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284A -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284A
KR19980067284A KR1019970003230A KR19970003230A KR19980067284A KR 19980067284 A KR19980067284 A KR 19980067284A KR 1019970003230 A KR1019970003230 A KR 1019970003230A KR 19970003230 A KR19970003230 A KR 19970003230A KR 19980067284 A KR19980067284 A KR 19980067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mponent supply
boxes
tim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4190B1 (ko
Inventor
정일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1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6Supply management, e.g. supply of components or of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 각종 제품의 조립라인에 투입될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공급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조립공정에 필요한 여러 가지 부품들을 일시에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는 한 조립공정에 투입되는 복수의 부품상자(10a~10e), 이로부터 부품(11a~11b)이 일시에 낙하되도록 개폐되는 셔터(13a~13e)를 갖는 슈트(12a~12e), 낙하된 부품들을 한데 모으기 위한 접시(20), 그리고 전자저울(30)을 구비하여, 일회의 조립작업에 필요한 부품 일체를 일시에 공급하고 그의 총중량으로부터 부품누락을 방지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한 작업누락을 막아서 불량을 줄이고, 또한 작업시간 단축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등 부품공급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 각종 제품의 조립라인에 투입될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품공급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조립공정에 필요한 여러 가지 부품들을 일시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 등 각종 제품은 여러 단계의 조립공정을 차례로 거쳐 그 조립이 완료되며, 통상 각 조립공정에서 여러 가지 부품들이 소요된다. 이러한 여러 단계의 조립공정을 거치는 동안 어느 한 조립공정에서 작업이 지연되거나 부품 하나라도 누락될 경우 그 이후의 거의 모든 조립공정이 중단되거나 조립불량으로 처리됨으로써 생산차질을 빚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조립공정에 대한 부품공급에서부터 조립후 확인까지 효율적인 공정관리가 요구된다.
그러나 부품공급에 있어서, 예로써 한 공정에 5개의 부품을 조립하여야 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작업대(1) 주위에 그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부품들이 각각 담겨져 잇는 5개의 부품상자(2,3,4,5,6)들을 배치하여, 작업자가 각 부품상자(2,3,4,5,6)로부터 직접 부품을 꺼내어 조립하도록 그 부품을 공급관리하여 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첫 번째 부품상자(2)에서 부품 하나를 꺼내어 그것을 도시되지 않은 조립대상 물품에 조립한 다음, 두 번째 부품상자(3)에서 부품을 꺼내어 조립하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케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부품공급관리에 의하면, 작업자가 일일이 부품상자(2,3,4,5,6)를 선택하고 손을 뻗어서 직접 부품을 꺼내게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가 빨리 오고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뿐 아니라 부품을 꺼내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에 의하여 그 5개의 부품상자(2,3,4,5,6)중 어느 하나를 건너 띄게 되는 작업누락으로 종종 문제를 일으킨다. 실질적으로 한 조립공정에서 소요되는 부품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품들이 소요되는 경우에 그 작업누락에 의한 조립불량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이 경우에 그 작업누락 여부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아서 그대로 다음 조립공정으로 투입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한 조립공정에서 부품이 누락되거나 부품 조립작업이 누락됨으로써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부품공급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공급관리의 효율성을 통해 작업자의 피로를 덜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부품 공급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공급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공급장치의 개요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에 적용되는 부품상자로부터의 부품공급을 위한 개폐구조를 보인 부분절단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e : 부품상자11a~11b : 부품
12;12a~12e : 슈트13;13a~13e : 셔터
14(14') : 작동기(에어실린더)20 : 부품공급접시
30 : 전자저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부품상자로부터 한 조립공정의 일회 작업에 필요한 부품들을 일시에 공급하고, 그 인출된 부품들의 총중량을 측정하여 그 중량으로부터 부품 누락여부를 판정한 후 작업에 투입케 하는 부품공급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부품공급장치는,
복수의 부품상자와, 복수의 부품상자를 그 각각으로부터 부품이 공급되도록 동시에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각 부품상자들로부터 개폐수단 작동으로 공급된 부품들을 모아서 중량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여, 그 측정수단에 의한 측정된 중량으로부터 부품누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 한 조립공정에서 일회의 조립작에 필요한 여러개의 부품들을 일시에 공급하므로, 작업자는 각 부품상자로부터 부품을 꺼내는 번거러운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피로를 덜 수 있고 각자의조립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시에 공급된 부품들의 총중량으로부터 부품이 누락되거나 또는 과잉공급되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부품 누락으로 인한 작업누락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부품공급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공급장치의 개요가 도시된 도 1을 참조하면, 부호 10a 내지 10e는 각각 부품들이 담겨져 있는 부품상자, 20은 부품공급접시, 30은 전자저울, 그리고 40은 작업대이다.
