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31A - 무선 물걸레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무선 물걸레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31A
KR19980064531A KR1019970072700A KR19970072700A KR19980064531A KR 19980064531 A KR19980064531 A KR 19980064531A KR 1019970072700 A KR1019970072700 A KR 1019970072700A KR 19970072700 A KR19970072700 A KR 19970072700A KR 19980064531 A KR19980064531 A KR 19980064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rubber
sponge
floor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에프. 라이트
로리 슈마커
크레이그 사운더스
조셉 라자라
마크 이. 키폴라
글렌 이. 스펙트
리차드 씨. 파론
제프리 엠. 칼만
테리 엘. 자후라넥
게리 제이. 디테리히
Original Assignee
로피콜로 폴
로얄 어플라이언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775,284 external-priority patent/US6065182A/en
Application filed by 로피콜로 폴, 로얄 어플라이언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filed Critical 로피콜로 폴
Publication of KR1998006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03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having provisions for supplying cleaning or poli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4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combined with squeezing or wringing devices
    • A47L13/144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combined with squeezing or wringing devices having squeezing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6Other cleaning devices with liquid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09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with means mounted on the nozzle;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overy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28Security means, e.g. float valves or level switches for preventing over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38Recovery tanks with means for emptying the ta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42Gaskets; Sealing mean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식 청소기와 관련되며액체의 분사, 바닥 쓸기, 고무 걸레질 및 흡수, 건조 기능을 갖춘 단일의 콤팩트한 자체 내장형 도구이다. 흡수식 청소기는 청소기 틀, 상기 틀에 연결된 핸들, 상기 틀에 설치고 펼쳐진 상태와 수축된 상태로 변환 가능한 흡수식의 청소 부재 및 한 쌍의 고무 걸레 날로 구성된다. 상기 청소기는 청소된 바닥으로부터 틀 내에 설치된 탱크로 물을 빨아 들여 바닥면으로부터 물을 모으는 흡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세척수 통이 틀 내에 설치되어 바닥에 세척액을 공급하며, 축전지가 흡수용 모터에 전력을 공급한다. 청소기는 작고 경량이며 바닥면을 건조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무선 물걸레 진공 청소기
본 발명은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특정 부품 및 부품들의 배열,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방법으로 물리적인 형체를 이룰 것이다.
제1도는 스펀지가 펼쳐져 있고, 축전지 빗장이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구체예 1의 중앙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제2도는 스펀지가 오므려진 상태이고 축전지 빗장이 잠겨 있는 상태의 제 1도에 설명된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틀이 제거되고 스펀지가 오므려진 상태의 제1도의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제3A도는 제3도의 A-A 단면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구체예의 전면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구체예의 중앙부 단면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 2의 반대 방향 측면도이다.
제7A도, 제7B도 및 제7C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 3의 우측, 전면 및 좌측 측면도이다.
제8A도 및 제8B도는 스펀지가 펼쳐진 상태 및 오므려진 상태의 본 발명의 구체예 4의 측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 5의 사시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 6의 사시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고무 걸레 트레이의 한 적절한 구체예의 바닥면 분해 사시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트레이의 전면판이 제거된 상태의 고무 걸레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다.
제12A도는 제12도의 고무 걸레 트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제13도는 제11도의 고무 걸레 트레이의 단부 측면도로서, 트레이의 전면판이 제거되고 전면 고무 걸레가 돌출된 상태이다.
제14도는 전면 고무 걸레가 돌출된 상태의 제13도의 전면도이다.
제15도는 제11도의 고무 걸레 트레이의 측면도로서, 트레이 전면판이 제거되고 전면 고무 걸레가 오므려진 상태이다.
제16도는 전면 고무 걸레가 오므려진 상태의 제15도의 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핸들기구12:틀
14:세척수 통16:오염수 탱크
18:스펀지20:고무 걸레
22:축전지24:흡수용 모터
26:흡수용 팬28:플런저
30:스위치40:상부 핸들
42:손잡이44:캡
46:인서트52:짜는 기구 핸들
56:봉62:스펀지 롤러
64:금속 브라켓68:축전지 공동
70:결합부재72:돌출부
80:축전지 접점82:모터 설치 장치
84:팬 체임버86:쇠고리
88:통풍구90:배출구
92:고무 걸레 트레이94:흡입구
96:홈98:실링재
100:중앙부 튜브102:커버
106:오프님108:장애물
110:잠금쇠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개선된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바닥의 더러운 물을 닦아 내 바닥 면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할 수 있도록 바닥을 긁어내는 장치 및 진공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바닥 면을 깨끗하게 하는 걸레는 일반적으로 흡수식의 걸레 또는 스펀지 헤드와 상기 걸레 또는 스펀지 헤드의 더러운 물을 짤 수 있는 짜는 기구로 구성된다. 특히, 물걸레는 주로 세척제가 첨가된 물로 된 세척액 통과 결합되어 사용되곤 한다. 물걸레는 바닥을 닦아 내는 세척액을 흡수한다. 바닥을 닦아 냄으로써 물걸레가 한 번 오염되면 그 물걸레를 헹구기 위하여 다시 통에 담가지며 세척액을 다시 흡수한다. 더러워진 걸레를 계속적으로 통 속의 세척액 속에 담그는 것은 세척액을 오염시키고 그 이후의 물걸레질 과정에서 세척 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바닥 청소를 할 동안 세척액을 오염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더불어 보편적인 물걸레와 통으로 청소하는 경우 바닥을 건조하는 데 소요되는 15분 정도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청소된 바닥 면에서 세척액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흡수용 고무걸레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한 흡수용 고무 걸레 장치의 하나가 미국특허 제 5, 067, 19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수용 고무 걸레 장치는 세척수 통(14)의 세척액의 오염 문제까지 해결하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바닥 면의 청소에 있어 종래의 물걸레와 통이 상기 흡수용 고무 걸레 장치의 사용에 앞서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러한 흡수용 고무 걸레는 청소작업을 하기 위하여 흡수용 고무 걸레를 포함하여 물걸레, 물걸레의 더러워진 물을 짜는 기구 그리고 통 등의 서너 개의 기구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흡수용 청소기는 바닥을 청소하고 건조시키기 위하여 바닥을 쓸어 내고 물을 제거하는 결합 기구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깨끗한 물과 더러운 물을 탱크 내에서 분리할 수 있는 가변적인 막으로 된 탱크를 가지고 있다. 깨끗한 물이 탱크로부터 분사되고 거센 털 또는 솔이 달린 세척 노즐을 사용해서 바닥을 쓸어 낸다. 바닥을 쓸어 낸 후에 바닥의 더러운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흡수 시스템이 가동되며 더러운 물은 탱크에 모아진다.
