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335U -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335U
KR19980066335U KR2019970010736U KR19970010736U KR19980066335U KR 19980066335 U KR19980066335 U KR 19980066335U KR 2019970010736 U KR2019970010736 U KR 2019970010736U KR 19970010736 U KR19970010736 U KR 19970010736U KR 19980066335 U KR19980066335 U KR 199800663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hicle
coupled
fix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근
Original Assignee
조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근 filed Critical 조창근
Priority to KR2019970010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335U/ko
Publication of KR19980066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335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기를 임의의 각도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대와 무선전화기용 거치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전화기를 회전시키거나 굽힌각도로 유지토록한 것으로서, 차량의 글로브박스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20)과 결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받침판(50)에 있어서, 상부에 다수의 결합돌기(21)가 형성된 고정판(20)과 상기 결합돌기(21)와 대응되게 결합홈(31)을 저면부에 구비한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캡(32)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전구(40)와, 이 회전구(40)와 결합되어 상·하 유동케하는 회전체(52)를 구비한 받침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내부에 고정판을 체결하므로 체결부위가 눈에 보이지 않게되어 미관상 지저분하지 않으며 글로브 박스 내에서는 고정판의 위치를 바꿀수 있으며, 몸체와 받침판이 회전가능하여 운전자가 편리한 상태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전화기를 임의의 각도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대와 무선전화기용 거치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무선전화기의 받침대의 결합구조에 대하여는 이미 여러종류의 선출원된 것이 많이 나와 있으며 그 사용목적은 전화기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을 보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기의 각도와 방향을 조절토록한 것으로, 받침봉(1) 상단에 형성된 반구형 요홈(2)에는 구형 가동체(3)의 하단구면(3')이 밀착되어지도록 하며, 수직 절결홈(4)이 형성된 중간캡(5)의 테(6)를 거는 턱(7')이 형성된 고정캡(7)을 씌워서 고정캡(7)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8)를 받침봉(1) 상부의 나사부(9)에 나사결합하되, 구형가동체(3) 상단나사구멍(10)에는 전환기(11)가 고정된 전화기 받침판(12)을 나사로 고정하여서된 것으로서, 설치시에는 차체의 받침봉(1)의 하단은 볼트구멍(19)을 관통하는 볼트로서 고정하고, 받침봉(1) 상단의 요홈(2)에는 구형가동체(3)의 하단구면(3')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중간캡(5)을 씌운후 그 외측에 고정캡(7)을 씌워서 내측의 나사부(8)와 받침봉(1)의 나사부(9)와 나사결합하게되면 고정캡(7)의 턱(7')이 중간캡(5)의 테(6)를 걸고 조이게 되므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받침대는 전화기를 수직으로 90°까지 꺽어서 위치 조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차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전화기 사용자는 주로 운전자이며 운전자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우선하여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편한위치에 설치만 하면되며, 각 운전자의 습성이 다르므로 손쉽게 전화를 사용한다는 목적은 같다고 보며, 이때는 전화기 받침대의 간소화와 편리성과 미관을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볼 때 종래의 전화기 받침대는 우선 차체에 볼트로 체결해야 하므로 차체에 손상을 주는 것이고, 또한 볼트로서 인해 미관상 좋지 못하다. 그러므로 전화기(11)의 수평회전 및 수직각도를 조절할 때 수평회전은 받침봉(1)의 반구형 요홈(2)과 밀착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수직방향으로 전화기를 임의의 방향으로 꺽으면 구형가동체(3)가 소정의 각도가 기울어지면서 그 하단(3')이 반구형 요홈(2)에 밀착되어 꺽기는 것으로서, 이러한 것은 자주 수평회전하거나 수직각도로 움직일때마다 반구형 요홈(2)이 마모되어 헐거워져 손상되기 쉬워 이로인하여 자주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설치시에는 장소가 기어박스 부위에 설치해야 되므로 인해 운전할 때 장애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수직방향으로 회전시 마모되지 않으며, 또한 차체에 손상을 주지않고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전환기 받침대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종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전화기 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구의 일부를 절개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체를 도시한 확대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의 장착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고정판21:결합돌기
30:몸체31:결합홈
32:고정캡40:회전구
34. 44:돌기41. 51:걸림돌기
42:지지판50:받침판
52:회전체45.53:삽입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용전화기를 회전시키거나 굽힌각도로 유지토록한 것으로서, 차량의 글로브박스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받침판에 있어서, 상부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게 결합홈을 저면부에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캡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전구와, 이 회전구와 결합되어 상·하 유동케하는 회전체를 구비한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의 글로브 박스 내부에 고정부착되는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결합하는 받침판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몸체에 연결되는 받침판이 회전구와 회전체에 의해서 상·하·좌·우 유동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특징 및 이점들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전화기 받침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의 차량용전화기의 받침대(1)는 고정판(20)과 몸체(30)와 받침판(50)으로 형성된다.
상기의 고정판(20)은 글로브 박스에 고정부착되는 것으로 그 하단으로 다수의 볼트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 도 7 에 도시한 바와같이 글로브 박스의 내측면에 고정판(20)을 볼트로서 체결하여 형성되므로 차체의 외부면에 흠집을 내지않고 글로브 박스 내부에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20)의 상부면에 다수의 결합돌기(21)를 형성하며, 저면에 다수의 결합홈(31)을 구비한 몸체(3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즉 상기 고정판(20)의 결합돌기(21)와 몸체(30)의 결합홈(31)에 의해 결합하여 좌·우로 위치를 이동하여 사용자가 거리 조정이 가능토록한 것이다. 이때 고정판(20)과 몸체(30)의 결합시 결합돌기(21)에 결합홈(31)을 끼운다음 고정판(20)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1)의 사이로 다수의 나사홈(23)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판(20)의 저면에서 나사(미도시)로 몸체(30)와 결합되게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20)에 결합된 몸체(30)의 상부면에 고정캡(32)이 형성되며, 이 고정캡(32)의 내측으로 회전구(40)가 삽입되는데 상기의 고정캡(32)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판(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캡(32)의 내측면으로는 다수의 돌기(34)가 구비되고 고정캡(3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너트(33')로 체결된 고정나사(3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캡(32)의 내측에 좌·우 360°회전 가능한 회전구(40)가 끼워지게 되며, 이때 상기 회전구(40)의 저면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구멍(46)이 형성되어 이 구멍(46)에 고정나사(33)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회전구(40)가 회전할 때 구멍(46)에 결합된 고정나사(33)도 함께 회전을 한다. 또한, 회전구(40)의 외주면으로 고정캡(32)의 내측에서 형성된 돌기(34)에 대응되게 다수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캡(32)의 돌기(34)와 회전구(40)의 돌기(44)가 맞물려 단계적으로 좌·우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의 회전구(4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관통홈(45)을 갖는 지지판(42)(42')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지지판(42)(42') 사이의 저면에 다수의 걸림돌기(41)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 지지판(42)(42') 사이로 회전체(52)를 구비한 받침판(50)이 결합되는데, 받침판(50)에 형성된 관통홈(53)을 갖는 회전체(52)를 지지판(42)(42') 사이에 끼운다음 고정핀(43)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52)는 그 외주면으로 다수의 걸림돌기(51)를 구비하고 있어 지지판(42)(42') 사이에 형성된 걸림돌기(41)와 맞물리게 되어 고정핀(43)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시 걸림돌기(41)(51)들로 인하여 단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의 몸체(30)의 측면부에 한 개 내지 두 개의 시거잭 삽입부(36)를 구비하여 여러개의 잭을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다르면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의 내측면에 고정판(20)이 결합고정되고 이 고정판(20)으로 몸체(30)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몸체(30)의 상단에 받침판(50)이 상·하·좌·우로 회전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의 받침판(50)에 전화기용 거치대(61)를 나사(미도시)로 받침판(50)에 형성된 구멍(54)에 체결한 다음 전화기(60)를 전화기 거치대(61)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에 따르면 글로브 박스 내부에 고정판을 체결하므로 글로브 박스의 문을 닫았을 때 고정판의 체결된 부위가 눈에 안보여 미관상 지저분하지 않으며 글로브 박스 내의 상단의 어느 위치에서도 고정판의 위치를 바꾸었을 때 볼트자국이 안 보이게 된다.
또한, 몸체와 받침판이 회전 가능하여 운전자가 어느 각도로도 편리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쉽게 분리·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4)

