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779A -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 Google Patents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779A
KR19980061779A KR1019960081156A KR19960081156A KR19980061779A KR 19980061779 A KR19980061779 A KR 19980061779A KR 1019960081156 A KR1019960081156 A KR 1019960081156A KR 19960081156 A KR19960081156 A KR 19960081156A KR 19980061779 A KR19980061779 A KR 1998006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memory
data
handler
tim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1303B1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8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30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8Time only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선교환 스위치망의 타임스위치에 연결되어 패킷 스위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패킷 핸들러는 타임 스위치 정합부(42); 패킷 메모리(44); 통신 메모리(45); 타임 스위치 정합부를 통해 연결된 링크를 제어하여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타임스위치측으로 송신하거나 타임스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하는 링크레벨 처리부(43);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신할 패킷이 있으면 상기 통신 메모리에 이를 표시하는 패킷 처리 제어부(41); 통신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를 보고 다른 패킷 핸들러로 전달할 패킷이 있으면 이를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알려 해당 패킷 데이터를 가져가게 하고, 다른 패킷 핸들러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패킷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하고 이를 패킷 처리 제어부에 알리는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46); 및 링크 레벨 처리부와 패킷 처리 제어부와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가 상기 패킷 메모리를 접근하는 것을 중재하는 패킷 메모리 중재부(47)가 포함되어 병렬버스구조를 채용하여 패킷 핸들러간에 데이터 전송속도가 향상되고, 불필요한 중재과정이 생략되어 고속으로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본 발명은 회선교환 스위치망의 타임스위치에 연결되어 패킷 스위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핸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렬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고속으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패킷 핸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시스템은 회선 교환기, 메시지 교환기, 패킷 교환기등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고유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패킷 교환이란 X.25 프로토콜 등과 같이긴 메시지를 소정 길이의 패킷(packet)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가상회선(virtual circuit)방식과 데이터그램(datagram)방식이 있다.
그리고 현재 대부분의 교환시스템은 회선교환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데, 컴퓨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데이터 교환을 위해 회선교환기에서도 패킷교환기능이 구비되는 추세에 있고, 이와 같이 패킷 교환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패킷 핸들러(packet handler)가 사용된다.
이러한 패킷 교환기능이 구비된 회선 교환기는 통상 타임스위치(T)-스페이스 스위치(S)-타임스위치(T)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타임스위치(T)는 가입자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통화로를 서로 연결시켜주기 위해 타임 슬롯(time slot)을 서로 교환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스페이스 스위치(S)는 타임스위치에서 오는 정보를 하이웨이(Highway)라는 스트림으로 묶어 하이웨이교환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T-S-T 스위치구조를 갖는 교환시스템의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환시스템은 ISDN 가입자와 접속되는 ISDN 억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ASS-I:10-1)과, 광링크 혹은 PCM링크를 통해 접속된 가입자 및 중계선을 하이웨이 단위로 스페이스 스위칭해주는 인터커넥션 네트웍 서브시스템(INS:20), 교환시스템을 감시 제어하며 과금 및 통계처리하는 센트럴 제어 서브시스템(CCS: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INS(20)에는 다수의 다른 ASS가 연결되어 T-S-T 스위치 구조를 이루는데, 패킷 핸들러를 위한 ASS-P(10-2)는 S 스위치에 연결되어 패킷 교환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때 ASS-P(10-2)는 타임(T)스위치(11)와 다수의 패킷 핸들러(PH:12) 및 이 패킷 핸들러(12)간에 데이터 전달을 위한 패킷 버스(13), 및 서브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4)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T-S-T구조에서 트렁크측의 타임 스위치에 연결되는 종래의 패킷 핸들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킷 핸들러보드(12-1∼12-16)에 랜(LAN)칩(15-1∼15-16)이 구비되어 10Mbps의 속도로 랜(LAN) 케이블(16)을 통해 직렬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패킷 핸들러(12-1)는 랜(LAN)칩(15-1)을 통해 랜 케이블(16)에 접속되고, 제2 패킷 핸들러(15-2) 내지 제 16 패킷 핸들러(15-16)도 동일한 방식으로 랜칩을 통해 랜 케이블에 접속되어 직렬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였다.
