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688U - 수족관 - Google Patents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688U
KR19980060688U KR2019970004793U KR19970004793U KR19980060688U KR 19980060688 U KR19980060688 U KR 19980060688U KR 2019970004793 U KR2019970004793 U KR 2019970004793U KR 19970004793 U KR19970004793 U KR 19970004793U KR 19980060688 U KR19980060688 U KR 199800606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plate
sterilization
aqua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찬
Original Assignee
조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찬 filed Critical 조성찬
Priority to KR2019970004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688U/ko
Publication of KR19980060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688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의 물에 포함된 노폐물을 부유물 제거수단 및 거름수단에 의해 명확한 처리 효과를 얻도록 하며, 아울러 처리수를 수족관에 투입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오존(O3)살균 정화 기능을 갖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족관은 수조(1)내의 물(8)을 순환펌프(5)에 의해 강제 순환시켜 줌으로서 물(8)속에 포함되어 있는 노폐물이 물과 함께 순환되면서 여과부재(3)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며, 또한 살균을 위한 오존발생기(6)로부터 발생된 오존은 오존투입관(7)을 통하여 직접 수조(1)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족관에서 노폐물의 처리시에는 순환펌프(5)에 의해 강제로 물(8)의 순환 과정에서 물 속에 포함된 노폐물중 비중이 큰 것은 물속에 침잠되어 섞여 있게 되어 여과망(2)을 포함하는 여과부재(3)에 의해 걸러지게 되나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것은 수면 위에 떠올라 있으므로 처리가 불가능하며, 살균을 위한 오존투입관(7)이 직접 수조(1)내에 설치되어 직접적으로 오존을 공급하므로 물고기의 피부를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수조(200)의 물이 모터, 임펠라에 의해 연속적으로 순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비중에 따라 찌꺼기를 구분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물에 부유되는 비중이 작은 찌꺼기를 월류시켜 제거하도록 다단계의 격판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수위 조절이 용이한 부유물제거수단과;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의 하측에 설치되며, 비교적 비중이 커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다층의 여과망(121)으로 구성된 거름수단과;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에 공급되는 물속에 살균 작용을 갖는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주입관(133)과 모터(131)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라(132)가 배수관(21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라(132)에 의해 형성된 와류가 직경이 비교적 큰 혼합관(134)내를 서서히 상승하면서 소정의 살균기능을 하도록 하는 혼합 살균수단에 의하여 수중에 포함된 찌꺼기를 구분하여 분리처리하므로서 물의 청정성을 유지하며, 완전살균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수조내의 생물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도록함.

Description

수족관.
본 고안은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족관의 물에 포함된 노폐물을 부유물 제거수단 및 거름수단에 의해 명확한 처리효과를 얻도록 하며, 아울러 처리수를 수족관에 투입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오존(O3)살균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수족관은 인공적인 장치로 어류, 패류, 연체류 및 갑각류등의 생물을 장기간 건강하게 축양 보관하거나 관상용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통상적으로 널리 설치되고 있는 수족관의 구성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의 내부 저면부에 여과망(2)을 포함하는 여과부재(3)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재(3)로부터 여과된 물을 순환하기 위한 순환관(4)과 순환펌프(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별도로 수중에 포함된 세균 등을 살균하기 위하여 오존발생기(6)에 의해 발생된 오존(O3)을 직접 수조(1)내의 물(8)속에 침잠시켜 공급하도록 오존투입관(7)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족관은 작동시 수조(1)내의 물(8)을 순환펌프(5)에 의해 강제 순환시켜 줌으로서 물(8)속에 포함되어 있는 노폐물이 물과 함께 순환되면서 여과부재(3)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며, 또한 살균을 위한 오존발생기(6)로부터 발생된 오존은 오존투입관(7)을 통하여 직접 수조(1)에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수족관의 물에 포함되는 노폐물은 고기의 배설물과 외부에서 투입되는 먹이 및 먼지 등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비중 