  1. 차량용전화기를 회전시키거나 굽힌각도로 유지토록한 것으로서, 차량의 글로브박스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판(20)과, 상기 고정판(20)과 결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와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받침판(50)에 있어서, 상부에 다수의 결합돌기(21)가 형성된 고정판(20)과 상기 결합돌기(21)와 대응되게 결합홈(31)을 저면부에 구비한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캡(32)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전구(40)와, 이 회전구(40)와 결합되어 상·하 유동케하는 회전체(52)를 구비한 받침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과 회전구가 다수의 돌기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판 결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와 회전체에 있어 상·하 유동 가능하게 각각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판 결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시거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판 결합구조.
KR2019970010736U 1997-05-15 1997-05-15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KR199800663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736U KR19980066335U (ko) 1997-05-15 1997-05-15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736U KR19980066335U (ko) 1997-05-15 1997-05-15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35U true KR19980066335U (ko) 1998-12-05

Family

ID=6967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736U KR19980066335U (ko) 1997-05-15 1997-05-15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3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16B1 (ko) * 2001-08-21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크레이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16B1 (ko) * 2001-08-21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크레이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8334B1 (en) Mirror angle adjuster
US5527116A (en) Adjustable keyboard
US6375339B2 (en) Lighting apparatus
EP1128665A4 (en) COMBINED CAMERA
KR19980066335U (ko) 차량용 무선전화기의 받침대 결합구조
KR200257661Y1 (ko) 다단계 휴대폰 거치대
US6135814A (en) Ceiling socket for ceiling lights
CN220557550U (zh) 一种可适应不同容量水杯的隐藏式行李箱水杯架
CN208768131U (zh) 一种可移动指环的手机保护壳
CN207364748U (zh) 具有伸缩旋转及摇摆转向调节机构的灯具
KR200410390Y1 (ko) 회전거울 지지구
KR200335645Y1 (ko) 옷걸이가 구비된 차량용 보조손잡이
KR200220934Y1 (ko)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KR0140151Y1 (ko) 거치대 고정장치의 각도조절장치
CN213676555U (zh) 车载手机架支撑座
CN213271968U (zh) 移动终端夹持装置及三脚架自拍杆
KR20023279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지지장치
CN209738944U (zh) 后视镜镜面驱动器
KR200238429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200221488Y1 (ko) 핸드폰용 핸즈프리
JPH0513073Y2 (ko)
KR200210622Y1 (ko) 모니터용 스탠드
KR200368307Y1 (ko) 볼링용 손목보호대
KR890003542Y1 (ko) 차량용 전화기 받침대
KR100402768B1 (ko) 차량용 가변형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