즉, 종래의 패킷 핸들러는 상위 프로세서와 접속하기 위하여 직렬버스를 통하여 모든 데이터를 직렬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였으며, 패킷 핸들러간 및 상위 프로세서와 접속하기 위하여 2단계의 중재를 거쳐서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직렬 형태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일정량의 패킷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각각의 패킷 핸들러가 랜칩을 통해 송신 요구신호를 보내 응답신호를 받으면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읽어내어 직렬 형태로 전송하고, 응답신호를 받지 못하면 계속 기다려야 하므로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데이터 송신 요구신호를 보내면 2단계의 중재로직으로 구성된 패킷버스(13)를 거쳐서 원하는 패킷 핸들러나 상위 프로세서로 패킷이 전송되기 때문에 패킷 전달에 지연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병렬버스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중재로직을 없애고, 각각의 패킷 핸들러 내에 존재하는 통신 메모리를 순차적으로 검색하므로써 공통 패킷 메모리에서 직접 패킷 데이터를 읽어내어 원하는 패킷 핸들러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된 병렬버스 구조를 갖는 패킷핸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타임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패킷 핸들러들이 공통의 선로에 연결되어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전전자교환기의 패킷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핸들러가, 상기 타임 스위치와 정합을 위한 물리적 통로를 제공하는 타임 스위치 정합부; 송수신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킷 메모리; 통신을 위한 상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통신 메모리; 상기 타임 스위치 정합부를 통해 연결된 링크를 제어하여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타임스위치측으로 송신하거나 타임스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하는 링크레벨 처리부;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신할 패킷이 있으면 상기 통신 메모리에 이를 표시하는 패킷처리 제어부; 상기 통신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를 보고 다른 패킷 핸들러로 전달할 패킷이 있으면 이를 상기 디바이스제어보드에 알려 해당 패킷 데이터를 가져가게 하고, 다른 패킷핸들러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패킷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하고 이를 패킷처리제어부에 알리는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 및 상기 링크레벨 처리부와 패킷처리 제어부와 디바이스제어보드 정합부가 상기 패킷 메모리를 접근하는 것을 중재하는 패킷 메모리 중재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패킷 핸들러가 구비된 일반적인 전전자교환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패킷 핸들러의 연결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의 연결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가 발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가 착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병렬버스32: 디바이스 제어보드
33-1∼33-16: 패킷 핸들러35: 상위 프로세서
41: 패킷처리제어부42: 타임스위치정합부
43: 링크레벨 처리부44: 공통 패킷 메모리
45: 통신용 메모리46: 디바이스제어보드 정합부
47: 패킷 메모리 중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셀프에 하나의 디바이스 제어보드(32)와 16개의 패킷 핸들러(33-1∼33-16)가 실장되고, 각 패킷 핸들러와 디바이스 제어보드(32)는 병렬버스(31)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병렬버스(31)는 데이터와 어드레스선이 멀티플랙스된 16비트의 신호선이다.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보드(32)는 직렬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위 프로세서(35)와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패킷 핸들러들과 디바이스 제어보드는 공통의 병렬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병렬버스를 통해 패킷을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패킷 핸들러(33-1∼33-16)는 공중 데이터 패킷망과 접속하여 패킷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링크레벨의 접속, 데이터 패킷 교환, 패킷 호 처리 이벤트를 처리하고, 특히 병렬버스(31)를 통해 상호 패킷을 주고받아 종래의 패킷 핸들러에 비해 패킷 핸들러간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킨 중계선 접속 타임 스위치 정합 패킷 핸들러이다.
즉, 종래의 패킷 핸들러의 경우 교환기내 패킷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패킷 데이터 송수신시 전송통로가 직렬버스 형태이므로 모든 패킷 데이터를 직렬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는 병렬버스 형태를 취하여 프로세서가 주변 디바이스를 억세스하는 것처럼 디바이스 제어보드가 각각의 패킷 핸들러를 직접 접속하여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읽거나 패킷 메모리에 데이터를 라이트한다.
