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172A -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7172A KR19980067172A KR1019970003067A KR19970003067A KR19980067172A KR 19980067172 A KR19980067172 A KR 19980067172A KR 1019970003067 A KR1019970003067 A KR 1019970003067A KR 19970003067 A KR19970003067 A KR 19970003067A KR 19980067172 A KR19980067172 A KR 199800671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output
- short
- code
- frequenc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04J13/0048—Wals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합선 통신을 위한 위한 별도의 송수신기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타합선 통신을 가능함으로써 무선장비의 부피가 커짐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일럿트데이터와, 트래픽데이터와, 타합선데이터를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왈시코드와 PN코드로 각 채널을 분류하여 처리한 후 모든 채널의 데이터를 가산하여 통신을 위한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타합선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합선 통신을 위한 위한 별도의 송수신기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타합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통신망에서 타합선(Order Wire)이라 함은 통화 회선과는 별도로 통신 시설의 정비나 보전을 위해 사용하는 회선을 말하며, 이와 달리 무선통신망에서의 타합선이라 함은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 프레임에서의 어느 버스트(burst)의 프리앰블(pre-amble)중 연락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채널 또는 음성 채널을 말한다. 이러한 타합선 통신은 점차 증대되는 통신 소요량을 처리하며, 생존성 및 융통성이 보장되고, 대용량 고속처리가 가능한 통신체계를 구성함에 있어 비상 통화수단으로서 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말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타합선은 유선장비간 또는 무선장비간, 즉 통신수단별, 지점 대 지점(point-to-point) 방식으로 운용되어 왔다. 따라서 무선장비 상호간만 타합선 통화를 할 수 있고, 유선장비 상호간만이 타합선 통신을 할 수 있다. 특히 무선장비 상호간에는 별도로 송수신기를 장착하여 타합선 전용의 채널로서 활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무선통신망에서 타합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채널과 송수신기가 반드시 구비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합선 통신을 위한 별도의 송수신기가 요구됨에 따라 전체적인 무선통신장비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망에서 타합선 통신을 위한 별도의 채널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타합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망에서 타합선 통신을 위한 위한 별도의 송수신기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타합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무선통신망에서 타합선 통신이 요구됨에 따라 통신장비의 부피가 커짐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일럿트데이터와, 트래픽데이터와, 타합선데이터를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왈시코드와 PN코드로 각 채널을 분류하여 처리한 후 모든 채널의 데이터를 가산하여 통신을 위한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타합선 통신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는: PN코드의 발생을 위한 PN코드발생기와; 파일럿트데이터를 소정 파일럿트 왈시코드와 주파수혼합하고, 다음에 상기 PN코드와 주파수혼합한 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수단과; 트래픽데이터를 소정 트래픽 왈시코드와 주파수혼합하고, 다음에 상기 PN코드와 주파수혼합한 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수단과; 타합선데이터를 소정 타합선 왈시코드와 주파수혼합하고, 다음에 상기 PN코드와 주파수혼합한 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수단과; 상기 제2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제1가산수단과; 상기 제1가산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1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통신을 위한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가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합선 통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합선 통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타합선 통신장치는 트래픽 채널을 활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타합선 채널을 위한 송수신기 모듈이 필요없으며, 유무선 통신체계에서 접속장비간의 지점 대 지점 방식의 타합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합선 통신장치는 크게 4개의 블록(블록 110,120,140,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 110은 I암(arm) PN(Pseudo Noise)코드를 발생하는 IPN코드발생기 111과, Q암 PN코드를 발생하는 QPN코드발생기 112로 이루어진다. IPN코드발생기 111에 의해 발생된 IPN코드는 주파수혼합기 124, 146,165로 인가된다. QPN코드발생기 112에 의해 발생된 QPN코드는 주파수혼합기 125,135로 인가된다. 상기 주파수혼합기 135는 상기 QPN코드발생기 112의 출력을 입력하여 -1의 값과 혼합한 후 그 혼합결과를 주파수혼합기 145,164로 인가된다.
