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224U -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224U
KR19980066224U KR2019970010601U KR19970010601U KR19980066224U KR 19980066224 U KR19980066224 U KR 19980066224U KR 2019970010601 U KR2019970010601 U KR 2019970010601U KR 19970010601 U KR19970010601 U KR 19970010601U KR 19980066224 U KR19980066224 U KR 199800662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level
signal
video signa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6865Y1 (ko
Inventor
오정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0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86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6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신호를 보정하는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그 피크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피크검출부와 영상신호의 평균레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레벨검출부와 피크값과 상기 평균레벨값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합산부 및 합산부의 출력신호값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득을 조정하는 이득조정부를 구비한다. 이득조정부의 이득조정이 합성부의 출력신호가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는 흑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이 백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하고, 반대로 합성부의 출력신호가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는 흑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이 백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보다 상대적으로 낮게함으로써 입력된 영상신호의 윤곽보정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
본 고안은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신호를 보정하는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화상정보를 담고있는 영상신호는 휘도량에 따른 영상 신호의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자동이득 조정회로(AGC)에서 그 이득이 자동 제어 된다.
도 1의 종래 자동이득 조정회로를 참조하면, 주회로(11)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는 검파부(12)에서 검파되고, 그 출력신호가 제어부(13)에 인가된다. 이때 검파부(12)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량이 저레벨로 판정될 경우, 주회로(11)의 증폭이득이 설정된 이득 범위에서 최대가 되도록 제어부(13)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반대로 검파부(12)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의 휘도량이 고레벨로 판정될 경우, 주회로(11)의 증폭이득이 설정된 이득범위에서 최소가 되도록 제어부(13)에서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결과적으로 영상신호가 주회로(11)를 거치게되면 적정레벨의 영상 신호로 변환된다.
주회로(11)를 통과한 영상 신호는 로우패스 필터(미도시) 및 감마 보정회로 등을 거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검출된 휘도레벨의 판정을 통해 그 이득조정을 설정된 레벨범위로 상승 또는 하향 조정하기 때문에 화면전체의 평균밝기에 해당하는 휘도레벨만 조정될 뿐 화면 내에서의 화소영역사이의 경계를 뚜렷하게 하는 윤곽보정기능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면 내에서의 화소영역사이의 윤곽을 보다 뚜렷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보정하여 콘스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신호의 자동이득조정회로를 나타내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보정회로를 나타내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윤곽보정회로의 피크검출부와 평균레벨검출부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보인 회로도이고,
도 4은 도 2의 윤곽보정회로의 이득조정부의 피크 및 평균휘도가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입출력관계를 나타내보인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2의 윤곽보정회로의 이득조정부의 이득조정에서 피크 및 평균휘도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입출력관계를 나타내보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주회로 12: 검파부
13: 제어부 20: 윤곽보정회로
21: 이득조정부 22: 피크검출부
23: 합성부 24, 26, 33: 저항소자
25, 34: 커패시터 27: 다이오드
28, 29, 35, 36: 버퍼 32: 레벨검출부
37: 클램프회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그 피크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피크검출부와; 상기 영상신호의 평균레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레벨검출부와; 상기 피크값과 상기 평균레벨값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출력신호값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득을 조정하는 이득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신호가 모두 중첩된 신호를 상기 피크검출부와 상기 레벨검출부에 입력시키는 영상신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를 나타내보인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영상신호의 윤곽을 보정하기 위한 이득조정이 윤곽보정회로(20)의 이득조정부(21)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득조정부(21)의 이득결정은 피크검출부(22)로부터 영상신호의 피크값과 레벨검출부(32)로부터 영상신호의 평균레벨값이 합산된 합성부(23)의 출력값으로부터 판정한다. 화면전체의 휘도레벨 판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신호를 모두 중첩시켜 피크검출부(22)와 레벨검출부(32)의 입력 영상신호로 제공한다.
도 3은 도 2의 윤곽보정회로의 피크검출부와 평균레벨검출부의 구체적 실시예를 나타내보인 회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피크검출부(22)는 신호를 적분하는 저항소자(24)와 커패시터(25) 및 방전을 담당하는 저항소자(26) 그리고 일방항으로 신호의 진입차단을 담당하는 다이오드(27)를 포한한다. 피크검출부(22)는 저항소자(24)와 커패시터(25)에 의해 유지된 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입력신호는 다이오드(27)의 도통에 의해 계속 누적출력되고, 낮은 레벨의 신호는 다이오드(27)의 오픈에 의해 방전용 저항소자(26)를 통한 방전에 의해 감산되는 레벨이 출력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그 피크값은 실시간 해당신호의 피크값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레벨검출부(32)는 신호를 적분하는 저항소자(33)와 커패시터(34)에 의해 평균레벨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회로에서 참조부호 29, 30, 35, 36은 버퍼이고, 그 입력단에 삽입된 클램프회로(37)는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신호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윤곽보정회로의 윤곽보정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이득조정부(21)의 윤곽보정은 입력된 영상신호의 이득이 합성부(23)의 출력신호로부터 판정하여 결정하는데 먼저, 합성부(23)의 출력신호가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는 흑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이 백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조정한다.