따라서 종래의 직렬버스에 비해 전송효율이 향상되고, 패킷 송수신시에 매체 억세스를 위한 중재절차가 필요없게 되므로 신속하게 패킷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병렬버스 구조의 패킷 핸들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처리제어부(41), 타임스위치정합부(42), 링크레벨 처리부(43), 공통 패킷 메모리(44), 통신용 메모리(45), 디바이스제어보드 정합부(46), 패킷 메모리 중재부(47)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패킷처리 제어부(41)는 프로세서(CPU)와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 및 램등으로 구성되어 전전자 교환기에서 망간접속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X.75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각 부에 대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타임스위치 정합부(42)는 RS422방식으로 타임스위치와 정합하여 각각의 서브하이웨이중 8개의 채널 정합기능을 갖고 있으며, 링크레벨 처리부(43)는 타임스위치 정합부(42)와 연결되어 비트 스트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링크레벨 접속기능 및 링크레벨의 링크 억세스 프로토콜-B(LAP-B)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공통 패킷 메모리(44: 이하, 간단히 패킷 메모리라 한다)는 링크레벨 처리부(43), 패킷 처리 제어부(41), 및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46)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들에게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패킷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통신용 메모리(45)는 패킷 핸들러의 현재 상태를 디바이스 제어보드(32)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패킷 메모리 중재부(47)는 패킷 처리 제어부(41),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46), 링크레벨 처리부(43)가 공통 패킷 메모리(44)를 억세스함에 있어서 어느 한 순간에 하나의 블록에서 패킷 메모리(44)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중재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타임스위치 정합부(42)는 핸개의 패킷 핸들러가 타임스위치의 서브하이웨이중 8개의 채널과 정합할 수 있도록 8개의 접속 링크를 가지고 있으며, 타임스위치의 정합부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타임스위치와 정합되는 물리적 통로인 서브하이웨이는 각각 64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되는 신호는 16MHz의 타임스위치 송수신 데이터 클럭, 채널을 구별할 수 있는 8KHz의 프레임 동기신호, 송수신되는 송수신 데이터신호로 구성된다.
타임스위치 정합부(42)는 이 접속채널을 통해 송수신 데이터 클럭 및 프레임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들을 조합하여 각 패킷 핸들러당 8개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된 8개의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링크레벨 처리부(43)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64Kbps로 속도변환한다.
링크레벨 처리부(43)는 먼저 타임스위치 정합부(42)와 접속되어 타임스위치 정합부(42)로부터 수신된 프레임 대하여 시작 플래그를 체크하여 시작 플래그가 감지되면, 어드레스 프레임, 제어 프레임 등을 분석하여 링크레벨의 순서 제어기능, 에러 검출 및 회복기능, 흐름제어 기능들을 수행하고, 수신된 프레임이 패킷이 실려있는 데이터 프레임일 경우에는 수신된 패킷을 지정된 패킷 메모리(44)에 저장한다. 반대로, 패킷 메모리(44)에 적정량의 패킷 데이터가 저장되면 이에 어드레스 및 제어 프레임을 덧붙이고 프레임 체크시퀀스(FCS)값을 계산하여 실제 링크레벨에서 인식 가능한 프레임으로 만들어 타임스위치방향으로 송신한다.
패킷 메모리(44)는 링크레벨 처리부(43)에서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패킷 메모리(44)에 저장하거나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46)에서 타 패킷 핸들러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타 패킷 핸들러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할 때 이용되는 메모리이다. 또한 패킷 처리 제어부(41)에서 패킷 메모리(4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서 패킷 레벨 처리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패킷 메모리가 억세스된다.
이와 같이 3개의 서로 다른 블록(즉, 링크레벨 처리부, 디바이스보드 정합부, 패킷 처리 제어부)이 1개의 패킷 메모리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는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동시에 2개 이상의 블록에서 패킷 메모리(44)를 억세스하고자 할 경우, 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재로직으로 구성된 패킷 메모리 중재부(47)가 이용된다.
