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009U - 액자받침대 - Google Patents

액자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009U
KR19980066009U KR2019970010365U KR19970010365U KR19980066009U KR 19980066009 U KR19980066009 U KR 19980066009U KR 2019970010365 U KR2019970010365 U KR 2019970010365U KR 19970010365 U KR19970010365 U KR 19970010365U KR 19980066009 U KR19980066009 U KR 199800660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yelet
support
elastic bod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양묵
Original Assignee
임양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양묵 filed Critical 임양묵
Priority to KR2019970010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009U/ko
Publication of KR19980066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09U/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자받침대를 만드는데 탄성부재와 각도조절부재를 사용하므로써 액자를 세울 때 지면에 대한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암수의 아일렛을 사용하여 액자받침대를 부착하므로써 액자를 가로형태나 세로형태로 자유롭게 회전시켜 세울 수 있는, 종래의 액자받침대보다 구성이 간단한 액자를 받쳐주는 액자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자받침대
본 고안은 액자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자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액자를 가로형태 또는 세로형태로 자유롭게 회전시켜 세울 수 있도록 한 액자를 받쳐주는 액자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자받침대는 액자의 기울기를 항상 일정한 각도로만 고정시킬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액자의 각도를 적절하게 변화시킬수가 없었을 뿐만아니라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도 불안정하게 고정되어 안정되게 세울수가 없었다. 따라서, 액자를 원하는 장소에 장식하고자 할 때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을 뿐만아니라 액자를 세우고자할 때마다 원하는 각도로 안정되게 액자를 세울 수가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의 액자받침대는 사진의 형태에 맞추어 직사각형의 형태가 일반적인데 이 경우에 가로로만 또는 세로로만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진의 형태에 따라 액자를 각각 선택하여 구입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었음은 물론 가로 및 세로로 세울 수 있더라도 구조 및 작동이 복잡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목적은 액자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액자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또다른 목적은 액자에 끼워 전시하고 감상하고자 하는 전시물(사진이나 그림)의 형태가 가로형태이든지 세로형태이든지에 관계없이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아일렛을 사용하므로써 작동이 간단하면서 편리한 액자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전체적인 구조 및 액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배면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a, 3b는 본 고안의 액자받침대의 각도조절기의 삽입깊이를 조절하여 액자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액자받침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암아일렛 및 수아일렛의 장착과 작동을 나타내는 동작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액자받침대가 액자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액자 2. 암아일렛
3. 수아일렛 4. 부착판
5. 고정구 61, 62. 체결핀
7. 지지대 8. 탄성체
9. 각도조절부재 71. 오목부
72. 볼록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종래의 액자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탄성체와 각도조절부재를 사용하여 액자의 경사조절이 가능하고 암아일렛 및 수아일렛을 사용하여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자유롭게 세울 수 있도록 한 액자받침대를 제공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구성성분과 그 조립방법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인 도 2를 참고로 본 고안의 액자받침대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는 암아일렛(2)을 액자(1)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착판(4)의 중앙에 구멍을 뚫어 부착판(4)과 함께 부착하고, 상기 부착판(4)에는 마찬가지로 중앙에 구멍이 뚫리고 상부양쪽에는 각도조절부재(9)가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ㄷ자형 벽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5)를 놓고, 여기에 수아일렛(3)이 상기 부착판(3)의 중앙구멍과 고정구(5)의 중앙구멍을 관통하여 암아일렛(2)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5)에는 체결핀(61, 62)을 축으로 중공의 지지대(7)와 탄성체(8)가 체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7)의 한쪽에는 지지대(7)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구(5)에 지지된 지지판이 지지대(7)의 하부와 일정각도를 이루어 휘어진 형태로 지지대(7)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액자받침대는 상기 체결핀(61, 62)을 축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탄성체(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의 일단은 액자(1)의 뒷면에 지지되어 있고 다른 단은 지지대 아래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지지대(7)가 액자(1)에 대해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대(7)의 상부지지판이 고정구(5)의 표면에 완전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를 조립하여 액자에 적용한 상태가 도 1에 나타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로 본 고안의 액자받침대의 각도조절부재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의하면 상기 고정구(5)와 지지대(7)의 상부지지판사이의 간극에 각도조절부재(9)를 삽입하므로써 탄성체(8)의 탄성에 의해 액자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조절된다. 