쓸어 내는 장치와 물을 포집하는 장치의 결합예가 미국특허 제2,986,764호, 제3,020,576호, 제3,040,362호, 제3,040,363호 및 제3,060,48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기술된 장치들은 다루기 힘든 크기와 무게, 사용자가 사용하는 곳에 전원 공급용 코드의 필요성 및 물이 가득한 장치에 가정용 전기를 결합해서 사용함에 따른 안전 문제 등의 결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장치는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자체 내장된 무선 물걸레에 의해 극복하고, 긁어내는 장치와 건조 장치를 하나로 결합하여 본질적으로 건조한 상태의 바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흡수식 청소기는 청소기 틀, 상기 틀에 연결된 핸들, 상기 틀 위에 설치되고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태인 청소 부재가 틀로부터 연장된 상태와 기본적인 상태인 오므려진 상태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는 흡수식의 청소 부재, 바닥으로부터 오염된 물을 흡수하기 위해 틀 내에 설치된 흡수용 모터, 흡수용 모터의 작동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제거된 오염된 물을 모으기 위해 상기 틀 위에 설치된 탱크, 흡수용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흡수식 청소기는 청소기 틀, 상기 틀에 설치되고 펼쳐진 상태와 오므려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오므릴 수 있는 스펀지, 스펀지를 펼쳐진 상태와 오므려진 상태 사이로 이동시키는 신축기구, 바닥의 오염된 물을 제거하고 모으는 흡수 시스템 및 신축 기구에 반응하여 흡수 시스템을 가동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스펀지가 오므려진 상태에 있으면 흡수 시스템이 가동하고, 스펀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기 흡수 시스템은 꺼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자체 내장된 걸레질 및 건조 시스템은 틀, 상기 틀에 연결된 핸들, 상기 틀에 설치된 흡수식의 청소 부재, 바닥의 오염된 물을 모으기 위해 틀에 설치된 한 쌍의 고무 걸레, 상기 한 쌍의 고무 걸레에 의해 모아진 오염된 물을 제거하고 바닥을 건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틀 내에 설치된 흡수 시스템, 상기 흡수용 모터를 가동시킴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제거된 오염을 물을 모으기 위해 틀에 설치된 탱크, 흡수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틀 내에 설치된 축전지로 구성된다.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청소기는 청소기 틀, 상기 틀에 연결된 핸들, 상기 틀에 설치되고 청소를 하기 위한 상태인 틀에서 펼쳐진 상태와 기본적인 상태인 오므려진 상태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는 스펀지, 상기 스펀지를 둘로 나누는 중앙면을 갖는 스펀지, 상기 틀에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고무 걸레, 제1면 및 제2면에 위치한 한 쌍의 고무 걸레로 구성되고 상기 스펀지의 중앙면은 틀의 외부쪽으로 고무 걸레의 제1면 및 제2면으로 나뉘어 진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단일 자체 내장형 장치가 액체의 분사, 긁어내기 및 건조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깨끗한 물의 탱크와 더러운 물의 탱크를 분리하여 세척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작은 크기와 적은 중량의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 목적으로 첨부된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구체예 1인 무선 진공 물걸레 청소기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구는 일반적으로 틀(12)에 연결된 핸들 기구(10), 착탈식 세척수통(14) 및 착탈식 오염수 탱크(16)로 구성된다. 청소기는 틀(12)위에 설치되며 오므렸다 폈다 할 수 있는 스펀지(18), 한 쌍의 고무 걸레(20), 축전지(22), 흡수용 모터(24), 흡수용 팬(26) 및 흡수용 모터를 켰다 껐다 할 수 있는 스위치(30)로 구성된다. 세척수 통(14)은 세척 용액이 혼입된 세척수를 바닥에 분사하기 위한 플런저(28)를 가지고 있다. 스펀지(18)는 바닥을 긁어 내는 동안에는 틀(12)로부터 펼쳐져 있고 흡수 작업 중에는 틀 내부로 오므려 진다.