패킷 메모리 중재부(47)는 3개의 블록에서 메모리 요구(MEMREQ)신호를 통해 동시에 패킷 메모리를 억세스하고자할 경우에 충돌을 방지하고자 각 블록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최우선 순위 블록은 링크레벨 처리부(43)이고, 다음이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46)이며, 패킷 처리 제어부(41)가 최하위의 우선순위를 갖는다.
패킷 처리 제어부(41)는 CPU와, CPU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CPU가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해주는 신호생성부, 내부적인 처리속도를 지정하기 위하여 각종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클럭신호 생성부, 각종 디바이스를 억세스하기 위하여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번역부 등으로 구성된다. 또 패킷 처리 제어부에는 각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럽트 핸들러가 있다.
이러한 패킷 핸들러의 발신 데이터 처리동작과 착신 데이터 처리동작을 도 5 및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발신 데이터 처리동작(패킷 핸들러로부터 타임스위치측으로 데이터 전달)
다른 패킷 핸들러로부터 병렬버스를 통해 수신된 발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패킷 핸들러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패킷 핸들러 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패킷 핸들러가 초기화되면 패킷 핸들러는 대기상태에서 디바이스 제어보드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된다(100,101).
디바이스 제어보드(32)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어 일정량이 되면 인터럽트가 발생되어 인터럽트 처리루틴이 수행되는데, 일정량의 패킷 데이터가 공통 패킷 메모리(44)에 저장되면 패킷 처리 제어부(41)는 패킷 레이어의 각종 패킷 처리기능을 수행하여 타임 스위치쪽으로 송신할 데이터 영역의 메모리에, 처리된 패킷 데이터를 다시 저장한다(102,103,104).
이때 링크레벨 처리부(43)에서 X.75 프로토콜의 레이어 2 기능을 수행하여 연결할 링크를 액티브시키고, 공통 패킷 메모리(44)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읽어, 읽어 온 패킷 데이터에 어드레스, 제어 필드, 프레임체크시퀀스(FCS)값 등을 첨부하여 송신할 프레임을 만들어 타임 스위치 정합부(42)를 통해 타임스위치 방향으로 전송한다(115).
2. 착신 데이터 처리동작(타임스위치로부터 패킷 핸들러로 데이터 전달)
보드에 전원이 인가되어 패킷 핸들러가 초기화되면 패킷 핸들러는 대기상태에서 외부의 타임 스위치로부터 타임스위치 정합부(42)를 통하여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110,111).
타임 스위치로부터 테이터가 수신되면, 인터럽트가 발생되어 수신 인터럽트 처리루틴이 수행되는데, 링크 레벨 처리부(43)에서 X.75 프로토콜 레이어 2기능을 수행하여 링크를 액티브시키고, 수신된 링크레벨 프레임을 처리하여 패킷 데이터를 패킷 메모리(44)에 임시 저장한다. 이때 일정량의 패킷 데이터가 공통 패킷 메모리(44)에 저장되면 패킷 처리 제어부(41)는 패킷 레이어의 각종 패킷 처리기능을 수행하여, 타 패킷 핸들러로 송신할 데이터 영역에 처리된 패킷 데이터를 다시 저장한다(112,113,114).
공통 패킷 메모리(44)에 송신할 데이터를 저장한 후 패킷 처리 제어부(41)는 디바이스제어보드 정합부(46)에서 이들 패킷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통신 메모리(45)의 특정 영역에 송신할 패킷이 있음을 알리는 상태신호를 표시하고, 이에 따라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46)는 이를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알려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제어하에 착신 패킷이 해당 패킷 핸들러로 전달되게 한다(115).
