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371A -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371A
KR19980067371A KR1019970003362A KR19970003362A KR19980067371A KR 19980067371 A KR19980067371 A KR 19980067371A KR 1019970003362 A KR1019970003362 A KR 1019970003362A KR 19970003362 A KR19970003362 A KR 19970003362A KR 19980067371 A KR19980067371 A KR 1998006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function
control
camera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방진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7000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371A/ko
Publication of KR1998006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3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원격제어기능과 동작모드의 저장기능을 내장시킨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CD 카메라기술을 이용하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원격제어기능을 내장시킴으로써 내시경 수술시 내시경장치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환경에서 제품의 운용성 및 사용 편리성을 개선한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무선 원격제어기능을 내장함으로써 수술기사 또는 간호사가 내시경 기기와 일정거리를 두고 있는 상태에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기기의 운용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동작모드의 저장기능을 추가 적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동작모드가 설정될 수 있도록하여 기기의 운용 및 사용성의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본 발명은 무선 원격제어기능과 동작모드의 저장기능을 내장시킨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CD 카메라기술을 이용하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원격제어기능을 내장시킴으로써 내시경 수술시 내시경장치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환경에서 제품의 운용성 및 사용 편리성을 개선한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학용으로 사용되는 내시경카메라는 생체의 체강내를 화상으로 관찰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으로는 가는 광섬유다발을 사용하여 식도, 기관, 요도 등에 삽입하여 체강 내벽을 직시하거나 영상화시켜 체강내부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를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은 아나로그방식의 내시경 카메라장치를 사용함에 따라서 제어기능이 제한되어 왔으며 화상을 제어하는 부분외의 다른 기능의 부가가 어려웠다.
따라서, 기존의 아나로그 방식의 내시경 카메라장치의 경우에 있어서는 디지털방식으로 제어되는 원격제어 신호를 처리할 수 없으므로 이의 적용이 불가능 하게 되고, 더욱이 내시경은 일반 사용환경이 아닌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며, 특히 내시경을 사용하는 수술 시에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등 기기 주변으로의 접근이 매우 용이하지 않으므로 카메라의 동작모드 변경 및 윤곽강조, 레벨 업(Level Up), 화상정지 등과 같은 기능선택 및 장치의 운용에 불편한 점이 많이 제기되어 왔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유선 또는 무선 원격제어기능을 내장함으로써 카메라장치의 원격제어가 가능토록하여 수술기사 또는 간호사가 내시경 기기와 일정거리를 두고 있는 상태에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기기의 운용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동시에 동작모드의 저장기능을 추가 적용함으로써 다음 동작시 최초의 셋업(Set Up)상태에서 동작모드가 자동설정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고, 또한 카메라장치의 동작모드 제어 및 각 동작조건의 재설정 조정 변경이 원격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원격제어 신호 발생회로를 보인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리앰프회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호발생회로, 2 : 프리앰프회로
3 : 마이크로프로세서, U1 :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
U2 : 증폭소자, U3 : 원격제어수신회로
U4 : 인버터회로, SW1-SW14 : 제어버튼
D2 : 적외선다이오드, Q1 : 구동트랜지스터
Q2 : 트랜지스터, R1,R2,R3 : 저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카메라장치에서는 원격제어기능을 내장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영상신호처리가 디지털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동시에 동작모드의 저장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에 연결된 각 원격제어버튼(SW1-SW14)의 기능에 따른 적외선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회로(1);
상기 신호발생기(1)에서 발사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카메라장치(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수 ㎑의 낮은 콘트롤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앰프회로(2);
상기 프리앰프회로(2)에서 출력되는 콘트롤클록신호를 전송받아 주파수를 검출해서 상기 원격제어버튼(SW1-SW14)의 기능에 해당하는 카메라장치(4)의 동작을 수행키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메모리소자(EEPROM)에 의해 설정된 카메라장치(4)의 동작모드를 저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