스펀지(18)의 신축은 흡수용 모터(24)에 의해 가동되고 흡수 시스템이 바닥의 물을 긁어 들여 오염수 탱크(16)에 모으도록 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보이듯 고무 걸레(20)는 흡수 시스템이 가동되는 동안 오염수를 모으고 바닥을 건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바닥을 긁어낸다.
핸들(10)은 손잡이(42)가 달린 상부 핸들(40)과 캡(44)으로 구성된다. 캡(44)은 기구를 벽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회전 조인트가 달려 있다. 상부 핸들(40)은 나사가 형성된 인서트(46)를 가지고 있어 상기 상부 핸들이 틀에 적어도 두 개의 볼트(50)에 의해 고정된 단일 조각의 하부 핸들(48)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일 핸들(48)은 플라스틱을 주조할 수 있고, 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46)와 짝을 이루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단면, 짜는 기구 핸들(52)의 지지대, 하부 핸들(48)을 틀(12)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짜는 기구 핸들(52)은 하부 핸들(48)의 제1피봇과 봉(56)의 제2피봇에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짜는 기구 핸들(52)은 두 개의 다리(60)를 갖고 있고 그 중의 하나는 하부 핸들(48)의 각 면까지 연장된다. 봉(56)의 평평한 단부는 상기 두 다리(60)의 사이에 끼워지고 회전 가능하도록 핀으로 고정되어 봉과 다리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봉(56)은 하부 핸들(48) 옆으로 틀(12)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봉(56)의 반대쪽 단부는 금속 브라켓(64)을 통과하여 스펀지(18)에 부착된다.
짜는 기구 핸들(52)의 조작은 스펀지(18)를 신축시키고 동시에 흡수용 모터(24)의 스위치(24)를 단속한다. 짜는 기구 핸들(52)은 스펀지(18)를 세 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스펀지(18)는 짜는 기구 브라켓(74)상에 설치된 한 쌍의 스펀지 롤러(62)의 앞에 부채 모양으로 펼쳐진다. 펼쳐진 상태에서 금속 브라켓(64)은 롤러(62)를 지지하고 스펀지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한다. 스펀지(18)를 수축시키기 위하여 짜는 기구 핸들(52)은 상부 핸들(40)로부터 떨어져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짜는 기구 핸들이 이동하면 봉(56)은 스펀지를 위로 밀어 올린다. 스펀지(18)가 수축하면 스펀지로 빨려 들었던 물은 롤러(62) 사이에서 짜여 져서 바닥으로 짜여져 나온다.
스펀지(18)가 수축된 상태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펀지(18)는 금속 브라켓(64)에 수용되고 스펀지(18)의 전방 단부는 롤러(62)의 단부보다 조금 튀어 나와 있다. 그 길이는 0.1인치 내지 0.5인치가 적당하다. 스펀지(18)는 롤러(62) 뒤쪽의 스펀지 부분의 팽창에 의해서 수축한 위치를 유지한다. 뿐만 아니라, 멈춤쇠(도시되지 않음)가 스펀지의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짜는 기구 핸들(52)에 설치될 수 있다.
짜는 기구 핸들(52)은 스퍼지의 교체와 장소를 위해 배출하는 경우에도 사용되어진다. 스펀지(18)의 배출을 짜는 기구 핸들(52)을 B방향의 상부 핸들(40)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스펀지(18)와 금속 브라켓(64)을 짜는 기구 브라켓(74)으로부터 휘어지는 롤러(62)를 통과하게 한다.
짜는 기구 핸들(52)은 또한 봉(56)의 앞으로 튀어나온 부분(66)이 스위치(30)를 작동함으로써 흡수용 모터(24)를 가동시킨다. 따라서 흡수용 모터(24)는 오직 스펀지(18)가 수축한 경우에만 작동하게 된다. 이는 필요하지 않을 때 모터의 작동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낭비를 방지한다. 제2도에서 보이듯 봉(56)의 앞으로 돌출된 굴곡부(66)가 스위치(30)를 눌러 흡수용 모터(24)를 가동시킨다.
