔
14: 그물 망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인 죽상물(粥狀物)은 10 ~ 65 중량%의 황토,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10 ~ 60 중량%의 가는 모래, 상기 황토와 상기 모래를 결합시키는 10 ~ 30%의 수용성 수지 및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0 ~ 20%의 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죽상물의 의미는 죽과 같이 액성의 물질이라는 의미로서 모르타르를 대체하여 건축자재로 사용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물질이다.
수용성 수지로 사용되는 상기 수용성 수지는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혼합한 25 ~ 35 중량%의 혼합물, 2 ~ 8 중량%의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 2 ~ 8 중량%의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아크릴산(acrylic acid)과 메타크릴산(metacrylic acid)을 혼합한 1.5 ~ 4.5 중량% 의 혼합물, 1 ~ 2 중량%의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methylol acryl amide), 1~ 3 중량%의 유화제, 20 ~ 30 중량%의 이온 교환수, 개시제로서의 0.1~2 중량%의 암모늄퍼술페이트(ammonium persulfate) 용액, 개시제로서의 1~5 중량%의 암모늄비술페이트(ammonium bisulfate) 용액,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ert-butyl hydro peroxide)와 나트륨포름알데히드술폭사이드(sodium formaldehyde sulfoxide)을 혼합한 0.1~3중량%의 혼합물, 메탄올, 나트륨메타포스페이트(sodium metaphosphate) 및 유화제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하여 혼합한 25~35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건축 자재인 건축용 죽상물(MORTAR)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9에서 S는 과정(PROCESS)를 표시한다.
과정S1에서 먼저 석산이나 고령토 광산에서 석재나 고령토 채취시 표토와 함께 버려지는 황토를 수집함으로써 황토를 채취한다.
다음에 과정S2에서는 상기 채취된 황토를 상온에서 3~5일 동안 충분히 건조한다. 혹은 상기 채취된 황토를 건조기에 넣고 110℃에서 8~12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혹은 상기 채취된 황토를 건조실 내에서 400~600℃의 열풍을 송풍하는 분사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킨다.
다음에 건조된 황토를 소결실 내에 넣고 650~1200℃의 온도에서 30~100분 동안 소결시킨다.
다음에 과정S3에서 볼밀(ball mill)로 180rpm에서 24시간 분쇄한 후 200 메시(MESH)의 표준망체를 이용하여 0.001~0.009cm의 입자가 60% 이상이 되도록 분말로 만든다. .
다음에 과정S4에서 분말로 된 황토에 모래를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황토에 대한 모래의 비율은 17~100 중량%이다. 상기 모래는 0.003 ~ 0.006cm의 가는 모래 입자가 60% 이상의 것을 이용한다.
다음에 과정S5에서 상기 황토와 모래의 혼합물에 수용성 수지로 혼합할 수용성 수지를 만든다.
상기 수용성 수지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모노머로 이루어진 모노머탱크에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의 중량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25 ~ 35 중량%의 값이다.
다음에 에틸아크릴레이트와 부틸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에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를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비닐아세테이트의 혼합량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2 ~ 8 중량%이다.
다음에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아세테이트의 혼합물에 아크릴로나이트릴(acrylonitrile)을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아크릴로나이트릴의 혼합량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2 ~ 8 중량%이다.
다음에 황토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도록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로나이트릴의 혼합물에 아크릴산(acrylic acid)과 메타크릴산(metacrylic acid)을 혼합한다. 이 경우 아크릴산의 중량과 상기 메타크릴산의 중량을 합한 중량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1.5 ~ 4.5 중량%의 값이다.
다음에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혼합물에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methylol acryl amide)를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의 혼합비율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1 ~ 2 중량%이다.
다음에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의 혼합물에 유화제를 혼합한다. 상기 유화제는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의 혼합물의 형상을 부드럽게 변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화제의 혼합 비율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1~ 3 중량%이다.
