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672U - Automotive safety device - Google Patents

Automotive safet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672U
KR19980066672U KR2019970011133U KR19970011133U KR19980066672U KR 19980066672 U KR19980066672 U KR 19980066672U KR 2019970011133 U KR2019970011133 U KR 2019970011133U KR 19970011133 U KR19970011133 U KR 19970011133U KR 19980066672 U KR19980066672 U KR 199800666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unit
emergency
safety device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1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11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672U/en
Publication of KR19980066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672U/en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중에 추돌 등의 긴급 사태 발생이 예견될 때 긴급 사태가 발생되기 전에 시이트 등받이를 리어 시이트쪽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동시키므로써 긴급 사태가 발생되더라도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장치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More specifically, when an emergency such as a collision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an emergency is caused by rotating the seat back toward the rear seat before the emergency occurs. Even if it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afety device that enables the driver and passenger occupant to be safe.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장치는 자동차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 유닛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운행 감지부와, 자동차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 유닛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거리 감지부와, 자동차의 차속을 측정하여 현재 차속을 제어 유닛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와, 상기한 운행 감지부와 거리 감지부 및 차속 감지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긴급 사태 발생이 예견될 때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과,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시이트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The safety device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wheel of the vehicle and outputs it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the electric power to the control unit A distance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general signal, a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for measuring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the current vehicle speed a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receiving signals from the driving detection unit, the distance detection unit,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at back pivot apparatus when an emergency is expected to be received, and a seat back pivot apparatus for rotating the seat back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장치Automotive safety devic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중에 추돌 등의 긴급 사태 발생이 예견될 때 긴급 사태가 발생되기 전에 시이트 등받이를 리어 시이트쪽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동시키므로써 긴급 사태가 발생되더라도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장치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More specifically, when an emergency such as a collision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an emergency is caused by rotating the seat back toward the rear seat before the emergency occurs. Even if it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afety device that enables the driver and passenger occupant to be saf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벨트, 에어백 등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안전벨트는 긴급 사태 발생시에 탑승자를 구속하여 탑승자의 상체가 차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작동되고, 에어백은 안전벨트의 불만족스러운 작동에 의해 또는 안전벨트의 미착용으로 인해 긴급 사태 발생시에 탑승자의 상체가 차체 전방으로 쏠렸을 때 탑승자의 가슴 부위와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작동된다.In general,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safety devices such as seat belts and air bags. As is well known, seat belts are operated to restrain the occupant's torso in front of the vehicle body by restraining the occupant during an emergency, and the airbag is operated by unsatisfactory operation of the seat belt or without the seat belt worn. This is to protect the occupant's chest and head when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is pointed forwar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 안전장치는 긴급 사태 발생시에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The conventional vehicle safet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in case of an emergency.

먼저, 안전벨트는 평상시에는 안전벨트가 벨트 권취 드럼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이 자유롭지만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일정치 이상에 도달되었을 때 등의 긴급 사태 발생시에는 긴급 록크 작용이 이루어져 권취 드럼으로부터의 벨트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어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First, the seat belt is normally pulled out and pulled out of the belt winding drum, but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when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car reaches a certain value or more, an emergency lock action is performed to prevent the belt from being wound. It is impossible to withdraw and restrain the occupant.

상기와 같이, 안전벨트는 긴급 사태 발생직후에 긴급 록크 작용이 이루어져 탑승자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긴급 사태 발생시에 탑승자의 상체가 차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완전하게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긴급 사태 발생시에 탑승자의 상체가 어느 정도는 차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at belt is configured to restrain the occupant by making an emergency lock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may not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being forwardly mov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during the emergenc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is inclined to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to some extent when an emergency occurs.