일반적으로 5개의 셀을 가지고 있는 6볼트 축전지(22)가 12 내지 14암페어의 영구 자석 모터를 5 내지 10분간 기동시킨다. 흡수용 모터(24)가 단지 흡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하기 때문에 축전지(22)를 재충전하지 않고도 최소한 250평방 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축전지 팩(22)이 제1도의 중앙 부분을 확대하여 제5도에 보다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축전지 팩(22)은 6볼트의 재충전 가능한 축전지 팩으로서 틀(12)내의 축전지 공동(68)에 6개의 셀을 수용할 수 있다. 축전지 팩(22)은 그 공동 내에 하부 핸들(4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결합 부재(70)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한다. 하부 핸들의 두 개의 돌출부(72)는 결합 부재(70)를 핸들의 적절한 축방향 위치에 위치에 유지시킨다. 결합 부재(7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와 결합된 상태가 각각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축전지 팩(22)이 축전지 공동(68)에 들어가면 두 개의 스프링에 지지되는 축전지 접점(80)은 축전지 공동(68)의 접점이 그와 짝이 되는 축전지 측면의 접점(78)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흡수용 모터(24)는 모터 설치 장치(82)내에 틀(12) 내에 주조된 한 쌍의 축안에 설치하는 것과 같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설치된다. 흡수용 모터(24)는 약 18,000-25,000 rpm, 적절하게는 21,000-22,000 rpm의 출력을 내는 12-14 암페어, 6볼트 스트론튬 자석 모터와 같은 영구 자석 직류 모터가 사용된다. 모터로부터 팬 체임버(84)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수용 모터(24)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인접한 팬 체임버(84)와 탄력 있는 쇠고리(86)에 의해 절연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흡수용 모터(24)는 자체 냉각되기 때문에 냉각을 위해 팬이 필요치 않다. 그러나, 모터 팬이 필요하다면 추가될 수도 있다. 통풍구(88)가 틀(12)의 측면에 모터로의 공기의 순환을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팬 체임버(84)에는 공기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90)를 설치할 수 있다. 틀(12)의 아래 부분은 확대도인 제4도에 잘 도시되어 있고 스펀지(18), 고무 걸레 트레이(92), 오염수 탱크(16), 팬 체임버(84) 그리고 흡수용 팬(26)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 걸레 트레이(92)는 두 개의 길쭉한 고무 걸레(20)를 가지고 있으며 고무 걸레 트레이(92)에 통상의 방법에 의해 삽입되어진다. 고무 걸레는 5 내지 20인치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보다 적절하게는 8 내지 12인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고무 걸레 트레이(92)는 흡입구(94)를 가지고 있고 상기 흡입구는 타원형으로 두 개의 고무 걸레(20) 사이에 위치하여 고무 걸레의 중간 위치에서 총 고무 걸레 길이의 ¼~½정도까지 연장되어 있다. 물은 고무 걸레(20)의 길이 만큼 고무 걸레 사이의 오프닝에서 흡입구(94)로 끌어올려진다. 두개의 고무 걸레(20)와 바닥 사이의 경로인 단면적과 흡입구(94)의 단면적은 모두 적절한 공기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치수가 주어져 있으며 공기 중의 작은 물방울을 포집한다. 1,000ft/min 내지 3,000ft/min 이상의 속도에서의 운전은 공기 중의 물방울을 포집할 수 있다.
고무 걸레 트레이(92)에는 한 세트의 바퀴(122)가 설치되어 전체 기구를 바닥을 쓸고, 고무 걸레질하고, 이동하는 동안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고무 걸레(20)는 고무 걸레 트레이(92)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청소기가 바닥을 이동할 때 양 고무 걸레가 모두 바닥에 접촉한다. 스펀지(18)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스펀지가 고무 걸레(20)보다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걸레는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 스펀지(18)를 둘로 구분하는 중앙부 x는 고무 걸레(20)의 y면과 관련하여 각도 α의 범위에 있게 된다. 상기 각도 α는 대략 10°-30°의 범위에 있게 되며 25°정도가 적절하다.
고무 걸레 트레이(92)의 상면에서 흡입구(94) 주위로 타원 모양의 홈(96)이 파여져 있다. 탄성이 있는 실링재(98)가 상기 홈(96)에 충진되어 흡입구(94)와 오염수 탱크(16) 중앙부 튜브(100) 사이를 기밀시킨다. 탄성적인 실링재(98)는 압축성의 스펀지 고무재가 적절하고 탱크(16)를 위쪽으로 기울게 하여 틀(12)내에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어진다.
고무 걸레(20)는 각각 한쪽면은 부드러운 단부를 가지고 있고 다른쪽면은 톱날 모양의 단부를 가지고 있다. 고무 걸레(20)는 고무 걸레 트레이(92)내에 위치하며 두 개의 고무 걸레는 부드러운 단부끼리 서로 마주하고 있다. 따라서 청소기가 바닥을 이동할 때 양 고무 걸레는 바닥에 접촉하여 굽어질 것이다. 물은 톱니 모양 단부의 고무 걸레가 바닥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첫 번째 고무 걸레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 물은 부드러운 단부를 가지고 있는 두 번째 고무 걸레에 포집되어진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청소기는 사용자가 바닥면을 청소할 때, 앞, 뒤 방향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물은 고무 걸레 사이의 오프닝으로부터 중앙부 흡입구(94)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고무 걸레 사이로 부터 포집되어진다.
중앙부 흡입구(94)로부터 물은 중앙부 튜브(100)가 형성된 오염수 탱크(16)로 이동된다. 중앙부 튜브(100)는 탱크 위로 충분히 연장되어 있어 탱크를 비우기 위해 떼어 냈을 경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를 막을 필요성을 없애준다. 커버(102)는 탱크의 상면 안쪽에 설치되어 O자형 링(104)에 의해 밀봉되어진다. 커버(102)는 탱크(16)로부터 팬 체임버(84)로 공기가 흘러가는 오프닝(106)을 가지고 있다. 커버(102)에는 중앙부 튜브(100)로부터 탱크로 흘러가는 물을 편향시키기 위한 장애물(108)이 있다. 커버(102)의 오프닝(106)의 주위에는 오염수 탱크(16)와 팬 체임버(84)간을 밀봉하기 위한 표면 밀봉(116)이 행해진다.
중앙부 튜브(100)와 장애물(108)은 오염수 탱크(16) 내에 설치되고 대다수의 탱크 용량이 경사진 작동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만약 오염수 탱크(16)가 부분적으로 채워졌을 때 청소기를 청소기의 뒷면쪽(118)으로 바닥에 내려놓는다면 오염수가 중앙부 튜브(100)나 오프닝(106)에서 팬 체임버(84)로 흘러나오지 않을 것이다.