다음에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및 유화제의 혼합물에 이온 교환수를 혼합한다. 상기 이온 교환수는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및 유화제의 혼합물을 연화(軟化)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온 교환수의 혼합 비율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20 ~ 30 중량%이다.
이 경우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유화제 및 이온 교환수의 혼합물의 총 중량은 상기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의 60~80 중량%이다.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유화제 및 이온 교환수의 혼합물을 교반기에 넣고 충분히 교반한다.
다음에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유화제 및 이온 교환수를 혼합시키도록 물리적인 작용을 개시시키는 개시제를 두 개의 탱크에 나누어서 만든다.
제1 개시제 탱크에는 암모늄퍼술페이트(ammonium persulfate) 용액을 넣는다. 상기 암모늄퍼술페이트 용액의 중량은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에 대하여 0.1~3 중량%이다.
제2 개시제 탱크에는 암모늄비술페이트(ammonium bisulfate) 용액을 넣는다. 상기 암모늄퍼술페이트 용액의 중량은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이다.
제3 탱크에는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ert-butyl hydro peroxide)와 나트륨포름알데히드술폭사이드(sodium formaldehyde sulfoxide)의 용액을 넣는다. 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ert-butyl hydro peroxide)와 나트륨포름알데히드술폭사이드를 합한 중량은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에 대하여 0.1~3 중량%이다.
다음에 메탄올과 나트륨메타포스페이트(sodium metaphosphate) 및 유화제를 이온 교환수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상기 메탄올과 나트륨메타포스페이트 및 유화제의 혼합물을 제4 반응 탱크에 넣는다. 제4 반응 탱크에 넣어진 상기 메탄올과 나트륨메타포스페이트 및 유화제의 혼합물의 중량은 수용성 수지의 예상 중량에 대하여 20~40중량%이다. 다음에 상기 메탄올과 나트륨메타포스페이트 및 유화제의 혼합물을 제4 반응탱크 내에서 50~80rpm으로 충분히 교반한다. 이어서 상기 제4 반응탱크 내의 온도를 60~80 ℃까지 상승시킨다.
다음에 상기 모노머탱크내의 혼합물, 상기 제1 개시제 탱크내의 혼합물, 상기 제2 개시제 탱크 내의 혼합물 및 상기 제3 탱크 내의 혼합물을 적절한 비율과 일정한 속도로 2~4시간 동안 제4 반응 탱크 내에 투입한다. 그리고 충분히 교반시킨 다음 상기 제4 반응탱크 내의 온도를 75~78℃로 3~5시간 동안 유지한다. 그러면 수용성 수지가 제조된다.
다음에 상기 황토 및 모래의 혼합물에 상기 수용성 수지를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황토 및 모래의 혼합물에 대한 상기 수용성 수지의 비율은 13~50 중량%이다.
다음에 과정S6에서 상기 황토, 모래 및 수용성수지에 물을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물의 구성 비율은 상기 황토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15~300 중량%이다.
다음에 과정S7에서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및 물을 반죽하여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및 물을 혼합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인 죽상물이 제조된다.
다음에 과정S8에서 상기 죽상물를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에 바른다. 그러면 상기 죽상물이 검축물의 내장재나 외장재로 사용된다. 상기 죽상물를 바닥이나 벽의 초벌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황토에 비하여 모래의 비율을 많게 한다. 한편, 상기 죽상물를 바닥이나 벽의 재벌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황토와 수분의 비율을 많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인 죽상물는 항토를 함유함으로써 향토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따라서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상기 죽상물이 황토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죽상물에 의해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켰을 경우 바닥이나 벽으로부터 알칼리 성분을 실내로 배출하지 않아 인체에 유익하다.