부품상자(10a~10e)는 각각 슈트(12a~12e)와 연결되어 있고 그 슈트(12a~12e)를 개폐하는 셔터(13a~13e)가 열렸다 닫히도록 작동되는 것에 의하여 각각에 저장된 부품(11a~11e)을 각각의 슈트(12a~12e)를 통해 부품공급접시(20)에 하나씩 떨어트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부품공급접시(20)에 담긴 부품(11a~11b)을 가지고 일회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여러개의 부품(11a~11b)들이 일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셔터(13a~13e)를 하나의 작동기(14)와 연결하고, 그 작동기(14)로 예를 들면 셔터(13a~13e)를 당겼다 미는 형식으로 작동시키는 것이다.
부품공급접시(20)는 전자저울(30)에 올려진 상태에서 셔터(13a~13e)의 개폐작동에 따라 부품상자(10a~10e)로부터 슈트(12a~12e)를 통해 하나씩 낙하되는 부품(11a~11b)을 한데 모아서 작업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저울(30)은 그 위에 올려진 부품공급접시(20)와 함께 거기에 모아진 부품(11a~11e)들의 중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중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반(31)에 전송한다. 제어반(31)은 작업자 등에 의하여 설정된 설정값과 그 전송된 중량을 비교하여 그로부터 부품누락이 판단되면 이를 작업자에 알리는 경보수단(예: 경광등, 부저)을 가지며, 또한 상기한 작동기(14)의 원터치 조작을 위한 스위치(부호 생략) 등을 가진다.
즉, 작업자가 상기한 제어반(31)에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작동기(14)를 작동시키면, 셔터(13a~13e)들이 일시에 부품상자(10a~10e)들의 슈트(12a~12e)를 개폐시킨다. 그러면 부품상자(10a~10e)로부터 슈트(12a~12e)를 통해 부품(11a~11b)이 각각 하나씩 낙하되고, 낙하된 부품(11a~11b)들은 부품공급접시(20)에 모아진다. 이때 전자저울(30)은 부품공급접시(20)에 모인 부품(11a~11b)들의 총중량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제어반(31)에 전송한다. 만약, 부품이 누락되면 전자저울(30)에서 측정되는 중량이 작으므로 이때 제어반(31)은 상기한 경보수단을 작동시켜 그 부품누락을 알리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조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이 없으면, 작업자는 그 부품공급접시(20)에 공급되어 있는 부품(11a~11b)을 가져다 조립작업하면 된다. 부품공급접시(20)에 공급된 부품(11a~11b)을 모두 조립하면 금회 조립작업이 작업누락없이 진행된 것이므로 다음회 조립작업을 위하여 위와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3은 전술한 부품공급장치에 있어서 부품상자의 슈트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다. 이 도면에서 부호 12는 슈트, 13은 셔터이다. 셔터(13)는 그 작동기로서 에어 실린더(14')와 연결되어 있고, 그 전후진시에 요동레버(15)와 스프링(16)에 탄력설치된 스토퍼(17)를 차례로 연동시킨다. 즉, 실린더(14')를 조작하여 셔터(12)를 후진시키면, 그 셔터(12) 끝에 걸쳐서 대기중이던 부품(11-1) 하나가 아래로 낙하되고, 그 위에 위치한 부품(11-2)은 요동레버(15)를 받치던 셔터(12)의 걸림턱(18)이 후퇴되고 스프링(16)의 힘에 의하여 그 요동레버(15)를 밀면서 탄력적으로 전진하게 되는 스토퍼(17)에 의하여 낙하되지 않는다. 이어 실린더(14')를 복귀(전진)시키면 셔더(12)가 전진하므로 슈트(12)가 폐쇄되므로 스토퍼(17)가 복귀(후퇴)되어도 그 부품(11-2)이 낙하되지는 않는다. 도면중 셔터(12)의 연장부(19)는 전술한 도 1과 같은 복수의 셔터(13a~13e)를 작동기(14')에 의하여 일시에 작동되도록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셔터의 개폐구조를 이용하여 전술한 복수의 부품상자(10a~10e)들의 슈트(12a~12e)들을 일시에 개폐시켜 일회 작업에 필요한 부품(11a~11b) 일체를 한꺼번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부품을 하나하나 꺼내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덜 수 있고 아울러 작업시간도 그만큼 단축되는 것이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제품의 조립공정에서 일회작업에 필요한 부품 일체를 누락없이 공급함으로써 작업자가 부주의나 실수에 의한 작업누락없이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하므로, 그 작업누락에 의한 불량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피로를 덜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켜서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Claims (6)