차이에 의하여 물속에 가라앉는 물질과 물위에 부유하는 물질이 상호 혼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족관에서 노폐물의 처리시에는 순환펌프(5)에 의해 강제로 물(8)의 순환과정에서 물속에 포함된 노폐물중 비중이 큰 것은 물속에 침잠되어 섞여 있게 되어 여과망(2)을 포함하는 여과부재(3)에 의해 걸러지게 되나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것은 수면 위에 떠올라 있으므로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조의 내부에 직접 설치된 여과부재에 여과된 모든 노폐물의 대부분이 항상 물 속에 잠긴 상태로 물의 흐름에 의해 항상 분해되어 수조의 전체적인 물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살균을 위한 오존투입관(7)이 직접 수조(1)내에 설치되어 직접적으로 오존을 공급하므로 물고기의 피부를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느러미와 같은 연약한 피부조직을 상하게 하므로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물 정화장치에 의해 물에 포함된 노폐물을 비중 차이에 의해 선별적으로 처리하므로서 모든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오존에 의한 살균 기능을 별도의 저속 혼합관을 통하여 충분히 혼합,살균되도록 하므로서 수조내의 생물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청정하게 수족관의 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멸균, 순환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멸균, 순환수단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통상적인 수족관의 구성상태를 보여 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부유물제거수단111:제1격판
112:부유물유도빗살판113:월류판
114:제2격판115:제3격판
116:수위조절판117:부유물배출관
120:거름수단121:여과망
130:혼합살균수단131:모터
132:임펠라133:오존주입관
134:혼합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수조(200)의 물이 모터, 임펠라에 의해 연속적으로 순환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비중에 따라 찌꺼기를 구분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물에 부유되는 비중이 작은 찌꺼기를 월류시켜 제거하도록 다단계의 격판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수위조절이 용이한 부유물제거수단과;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의 하측에 설치되며, 비교적 비중이 커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다층의 여과망(121)으로 구성된 거름수단과;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에 공급되는 물속에 살균작용을 갖는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주입관(133)과 모터(131)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라(132)가 배수관(21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라(132)에 의해 형성된 와류가 직경이 비교적 큰 혼합관(134)내를 서서히 상승하면서 소정의 살균기능을 하도록 하는 혼합 살균수단에 의하여 수중에 포함된 찌꺼기를 구분하여 분리처리하므로서 물의 청정성을 유지하며, 완전살균기능이 이루어 지도록 하되 수조내의 생물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통상적인 수조(200)의 일측부에 정화장치가 부가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정화장치는 수조(200)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망(201)을 통하여 이어지는 배수관(210)으로부터 물을 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오존에 의한 살균기능을 하는 혼합살균수단과;
상기 혼합살균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중 비중이 작아 물의 수면에 떠오르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부유물제거수단과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의 하측에 설치되며 부유물이 처리된 물 가운데 비중이 커서 물속에 침잠되는 찌꺼기를 별도로 걸러 주는 거름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은 혼합관(134)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제1격판(111)을 따라 상승되어 부유물은 수면에 떠오르고 비중이 큰 찌꺼기는 물속에 가라앉아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다단계로 경사지게 설치된 부유물유도빗살판(112)과; 상기 부유물유도빗살판(112)의 상측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과 함께 부유물이 월류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월류판(113)과 상기 월류판(113)을 넘쳐 흐른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부유물 배출관(117)이 구비되며, 상기 부유물유도빗살판(112)의 끝단부에는 상기 공급된 물을 다시 하강시키도록 하는 제2격판(114)과 상기 제2격판(114)에 의해 하강된 물을 상승하도록 하는 제3격판(115) 및 상기 제3격판(115)의 선단부에는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의 수위를 임의로 조절하여 월류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수위조절판(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름수단은 다층으로 여과망(121)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을 통과한 물속에 포함된 찌꺼기를 걸러 주도록 한다.