다음으로, 에어백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irbag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평상시에는 조향 핸들 또는 차실 내부의 다른 적당한 곳에 내장되어 있는바, 긴급 사태 발생시에 인플레이터의 작용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면,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에 유입되어 에어백이 팽창되기 시작하고, 에어백의 팽창력에 의해 모듈 커버의 파단선으로부터 파단이 시작되어 탑승자의 두부와 흉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백이 전개된다.In general, airbags are usually built in steering handles or other suitable places inside the cabin. If gas is generated by the action of an inflator during an emergency, the generated gas flows into the airbag and the airbag starts to inflate. The inflation force of the module cover starts to break from the break line of the module cover and the airbag is deployed to protect the head and chest of the occupa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하여 제작되어 있으므로, 조수석에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을 때에는 긴급 사태 발생시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어린이의 목뼈가 부러지는 등의 치명적인 약점을 갖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Since the airbag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re generally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an adult, there is a problem such as having a fatal weakness such as a broken neck of the child by an airbag that is deployed during an emergency when a child is in the passenger seat. Occurred.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안전장치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운행중에 추돌 등의 긴급 사태 발생이 예견될 때 긴급 사태가 발생되기 전에 시이트 등받이를 리어 시이트쪽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동시키므로써 긴급 사태가 발생되더라도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afety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emergency occurrence such as a collision is foresee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seat back is rotated by an angle to the rear sheet before the emergency occu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that enables the driver and passenger occupant to be safe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의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 안전장치 2 : 운행 감지부1: Safety device 2: Operation detection unit

3 : 차속 감지부 4 : 거리 감지부3: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4: distance detection unit

5 :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 6 : 제어 유닛5: Seat back rotation device 6: Control uni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1)는 자동차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 유닛(6)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운행 감지부(2)와, 자동차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 유닛(6)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거리 감지부(3)와, 자동차의 차속을 측정하여 현재 차속을 제어 유닛(6)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4)와, 자동차가 운행중인 상태에서 거리 감지부(3)와 차속 감지부(4)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긴급 사태 발생이 예견될 때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5)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6)과, 제어 유닛(6)으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시이트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5)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rotation of the wheels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operation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6) (2) and the distance detecting unit 3 which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outputs it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6, and measures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current vehicle speed by the control unit ( 6)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4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and a signal from the distance detection unit 3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on unit 4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nd when an emergency occurrence is foreseen The control unit 6 which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backrest rotation apparatus 5, and the seatback rotation apparatus 5 which rotates a seat backres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 are compris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의 작용을 도 2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rol flowchart of FIG. 2.

제어 유닛(6)은 운행 감지부(2)와 거리 감지부(3) 및 차속 감지부(4)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자동차가 운행중인가를 판단하고(S10),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제1 설정치(20m)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며(S20), 현재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설정치(40km/h)를 상회하는지를 판단한다(S30). 이에 따라, 제어 유닛(4)은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제1 설정치(20m)에 도달되고 현재 차속이 설정치(40km/h)를 상회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제2 설정치(3m)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S40), 상기 단계(S40)에서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제2 설정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5)를 작동시켜 등받이를 리어 시이트쪽으로 일정한 각도(25도 내지 30도)만큼 회동시킨다(S50).The control unit 6 receives the respective signals output from the driving detector 2, the distance detector 3, and the vehicle speed detector 4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running (S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reaches the first set value (20m) (S2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driving speed exceeds the set value (40km / h) (S3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4 has a distance to the second setpoint (3m) when the distance to the front obstacle reaches the first setpoint (20m) and the current vehicle speed exceeds the setpoint (40km / h). ), And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the distance to the front obstacle reaches the second set value, the seat back pivoting device 5 is operated to move the backrest to the rear seat at an angle (25 degrees). To 30 degrees) (S50).