  1. 복수의 부품상자로부터 한 조립공정의 일회 작업에 필요한 부품들을 공급하고, 그 인출된 부품들의 총중량을 측정하여 그 중량으로부터 부품 누락여부를 판정한 후 작업에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의 부품상자로부터 부품들을 일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부품들의 중량측정을 위하여 저울을 사용하고 상기한 복수의 부품상자로부터 그 저울로 부품을 직접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4. 복수의 부품상자와, 복수의 부품상자를 그 각각으로부터 부품이 공급되도록 동시에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각 부품상자들로부터 개폐수단 작동으로 공급된 부품들을 모아서 중량을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포함하여, 그 측정수단에 의한 측정된 중량으로부터 부품누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수단이 상기한 복수의 부품상자 각각에 연결되어 그 부품상자로부터 부품을 차례로 낙하시킬 수 있는 슈트와, 이 슈트를 개폐하는 셔터와, 슈트를 통해 부품이 하나씩 낙하되도록 그 셔터를 작동시키는 작동기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측정수단이 상기한 복수의 부품공급상자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한데 모으는 부품공급접시를 포함하여 이 부품공급접시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KR1019970003230A 1997-02-03 1997-02-03 부품공급방법및그장치 KR10029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230A KR100294190B1 (ko) 1997-02-03 1997-02-03 부품공급방법및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230A KR100294190B1 (ko) 1997-02-03 1997-02-03 부품공급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84A true KR19980067284A (ko) 1998-10-15
KR100294190B1 KR100294190B1 (ko) 2001-09-17

Family

ID=3752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230A KR100294190B1 (ko) 1997-02-03 1997-02-03 부품공급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7259A (zh) * 2021-07-30 2021-11-02 广州佳帆计算机有限公司 供料器状态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29B2 (ja) * 1985-12-02 1994-02-09 大和製衡株式会社 組合せ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7259A (zh) * 2021-07-30 2021-11-02 广州佳帆计算机有限公司 供料器状态检测方法及装置
CN113597259B (zh) * 2021-07-30 2023-09-15 广州佳帆计算机有限公司 供料器状态检测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4190B1 (ko) 200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2388B (zh) 一种小尺寸零件自动化生产线及生产方法
CN101498922B (zh) 具有生产管理装置的生产系统
CN102405414B (zh) 自动分析装置
US9494611B2 (en) Immunological analyzing apparatus
US20080031777A1 (en) Method for ordering using automatic analyzer
CN114596055A (zh) 一种数字化mes管理方法以及系统
CN100527027C (zh) 分析生产线运行状况的系统及其分析方法
KR19980067284A (ko) 부품공급방법 및 그 장치
CN101145984A (zh) 基于参数自适应的自动化测试方法
KR970017362A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검사 방법
DE3344944A1 (de) Verfahren zur analyse von stahl waehrend seiner herstellung und weiterverarbeitung
US6678636B1 (en) Cycle time analyzer
CN107942986A (zh) 一种生产监控方法
EP0806880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ptimieren eines Mobilfunknetzes
CN100535815C (zh) 操作指令系统、装置以及操作指令方法
CN104919321A (zh) 检体处理系统
CN109583668A (zh) 航天大型薄壁件产品加工质量追溯系统
CN113485263A (zh) Mes智能制造生产执行系统
CN110320863B (zh) 设备动作解析装置
US20020195734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collecting knowledge of molding technique
JP4734796B2 (ja) 検体分析システム
KR100863834B1 (ko) 제품 생산라인의 택 타임 자동 관리 방법
JPH07304078A (ja) 射出成形機の段取り誤り検出方法
CN207623990U (zh) 一种防呆扫码检测装置
JP3394265B2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の金型交換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415

Effective date: 200101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