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153U - 전원 확장용 아답터 - Google Patents

전원 확장용 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153U
KR19980061153U KR2019970005346U KR19970005346U KR19980061153U KR 19980061153 U KR19980061153 U KR 19980061153U KR 2019970005346 U KR2019970005346 U KR 2019970005346U KR 19970005346 U KR19970005346 U KR 19970005346U KR 19980061153 U KR19980061153 U KR 19980061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ocket
product
input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05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153U/ko
Publication of KR19980061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153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을 소망하는 위치에 설치하고자 할 때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기제품에 결합된 전원케이블이 짧을 경우에 별도의 연장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가장 가까이 있는 제품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을 분배하는 확장용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전원이 분기되는 전기적인 접속구조가 구비된 케이스의 외부 일측면에는 외부전원이 인가된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홈(14)이 형성되고, 그 플러그홈(14)의 바닥에는 상기 플러그(44)에 의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입력터미널(16)이 돌출된 입력소켓(12)과, 상기 입력소켓(12)의 측부에 상기 입력터미널(16)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분배터미널(22)이 한쌍으로 형성된 확장소켓(20)과, 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품의 전원입력수단에 결합되는 삽입부(32)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32)에는 상기 입력터미널(16)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출력터미널(34)이 형성된 출력소켓(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원을 사용하는 복수개의 전기제품 중 어느 한 제품에 벽체의 콘센트로 전원을 이용하고 그 전원을 주변의 다른 제품으로 분배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케이블의 길이가 짧아 콘센트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주변제품의 전원을 이용하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 확장용 아답터
본 고안은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전기 제품을 소망하는 위치에 설치하고자 할 때 각각의 제품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파워케이블의 길이가 콘센트에 도달하지 않을 때 콘센트로부터 유도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함으로써 전원케이블의 길이에 따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전원 확장용 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제품 특히 실내에서 사용되는 텔레비전 수상기, 오디오, 컴퓨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은 실내공간에 적절히 배치하고자 할 때 벽체에 내장된 콘센트와 전기제품의 전원코드가 접속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기제품은 전원을 유도하는 코드의 길이가 짧아 콘센트까지 닿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연장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결국, 연장 케이블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제품의 배면 주위에는 콘센트와 배선들이 매우 혼란스럽게 놓여지게 되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이 인가된 전기제품으로 부터 타제품으로 전원을 분배시킬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하여 전원을 콘센트로 부터 공급받지 않더라도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연장케이블이 필요치 않고 코드선의 정리정돈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전원 확장용 아답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확장용 아답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확장용 아답터 내부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도 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확장용 아답터가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아답터 12 : 입력소켓
14 : 플러그홈 16 : 입력터미널
20 : 확장소켓 22 : 분배터미널
30 : 출력소켓 32 : 삽입부
34 : 출력터미널 40 : 도선
42 : 케이스 44 : 플러그
본 고안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내부에 전원이 분기되는 구조가 구비된 케이스의 일측 표면에는 외부전원이 인가된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홈이 형성되고, 그 플러그홈의 바닥에는 상기 플러그에 의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입력터미널이 돌출된 입력소켓과, 상기 입력소켓의 측부에 상기 입력터미널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분배터미널이 한쌍으로 형성된 확장소켓과, 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품의 전원입력수단에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에는 상기 입력터미널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출력터미널이 형성된 출력소켓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확장용 아답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아답터(10)는 전판과 후판으로 나사결합된 직육면체형태의 케이스(42)로 구성된다. 전판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플러그홈(14)이 형성되고, 그 플러그홈(14)의 바닥면에는 한쌍으로 구비된 입력터미널(16)이 구비된 입력소켓(12)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소켓(12)의 측부에는 분배터미널(22)이 쌍으로 형성된 확장소켓(2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2)의 후판에는 확장소켓(20)에 연장선상으로 삽입부(32)가 돌출되고 그 삽입부(32)에는 전술된 분배터미널(22)과 대칭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터미널(16)과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이룬 출력터미널(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 확장용 아답터 내부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외부전원이 입력소켓(12)에 인가되면 전원은 입력터미널의 측부에 결합된 도선(40)에 의해 출력소켓(30)과 확장소켓(20)에 형성된 각각의 분배터미널(22)과 출력터미널(34)의 내부에 내장된 전도체(35)에 전원이 인가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 확장용 아답터가 전기제품에 결합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컴퓨터 모니터의 배면에 접속단자가 구비된 전원입력부에 아답터(10)에 형성된 출력소켓(30)의 삽입부(32)를 고정시켜 접속단자를 출력터미널(24)에 삽입시키고, 외부 전원과 연결된 플러그(44)를 입력소켓(12)에 결합시킨다. 이때, 컴퓨터 모니터는 도 2에 도시된 아답터(10)의 전기적인 접속관계에 의해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확장소켓(20)에 컴퓨터의 주변기기나 타부품의 전기제품의 전원코드를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원 확장용 아답터(10)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이 외부전원을 인가 받을 수 없는 거리에 위치하였을 경우에 타측에 위치한 전원이 연결된 전기제품으로 부터 전원을 쉽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전원을 유도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장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하나의 콘센트에서 여러개의 코드를 연결하지 않으므로써 코드가 혼란스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정리정돈을 간결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전원이 분기되는 전기적인 접속구조가 구비된 케이스의 일측 표면에는 외부전원이 인가된 플러그(44)가 삽입되는 플러그홈(14)이 형성되고, 그 플러그홈(14)의 바닥에는 상기 플러그(44)에 의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입력터미널(16)이 돌출된 입력소켓(12)과,
    상기 입력소켓(12)의 측부에 상기 입력터미널(16)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분배터미널(22)이 한쌍으로 형성된 확장소켓(20)과,
    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품의 전원입력수단에 결합되는 삽입부(32)가 형성되고 그 삽입부(32)에는 상기 입력터미널(16)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는 출력터미널(34)이 형성된 출력소켓(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확장용 아답터.
KR2019970005346U 1997-03-21 1997-03-21 전원 확장용 아답터 KR199800611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346U KR19980061153U (ko) 1997-03-21 1997-03-21 전원 확장용 아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346U KR19980061153U (ko) 1997-03-21 1997-03-21 전원 확장용 아답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153U true KR19980061153U (ko) 1998-11-05