이와 같이 데이터 착신동작을 수행한 후 다시 패킷 핸들러는 수신 인터럽트를 기다리다가 타임 스위치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면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므로써 착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킷 핸들러는 병렬버스구조를 채용하여 패킷 핸들러간에 데이터 전송속도가 향상되고, 불필요한 중재과정이 생략되어 고속으로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타임스위치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패킷 핸들러들이 공통의 선로에 연결되어 디바이스제어보드의 제어에 따라 패킷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전전자교환기의 패킷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핸들러가,
    상기 타임 스위치와 정합을 위한 물리적 통로를 제공하는 타임 스위치 정합부(42);
    송수신 패킷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패킷 메모리(44);
    통신을 위한 상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통신 메모리(45);
    상기 타임 스위치 정합부를 통해 연결된 링크를 제어하여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타임스위치측으로 송신하거나 타임스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하는 링크레벨 처리부(43);
    상기 패킷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신할 패킷이 있으면 상기 통신 메모리에 이를 표시하는 패킷 처리 제어부(41);
    상기 통신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를 보고 다른 패킷 핸들러로 전달할 패킷이 있으면 이를 상기 디바이스 제어보드에 알려 해당 패킷 데이터를 가져가게 하고, 다른 패킷 핸들러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패킷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하고 이를 패킷 처리 제어부에 알리는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46); 및
    상기 링크 레벨 처리부와 패킷 처리 제어부와 디바이스 제어보드 정합부가 상기 패킷 메모리를 접근하는 것을 중재하는 패킷 메모리 중재부(47)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핸들러들이 병렬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메모리 중재부(47)는 링크레벨 처리부, 디바이스제어보드 정합부, 패킷 처리 제어부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어 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KR1019960081156A 1996-12-31 1996-12-31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KR10022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156A KR100221303B1 (ko) 1996-12-31 1996-12-31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156A KR100221303B1 (ko) 1996-12-31 1996-12-31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779A true KR19980061779A (ko) 1998-10-07
KR100221303B1 KR100221303B1 (ko) 1999-09-15

Family

ID=1949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156A KR100221303B1 (ko) 1996-12-31 1996-12-31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3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039B1 (ko) * 1999-12-23 2002-06-12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의 에지 라우터에서의분리/재결합 패킷 메모리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039B1 (ko) * 1999-12-23 2002-06-12 오길록 멀티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망의 에지 라우터에서의분리/재결합 패킷 메모리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303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171B1 (ko) 호출 제어 처리에 제어 메시지를 결합시키기 위한 방법 및 복수의 채널 통신 시스템 장치
US5218602A (en) Interprocessor switching network
EP0366935B1 (en) High-speed switching system with flexible protocol capability
US5968158A (en) Apparatus including a host processor and communications adapters interconnected with a bus, with improved transfer of interrupts between the adapters and host processor
EP0254472A2 (en) Data flow control arrangement for local area network
JPS6243598B2 (ko)
JPH0748739B2 (ja) 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多重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JPS60250799A (ja) 電気通信交換網
JPS6243599B2 (ko)
US4672604A (en) Time slot polling arrangement for multiple stage time division switch
JP3053094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統計的多重化方法
US6470021B1 (en) Computer network switch with parallel access shared memory architecture
US6178180B1 (en) Communications adapter for processing ATM and ISDN data
KR100221303B1 (ko) 병렬버스구조를 갖는 패킷 핸들러
US4633461A (en) Switching control for multiple stage time division switch
US73494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rving channel bank provisioning information when unit location changes within multi-shelf equipment rack
US4638474A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221302B1 (ko) 패킷 핸들러의 제어보드 정합회로
US5039986A (en) High speed dynamic allocator for various length time slots
US200300935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ock signal flow in a multi digital signal processor configuration from a shared peripheral direct memory controller to high level data link controller
US5475678A (en) Signalling processing system for circuit mode systems of a telecommunications installation
JPS6045864A (ja) 中央処理制御ではないシステムにおけるマイクロコンピユ−タ間の情報の転送方法
US6335940B1 (en) Digital data exchange device
EP0369116B1 (en) TDM switching matrix controller
KR100387247B1 (ko) 공유 버스를 사용하는 보드의 트래픽 흐름 제어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