오염수 탱크(16)와 커버(102) 장치는 틀(12)로부터 떼어 낼 수 있어 탱크를 비우고 청소할 수 있다. 탱크(16)는 탱크의 바닥을 밀봉재(98) 쪽으로 삽입하고 틀(12)의 전면에서 탱크를 잠근다. 일단 삽입하면 탱크는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탱크의 외면에 설치되고 돌출부(112)가 있어 틀(12)의 홈(114)과 결합하게 되어 있는 잠금쇠(110)에 의해 잠금 된다. 오염수 탱크(16)의 커버(102)에는 잠금쇠(110)가 풀렸을 때 탱크를 틀(12)에 계속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멈춤쇠(120)를 가지고 있다.
흡수 시스템은 두 개의 고무 걸레(20)사이의 개구부로부터 흡입구(94)와 오염수 탱크(16)의 중앙부 튜브(100)로 공기 중의 물방울을 포집할 수 있는 적절한 속도로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가동된다. 물은 탱크(16)내의 장애물(108)을 때리고 탱크 쪽으로 편향되어진다. 공기의 속도는 중앙부 튜브(100)로부터 탱크(16)로 들어갔을 때 더 느려지고 포집된 물방울은 탱크로 떨어진다. 공기는 중앙부 튜브(100)의 양면 주위, 탱크(16)의 바깥쪽을 흐르고 개구부(106)를 통해 팬 체임버(84)로 흐르고, 흡수용 팬(26)을 통과하여 배출구(90)를 거쳐 틀(12)의 바깥으로 나간다. 탱크(16) 내로 공기 중의 물을 떨어뜨리기 위한 속도 저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장애물과(108) 개구부(106) 사이의 공기 통로의 단면적은 중앙부 튜브(100)의 단면적보다 반드시 커져야 한다. 될 수 있는 한 탱크 내의 공기의 속도는 약 1,000ft/min 이하로 감소되어야 물이 탱크 내에 남게 된다.
오염수 탱크(16)에는 탱크(16)내의 수위가 일정 레벨에 이르면 흡수를 중단할 수 있는 조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장치는 탱크(16)가 가득찬 경우 개구부를 막는 부상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되는 모터가 자동으로 꺼진다. 예를 들어, 9인치의 밀봉된 흡입관을 가지고 있는 모터의 경우 탱크가 9인치까지 차면 전원이 자동으로 꺼진다.
세척액은 바닥을 긁어 내기 전어 바닥에 분사되어지며 세척수 통(14)은 틀의 전면(124)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세척수 통에 사용되는 세척액은 이미 알려진 어느 세척액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세척제가 첨가된 물과 같은 혼합 용액도 가능하다.
통(14)은 불어서 성형한 통으로써 세 개의 오프닝과 세척액을 바닥으로 분사하기 위한 플런저(28)를 갖는다. 통의 측면에 형성된 제1오프닝(134)은 나사가 형성된 뚜껑(140)이 있으며 통을 채우는데 사용된다. 제1오프닝(134)이 통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쉽게 통을 채워넣을 수 있다. 뚜껑(140)은 통속에서 물과 섞여지는 세척제의 계량을 위한 도구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2오프닝(136)은 분사구(148)가 있는 나사가 형성된 분사용 뚜껑(142)과 플런저(28)의 한쪽 단부가 밀봉되는 분사구 주위로 플런저 시트(144)가 형성된다. 제3오프닝(138)은 플런저(28)를 수용하고 환기를 제공한다. 세 개의 오프닝이 있는 병(14)은 플런저(28)를 떼어내지 않고도 병을 채울 수 있도록 해준다.
플런저(28)에는 제1도와 같이 핸들(146)이 있으며 제1단부(14)와 제2단부에서 병(14)의 제3오프닝(138)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어 플런저 좌대(144)와 맞물려 분사구(148)를 폐쇄한다. 제5도에 가장 잘 도시된 스프링(150)은 플런저(132)의 고리형 링(152)과 뚜껑(156)을 수용하는 플런저의 바닥면(154) 사이에서 플런저(28)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플런저 뚜껑(156)은 병(14)의 오프닝(138)의 목까지 연장되는 원통형 부분(158)이 있으며 플런저 핸들(146)이 C방향으로 당겨졌을 때 병으로부터 공기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플런저 뚜껑의 원통형 부분(158)의 내측은 환기 기능을 제공하는 홈(162)이 있다. 플런저의 고리형 좌대(166)에 위치한 제 1 O링(160)은 플런저(28)와 플런저 뚜껑(156) 사이에서 닫혀진 상태의 기밀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플런저 핸들(146)이 분사구(148)를 열면서 C방향인 위로 이동하면 제1 O링(160)은 홈(162)의 위족으로 슬라이딩되고 공기가 뚜껑을 통해 병으로 들어온다. 제2 O링(164)은 플런저 뚜껑(156)과 병(14) 사이를 기밀시킨다.
통(14)은 틀(12) 위의 한 쌍의 돌기(17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돌기는 상방향으로 돌출 되고 통에 설치된 홈(172)과 짝을 이루며, 제3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기의 아래쪽으로 통을 슬라이딩시켜 결합한다. 통(14)은 통의 상부면 융기부(176)를 건너지르는 회전할 수 있는 걸이쇠(174)에 의해 잠금 된다.