여기에서,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에 대한 제1 및 제2 설정치와 주행 속도에 대한 설정치 및 시이트 등받이의 회동 각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한 실시예이므로, 차량 제조 업체 또는 카센타 등의 정비업체에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setpoints for the distance to the front obstacle, the setpoints for the running speed,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back a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in a vehicle manufacturer or a maintenance company such as a car center, It is configured to allow chan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자동차용 안전장치가 추돌 등의 긴급 사태 발생 직후에 작동하는 것과는 달리 긴급 사태의 발생을 예견하여 긴급 사태 발생전에 시이트 등받이를 리어 시이트쪽으로 일정 각도(25도 내지 30도)만큼 회동시키므로써, 추돌 등의 긴급 사태 발생시에 탑승자의 상체가 차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car safety device operates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uch as a collision, anticipates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and the seat back is fixed to the rear seat at an angle (25 degrees) before the emergency occurs. To 30 degree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uppress the phenomenon that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is lean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when an emergency such as a collision occurs.

따라서, 긴급 사태 발생시에 에어백 등 비교적 고가의 장비를 장착하지 않았더라도 어린이를 포함한 탑승자의 신체를 상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a relatively expensive equipment such as an air bag is not mounted at the time of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protect a passenger's body including a child from injury.

본 고안은 여기에 서술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기재된 정신과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described in the appended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2)

추돌 등의 긴급 사태 발생시에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용 안전장치에 있어서,In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to be operated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collision, 자동차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 유닛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운행 감지 수단과,Driv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automobile wheel and outputting it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자동차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 유닛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거리 감지 수단과,Distance sensing means for measuring a distance from an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it a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자동차의 차속을 측정하여 현재 차속을 제어 유닛에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차속 감지 수단과,Vehicle speed detecting means for measuring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the current vehicle speed as an electr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상기한 운행 감지 수단과 거리 감지 수단 및 차속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긴급 사태 발생이 예견될 때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과,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signals from the driving detecting means,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and the vehicle speed detecting means and outpu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at back rotational device when an emergency occurrence is foreseen;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시이트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와,A seat back pivoting device which rotates the seat back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from a control unit, 를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장치.Automotive safet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제1 설정치에 도달되고 상기 속도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된 차속이 설정치를 상회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가 상기 제1 설정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제2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시이트 등받이 회동장치에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장치.2.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has a distance from the front obstacle than the first set value when the distance to the front obstacle reaches the first set value and the vehicle speed detected by the speed detecting means exceeds the set value. A safet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seat back pivoting device when the second set value is set smaller.
KR2019970011133U 1997-05-20 1997-05-20 Automotive safety device KR1998006667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133U KR19980066672U (en) 1997-05-20 1997-05-20 Automotive safet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133U KR19980066672U (en) 1997-05-20 1997-05-20 Automotive safet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672U true KR19980066672U (en) 1998-12-05

Family

ID=6968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133U KR19980066672U (en) 1997-05-20 1997-05-20 Automotive safet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67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77123A (en) Car occupant restraint device
JPH08239007A (en) Tire air-pressure sensing type air bag for car
US6916042B2 (en)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for a vehicle
WO2018084479A1 (en) Vehicle driver seat airbag device
US6499763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JP2769468B2 (en) Vehicle airbag device
JP4232039B2 (en) Crew restraint system
KR19980066672U (en) Automotive safety device
JPH07277139A (en) Safety device for vehicle
KR20070060569A (en) Passenger air back unfold control method
KR200151151Y1 (en) Side airbag control device
JPH11157413A (en) Occupant crash protector
KR10019045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bag using burst-out
KR20110105916A (en) Integrated air bag electronic control unit
JP2001278003A (en) Starting control device for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KR100579223B1 (en) Air bag system
KR100501887B1 (en) An alarming apparatus for rear vehicles
KR100552196B1 (en) Control System of Side Air Back
KR100202114B1 (en) The control method of an airbag for a car
KR0180156B1 (en) Air-bag system of an automobile
KR0181014B1 (en) Control apparatus for manually operated side airbag
KR19990004082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f vehicle airbag and seat belt
JP2006062602A (en) Occupant crash protector
KR19980035597U (en) Optionally driven air bag system
KR19980013951U (en) Car air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