실내의 바닥이나 벽을 황토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벽에 의해 실내가 외부와 단열됨으로써 실내의 보온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황토를 함유한 바닥이나 벽이 상기 황토에 의해 열을 축적함으로써 단열 및 보온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냄새를 탈취할 수 있고, 먼지 등을 흡착할 수 있어서 바닥이나 벽이 공기 정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곰팡이와 곤충 등의 발생과 침투를 황토에 의해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킴으로써 바닥이나 벽이 공기를 적절하게 유통시키는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벽을 통해 공기가 적절하게 유통되어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킴으로써 높은 강도의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킴으로써 바닥이나 벽이 물에 잘 견디고 물에 의해 부서지지 않는 내수성을 갖게 된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황토와 모래 및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진 죽상물이 뛰어난 접착성 및 결합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죽상물를 바닥, 벽 및 천장의 마감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 도4, 도5,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인 패널(2)은 10 ~ 65 중량%의 황토,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10 ~ 60 중량%의 가는 모래, 상기 황토와 상기 모래를 결합시키는 10 ~ 30 중량%의 수용성 수지,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5 ~ 10 중량%의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및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0 ~ 20%의 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용성 수지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죽상물를 구성하는 수용성 수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인 건축 패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에 있어서, S는 과정(PROCESS)을 나타낸다.
과정S21부터 과정S25까지의 설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에 관한 설명인 도9의 과정S1부터 과정S5까지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과정S26에서 제품 제조자는 상기 황토, 모래 및 수용성수지에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를 혼합한다. 상기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의 황토에 대한 구성 비율은 상기 황토의 중량에 대하여 8~67 중량%이다.
다음에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및 흙과 시멘트에 물을 혼합한다. 이 경우 상기 물의 구성 비율은 상기 황토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15~300 중량%이다.
다음에 과정S27에서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을 반죽하여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한다.
다음에 과정S28에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 틀(4)에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을 넣는다. 상기 성형틀(4)의 내부 공간은 사용자가 원하는 패널의 형상으로 형성시켜며, 예를 들면 직육면체이다.
다음에 상기 성형 틀(4)에 넣어진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을 상온에서 건조시키거나 300 ~ 600 kg/cm2로 가압시킨 상태에서 건조시킨다.
다음에 건조된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을 소성실 내에 넣어 600~1300℃의 온도에서 30~100분 동안 소성한다.
다음에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을 상기 성형 틀(4)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러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축용 패널(2)이 제조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패널(2)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H빔용 홈 틀(6, 8)을 상기 성형틀(4)의 내부의 양측에 설치하고 상술한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을 넣어서 건조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모서리에 턱(10a)이 형성된 패널(10)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12)의 ㄷ자홈에 상기 패널(10)의 가장자리를 삽입하면 다수의 패널(10)이 서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2, 1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섬유나 철 혹은 양철로 이루어진 그물 망(14)을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의 상하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성형 틀(4)의 하측에 상기 그물 망(14)을 놓은 후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을 상기 성형 틀(4)에 붓고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의 위에 다른 그물 망(14)을 덮은 후 일체로 건조시키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14)이 일체로 결합된 패널(16)이 형성된다.
한편, 패널(2, 10, 16)에 다양한 무늬와 색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과정S6에서 안료 등을 상기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수지, 흙과 시멘트 및 물의 혼합물에 혼합하면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무늬와 색상의 패널(18, 20)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건축자재인 건축용 패널(2, 10, 16, 18, 20)에 의하면, 바닥이나 벽에 설치되는 패널(2, 10, 16, 18, 20)이 황토를 함유함으로써 향토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따라서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상기 패널(2, 10, 16, 18, 20)이 황토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천장, 벽을 형성하는 패널(2, 10, 16, 18, 20)로부터 알칼리 성분을 실내로 배출하지 않아 인체에 유익하다.