세척수 통(14)은 최소한 250 평방 피트, 대략 250-300 평방 피트의 바닥을 청소할 수 있기에 족한 세척액을 담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또한, 세척수통(14)은 오염수 탱크(16)보다 다소 작은 용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오염수 탱크(16)가 분사된 물과 세척수 통(14)의 전 내용물을 모두 수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세척수 통(14)이 약 16온스의 용량을 갖는다면 오염수 탱크(16)는 약 24온스의 용량을 가질 것이다. 오염수 탱크(16)의 용량은 세척수통(14)의 용량보다 약 20%-60% 정도 더 크다.
비록 세척수 통(14)과 오염수 탱크(16)가 통과 탱크라는 말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액체 용기를 나타내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용기들은 경량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플라스틱과 같이 다소 휘어지는 성질이 있는 재료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 1은 신축성의 스펀지(18)과 고정된 한 쌍의 고무 걸레(20)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정된 스펀지(18)와 가동성의 고무 걸레(20)로도 사용 가능하다.
제6A도 및 제6B도는 스펀지(202)와 고무 걸레(204)가 청소기(200)의 바닥에 고정된 상태의 다른 구체예를 보여준다. 상기 구체예는 제6A도와 같이 스펀지(202)가 바닥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세척액은 청소 전 또는 청소 중에 핸들(206)을 위, 아래로 펌핑함으로써 바닥에 분사된다. 청소가 완료되면 제6B도와 같이 청소기(200)를 툭툭 털어 고무걸레(204)가 바닥과 접촉하고 구체예 1에서 기술한 것과같은 방법으로 바닥을 건조시킨다.
제7A-C도의 구체예는 고정된 스펀지(302)와 고정된 고무 걸레(304)를 가진 청소기(300)로서 제7A도와 제7C도 사이의 세척과 건조를 위한 절충형이다. 상기 구체예는 추가적으로 청소하기 한쪽 단붕 닦는 패드(306)가 있어 제7B도와 같이 바닥을 닦는데 사용한다. 닦는 패드(306)는 벨크로의 예와 같이 착탈할 수 있다. 청소기(300)는 또한 신축식의 핸들(308)을 가지고 있다.
청소기(400)의 네 번째 구체예가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되어 있다. 청소기(400)는 신축성의 스펀지(402)와 고정식 고무 걸레(404)를 가지고 있다. 세척액 분사구(406)는 청소기(40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고 펌프 핸들(408)이 세척액을 가압하여 분사구로 분사시킨다.
청소기(500)의 또 다른 구체예가 제9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세척수 통(502)과 오염수 탱크(504)가 양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펀지(506)가 고무 걸레(508)를 감싸고 설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10도의 청소기(600)는 청소기 내의 홈(604)에 설치된 착탈식 분사통(602)을 가지고 있다. 상기 분사통(602)은 바닥에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606)을 가지고 있다.
제11도 내지 제16도는 고정된 고무 걸레 보다 더 넓은 각도로 청소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고무 걸레(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기구를 가진 고무 걸레 트레이(92)의 구체예를 보여준다.
고무 걸레 트레이(92)와 두 개의 고무 걸레중 하나(20a)의 바닥면 분해 사시도가 제11도에 나타나 있다. 고무 걸레 트레이(92)에는 스프링(700)이 설치되어 전면 고무 걸레(20a)가 화살표 D방향으로 움직여 다른 청소 각도를 수용할 수 있다.
고무 걸레 트레이(92)는 전면판(702), 후면판(704), 상부판(706), 두 개의 측면판(708, 710)과 다수 개의 중앙부 간막이 판(716)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고무 걸레(20a, 20b)는 고무 또는 다른 탄성적인 재질의 가요성 고무 걸레 날(712)을 가지고 있고 U자형의 고무 걸레 케이싱(714)에 들어가 있다. 전면 고무 걸레(20a)는 전면판(702)에 인접한 고무 걸레 트레이(92)에 수용되고, 후면 고무 걸레(20b)(제12도에 도시됨)는 후면판(704)에 인접한 고무 걸레 트레이(92)에 수용된다. 고무 걸레(20a, 20b)는 중앙부 간막이 판(716) 부재와 고무 걸레 트레이(92)의 전, 후면판 사이에서 각각의 전, 후면판의 내측면에 있는 두 개의 탭(718)에 의해 고정된다. 탭(718)은 고무 걸레 케이싱(714)의 홈(720)과 결합한다.
홈(720)은 고무 걸레 트레이(92)의 상부 사시도인 제12도에 명확히 나타나 있고 전면판(702)은 도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홈(720)은 고무 걸레(20a)가 제12도 내지 제14도와 같이 돌출된 상태와 제15도 및 제16도와 같이 스프링(700)이 압축되어 수축된 상태까지 움직일 수 있도록 치수가 계획되어 있다.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00)은 판 스프링으로서 베이스(722), 두 개의 측면부(724, 726)와 하나의 다리(728)로 구성된다. 스프링(700)의 각 측면부(724, 726)는 고무 걸레 트레이(92) 상부판(706)의 직사각형 구멍(730)의 단부에 결합된다. 판 스프링의 오목한 면 측면(724, 726)은 스프링을 직사각형 구멍에 고정시킨다. 스프링 다리(728)의 단부는 고무 걸레 트레이의 상부면(714)과 결합하여 고무 걸레 트레이의 상부판(706)으로부터 고무 걸레(20a)를 경사지게 한다.