Family

ID=6967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346U KR19980061153U (ko) 1997-03-21 1997-03-21 전원 확장용 아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1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43B1 (ko) * 2005-07-08 2010-03-03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이중 배선 시스템용 베이스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43B1 (ko) * 2005-07-08 2010-03-03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이중 배선 시스템용 베이스 유닛
KR100987686B1 (ko) * 2005-07-08 2010-10-13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이중 배선 시스템용 기능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7108B1 (en) Dual input plug apparatus
KR20040097269A (ko) 저전압 배전 회로
US11677199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US7303417B2 (en) Circuit selectable receptacle
KR100190599B1 (ko) 내부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브라켓
US11594850B2 (en) Electrical power unit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US6361333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7544076B2 (en) Circuit selectable receptacle
KR20000036907A (ko) 절전용 콘센트장치
JPH07264107A (ja) 電力線通信モデム
KR100761509B1 (ko) 전기 공급을 위한 공동 주택용 이동식콘센트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US5803754A (en) Modified receptacle and plug for low voltage DC distribution
KR19980061153U (ko) 전원 확장용 아답터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KR100477529B1 (ko) 110/220v 겸용 콘센트 장치
KR200340010Y1 (ko) 콘센트 설비 장치
KR200282469Y1 (ko)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KR200252579Y1 (ko) 콘센트
JP2000231969A (ja) Usbハブ
KR19980039976U (ko) 콘센트가 내장된 텔레비젼 수상기
JP2590043Y2 (ja) コンセント用端子台
KR200389570Y1 (ko) 통합 멀티 콘센트
KR200360200Y1 (ko) 전기와 전화를 동시에 연결시키는 플러그와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