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원격제어기능이 부여되므로써 내시경 수술시 미세한 영상관측을 위한 기기의 부분적 조작을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기기의 운용 및 사용성의 개선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비한정의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의 전체적인 기본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원격제어 신호발생회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리앰프회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는 크게 원격제어를 위한 적외선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회로(1)와, 콘트롤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앰프회로(2)와, 카메라장치(4)의 동작을 수행키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 및 CCD 기술을 이용한 카메라장치(4)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발생회로(1)는 제 2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원격제어만을 전용으로 수행하는 콘트롤 IC인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와, 상기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의 입력장치로써 각 제어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수개의 제어버튼(SW1-SW14)과, 상기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의 출력신호에 따라 단속호출신호(IR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 다이오드(D2)와, 그리고 크리스탈(X1) 및 콘덴서(C1, C2) 등의 주변부품들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발생회로(1)를 구성하는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는 제조시 타제품과 펄스코드의 형태를 달리하고 각 제어버튼(SW1-SW14)에 대한 동작의 구분을 위하여 각 제어버튼(SW1-SW14)에 해당하는 고유의 펄스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작된 소자이며, 상기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에 연결설치된 크리스탈(X1) 및 콘덴서(C1, C2)는 펄스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소자로 기준클럭 발생을 위한 주변부품이다.
상기 프리앰프회로(2)는 제 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증폭소자(U2)와 저항,콘덴서 등의 주변회로로써 구성되며, 동 프리앰프회로(2)는 원격제어수신회로(U3) 및 인버터회로(U4)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프리앰프회로(2)를 구성하는 증폭소자(U2)는 출력레벨을 상승시켜주기 위한 프리앰프 IC소자로써 원격제어수신회로(U3)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펄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약 38㎑의 버스트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수 ㎑ 대의 낮은 콘트롤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앰프회로(2)를 구성하는 원격제어수신회로(U3)는 수신된 적외선 펄스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앰프회로(2)를 구성하는 인버터회로(U4)는 트랜지스터(Q2)와 저항(R1,R2)으로 구성되며 동 인버터회로(U4)를 통해 출력되는 콘트롤클럭신호가 반전증폭된 신호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3)의 입력으로 전송된다.
도면에 기재된 부호중 미설명부호; D1은 다이오드, BAT는 3V 배터리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보이는 본 발명의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내시경을 사용하는 수술과정에서 카메라장치(4)의 동작을 제어하고자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와 연결된 해당하는 제어버튼(SW1-SW14)을 누르게 되면 각 제어버튼(SW1-SW14)에 대응하는 고유의 펄스신호가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로부터 출력되고, 이 신호는 구동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구동트랜지스터(Q1)가 도통하여 콜렉터에서 에미터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그의 콜렉터쪽에 연결되어 있는 적외선다이오드(D2)에서는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에 입력된 펄스신호 형태로 발광하여 적외선 펄스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적외선다이오드(D2)에서 출력발사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는 프리앰프회로(2)를 구성하는 원격제어수신회로(U3)를 통해 수신되게 되는데, 여기서 적외선 펄스신호는 전기적신호인 원격제어 펄스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원격제어 펄스신호는 바로 증폭회로(U2)에 입력되게 되는데, 여기서 원격제어 펄스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약 38㎑의 버스트신호성분이 제거됨으로써 카메라장치(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에서의 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수 ㎑의 낮은 콘트롤클럭신호가 변환출력되게 된다. 