상기 혼합 살균수단은 수조(200)의 하부로부터 이어진 배수관(210)의 선단부에 삽입설치되어 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라(132)에 의해 형성된 와류의 흡입력으로 오존이 혼입될 수 있도록 오존주입관(133)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210)보다 직경이 매우 큰 혼합관(134)에 의해 순환되는 물이 와류를 이루며 서서히 상승되면서 혼입된 오존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완전 살균기능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부유물제거수단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라(132)가 수조(100)로부터 이어지는 배수관(210)의 선단부에 삽입 구동되면서 흡입력이 발생되어 수조(100)내의 물을 배출하여 순환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배수관(2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오존주입관(133)을 통한 오존이 섞여 물속에 혼입되게 된다.
상기 오존주입관(133)은 별도로 구비되는 미도시된 오존발생기에 연결되어 오존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210)을 통하여 배출된 물은 심한 와류를 형성하면서 비교적 직경이 큰 혼합관(134)내에서 소용돌이(와류)를 형성하면서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상기 혼합관(134)의 직경을 비교적 크게 형성하는 까닭은 오존과 물이 충분히 혼합되어 수조(100)내로 투입되기 전에 충분한 살균기능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상기 혼합관(134)을 거쳐 상승된 물은 부유물제거수단으로 진입한다.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은 다수개의 격판에 의해 다단계의 공간이 형성되어 물에 포함된 이물질 중 비중이 가벼운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격판(111)에 의해 상승되어 공급된 물이 다단계의 부유물유도빗살판(112)을 지나면서 비중이 가벼운 이물질은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며, 비중이 큰 이물질은 상기 부유물유도빗살판(112)의 사이사이를 통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 부유물유도빗살판(112)을 통과하면서 분리된 부유물은 월류판(113)을 통하여 물과 함께 월류되어 부유물배출관(117)을 통하여 배출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물은 제2격판(114)에 부딪혀 하강하였다가 다시 제3격판(115)에 부딪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3격판(115)의 선단부에는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임의로 조절이 가능한 수위조절판(116)이 설치되어 상기 월류판(113)으로의 월류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수위조절판(116)은 상기 월류판(113)과 거의 높이를 일치되도록 하거나 약간 높게 조절하므로서 물의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판(116)을 넘어선 물은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로서 하강하여 거름수단으로 진입한다.
상기 거름수단은 다층으로 된 여과망(121)에 의하여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찌꺼기를 걸러 주게 된다.
상기 거름수단을 통과한 물은 완전 청정하게 정화된 물로서 유입관(220)을 통하여 수조(100)내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조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중에 따라 분리하여 처리되도록 하므로서 완전한 상태의 물 정화기능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오존에 의한 완전 살균기능과 별도의 혼합관에서 물과 오존이 충분히 혼합되어 처리되므로 오존의 기포가 물고기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물고기의 피부를 상하게 할 염려가 전혀 없어 건강하게 물고기를 축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에 자연산 활어를 장기간 수조내에서 축양이 가능하며, 물고기의 냄새를 제거하여 해금내를 없도록 하며, 완전 물갈이의 필요가 없이 물의 부족분만 보충하여 주기만 하면 되므로 관리가 매우 유용한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수조(200)내의 물을 순환펌프에 의해 연속적으로 순환 시켜 여과 및 살균기능을 하도록 하는 여과수단을 갖는 수족관에 있어서,
    상기 수조(200)의 물이 연속적으로 순환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에 부유되는 비중이 작은 찌꺼기를 월류시켜 제거하도록 다단계의 격판(111)(114)(115)으로 공간을 형성하며 비중에 따라 찌꺼기를 구분하도록 하는 부유물제거수단과;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의 하측에 설치되며, 비교적 비중이 커서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를 여과하도록 다층의 여과망(121)으로 구성된 거름수단과;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에 공급되는 물속에 살균작용을 갖는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주입관(133)과 모터(131)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라(132)이 배수관(210)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라(132)에 의해 형성된 와류가 혼합관(134)내를 서서히 상승하면서 소정의 살균기능을 하도록 하는 혼합 살균수단을 포함하는 수족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은 