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545U - 반찬수납쟁반 - Google Patents

반찬수납쟁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545U
KR19980068545U KR2019980006745U KR19980006745U KR19980068545U KR 19980068545 U KR19980068545 U KR 19980068545U KR 2019980006745 U KR2019980006745 U KR 2019980006745U KR 19980006745 U KR19980006745 U KR 19980006745U KR 19980068545 U KR19980068545 U KR 199800685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id
side dish
bowl
storag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찬응
Original Assignee
안찬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찬응 filed Critical 안찬응
Publication of KR19980068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545U/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찬 수납쟁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가지의 반찬을 빠르고 간편하게 상차림이 가능하고 또한 식사 후 간편하게 냉장고에 보관가능 하도록 한 반찬수납쟁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차림을 할 때에 하나하나의 반찬을 냉장고에서 꺼내 식탁에 차리거나 치우고, 이때 그릇은 뚜껑이나 랩등을 씌워 보관하게 됨으로 번잡성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다리(11) 를 구성한 쟁반(10)의 외측단부에 뚜껑(20)이 삽입 안착되어 외부의 공기흐름을 방지하는 테두리(12)와 내측면에는 반찬그릇(30)을 고정하여 미끄럼을 방지시켜 주는 돌기(13)는 다수 돌설시켜 그릇을 재치함으로 이동중 미끄럼방지와 미리차려진 반찬쟁반을 식탁에 올려놓으므로서 단번에 상차림과 치우기를 할 수 있게 한것으로 냄새의 방사를 막을 수 있도록 한 장점을 가진 고안이다.

Description

반찬수납쟁반
본고안은 냉장고용 반찬수납 쟁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가지의 반찬을 빠르고 간편하게 상차림이 가능하고 식사 후에 냉장고에 간단히 수납할 수 있게된 반찬수납쟁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를 위한 상차림을 할 때에 하나하나의 반찬을 냉장고에서 꺼내, 식탁에 하나씩 차려서 상차림을 하고 식사 후에는 각각의 반찬그릇에 뚜껑이나 랩으로 씌워 냉장고에 보관하여 왔다.
그러나 뚜껑을 하나씩 찾아 덮어야 하므로 시간이 오래걸리며 여러번의 수납과정으로 주부의 노동력을 많이 요구하게 된다.
또한 랩은 씌우기에 불편함과 함께 그릇 하나 하나의 작업으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면서 쓰레기를 발생시키는 폐단이 있는것이다.
이러한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그릇에 다수의 칸막이가 있는 반찬 그릇이 나오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한가지의 반찬이 떨어지면 그 부분만 세척이 불가능함으로써 남은 반찬도 함께 버려지게 되는 단점있고 또한 이러한 그릇은 주지하는 바와같이 여행과 나들이 등의 목적에 의한 찬합에 한정된 바 있다.
주부의 상차림에서의 노동력은 많은 시간 소요와 낮은곳에서 높으곳 또는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의 허리펴기 노동의 반복으로 주부의 요추 즉, 디스크발생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주부로하여금 많은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단순노동에 있다.
이와같이 단순 노동이면서 반복되고 또한 매일 같이하여야 됨에 따라 많은 주부들이 이에 대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슴은 주지하는바와 같다. 그리고 냉장고의 문을 여러번에 걸쳐 열고 닫고를 번복함으로서 냉장고의 열손실을 증가시켜 전력낭비가 심한 폐단도 함께 가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반찬그릇을 수납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재치하는 통상의 쟁반에 있어서, 상기 쟁반의 표면에 돌출된 돌기를 다수 구성하고 이 돌기는 그릇 저면에 형성된 요부와 결합되어 지도록 함과 함께 뚜껑으로 쟁반을 닫을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돌기는 그릇 저면의 요부와 결합되어 쟁반으로부터 그릇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또한 그릇의 위치를 설정하여 간결한 상차림이 가능함과 함께 한정된 공간에 많은 반찬을 수용할 수 있고 투명의 뚜껑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반찬의 냄새가 외부 즉, 냉장고내로 발산되지 않아 반찬에서 냉장고 냄새 또는 냉장고에서 반찬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면 빠르고 간편하게 냉장고에 수납 및 상차림을 할수 있도록 한 목적의 고안이다.