제1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 고무 걸레(20a)가 돌출된 경우에는 후면 고무 걸레(20b)보다 d만큼 더 돌출 되며 이는 대략 0.1-0.5인치의 범위이고 적절하게는 0.2인치 정도이다.
발명의 한 구체예에 의하면 후면 고무 걸레(20b)는 고정되고 전면 고무 걸레(20a)가 가동적이다. 가동적인 전면 고무 걸레(20a)는 양 고무 걸레가 고정된 경우보다 10°에서 40°이상 청소기의 사용 각도 범위를 증가시킨다.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적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 후면 고무 걸레(20a, 20b) 모두 가동적으로 할 수 있다. 또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전면 고무 걸레가 고정된 경우 후면 고무 걸레가 가동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구체예에 의하면, 스프링(700)은 열처리된 베릴륨 구리 합금으로 성형된 판 스프링이다. 스프링에 니켈과 같은 다양한 코팅이 부식방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프링은 부식 방지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비록 판 스프링이 도시되어 있으나 코일 스프링 등 기존의 압축 스프링으로써 어떠한 유형이든 사용될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6도의 고무 걸레 트레이가 제1도 내지 제4도의 무선 물걸레 청소기에 설치되면 허용 가능한 청소 각도 즉, 청소기가 바닥을 청소하는 동안 핸들(40)과 바닥이 이루는 각도는 크게 증가한다. 이는 다양한 키의 사용자가 청소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전면 또는 후면 고무 걸레(20a, 20b)가 바닥과 접촉되지 않아 바닥에 줄무늬 모양으로 물이 남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각 구체예의 장점들은 본 청소기가 세척수를 자체 내장하고 있어 무거운 물통을 운반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게다가, 세척수의 오염 문제가 없고 바닥면이 실질적으로 건조한 상태로 남는다는 점이다. 청소기는 일단 오염수 탱크(16)가 제거되면 흡수 시스템 상의 어떤 장애도 쉽게 발견되고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적절한 구체예에 의하여 자세히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범위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화나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Claims (10)

  1. 청소기 틀;
    상기 틀로부터 연결된 핸들;
    상기 틀에 설치되고 청소하는 상태에서는 펼쳐지고 보통의 상태에서는 상기 틀 속으로 수축되는 바, 상기 펼쳐진 상태와 상기 수축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는 청소 부재;
    상기 틀 내에 설치되고 표면의 오염된 물을 제거하는 흡수용 모터;
    상기 틀 내에 설치되고 상기 흡수용 모터의 가동에 의해 바닥에서 제거된 오염된 물을 모으는 탱크; 그리고,
    상기 흡수용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는 펼쳐진 상태에서 액체를 흡수하는 스펀지이고, 상기 펼쳐진 상태에서 수축된 상태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액체를 상기 스펀지의 밖으로 짜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상기 스펀지가 수축된 상태로 이동할 때 상기 액체를 상기 스펀지의 밖으로 짜내는 두 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를 펼쳐진 상태와 수축된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된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수축된 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흡수용 모터를 가동시키고, 상기 청소 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환될 때 상기 흡수용 모터를 끄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오염된 물을 바닥에서 탱크로 빨아들이는 상기 흡수용 모터에 의해서 작동되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바닥의 오염된 물을 모으기 위해 상기 틀에 설치되는 고무 걸레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 걸레 기구는 유연성 있는 제1고무 걸레 날, 상기 제1고무 걸레 날과 조금 떨어져서 평행하게 설치되며 유연성 있는 제2고무 걸레 날 및 상기 제1 및 제2고무 걸레 날 사이에 상기 탱크로의 유체의 흐름을 위해 설치된 흡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는 착탈식이고 재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청소하기 위한 세척수를 보유하고, 또 바닥에 분사하기 위해 상기 틀에 착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세척수 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10. 청기기 틀;
    상기 틀에 설치되고 펼쳐진 상태와 수축된 상태로 가변적인 신축성의 청소 부재;
    상기 청소 부재를 펼쳐진 상태와 수축된 상태로 변환시키는 수축 기구;
    청소된 바닥의 오염된 물을 모아서 제거하는 흡수 시스템; 그리고,
    상기 청소부재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상기 흡수 시스템이 켜지고 상기 청소 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흡수 시스템이 꺼지는 식으로 상기 수축기구에 반응하여 상기 흡수 시스템을 가동하는 스위치(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청소기.