혼합관(134)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제1격판(111)을 따라 상승되어 부유물은 수면에 떠오르고 비중이 큰 찌꺼기는 물속에 가라앉아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다단계로 경사지게 설치된 부유물유도빗살판(112)과; 상기 부유물유도빗살판(112)의 상측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과 함께 부유물이 월류되어 분리되도록 하는 월류판(113)과 상기 월류판(113)을 넘쳐 흐른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부유물 배출관(117)이 구비되며, 상기 부유물유도빗살판(112)의 끝단부에는 상기 공급된 물을 다시 하강시키도록 하는 제2격판(114)과 상기 제2격판(114)에 의해 하강된 물을 상승하도록 하는 제3격판(115) 및 상기 제3격판(115)의 선단부에는 상기 부유물제거수단의 수위를 임의로 조절하여 월류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수위조절판(1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살균수단은 수조(200)의 하부로부터 이어진 배수관(210)의 선단부에 삽입설치되어 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는 임펠라(132)에 의해 형성된 와류의 흡입력으로 오존이 혼입될 수 있도록 오존주입관(133)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210)보다 직경이 매우 큰 혼합관(134)에 의해 순환되는 물이 와류를 이루며 서서히 상승되면서 혼입된 오존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완전 살균기능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부유물제거수단으로 공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KR2019970004793U 1997-03-14 1997-03-14 수족관 KR199800606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93U KR19980060688U (ko) 1997-03-14 1997-03-14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93U KR19980060688U (ko) 1997-03-14 1997-03-14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688U true KR19980060688U (ko) 1998-11-05

Family

ID=6967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793U KR19980060688U (ko) 1997-03-14 1997-03-14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68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136A (ko) * 2002-03-20 2002-04-26 김성환 토네이도(tornado)원심분리 장치에 의한 해수의순환여과장치와 그 제조법
KR20030074852A (ko) * 2002-03-14 2003-09-22 변무원 양어장의 오수정화장치
KR100928151B1 (ko) * 2009-07-22 2009-11-24 신원섭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KR200451989Y1 (ko) * 2008-06-04 2011-01-2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갈이가 쉬운 어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852A (ko) * 2002-03-14 2003-09-22 변무원 양어장의 오수정화장치
KR20020031136A (ko) * 2002-03-20 2002-04-26 김성환 토네이도(tornado)원심분리 장치에 의한 해수의순환여과장치와 그 제조법
KR200451989Y1 (ko) * 2008-06-04 2011-01-2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갈이가 쉬운 어항
KR100928151B1 (ko) * 2009-07-22 2009-11-24 신원섭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5497A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biological wastes from aquaculture tanks
KR101408850B1 (ko)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KR101021911B1 (ko) 전시용 해수어 수조 순환여과시스템
KR19980060688U (ko) 수족관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JP2001170617A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KR101428747B1 (ko) 제어형 수족관 살균 여과기
JP3621859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6208918B2 (ja) 水産物の養殖装置
JP4960182B2 (ja) 飼育水処理方法、飼育水処理装置、および飼育システム
CN210434134U (zh) 厨余机处理后的废水中的悬浮物和污泥的静态分离装置
KR101507710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해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처리 방법
KR101916108B1 (ko) 에너지 절감형 다기능 순환여과식 사육수조
JPH05123081A (ja) 養魚池
KR960007673Y1 (ko) 상,하 배수관을 이용한 수조 여과방식
KR100668437B1 (ko) 수족관 여과장치
KR920009962B1 (ko) 활어 수족관
JPH09298980A (ja) 清掃栓付二重魚槽
JP2006271233A (ja) 釣り堀装置
JPS5559888A (en) Clarification tank
KR102602003B1 (ko) 순환펌프를 활용한 수로형 순환여과식 양어장 시스템
CN215798967U (zh) 一种虾类养殖尾水处理装置
JPH0724494A (ja) 池等の藻類処理装置
KR100392296B1 (ko) 물탱크용 정화장치
JP3949190B2 (ja) 水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