도 1- 본고안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
도 2- 도 1의 제 1실시예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 3- 본 고안에 의한 상차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본 고안의 실시예 2,3,4구성을 보인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5- 본 고안의 제 5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도 5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7- 본 고안의 쟁반에 반찬그릇의 정렬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쟁반 11 : 다리 12 : 테두리
13 : 돌기 20 : 뚜껑 21 : 지지간
22 : 그릇뚜껑 30 : 반찬그릇 33 : 저면 돌출환
40 : 요입면 41 : 환홈 42 : 손잡이공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평판형의 쟁반에 반찬그릇이 고정되는 돌출된 돌기 또는 삽입요부를 형성하여 그릇의 저면 환돌출부와 마춤되어 쟁반을 이동하여도 그릇이 미끄럼이 없고 돌기에 의해 정렬된 위치로 상차림되는 특징과, 쟁반상부로 재치된 반찬그릇을 덮게되는 뚜껑을 구성하되, 쟁반외측으로 밀착형성시켜 반찬의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본 고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실시예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차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2,3,4구성을 보인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6-도 5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쟁반에 반찬그릇의 정렬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받침판저면으로 다리(11)를 구성하는 쟁반(10)의 외측단부에 뚜껑(20)이 안착되어 외부의 공기흐름을 방지하는 테두리(12)를 구성시켜 뚜껑(20)하단의 단턱(23)을 체결하도록 하되,
상기 쟁반(10)의 내측면에는 반찬그릇(30) 저면요부에 삽입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위치를 설정하는 돌출된 돌기(13)를 다수 구성함과 함께 도 4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쟁반(10) 내면을 내향된 요입면(40)으로 형성하고 이 요입면(40)에 요입된 환홈(41)을 형성시켜 반찬그릇(30)의 저면돌출환(33)이 삽입되도록 함과,
상기 쟁반(10) 저면에 다리(11)를 구성하여 손이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같이 쟁반(10) 외측 각면에 손이 유입되는 손잡이공간부(42)를 형성하여 이송수단을 결합하며,
또 도 4의 (다)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외향된 돌출편(14)을 성형시켜 쟁반(10)의 손잡이편을 구성함과 함께 쟁반(10)과 뚜껑(20)의 결합부는 단턱(23)과 함께 요철(凹凸)(15)에 밀폐 폐킹(16)을 형성하여 냄새의 차단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 상단면 외주면으로 상향된 돌출된 외각턱(23)을 형성시켜 뚜껑(20)상부로 또다른 쟁반(10)을 올려놓아 미끄럼을 방지하였다.
상기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쟁반 뚜껑(20)을 구멍또는 망상의 지지간(21)으로 구성함과 함께 쟁반(10)에 재치되는 반찬그릇(30) 상부로 지지간(21)과 일체의 그릇뚜껑(22)을 구성시켜 반찬그릇(30)을 덮을수 있도록 하여 쟁반뚜껑(10)내에 재치된 반찬그릇(30)과 그릇뚜껑(22)에 직접 냉기가 접촉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도면에서는 쟁반(10)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쟁반의 형태가 원형 또는 팔각형, 정사각등 그 형상은 임의에 의해 변경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형상의 변경 역시 본 고안의 구성중 일부라 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쟁반(10)에 반찬그릇(30)이 가지런하고 많은수를 수용할 수 있는 정렬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가)도는 중앙으로 작은 그릇(30-1) 3을 종서하고 양측으로 큰그릇(30-2) 2를 종서하여 7가지의 반찬을 기본으로 구성하였으며, (나)도에서는 중앙에 작은 그릇(30-1) 2를 횡서한 상태에서 전후에 중간그릇(30-3) 2와 사방에 큰그릇(30-2) 4를 구성시켜 반찬8이 수납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50은 식탁 또는 밥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고안의 뚜껑을 열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 1실시예 결합상태의 횡단면도, 도 3- 본 고안에 의한 상차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받침판저면으로 다리(11)를 구성하는 쟁반(10)과 쟁반(10)외측단부에 뚜껑(20)이 안착되어 외부의 공기흐름을 방지하는 테두리(12)와 단턱(23)의 끼워마춤으로 밀폐 구성되어 이에 뚜껑(20)을 열고 닫을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쟁반(10)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된 돌기(13)에 공지의 반찬그릇(30)을 언져놓게 된다.
