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904U -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904U
KR19980067904U KR2019970012524U KR19970012524U KR19980067904U KR 19980067904 U KR19980067904 U KR 19980067904U KR 2019970012524 U KR2019970012524 U KR 2019970012524U KR 19970012524 U KR19970012524 U KR 19970012524U KR 19980067904 U KR19980067904 U KR 199800679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ressure
solenoid valves
bump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500Y1 (ko
Inventor
유용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12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50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9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5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 유체가 충진되된 유체 범퍼(1)와; 상기 유체 범퍼(1)의 일측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전자제어 유니트(11)의 제어를 받아 유체 범퍼내의 압축 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와;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완화시켜 주는 제 1 내지 제 3 감압실(5-7)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압력들과 상호 비교한 후, 그 크기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주는 전자제어 유니트(11)로 구성하므로써,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충격력의 전달시간도 지연시킬 수 있어 자동차에서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되었을시 차체와 승차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상해정도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차동차의 범퍼내에 압축 유체를 충진시키되, 상기 유체 범퍼의 일측부에는 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감압실 및 압력 감지기를 설치하여 자동차에 장착된 유체범퍼에 추돌사고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그 충격량에 따라 유체의 누출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므로써,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충격력의 전달시간도 지연시켜 자동차의 전후방 사고 발생시 차체와 승차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상해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앞뒤에 설치된 대부분의 범퍼는 플라스틱(고체)으로 사출 성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타 자동차 또는 기타 장애물과 충돌하였을시 그 충격력이 고체의 범퍼를 통해 차체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충격량이 커서 차체 및 승차자을 보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체 범퍼2-4 :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
5-7 : 제 1 내지 제 3 감압실8-10 :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
11 : 전자제어 유니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속이 빈 내부 공간부에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자동차의 앞뒤에 설치되는 유체 범퍼와; 상기 유체 범퍼의 일측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전자제어 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유체 범퍼내의 압축 유체를 선택적으로 누출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완화시켜 주는 제 1 내지 제 3 감압실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압력과 상호 비교한 후, 그 크기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주는 전자제어 유니트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 장착된 유체범퍼가 소정의 물체등과 충돌하므로 인해 소정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그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유체의 누출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자동차의 전후방 사고 발생시 차체와 승차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상해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 장치는, 속이 빈 내부 공간부에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자동차의 앞뒤에 설치되는 유체 범퍼(1)와; 상기 유체 범퍼(1)의 일측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전자제어 유니트(11)의 제어를 받아 유체 범퍼내의 압축 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완화시켜 주는 제 1 내지 제 3 감압실(5-7)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압력들과 상호 비교한 후, 그 크기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주는 전자제어 유니트(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에서 각각 감지되는 압력신호(P1-P3)은 각각 이미 설정되어 있는 기준압력(A-C)과 상호 비교되는데, 이때 상기 기준압력은 A B C순을 갖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는, 먼저 유체 범퍼(1)는 속이 빈 내부 공간부에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자동차가 타 자동차 또는 장애물등과 충돌하였을시 그 내부의 유체 압력이 변화된다.
그런데, 상기 유체 범퍼(1)의 일측부에서는 제 1 압력 감지기(8) →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 → 제 1 감압실(5) → 제 2 압력 감지기(9) →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 → 제 2 감압실(6) → 제 3 압력 감지기(10) → 제 3 솔레노이드 밸브(4) → 제 3 감압실(7)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체 범퍼(1)내의 압력이 변화되면 그 크기에 따라 압력 유체가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를 통해 제 1 내지 제 3 감압실(5-7)로 누출되어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외부의 충격에 의해 유체 범퍼(1)내의 압축 유체 압력이 상승하면,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의 입구측에 설치된 제 1 압력 감지기(8)가 제일 먼저 그 압력을 감지하여 콘트롤 유니트(11)로 입력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콘트롤 유니트(11)에서는 도 2와 같이 제 1 압력 감지기(8)에서 감지된 압력값(P1)이 이미 지정된 기준압력(A)이상인지를 상호 비교하여 만약 기준압력(A) 이상으로 큰 것으로 판별되면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유체 범퍼(1)내의 압축 유체의 일부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를 통해 제 1 감압실(5)로 유입되어 그 압력이 완화된다.
따라서, 자체나 승차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은 그 만큼 감소되는 것이다.
한편, 외부에서 유체 범퍼(1)에 가해진 충격력이 커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와 제 1 감압실(5)을 통해 제 2 압력 감지기(9)에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즉, 제 2 압력 감지기(9)에서 감지된 압력값(P2))이 이미 지정된 기준압력(B)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콘트롤 유니트(11)에서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도 구동시키게 되므로, 유체 범퍼(1)내의 압축 유체의 일부가 상기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를 통해 제 1 감압실(5)에서 1차적으로 감압된 후, 다시 상기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를 통해 제 2 감압실(6)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감압된다.
물론, 외부에서 유체 범퍼(1)에 가해진 충격력이 매우 커서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2,3)와 제 1 및 제 2 감압실(5,6)을 통해 제 3 압력 감지기(10)에 전달되는 유체의 압력(즉, 제 3 압력 감지기(10)에서 감지된 압력값(P3))이 이미 지정된 기준압력(C) 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콘트롤 유니트(11)에서는 제 3 솔레노이드 밸브(4)도 구동시키게 되므로, 유체 범퍼(1)내의 압축 유체의 일부가 제 1 솔레노이드 밸브(2) → 제 1 감압실(5) → 제 2 솔레노이드 밸브(3) → 제 2 감압실(6) → 제 3 솔레노이드 밸브(4) → 제 3 감압실(7)로 유입되어 3차에 걸쳐 감압된다.
즉, 자동차에 장착된 유체 범퍼(1)가 소정의 물체등과 충돌하므로 인해 소정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그 충격량의 크기에 따라 유체의 누출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그 압력을 완화시키므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유체 범퍼(1)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따라 유체의 누출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그 압력을 완화시키면 충격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시간도 종래 보다 훨씬 길어지게 되므로 매우 큰 충격흡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은 상기 유체 범퍼(1)의 일측부에 3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감압실 및 압력 감지기를 설치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였는데, 그 숫자는 상기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의 크기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축 유체가 충진된 상태에서 차동차의 앞뒤에 설치된 유체 범퍼의 일측부에 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감압실 및 압력 감지기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자동차가 소정의 물체와 충돌하므로 인해 그 충격이 법퍼에 가해졌을 경우 그 충격량에 따라 유체의 누출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므로써,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충격력의 전달시간도 지연시킬 수 있어 자동차에서 충돌 및 추돌사고가 발생되었을시 차체와 승차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상해정도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범퍼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밀봉하고 자동차가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는 그 충격량에 따라 유체의 유출을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차체 및 승차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2)