블록 120은 파일럿트(pilot)데이터를 입력하여 왈시코드로 분류하고, 또한 PN코드로 분류한 후 필터링 및 증폭, 그리고 그 증폭결과를 트래픽데이터와 타합선데이터와 가산하여 채널상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상기 블록 120의 주파수혼합기(Mixer) 123은 파일럿트데이터 121을 파일럿트 왈시(Walsh)코드발생기 122에 의해 발생된 파일럿트 왈시코드와 혼합하여 주파수혼합기 124, 125로 출력한다. 주파수혼합기 124는 상기 주파수혼합기 123의 출력과 상기 IPN코드발생기 111의 출력을 혼합하고, 주파수혼합기 125는 상기 주파수혼합기 123의 출력과 상기 QPN코드발생기 112의 출력을 혼합한다. 상기 주파수혼합기 124,125의 각 출력은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 126,127에 의해 필터링되고, 증폭기 128,129에 의해 증폭된 후 I암 파일럿트데이터 Ips(t)와 Q암 파일럿트데이터 Qps(t)로서 출력된다. 상기 I암 파일럿트데이터 Ips(t)는 가산기 130으로 인가되어 가산기 151의 출력(I암 트래픽데이터와 타합선데이터의 가산결과)과 가산된 후 출력되고, 상기 Q암 파일럿트데이터 Qps(t)는 가산기 131로 인가되어 가산기 152의 출력(Q암 트래픽데이터와 타합선데이터의 가산결과)과 가산된 후 출력된다.
블록 140은 트래픽(traffic)데이터를 입력하여 왈시코드로 분류하고, 또한 PN코드로 분류한 후 필터링 및 증폭의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상기 블록 140의 주파수혼합기 144는 엔코더(encoder) 141에 의해 엔코딩되어 출력된 트래픽데이터 142를 트래픽 왈시코드발생기 143에 의해 발생된 파일럿트 왈시코드와 혼합하여 주파수혼합기 145,146으로 출력한다. 주파수혼합기 145는 상기 주파수혼합기 144의 출력과 상기 주파수혼합기 135의 출력을 혼합하고, 주파수혼합기 146은 상기 주파수혼합기 144의 출력과 상기 IPN코드발생기 111의 출력을 혼합한다. 상기 주파수혼합기 145,146의 각 출력은 FIR필터 147,148에 의해 필터링되고, 증폭기 149,150에 의해 증폭된 후 I암 트래픽데이터 Its(t)와 Q암 트래픽데이터 Qts(t)로서 출력된다. 상기 I암 트래픽데이터 Its(t)는 가산기 151으로 인가되어 증폭기 168의 출력인 I암 타합선데이터 Ios(t)와 가산된 후 출력되고, 상기 Q암 트래픽데이터 Qts(t)는 가산기 152로 인가되어 증폭기 169의 출력인 Q암 타합선데이터 Qos(t)와 가산된 후 출력된다. 이때 가산기 151,152의 출력은 전술한 가산기 130,131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블록 160은 타합선데이터를 입력하여 왈시코드로 분류하고, 또한 PN코드로 분류한 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상기 블록 160의 주파수혼합기 163은 타합선데이터 161을 타합선 왈시코드발생기 162에 의해 발생된 타합선 왈시코드와 혼합하여 주파수혼합기 164,165로 출력한다. 주파수혼합기 164는 상기 주파수혼합기 163의 출력과 상기 주파수혼합기 135의 출력을 혼합하고, 주파수혼합기 165는 상기 주파수혼합기 163의 출력과 상기 IPN코드발생기 111의 출력을 혼합한다. 상기 주파수혼합기 164,165의 각 출력은 FIR필터 166,167에 의해 필터링되고, 증폭기 168,169에 의해 증폭된 후 I암 타합선데이터 Ios(t)와 Q암 타합선데이터 Qos(t)로서 출력된다. 상기 I암 타합선데이터 Ios(t)는 가산기 151으로 인가되어 전술한 증폭기 149의 출력인 I암 트래픽데이터 Its(t)와 가산된 후 가산기 130으로 출력되고, 상기 Q암 타합선신호 Qos(t)는 가산기 152로 인가되어 전술한 증폭기 150의 출력인 Q암 트래픽데이터 Qts(t)와 가산된 후 가산기 131로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장치는 크게 3개의 채널, 즉 파일럿트채널, 트래픽채널, 타합선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각 채널의 데이터들(파일럿트데이터, 트래픽데이터, 타합선데이터)은 왈시코드로서 분류되어 있고 그 분류된 각각의 데이터들은 다시 PN코드로서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각 데이터들은 전체적으로 가산기 151,152,130,131에 의해 가산된 후 출력된다. 상기 가산기 130,131의 출력은 RF캐리어(carrier)에 의해 변조된 후 무선송신되어 대국의 안테나로 수신되게 된다. 그러면 대국에서 수신된 신호는 캐리어 복조를 거쳐 역확산에 의해 각각의 채널인 파일럿트채널, 트래픽채널, 호출선채널로 분류되어 유선링크를 통해 접속된 장비로 입력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에서 타합선 채널을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송수신기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도 타합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에서 타합선 통신을 위한 위한 별도의 송수신기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타합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타합선 통신이 요구됨에 따라 통신장비의 부피가 커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에 있어서,파일럿트데이터와, 트래픽데이터와, 타합선데이터를 각각에 대응하는 고유의 왈시코드와 PN코드로 각 채널을 분류하여 처리한 후 모든 채널의 데이터를 가산하여 통신을 위한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합선 통신장치.
