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280A -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280A
KR19980061280A KR1019960080650A KR19960080650A KR19980061280A KR 19980061280 A KR19980061280 A KR 19980061280A KR 1019960080650 A KR1019960080650 A KR 1019960080650A KR 19960080650 A KR19960080650 A KR 19960080650A KR 19980061280 A KR19980061280 A KR 19980061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uffler
vehicle body
actua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8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280A/ko
Publication of KR1998006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280A/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머플러의 지지점을 선정할 차체에 다수개의 진동감지센서를 장착시켜 이로부터 감지되는 진동이 가장 작은 위치로 머플러의 지지점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머플러에 의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플러(1)를 차체측에 설치하는 주위에 다수개로 장착된 진동감지센서(2)와, 이 머플러(1)의 외주면에 습동가능하게 일단이 끼워지면서 타단이 차체측에 장착된 액츄에이터(3)의 로드(4)와 연결된 지지부재(5), 이 지지부재(5)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에 압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로(6,6')상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7), 상기 진동감지센서(2)로부터 진동반응을 신호받아 이 솔레노이드밸브(7)에 제어신호를 인가시키도록 된 제어유닛트(8)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본 발명은 진동에 따라 머플러를 지지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가동에 따른 머플러의 진동시 그 크기를 감지하여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위치로 지지점을 자동으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머플러에 의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변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머플러(일명 공명기라 지칭하기도 함)는 배기라인에 장착되어 배기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인 바, 이 머플러는 내부가 비어 있는 4각박스 혹은 원통형상을 하고서 헬름홀츠의 공명의 원리를 이용하여 배기소음량을 줄여주게 되어 있는데, 즉 머플러내의 용적크기에 따라 특정주파수대의 소음량을 저감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머플러의 차체에 대한 장착은, 머플러 고유의 모드를 분석하여 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치로 지지점을 이동시켜 차체에 장착시킴으로써 머플러에 의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머플러 지지점에 대한 선정은, 수시로 변화하는 엔진의 회전수에 따른 진동의 절연효과에는 그다지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머플러의 지지점을 선정할 차체에 다수개의 진동감지센서를 장착시켜 이로부터 감지되는 진동이 가장 작은 위치로 머플러의 지지점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머플러에 의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머플러2:진동감지센서
3:액츄에이터4:로드
5:지지부재6,6':관로
7:솔레노이드밸브8:제어유닛트
상기한 바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플러를 차체측에 설치하는 주위에 다수개로 장착된 진동감지센서와, 이 머플러의 외주면에 습동가능하게 일단이 끼워지면서 타단이 차체측에 장착된 액츄에이터의 로드와 연결된 지지부재, 이 지지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로상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진동반응을 신호받아 이 솔레노이드밸브에 제어신호를 인가시키도록 된 제어유닛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플러(1)를 차체측에 설치하는 주위에 다수개로 장착된 진동감지센서(2)가 장착되고, 이 머플러(1)의 외주면에 지지부재(5)가 습동가능하게 일단이 끼워져 이를 지지하며, 이 지지부재(5)의 타단이 차체측에 장착된 액츄에이터(3)의 로드(4)와 연결되는 한편, 이 지지부재(5)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에 압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로(6,6')상의 분기점에 솔레노이드밸브(7)가 장착되고, 상기 진동감지센서(2)로부터 진동반응을 신호받아 이 솔레노이드밸브(7)에 제어신호를 인가시키도록 된 제어유닛트(8)가 갖춰져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엔진의 시동중 상기 머플러(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감지센서(2)에서 감지하여 제어유닛트(8)로 신호보내게 되고, 이 제어유닛트(8)에서는 이를 토대로 가장 진동이 적게 감지되는 위치로 머플러(1)를 차체측으로 지지하도록 된 지지부재(5)를 이동시키도록 액츄에이터(3)에 가동유압을 관로(6,6')를 통해 적절히 보낼 수 있게 솔레노이드밸브(7)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측에 상기 머플러(1)를 지지점을 선정할 때 차체에 다수개의 장착된 진동감지센서(2)를 매개로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진동이 가장 작은 위치로 머플러(1)의 지지점을 임의대로 조정하면서 선정할 수 있게 되면, 진동의 절연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체에 대한 머플러(1)의 지지점이 가장 진동이 작은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 차체를 타고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어 차량의 NVH 개선효과가 크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변경장치에 의하면, 머플러의 차체에 대한 지지점을 선정함에 있어 차체에 다수개로 장착된 진동감지센서를 매개로 하여 머플러의 진동이 가장 작은 위치로 머플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이동시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진동의 절연효과가 향상되면서 차체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머플러(1)를 차체측에 설치하는 주위에 다수개로 장착된 진동감지센서(2)와, 이 머플러(1)의 외주면에 습동가능하게 일단이 끼워지면서 타단이 차체측에 장착된 액츄에이터(3)의 로드(4)와 연결된 지지부재(5), 이 지지부재(5)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3)에 압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로(6,6')상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7), 상기 진동감지센서(2)로부터 진동반응을 신호받아 이 솔레노이드밸브(7)에 제어신호를 인가시키도록 된 제어유닛트(8)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변경장치.
KR1019960080650A 1996-12-31 1996-12-31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KR19980061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650A KR19980061280A (ko) 1996-12-31 1996-12-31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650A KR19980061280A (ko) 1996-12-31 1996-12-31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280A true KR19980061280A (ko) 1998-10-07

Family

ID=6642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650A KR19980061280A (ko) 1996-12-31 1996-12-31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2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74B1 (ko) * 2007-03-10 2007-09-19 (주)전우종합기술 지중전선과 패드티알(pad tr)의 접속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374B1 (ko) * 2007-03-10 2007-09-19 (주)전우종합기술 지중전선과 패드티알(pad tr)의 접속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4990A3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leak signal from a pipe
KR100733030B1 (ko) 선박의 스크류샤프트에 대한 선미관 시일장치
EP0767320A3 (en) Vibration damping apparatus
RU2688970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0987421A3 (fr) Procédé de reconnaissance de la phase des cylindres d'un moteur multicylindres à combustion interne à cycle à quatre temps
US6196077B1 (en) Automatic shift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pneumatic shif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980000675A (ko) 굽힘가공 작업용 유압장치 및 이 유압장치가 장착된 굽힘가공장치
KR19980061280A (ko) 진동에 따른 머플러의 지지위치 변경장치
US7585149B2 (en) Fan variable immersion system
DE60233428D1 (de) Motorsteuerung
US3870083A (en) Back pressure regulator for automotive engines
KR102610320B1 (ko) 배플이 이동되는 머플러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82113A (ko) 파이프소음 저감장치
GB2373334A (en) A Method for Measuring Pressure on the Substrate of Spin Formed Catalytic Converter
KR100333291B1 (ko) 자동차용 배기 파이프 지지 구조
KR100756941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ID28413A (id) Rangkaian pedal percepatan elektrik auto mobil
JPH08110202A (ja) ピストン位置検知装置
US6511136B1 (en) Pneumatic servobrake
EP1126235A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der Ausrichtung eines drehbar gelagerten Körpers bezüglich einer Referenzeinrichtung
KR100285475B1 (ko)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
KR20000038553A (ko) 차량의 공명장치
JPH02132301A (ja) 長さ調整装置
KR200178185Y1 (ko) 수동 변속차량의 중립 상태시 엔진 회전수 조절장치
KR0164338B1 (ko) 자동차의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