실내의 바닥이나 벽에 황토를 함유한 패널(2, 10, 16, 18, 2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에 의해 실내가 외부와 단열됨으로써 실내의 보온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황토를 함유한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이 상기 황토에 의해 열을 축적함으로써 단열 및 보온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냄새를 탈취할 수 있고, 먼지 등을 흡착할 수 있어서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이 공기 정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곰팡이와 곤충 등의 발생과 침투를 황토에 의해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을 형성시킴으로써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이 공기를 적절하게 유통시키는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을 통해 공기가 적절하게 유통되어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을 형성시킴으로써 높은 강도의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을 형성시킴으로써 바닥이나 벽의 패널(2, 10, 16, 18, 20)이 물에 잘 견디고 물에 의해 부서지지 않는 내수성을 갖게 된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황토와 모래 및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진 패널(2, 10, 16, 18, 20)이 뛰어난 접착성 및 결합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2, 10, 16, 18, 20)을 바닥, 벽 및 천장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바닥이나 벽 및 천정을 구성하는 죽상물나 패널이 황토를 함유함으로써 향토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따라서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상기 죽상물나 패널이 황토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천장, 벽을 형성하는 패널로부터 알칼리 성분을 실내로 배출하지 않아 인체에 유익하다.
실내의 바닥이나 벽에 황토를 함유한 죽상물나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벽의 패널에 의해 실내가 외부와 단열됨으로써 실내의 보온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황토를 함유한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나 패널이 상기 황토에 의해 열을 축적함으로써 단열 및 보온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냄새를 탈취할 수 있고, 먼지 등을 흡착할 수 있어서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나 패널이 공기 정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곰팡이와 곤충 등의 발생과 침투를 황토에 의해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나 패널을 형성시킴으로써 바닥이나 벽의 패널이 공기를 적절하게 유통시키는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황토에 의해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나 패널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나 패널을 통해 공기가 적절하게 유통되어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나 패널을 형성시킴으로써 높은 강도의 바닥이나 벽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나 패널을 형성시킴으로써 바닥이나 벽의 죽상물과 패널이 물에 잘 견디고 물에 의해 부서지지 않는 내수성을 갖게 된다.
또한, 황토에 모래와 수용성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황토와 모래 및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진 죽상물나 패널이 뛰어난 접착성 및 결합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죽상물나 패널을 바닥, 벽 및 천장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실험예1)
황토 46 중량%, 규사 18 중량%, 수용성 수지 18 중량%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약 2~3% 정도의 수축이 발생하였으나, 크랙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위 조성물의 강도는 약 8 정도로 나타났으며, 약간의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2)
황토 35 중량%, 규사40 중량%, 수용성 수지15 중량%, 그리고 물 10 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약 1~2 중량% 정도의 수축이 발생하였으며, 크랙은 발생하지 않았다. 강도는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약 11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3)
황토 25 중량%, 규사 50 중량%, 수용성 수지 17 중량%, 그리고 물 8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수축이나 표면 크랙 및 내부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약 8 정도의 강도를 나타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였다.
(실험예4)
황토 15 중량%, 규사 60 중량%, 수용성 수지 20 중량%, 그리고 물 5 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수축이나 크랙의 발생은 없었으며, 강도는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10 정도의 강도를 나타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5)
황토 10 중량%, 규사 65 중량%, 수용성 수지 20 중량%, 그리고 물 5 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수축이나 크랙의 발생은 없었으며, 강도는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10 정도의 강도를 나타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6)
황토 15 중량%, 무기 안료로서의 백색 세라믹 5 중량%, 규사 60 중량%, 수용성 수지17 중량%, 그리고 물 8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수축이나 표면 크랙 및 내부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약 10 정도의 강도를 나타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였다.
(실험예7)
황토10중량%, 무기안료로서의 백색세라믹5 중량%, 규사 60 중량%, 수용성 수지17 중량% 그리고 물8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수축이나 표면 크랙 및 내부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약 10 정도의 강도를 나타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였다.
(실험예8)
황토 15 중량%, 규사 55 중량%, 수용성 수지 10 중량%,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10 중량%, 그리고 물 10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수축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강도는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약 11 정도의 강도를 나타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였다.
