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617U - 쑥뜸용 점화기 - Google Patents

쑥뜸용 점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617U
KR19980060617U KR2019970004709U KR19970004709U KR19980060617U KR 19980060617 U KR19980060617 U KR 19980060617U KR 2019970004709 U KR2019970004709 U KR 2019970004709U KR 19970004709 U KR19970004709 U KR 19970004709U KR 19980060617 U KR19980060617 U KR 199800606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xibustion
heater
moxa
ign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0129Y1 (ko
Inventor
유태우
Original Assignee
유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우 filed Critical 유태우
Priority to KR201997000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1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1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2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for igniting solid fu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61B2018/06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one of the reactants being oxygen
    • A61B2018/064Moxabur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용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을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쑥뜸 삽입부가 내주연 벽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점화구와 상기 점화구 하측으로 상단부에 원형 히터선이 삽설 되고 일측면으로 전원선이 내장된 손잡이 부가 부착된 전열기를 고정핀으로 고정 하여서 일체로된 것으로서, 한 번에 다수개의 쑥뜸에 불을 안전하게 점화시킬 수 있어 편리함은 물론, 별도의 가스렌즈나 휴대용 가스렌즈에 들고다니면서 안착시켜 사용치 않고도 점화구와 전기전열기가 일체로 되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용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쑥뜸용 점화기
본 고안은 쑥뜸용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쑥뜸을 삽입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점화구와 상단으로 원형 히터선이 삽설된 전열기를 일체로 고정 시켜 다수개의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을 동시에 안전하게 점화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점화기구가 필요 없이 점화구와 전열기가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쑥뜸용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환부나 혈맥에 있어 쑥뜸치료를 할 경우, 진공솥내에 건조시켜서 미세한 입자로 분쇄된 약쑥을 주입하여 110℃ 이상의 온도로 제 1 차 가열하면 약쑥의 생리적 유해물질은 완전히 제거되어 검은 숯으로 탄화된 상태로 얻게 되고, 이어 탄화된 약쑥의 약 70%와 분말로된 목탄 약 30% 및 소량의 접착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고체의 쑥탄을, 상하판지 사이에 여과재를 삽입시켜서된 받침부에 접착시켜 형성된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을 부착한 후 점화시켜 뜸 시술을 하였는데, 종래에는 한 손으로 쑥뜸을 잡고 라이터 등으로 쑥탄 끝단부에 불을 점화 시켜 인체의 환부나 혈맥에 부착시켜 뜸 시술을 하거나, 치료할 인체의 환부나 혈맥에 쑥뜸을 부착한 후 쑥탄에 불을 점화시켜 뜸시술을 하였으나 양자 모두 고체형 쑥탄에 불을 점화시킬 때 재질특성상 쑥탄은 오랫동안 점화시켜야 하므로 라이터나 쑥뜸을 잡은 손 및 환부에 뜨거운 열이 전달되어 점화가 어렵고 불편하여 노약자의 경우에는 혼자 뜸시술을 하기에 매우 불편한 폐단이 있었음은 물론, 한 번에 하나씩 점화시켜 뜸시술을 하여야 하므로 여러 곳에 시술을 하고자 할 때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바쁜 현대인의 경우 쑥뜸치료가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지만 뜸시술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발생하는 등 매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인의 선 출원으로서, 일측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원통형의 점화구 내측 벽면에 다수개의 쑥뜸 삽입부가 형성된 쑥뜸용 점화구가 있었으나, 선 출원은 쑥뜸을 삽입시킨 점화구의 손잡이를 잡고서 가정용가스레즈나 휴대용가스렌즈 등에 들고 다니면서 안착시켜 점화시켜야 하므로 노약자의 경우 매우 위험하였음은 물론, 가스의 불꽃조절 역시 쉽지를 않아 불편하였고, 쑥뜸 시술을 주로 방이나 거실 등의 장소에서 편안하게 해야 함에 있어서 가스기구의 취급 등은 불편할 뿐 아니라 많은 위험부담이 있는 등 문제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및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을 다수개 동시에 안전하게 점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점화구와 전열기가 일체로 결합 형성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을 다수개 동시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된 원통형 점화구와 상단부로 원형 히터선이 삽설되어 일측단의 손잡이 내측으로 전원선이 연결된 전열기를 고정핀으로 일체가 되게 고정 결합한 것으로서, 시술에 필요한 쑥뜸을 점화구에 삽입시킨 후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선이 가열되어 안전하게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을 동시에 점화시킬 수 있어 누구나 손쉽고도 안전하게 뜸시술을 할 수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사용상태를 보인 도 2 의 A - 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쑥뜸용 점화기10 : 원통형 점화구
11 : 삽입공12 : 쑥뜸삽입부
20 : 전열기30 : 원형 히터선
40 : 전원선60 : 손잡이 부
70 : 고정핀
쑥탄(51)을 고형화한 쑥뜸(50)을 다수개 삽입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다수개의 삽입공(11)을 형성하고, 이에 일치된 내측면으로 다수개의 쑥뜸 삽입부(12)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점화구(10)와, 상단부에 원형 히터선(30)이 삽설되고 상기 원형 히터선(30)과 연결되는 전원선(40)이 일측면에 부착된 손잡이부(60)내측으로 통과하도록 된 전열기(20)를 상기 점화구(10)와 다수개의 고정핀(70)으로 고정결합시켜서된 쑥뜸용 점화기(1)의 구조이다.
미설명 부호 100 은 플러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열에 강한 금속재나 도자기, 합성수지재의 원통형상의 점화구(10)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11)에 쑥탄을 고형화한 쑥뜸(50)의 쑥탄(51)의 끝단부를 삽입시켜주면 내측면의 쑥뜸 삽입부(12)의 일측으로 쑥탄(51)의 끝단부가 일정길이로 위치하게 되는데, 쑥뜸시술에 필요한 개수의 쑥뜸(50)을 삽입공(11)에 각각 삽입시켜 준 후, 점화구(10)와 전열기(20)가 다수개의 고정핀(70)으로 고정 결합된 전열기(20)의 일측면 손잡이부(60)내부를 통과한 전원선(40)의 플러그(100)를 콘센트(미도시)에 꽂아 전원을 통과시키면 잠시후 전열기(20) 상단부의 원형 히터선(30)에 통전되어 가열되므로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쑥뜸(50)의 쑥탄(51) 끝단부를 점화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점화된 쑥뜸(50)을 하나씩 꺼내어 치료할 인체의 환부나 혈맥에 부착 시켜 쑥뜸시술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쑥뜸(50)의 점화가 모두 끝나면 플러그(100)를 빼내어 전원을 오프시켜 냉각후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열기(20)와 점화구(10)가 고정핀(70)에 의하여 고정 결합시켜서 된 것으로서, 점화구(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공(11)을 통해 필요한 개수의 쑥뜸(50)을 삽입한 후 전열기(20)의 플러그(100)를 콘센트(미도시)에 꽂아 통전시켜 원형 히터선(30)이 가열되고 이때 쑥탄(51) 끝단부가 점화되는 것으로, 한 번에 다수개의 쑥뜸(50)을 동시에 안전하게 점화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낱개로 점화시키면서 발생하던 시간소비를 줄여주므로 시술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종래 쑥뜸 점화구를 별도의 가스렌즈나 휴대용 가스렌즈에 들고다니면서 점화시키는 불편이 있던 것을 점화구(10)와 전열기(20)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므로서 안전하고도 간편하고 보관이 편리하여 뜸시술을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쑥탄(51)을 고형화한 쑥뜸(50)을 다수개 삽입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다수개의 삽입공(11)을 형성하고, 이에 일치된 내측면으로 다수개의 쑥뜸 삽입부(12)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점화구(10)와,
    상단부에 원형 히터선(30)이 삽설되고 상기 원형 히터선(30)과 연결되는 전원선(40)이 일측면에 부착된 손잡이 부(60)내측으로 통과하도록 된 전열기(20)를 상기 점화구(10)와 다수개의 고정핀(70)으로 고정 결합 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용 점화기(1).
KR2019970004709U 1997-03-14 1997-03-14 쑥뜸용 점화기 KR200150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09U KR200150129Y1 (ko) 1997-03-14 1997-03-14 쑥뜸용 점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09U KR200150129Y1 (ko) 1997-03-14 1997-03-14 쑥뜸용 점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617U true KR19980060617U (ko) 1998-11-05
KR200150129Y1 KR200150129Y1 (ko) 1999-07-01