도 4는 이와 같이 피크 및 평균레벨의 합산치가 기준값보다 낮을 경우 이득조정부의 입출력관계를 나타내보인 그래프이다.
도시된 그래프에서 입력축에 표기된 0으로부터 1까지의 지수는 흑에서부터 백으로의 순차적 휘도레벨신호에 대응하는 것이고, 0.5는 흑과 백의 레벨분기점이 된다. 따라서, 흑레벨범위 즉, 0부터 0.5사이에 해당하는 입력신호의 이득이 백레벨범위 즉, 0.5부터 1사이에 해당하는 입력신호의 이득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되어 이득조정부(21)(도 2)에서 출력된다. 그 결과 보정된 영상신호는 보다 향상된 콘트라스트를 제공하게 된다.
반대의 경우 즉, 합성부(23)의 출력신호가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는 백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이 흑레벨에 해당하는 신호의 이득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조정한다.
도 5는 이와 같이 피크 및 평균레벨의 합산치가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이득조정부의 입출력관계를 나타내보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흑레벨범위 즉, 0부터 0.5사이에 해당하는 입력신호의 이득이 백레벨범위 즉, 0.5부터 1사이에 해당하는 입력신호의 이득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되어 이득조정부에서 출력되므로 콘트라스트가 향상된다.
이와 같은 윤곽보정회로는 영상정보를 담고있는 영상신호로부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장치의 구동특성에 맞게 변환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회로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득조정부는 적용시스템의 구동에 맞게 영상신호를 조정하는 감마보정부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가 제공됨으로써,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영상신호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그 피크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피크검출부와;
    상기 영상신호의 평균레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레벨검출부와;
    상기 피크값과 상기 평균레벨값을 합산하여 출력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출력신호값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이득을 조정하는 이득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검출부와 상기 레벨검출부에 각각 입력되는 영상신호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신호가 모두 중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
KR2019970010601U 1997-05-13 1997-05-13 영상신호의윤곽보정회로 KR200266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601U KR200266865Y1 (ko) 1997-05-13 1997-05-13 영상신호의윤곽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601U KR200266865Y1 (ko) 1997-05-13 1997-05-13 영상신호의윤곽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224U true KR19980066224U (ko) 1998-12-05
KR200266865Y1 KR200266865Y1 (ko) 2002-04-13

Family

ID=5389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601U KR200266865Y1 (ko) 1997-05-13 1997-05-13 영상신호의윤곽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8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27B1 (ko) 2003-12-24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865Y1 (ko) 200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6430A (en) Video camera with a function to correct defective pixels of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of correcting defective pixels of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KR100396203B1 (ko) 노광장치및방법,그노광장치를가지는비디오카메라
JP3412174B2 (ja) 自動露光制御装置
US7403231B2 (en) Camera with exposure correction dependent upon brightness detected in a frame with the lowest brightness compared to average brightness
EP0930780B1 (en) Image pickup device
US6583820B1 (en)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camera
US4680624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color video camera providing shading correction by varying the black clamping level
JPH03204281A (ja) 撮像装置
KR100297714B1 (ko) 넓은동적범위를갖는영상장치및이의영상신호처리방법
EP0551189B1 (en) Video signal correction system
US5283635A (en) White balance adjusting device with plural thresholds for range control
JPH031772A (ja) 撮像装置
US5274439A (en) Apparatus for clipping or limiting color signals to maintain color balance
US20070211165A1 (en) 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program of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of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is recorded
US5321513A (en) Apparatus for shifting the DC level of a luminance signal based on frequency distribution and rate of modulation
JP2002290987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KR930006867B1 (ko) 비데오 신호 처리기
KR19980066224U (ko) 영상신호의 윤곽보정회로
JP2568515B2 (ja) 撮像装置
US5684533A (en) Color video camera capable of improving gradation of dark signal level
KR100219151B1 (ko) 감마보정장치
JPH04340875A (ja) 撮像装置
JP3693215B2 (ja) 撮像装置
JPH03106269A (ja) ビデオカメラの映像信号処理装置
JP3205941B2 (ja) 自動絞り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