즉, 공지의 그릇저면에는 그릇의 안정성을 위하여 저면에 환돌출테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환테내측은 요입면을 이루고 있어 쟁반(10)의 돌기(13)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돌기(13)는 도 7에서와 같이 반찬의 수와 정렬위치에 의한 돌기배열을 가진다. 이러한 이유는 반찬 정렬의 멋을 높이거나 또는 간략한 식단을 위해 한정된 수의 반찬으로 보다 경제적인 식생활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대형식당에서는 각각의 손님에게 줄 한상의 식단을 구성할수 있는 돌기(13)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도3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쟁반(10)의 돌기(13)에 반찬그릇(30)를 재치시켜 반찬을 준비한 쟁반을 구성한다음, 상차림에 있어 상 또는 식탁에 밥그릇(31)과 국그릇(32) 및 수저를 놓은 상태에서 상기 반찬쟁반(10)을 놓으므로서 밥상이 간단하게 차려지는 것이며, 식사를 할 때에는 뚜껑(20)을 열어 식사를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대형식당에서는 상기한 본 고안의 쟁반(10)에 일인에게 제공되는 반찬을 차린후에 수요자가 오면 반찬이 차려진 본고안의 쟁반(10)과 밥또는 국을 건내줌으로서 한사람의 식사가 제공되는 간편성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용상태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쟁반(10) 내면을 내향된 요입면(40)으로 형성하고 이 요입면(40)에 요입된 환홈(41)을 형성시켜 반찬그릇(30) 저면돌출환(33)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바와같이 그릇이 안전되게 지지되는 효과와 함께 상기 쟁반(10) 외측 각면에 손이 유입되는 손잡이공간부(42)를 형성하여 이송수단을 결합한 것으로 쟁반(10)의 이동성을 높이고 쟁반(10)을 보다 효율적인 구성과 멋을 증대한 구성이다.
즉,(나)에서는 쟁반(10)외측 사방에 손이 유입되는 손잡이공간부(42)를 형성시켜 사용자의 손이 유입되어 쟁반(10)을 간편히 들어 이동시킬수 있도록 (다)에서는 쟁반의 외측단부를 외향된 돌출편(14)을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자가 돌출편(14)을 들어 이동시키도록 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 5실시예에서는 쟁반 뚜껑(20)을 구멍 또는 망상의 지지간(21)으로 구성함과 함께 쟁반(10)에 재치되는 반찬그릇(30) 상부로 지지간(21)과 일체의 그릇뚜껑(22)을 구성시켜 반찬그릇(30)을 덮을수 있도록 하여 쟁반뚜껑(20)내에 위치된 반찬그릇(30)과 그릇뚜껑(22)에 직접 냉기가 접촉되도록한 구성으로서 냉장고에 넣어 보관할 때에 냉기가 바로 그릇에 전달됨으로서 보관음식의 변질을 막는 효과와 함께 각각의 반찬이 가지는 냄새, 향등이 섞이지 않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서의 반찬그릇의 정렬수단을 보인것으로서 그릇의 수와 정렬상태를 안정되게 함으로서 미감적효과와 많은 그릇을 재치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이 아닌 경우에도 상기한 구성만으로 본 고안의 효과를 얻을수 있으나 도 7에서는 효과를 증대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안에서의 쟁반(10)은 직사각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쟁반의 형태가 원형 또는 팔각형, 정사각등 그 형상은 임의에 의해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후 즉, 식사후에는 쟁반뚜껑(20)을 닫고 쟁반(10)을 들어 이동하여 냉장고에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단번에 많은 반찬그릇(30)를 한번에 이동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증대되는 특징과 랩의 사용 및 각각의 뚜껑을 사용하지 않아 그 편리성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시 식사시간이 되면 주부는 식탁 또는 밥상에 밥과 국 및 수저를 놓은 상태에서 상기에서 차려진 본고안의 쟁반을 냉장고에서 꺼내어 상에 놓게 되면 여러 가지의 반찬이 마련되는 상차림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여러종류의 반찬을 한번으로 간단히 상차림하여 주부는 식탁과 냉장고를 몇번씩 왕래하는 번잡함이 없고 또한 식사후에는 다시 뚜껑(20)을 닫아 냉장고에 넣으므로서 단번으로 반찬을 냉장고에 넣을 수 있다.