그다음 이 콘트롤클럭신호는 인버터회로(U4)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는 도통하게 되고 저항(R2)를 흐르는 전류가 이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에미터쪽으로 흐르게 되므로 그의 콜렉터측에는 반전증폭된 신호가 출력되어 저항(R3)을 통해 이 프리앰프회로(2)와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3)의 입력으로 인가되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프로세서(3)에서는 입력된 콘트롤클럭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여 조작한 해당 원격제어버튼(SW1-SW14)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카메라장치(4)를 원격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마이크로프로세서(3)에서는 동작모드 저장을 위한 제어버튼이 선택되어지면 마이크로프로세서(3)의 주변회로로 구성되는 메모리소자(EEPROM)에 의해 설정된 카메라장치(4)의 동작모드를 저장(각 버튼의 선택 또는 동작모드의 설정상태를 기억)함으로써 기기의 초기화시 카메라장치(4)가 기본 동작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제어에 의해 카메라장치(4)의 동작모드의 제어 및 신호처리의 각 동작조건을 재설정하고 조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시경 카메라장치에 무선 원격제어기능과 동작모드 저장기능을 부여함으로써 내시경 수술시 미세한 여앙관측을 위한 기기의 부분적 조작을 원거리에서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도록하여 기기의 운용 및 사용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내시경 카메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의 원격제어방식으로 카메라장치(4)의 조작이 행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 무선 원격제어기능이 내장된 내시경 카메라장치가;
    원격제어용콘트롤소자(U1)에 연결된 각 원격제어버튼(SW1-SW14)의 기능에 따른 적외선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회로(1);
    상기 신호발생기(1)에서 발사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장치(4)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의 신호처리가 가능하도록 수 ㎑의 낮은 콘트롤클럭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앰프회로(2);
    상기 프리앰프회로(2)에서 출력되는 콘트롤클록신호를 전송받아 주파수를 검출해서 상기 제어버튼(SW1-SW14)의 기능에 해당하는 카메라장치(4)의 동작을 수행키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방식의 내시경 카메라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격제어기능에 더하여 동작모드 저장기능을 적용하여 카메라장치(4)의 각 동작모드를 기억토록 함으로써 다음 동작시 기본 동작모드로 기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3)의 주변회로로써 메모리소자(EEPROM)를 더 구비시켜 동 메모리소자(EEPROM)에 각 제어버튼(SW1-SW14)의 선택 또는 동작모드의 설정상태가 기억되도록 함으로써 다음 동작시 최초상태로 동작모드가 자동설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원격제어에 의해 카메라장치(4)의 동작모드제어 및 신호처리의 각 동작조건을 재설정하고 조정 변경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KR1019970003362A 1997-02-04 1997-02-04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KR19980067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362A KR19980067371A (ko) 1997-02-04 1997-02-04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362A KR19980067371A (ko) 1997-02-04 1997-02-04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371A true KR19980067371A (ko) 1998-10-15

Family

ID=6598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362A KR19980067371A (ko) 1997-02-04 1997-02-04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3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791A (ko) * 2001-02-28 2002-09-05 장한 시술자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수술장면 촬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791A (ko) * 2001-02-28 2002-09-05 장한 시술자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한 수술장면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1193B2 (ja) 内視鏡装置
JP2006271697A (ja) 電子内視鏡
JP3706326B2 (ja) 内視鏡装置
CA2301714A1 (en) Reduced area imaging devices incorporated within surgical instruments
JP2009207872A (ja) 医療制御装置及び該システム
JP5751869B2 (ja) 電子内視鏡装置、電子内視鏡用プロセッサ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
KR20190134148A (ko) 적외선 귀 체온계
EP2090220A1 (en) Processor for endoscope
JP4197879B2 (ja) 内視鏡装置
KR19980067371A (ko) 원격제어 및 모드저장기능을 갖는 내시경 카메라장치
JP2001070225A (ja) 内視鏡装置
AU716529B2 (en) Optical viewing device and system including same
JP4076736B2 (ja) 内視鏡装置
JP2018166988A (ja) 電子内視鏡システム、電子内視鏡、処置具及び内視鏡制御装置
JP2004049708A (ja) 電子内視鏡装置と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用補助具
JP2006102308A (ja) 生体情報収集装置
JP4731250B2 (ja) 電子内視鏡装置
JPH1189791A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00217780A (ja) 内視鏡装置
EP3858216B1 (en) Endoscope
JP2009226171A (ja) プロセッサおよび内視鏡装置
US20050236907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able
JP2007037784A (ja) 手術装置システム
JP2007175228A (ja) 機器制御装置
JP2001292962A (ja) 電子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