  1. 속이 빈 내부 공간부에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자동차의 앞뒤에 설치되는 유체 범퍼(1)와; 상기 유체 범퍼(1)의 일측부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전자제어 유니트(11)의 제어를 받아 유체 범퍼내의 압축 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와;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를 통해 누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완화시켜 주는 제 1 내지 제 3 감압실(5-7)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솔레노이드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는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압력들과 상호 비교한 후, 그 크기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주는 전자제어 유니트(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압력 감지기(8-10)에서 각각 감지되는 압력신호(P1-P3)을 상호 비교하는 기준압력(A-C)은 A B C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KR2019970012524U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KR200160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524U KR200160500Y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524U KR200160500Y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904U true KR19980067904U (ko) 1998-12-05
KR200160500Y1 KR200160500Y1 (ko) 1999-11-01

Family

ID=195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524U KR200160500Y1 (ko) 1997-05-30 1997-05-30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5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07B1 (ko) * 2002-08-14 2005-05-16 장영철 시간식 비압축성 유체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시간식 비압축성 유체 유량 제어방법
KR100764502B1 (ko) * 2006-10-04 2007-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충격흡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307B1 (ko) * 2002-08-14 2005-05-16 장영철 시간식 비압축성 유체 유량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시간식 비압축성 유체 유량 제어방법
KR100764502B1 (ko) * 2006-10-04 2007-10-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박스의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500Y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7417A1 (en) Obstacle discrimination device for vehicle
US8935087B2 (en) Collision determin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4006919A (en) Inflator assembly and flow control valve for same
US20010003395A1 (en) Air bag and air bag device
WO1999042338A3 (en) Valve controlled automotive pyrotechnic systems
WO1998051544A1 (en) Actuation controller for air bag device
US20060191731A1 (en) Starting device of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US6341813B1 (en) Energy-absorbing members in a vehicle
KR200160500Y1 (ko) 자동차용 유체펌프의 제어장치
US6065773A (en) Gas pressure restraint, sensing and release systems
US5851029A (en) Gas pressure restraint, sensing and release systems
EP0889809B1 (en) Gas pressure restraint, sensing and release systems
US3651988A (en) Explosively operated gas supplying apparatus
KR19990042566A (ko) 자동차의 차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0158129B1 (ko)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및 그 방법
KR0162072B1 (ko) 차량충돌시 연료의 자동귀환장치
KR19990049459A (ko) 차량용 범퍼
KR0170102B1 (ko) 자동차용 에어백 격발 장치
CN113580876B (zh) 一种二氧化碳空调保护装置及其控制策略
KR100499666B1 (ko) 수륙양용차량의 에어백 공압제어장치 및 방법
KR960010400A (ko) 자동차의 에어백
KR100716780B1 (ko) 차량용 무릎보호 에어백 장치
KR20020044324A (ko) 인출식 자동차용 범퍼
KR100536356B1 (ko) 차량 에어백의 공용 인플레이터
KR19980049945A (ko) 자동차 에어 스프링의 에어 누설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