식사 후, 밥그릇 (31)과 국그릇(32), 수저만 치우고 반찬수납쟁반(10)은 뚜껑(20)을 덮은 후에 바로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면 빠르고 편리하게 상을 치울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뚜껑(20)과 테두리(12)는 삽입 체결됨으로써 냉장고 내에서 반찬의 냄새가 다른 보관물에 배지 않고 냉장고의 특유 냄새 역시 반찬에 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4에서는 요철(15)과 함께 폐킹(16)을 구성시켜 그 밀폐효과를 증대한 구성도 함께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여러종류의 반찬그릇이 수용된 쟁반(10)을 이동시키는 편리성과 함께 하나의 뚜껑을 닫으므로서 냉장고에 반찬 냄새가 확산되는 것도 함께 방지되고 또한 종래의 랩을 이용하는 번잡성과 랩에 의한 환경오염 및 자원절약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안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짧은시간에 간단히 그리고 편리하게 상차림과 상치움을 행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반찬을 일시에 냉장고에 넣어 보관과 같이 냄새의 방출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 및 냉장고의 문을 여러번 열고 닫지 않아 절전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8)

  1. 받침판 저면으로 다리(11)를 구성하는 쟁반(10)의 외측단부에 뚜껑(20)이 안착되어 외부의 공기흐름을 방지하는 테두리(12)를 구성시켜 뚜껑(20)하단 단턱(23)이 결합되어 구성함과,
    상기 쟁반(10)의 내측면에는 반찬그릇(30) 저면요부에 삽입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고 위치를 설정하는 돌출된 돌기(13)를 다수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쟁반(10) 내면을 내향된 요입면(40)으로 형성하고 이 요입면(40)에 요입된 환홈(41)을 형성시켜 반찬그릇(30)의 저면돌출환(33)이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3. 제1항에 있어서, 쟁반(10) 외측 각면에 손이 유입되는 손잡이공간부(42)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4. 제1항에 있어서,
    쟁반(10)외주면에 외향된 돌출편(14)을 성형시켜 쟁반(10)의 손잡이편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5. 제1항에 있어서,
    쟁반(10)과 뚜껑(20)의 결합부는 요철(凹凸)(15)구성과 함께 요부내에 밀폐 폐킹(16)을 형성하여 냄새를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6.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을 구멍 또는 망상의 지지간(21)으로 구성함과 함께 쟁반(10)에 재치되는 반찬그릇(30) 상부로 지지간(21)과 일체의 그릇뚜껑(22)을 구성시켜 반찬그릇(30)을 덮을수 있도록 하여 뚜껑(20)내에 위치된 반찬그릇(30)과 그릇뚜껑(22)에 직접 냉기가 접촉되도록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7. 제 1항 및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 상단면 외주면으로 상향된 돌출된 외각턱(23)을 형성시켜 뚜껑(20)상부로 또다른 쟁반(10)을 올려놓아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8. 제 1항, 및 제6항에 있어서,
    쟁반(10)의 형상을 직사각형과 달리하는 형상으로 이루워지는것을 특징으로 한 반찬수납쟁반.
KR2019980006745U 1997-05-29 1998-04-28 반찬수납쟁반 KR1998006854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7-12448 1997-05-29
KR19970012448 1997-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545U true KR19980068545U (ko) 1998-12-05

Family

ID=6951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745U KR19980068545U (ko) 1997-05-29 1998-04-28 반찬수납쟁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5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4248A1 (en) * 2003-12-31 2005-07-14 Il Koun Ha Side dish container air tightness apparatus of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4248A1 (en) * 2003-12-31 2005-07-14 Il Koun Ha Side dish container air tightness apparatus of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9386A (en) Insulated covered serving tray
US2034478A (en) Oyster plate
US3384260A (en) Sectional tray
US3342397A (en) Divided food service tray
US5727857A (en) Portable knockdown food display apparatus
US3756681A (en) Container
JPH08256623A (ja) ペット給餌ステーション
JP2002112943A (ja) 皿水切り器と盆のセット
US8684218B1 (en) Multi-compartment, suction-capable vessel
US4585915A (en) Containers with attached lid for storage and microwave cooking
KR19980068545U (ko) 반찬수납쟁반
KR200439871Y1 (ko) 접이식 테이블
US20050045629A1 (en) Combination meal serving tray
US20050040309A1 (en) Reversible plate holder
KR200415545Y1 (ko) 개인용 배식판
US20050023279A1 (en) Stackable container assembly
KR200243759Y1 (ko) 냉장보관이 용이한 주방용 가열 용기
KR200309337Y1 (ko) 식품 분할 저장용기
KR200390922Y1 (ko) 냉면용 그릇구조
JPH04128255U (ja) 食器用蓋
KR200156971Y1 (ko) 식당용 배식판
KR19990035280U (ko) 체반용기
KR200390862Y1 (ko) 분리형 주전자
JPS6122543Y2 (ko)
JPS595379Y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