-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에 있어서,PN코드의 발생을 위한 PN코드발생기와,파일럿트데이터를 소정 파일럿트 왈시코드와 주파수혼합하고, 다음에 상기 PN코드와 주파수혼합한 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수단과,트래픽데이터를 소정 트래픽 왈시코드와 주파수혼합하고, 다음에 상기 PN코드와 주파수혼합한 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수단과,타합선데이터를 소정 타합선 왈시코드와 주파수혼합하고, 다음에 상기 PN코드와 주파수혼합한 후 필터링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수단과,상기 제2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3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출력하는 제1가산수단과,상기 제1가산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1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통신을 위한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가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합선 통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3067A KR100222798B1 (ko) | 1997-01-31 | 1997-01-31 |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3067A KR100222798B1 (ko) | 1997-01-31 | 1997-01-31 |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7172A true KR19980067172A (ko) | 1998-10-15 |
KR100222798B1 KR100222798B1 (ko) | 1999-10-01 |
Family
ID=1949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3067A KR100222798B1 (ko) | 1997-01-31 | 1997-01-31 |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2279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198B1 (ko) * | 1999-08-24 | 2007-01-11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Imt 2000 단말기용 변조기 |
-
1997
- 1997-01-31 KR KR1019970003067A patent/KR10022279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8198B1 (ko) * | 1999-08-24 | 2007-01-11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Imt 2000 단말기용 변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22798B1 (ko) | 199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98856B1 (en) | Power amplifier with bypass path | |
EP0829970B1 (en) | Dual mode transceiver for TDMA and FDD modes | |
JPH07264650A (ja) | 小型基地局を備えた移動通信システム | |
JP2002543658A (ja) | 共有機能ブロックcdma/gsm通信トランシーバ用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 | |
CA2213625A1 (en) | Cdma communication system | |
JPH0278331A (ja) | 移動通信用送受信装置 | |
EP1374424B1 (en) | Radio transceiver | |
JPH11308143A (ja) | 通信装置 | |
AU6154999A (en) | High efficiency switched gain power amplifier | |
KR100222798B1 (ko) | 무선통신망의 타합선 통신장치 | |
JP2004147191A (ja) | 高出力多モード移動体通信用送受信装置 | |
EP1083673A1 (en) | Radio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 |
CN105656493B (zh) | 信号收发系统及通信设备 | |
KR100317939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코드선택장치를 구비한 중계기 | |
KR100257504B1 (ko) | 다중섹터화된 기지국용 주기형 비콘신호 발생장치 | |
KR20010104076A (ko) | Cdma 단말기에서의 무선 호출기 기능을 가진 송/수신장치 | |
KR20000042956A (ko) | 2웨이 파장분할 다중방식의 광중계기 시스템 | |
KR100546601B1 (ko) | 기저대역주파수와 무선주파수밴드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 |
JP2009100432A (ja) | 無線中継機 | |
JP2004147004A (ja) | ブースター装置 | |
JPH09275351A (ja) | 複数モード移動無線機 | |
KR20030078153A (ko) | 이동통신 기지국의 디지털 유니트 | |
GB2384141A (en) | A narrow band an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 |
KR20070106091A (ko) |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과 일본식 코드분할 다중접속통신시스템 공유장치 | |
KR100349116B1 (ko) | 수신감도를개선한무선송수신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704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