즉, 단면이 V자형인 각도조절부재(9)를 고정구(5)와 지지대(7)의 상부지지판사이의 간극에 삽입하면, 탄성체(8)의 탄성에 의해 지지대(7)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로 고정구(5)의 벽면에 완전히 부착되어 있다가 상기 간극이 점차로 벌어지면서 지지대(7)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커져 상대적으로 액자(1)와 지지대(7)의 각도는 줄어들어 액자(1)가 더 세워지게 된다. 여기에서 각도조절부재(9)가 V자형으로 되어 있어서 각도조절부재(9)의 삽입깊이만 조절하면 액자의 각도를 원하는 대로 변화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지지대(7)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지지대의 하부양쪽에 구멍을 뚫어 종이나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지지편을 더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로 액자받침대의 회전기능을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는 도 4에 나타난 바와같이 수아일렛을 암아일렛에 삽입하여 회전되도록 하므로써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회전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암아일렛(2)과 수아일렛(3)사이에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나머지 구성성분을 조립하여 이것을 액자(1)에 부착하므로써 본 고안에 의한 액자받침대가 자유자재로 회전이 가능하게된다. 따라서, 수아일렛(3)이 암아일렛(2)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액자(1)는 가로형태나 세로형태로 자유자재로 세울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은 또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자받침대는 액자(1)에 부착되는 부분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암아일렛(2) 및 수아일렛(3)을 사용하여 액자(1)를 가로 또는 세로로 놓을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에따라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액자받침대는 암아일렛(2)을 액자(1)에 부착되는 부착판(4)의 중앙에 구멍을 뚫어 부착판(4)과 함께 부착하고 상기 부착판(4) 위에 구멍이 뚫린 오목부(71)를 놓고 수아일렛(3)을 오목부(71)의 구멍 및 부착판(4)의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암아일렛(2)의 홈에 삽입하면 부착판(4)과 오목부(71)가 함께 액자(1)의 뒷면에 부착된다. 이에의해 오목부(71)가 액자의 뒷면에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핀(61, 62)을 사용하여 탄성체(9)와 볼록부(72)를 함께 체결한다. 이로써 제 2실시예에 의한 액자받침대가 조립된다. 이에의해 본 실시예의 액자받침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가 도 6에 나타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액자를 놓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암아일렛 및 수아일렛을 사용하여 부착하였으므로 상기 제 1실시예의 작동과 같이 암아일렛 및 수아일렛이 체결된 상태로 회전함으로 인해 오목부(71)가 자유자재로 회전하므로써 액자를 가로 또는 세로로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액자받침대의 경사조절작동을 설명하면, 각도조절부재(9)를 삽입하지 않을 때는 탄성체(8)의 탄성에 의해 볼록부(72)가 완전히 벌어진 상태로 있다가, 각도조절부재를 액자의 뒷면과 볼록부(72)의 돌출된 부분 사이의 간극에 삽입하면, 상기 오목부(71)와 볼록부(72)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짐과 동시에 액자(1)의 지면에 대한 각도가 커져서 액자(1)의 경사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72)의 하부양쪽에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은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볼록부(72)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종이나 나무,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지지편을 더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액자받침대에 의하면, 각도조절부재와 탄성체에 의해 액자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조절가능하여 액자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액자에 전시된 전시물을 감상하고자하는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암아일렛 및 수아일렛을 사용하므로써 액자받침대의 회전을 가능하게하여 액자의 방향을 가로방향이든 세로방향이든 자유롭게 세울 수 있을 뿐만아니라 종래의 회전부재들에 비해 상기 아일렛은 작동이 훨씬 간단하고 원활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액자받침대에 있어서,
    액자(1)에 부착되는 부착판과 함께 부착되는 암아일렛(2)과,
    상기 암아일렛이 관통하도록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부착판에 부착되는 부착판(4)과,
    상기 수아일렛이 관통하도록 중앙에 구멍이 뚫려있고 상부는 중간이 절개된 ㄷ자형벽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핀이 체결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고정구(5)와,
    상기 고정구의 중공에 삽입체결되는 체결핀(61, 62)과,
    상기 체결핀에 체결되며 상기 액자의 뒷면과 지지대를 지탱하는 탄성체(8)와,
    상기 체결핀과 탄성체와 함께 체결되고 일단의 상부지지판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밀착되고 액자를 지지하며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다른 지지편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지지대(7)와,
    상기 암아일렛에 삽입체결되는 수아일렛(3)과,
    상기 고정구와 지지대의 지지판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탄성체의 탄성으로 지지대의 경사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9)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받침대.