(실험예9)
황토 20 중량%, 규사 50 중량%, 수용성 수지 10 중량%,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10 중량 % 그리고 물 10 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수축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강도는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약 11정도의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험예10)
황토 42 중량%, 규사 25 중량%, 수용성 수지 10 중량%,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8 중량%, 그리고 물 15 중량%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더니 숱축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강도는 바닥용 콘크리트 죽상물의 강도를 10으로 보았을 때 약 11정도의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접착력도 대단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Claims (6)

10 ~ 65 중량%의 황토,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10 ~ 60 중량%의 가는 모래, 상기 황토와 상기 모래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10 ~ 30%의 수용성 수지 및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0 ~ 20%의 물로 이루어진 죽상물(粥狀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
10 ~ 65 중량%의 황토,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10 ~ 60 중량%의 가는 모래, 상기 황토와 상기 모래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10 ~ 30%의 수용성 수지,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5 ~ 10%의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0 ~ 20%의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건조·성형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도록 상기 황토, 모래, 수용성 수지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양면에 그물 형상의 망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
채취된 황토를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황토를 본쇄기에 의해 분쇄시키는 분쇄과정과,
분쇄된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모래와 상기 황토 및 모래를 접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수용성 수지와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물을 믹서기에 의해 상기 황토와 혼합하는 혼합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의 제조방법.
채취된 황토를 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과정과,
건조된 황토를 분쇄기에 의해 분쇄시키는 분쇄과정과,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는 모래와 상기 황토에 강도를 부여하도록 상기 황토와 모래에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과 상기 황토와 모래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수용성 수지와 상기 수용성 수지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물을 믹서기에 의해 상기 분쇄된 황토와 혼합하는 혼합과정과,
상기 황토, 모래, 흙과 시멘트의 혼합물, 수용성 수지 및 물의 혼합물을 성형틀 내에 넣어서 건조하여 패널을 형성시키는 성형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의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과정에는 상기 패널에 무늬와 색을 표현하도록 상기 황토와 모래에 안료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자재의 제조방법.
KR1019970005259A 1997-02-21 1997-02-21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68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259A KR19980068588A (ko) 1997-02-21 1997-02-21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5259A KR19980068588A (ko) 1997-02-21 1997-02-21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88A true KR19980068588A (ko) 1998-10-26

Family

ID=6598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5259A KR19980068588A (ko) 1997-02-21 1997-02-21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5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53A (ko) * 2001-04-17 2002-10-26 이인호 황토 복합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2230B1 (ko) * 2004-07-19 2007-04-27 (주)나인 황토보드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53A (ko) * 2001-04-17 2002-10-26 이인호 황토 복합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2230B1 (ko) * 2004-07-19 2007-04-27 (주)나인 황토보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929B1 (ko)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KR101132971B1 (ko) 내장용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2212066B1 (ko) 친환경 칼라골재를 이용한 일체형 불연성 건축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0915410B1 (ko)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383566B1 (ko) 소성황토를 포함하는 미장재
KR19980068588A (ko) 건축 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272222B1 (ko)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0608B1 (ko) 건축용 조성물
KR101193231B1 (ko) 친환경 황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1644B1 (ko) 기능성 내장판재의 제조방법
KR101768513B1 (ko) 천연 탄화 왕겨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KR20030043260A (ko) 황토와 참숯을 이용한 건축용 미장판의 제조방법
KR100253130B1 (ko) 황토판의 제조방법
KR100317996B1 (ko) 사문옥석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시공방법
KR101688782B1 (ko) 조립식 황토벽돌과 그 제조방법
KR101223928B1 (ko) 압출심재를 이용한 고강도 흙패널의 제조방법
KR100280579B1 (ko) 경량기포 황토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7729B1 (ko) 자개가 부착된 건축용 마감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834635B1 (ko) 건축 마감용 황토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06520B1 (ko) 숯을 안료로 사용하는 방법
KR100854128B1 (ko) 보도용 또는 지압용 자연석을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의제조방법
KR20110002297A (ko) 피톤치드가 함유된 환경 친화형 마사토 벽돌 제조방법 및 마사토 벽돌
KR100822908B1 (ko) 타일을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5375A (ko) 경량 고강도 건축재
KR20060130320A (ko) 황토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