KR1019970072700A 1996-12-31 1997-12-23 무선 물걸레 진공 청소기 KR199800645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75,284 1996-12-31
US08/775,284 US6065182A (en) 1996-06-07 1996-12-31 Cordless wet mop and vacuum assembly
US4765997P 1997-05-22 1997-05-22
US60/047,659 1997-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31A true KR19980064531A (ko) 1998-10-07

Family

ID=2672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700A KR19980064531A (ko) 1996-12-31 1997-12-23 무선 물걸레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850589A1 (ko)
JP (1) JPH10276951A (ko)
KR (1) KR19980064531A (ko)
AR (1) AR011328A1 (ko)
AU (1) AU4925797A (ko)
BR (1) BR9706506A (ko)
CA (1) CA2225303A1 (ko)
EA (1) EA000423B1 (ko)
WO (1) WO19980290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49006A1 (en) 1998-04-08 1999-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packaged product
US6206058B1 (en) 1998-11-09 2001-03-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tegrated vent and fluid transfer fitment
US7163349B2 (en) 1998-11-09 2007-0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bined cleaning pad and cleaning implement
US6142750A (en) * 1998-11-30 2000-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ear pump and replaceable reservoir for a fluid sprayer
USD425274S (en) 1998-11-30 2000-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using
USD427401S (en) 1998-11-30 2000-06-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p head
USD428226S (en) 1998-11-30 2000-07-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USD432747S (en) 1998-11-30 2000-10-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ttle fitment
US5988920A (en) * 1998-11-30 1999-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having a protected pathway for a fluid transfer tube
USD429990S (en) 1998-11-30 2000-08-29 The Procter & Gamble Co. Handle grip
USD420561S (en) 1998-12-10 2000-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grip
FR2816495B1 (fr) * 2000-11-10 2003-08-29 Tecnochim Europ Ind Procede de nettoyage in situ d'une matiere textile revetant des sieges d'avion ou des sols et dispositif et composition pour sa mise en oeuvre
CN102715876A (zh) * 2012-01-27 2012-10-10 李智全 除潮湿拖把
US9622631B2 (en) 2013-09-18 2017-04-1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ing nozzle adjustment apparatus with adjustable blade assembly
EP2992798B1 (en) * 2014-09-04 2019-05-08 Black & Decker Inc. Handheld cleaning device
JP7153858B2 (ja) * 2017-09-28 2022-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捕集装置及び検出装置
EP3599311A1 (en) * 2018-07-25 2020-01-29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Outdoor surface trea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accessory too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0806A (en) * 1933-10-18 1937-11-30 Kern Bernard Carpet and floor cleaner
US2986764A (en) * 1958-08-08 1961-06-06 Hoover Co Suction cleaner
US3101505A (en) * 1961-07-18 1963-08-27 Electrolux Corp Surface treating machine
US3540072A (en) * 1964-08-03 1970-11-17 Sunbeam Corp Floor conditioner
US3939527A (en) * 1973-10-12 1976-02-24 Clarke-Gravely Corporation Portable surface cleaner
US4363152A (en) * 1981-02-19 1982-12-14 The Scott & Fetzer Company Squeegee assembly for a scrubbing machine
US4462137A (en) * 1983-01-03 1984-07-31 Shop-Vac Corporation Electric vacuum cleaner
US4498214A (en) * 1983-02-28 1985-02-12 The Hoover Company Carpet cleaning apparatus with auxiliary cleaning device arrangement
US4516287A (en) * 1984-04-02 1985-05-14 The Lighthouse For The Blind, Incorporated Angled roller mop
US4831685B1 (en) * 1987-11-27 1995-05-09 Hoover Co Wet and dry vacuum cleaner
FR2653002B1 (fr) * 1989-10-13 1991-12-13 Alazet Jean Dispositif d'aspiration avec raclette pour l'elimination de l'eau sale lors du nettoyage de certaines surfaces.
US5289610A (en) * 1992-11-23 1994-03-01 Monson Clifford L Recycling extraction cleaner and drier
FR2715053B1 (fr) * 1994-01-14 1996-03-15 Famulus Dispositif de nettoyage par épandage de liquide nettoyant et par aspiration de liquide usagé.
US5555599A (en) * 1995-12-18 1996-09-17 Markley; Jim Carpet cleaning brus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11328A1 (es) 2000-08-16
EP0850589A1 (en) 1998-07-01
AU4925797A (en) 1998-07-02
WO1998029020A2 (en) 1998-07-09
WO1998029020A3 (en) 1998-10-15
JPH10276951A (ja) 1998-10-20
BR9706506A (pt) 1999-04-27
CA2225303A1 (en) 1998-06-30
EA199700456A1 (ru) 1998-08-27
EA000423B1 (ru) 199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1671A (en) Wet mop and vacuum assembly
US6065182A (en) Cordless wet mop and vacuum assembly
US5983448A (en) Cordless wet mop and vacuum assembly
KR200497014Y1 (ko) 표면 청소 장치
KR19980064531A (ko) 무선 물걸레 진공 청소기
US11690491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3238598B1 (en) Floor cleaner and water container structure thereof
JP4711436B2 (ja) 裸床面掃除機
JP5539353B2 (ja) 平滑表面用スクレーパ
US7377009B2 (en) Multi-functional cleaner selectively performing vacuum cleaning and water cleaning
AU2017222312B2 (en) Accessory for use with vacuum cleaners
GB2419515A (en) Vacuum cleaner with liquid supply and suction means
CN111166256A (zh) 一种自清洁拖扫机
CN212591943U (zh) 一种自清洁拖扫机
CN111973101B (zh) 一种清洁装置及采用该装置对清洁工具进行清洗的方法
KR100618646B1 (ko) 물을 이용한 청소기 및 물청소용 브러시
CN215305544U (zh) 一种用于表面清洁装置的清洗装置
CN211704491U (zh) 一种带有挤水囊的清洁装置
CN211704492U (zh) 一种刮洗件及包含该刮洗件的清洁装置
KR100677257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KR200401003Y1 (ko) 이동식 습식 청소기
CN116158700A (zh) 地刷结构及清洁装置
KR97000356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