  2. 액자받침대에 있어서,
    액자의 뒷면에 부착되는 부착판과 함께 부착되는 암아일렛(2)과,
    상기 암아일렛이 관통하도록 구멍이 뚫려있고 액자에 부착되는 부착판(4)과,
    수아일렛이 관통하도록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부착판에 상기 암아일렛과 수아일렛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오목부(71)와,
    상기 오목부에 체결핀에 의해 탄성체와 함께 체결되고 액자를 지지하며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다른 지지편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볼록부(72)와,
    체결핀에 의해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와 함께 체결되는 탄성체(8)와,
    상기 오목부와 탄성체와 볼록부를 함께 체결하는 체결핀(61, 62)과,
    액자의 뒷면과 볼록부와의 간극에 삽입되어 탄성체의 탄성으로 액자의 경사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9)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자받침대.
KR2019970010365U 1997-05-10 1997-05-10 액자받침대 KR199800660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65U KR19980066009U (ko) 1997-05-10 1997-05-10 액자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365U KR19980066009U (ko) 1997-05-10 1997-05-10 액자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09U true KR19980066009U (ko) 1998-12-05

Family

ID=6969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365U KR19980066009U (ko) 1997-05-10 1997-05-10 액자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00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32B1 (ko) * 2014-07-14 2015-03-16 박현재 액자용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32B1 (ko) * 2014-07-14 2015-03-16 박현재 액자용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585B1 (en) Structure bathroom-use mirror lamp
KR910003310A (ko) 기구용 자동 레벨링 조립체
KR19980066009U (ko) 액자받침대
KR100570193B1 (ko) 조립식 장식용 수납선반
CN218095032U (zh) 显示器支架头部结构
KR200270626Y1 (ko) 컴퓨터용 책상
CN219994792U (zh) 融合安装结构及显示设备
KR900000137Y1 (ko) 키보드 경사조절장치
JP2794108B2 (ja) 絵画用イーゼル
KR200236774Y1 (ko) 모니터의스탠드베이스와스위블테이블의조립장치
JPH04128632U (ja) 机における衝立パネルの取り付け装置
KR0156235B1 (ko) 낚시대의 고정구 일체형 받침대
CN213018450U (zh) 一种显示单元的支撑装置
KR980006485U (ko) 액자받침대
CN211932882U (zh) 手表及其弹性定位转轴连接固定结构
JP3525321B2 (ja) 目隠し板付き棚
JP3564978B2 (ja) 配線機能付き机
KR200245985Y1 (ko) 액자
KR900001191Y1 (ko) 낚시대 받침 고정틀
JP2654457B2 (ja) 家具用の取付金具
KR200363572Y1 (ko) 현수막 거치대
JP2000199310A (ja) 樋取付け具
JPS622791Y2 (ko)
JPH0418443Y2 (ko)
JPH0711126Y2 (ja) 装飾面付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