Family

ID=1949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709U KR200150129Y1 (ko) 1997-03-14 1997-03-14 쑥뜸용 점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1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641B1 (ko) * 2013-02-04 2013-11-13 양완석 뜸구 점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641B1 (ko) * 2013-02-04 2013-11-13 양완석 뜸구 점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0129Y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1806A (en) Acupressure-type moxa treatment device
US4090517A (en) Medical appliance
US5632768A (en) Moxa treatment device
US3487197A (en) Electric hair curlers
KR200150129Y1 (ko) 쑥뜸용 점화기
US3515851A (en) Roller curler
US3486000A (en) Temperature control means for electrically heated hair curler
KR20090019942A (ko) 전열식 뜸기구
CN106074154B (zh) 一种火针治疗仪
CN209361317U (zh) 一种用于点燃耳灸艾炭片的点燃器
CN201061612Y (zh) 温控式远红外线药气热灸器
KR200150130Y1 (ko) 쑥뜸용 점화구
CN211399860U (zh) 一种艾条点燃装置
KR200234572Y1 (ko) 온구기의 쑥연기 배출장치
CN210355375U (zh) 一种温针灸辅助装置
CN213666721U (zh) 可穿戴式艾灸器
KR102113643B1 (ko)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JPH07246229A (ja) 温灸器
CN215961122U (zh) 一种艾灸理疗用灸条点火装置
CN209405252U (zh) 一种单式雷火灸装置
KR100494716B1 (ko) 쑥찜기
CN219803968U (zh) 一种艾柱固定装置
KR870004098Y1 (ko) 옥돌 쑥뜸기
CN213723551U (zh) 一种新型针灸装置
JPH03301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