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294U -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 Google Patents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294U
KR19980059294U KR2019980012196U KR19980012196U KR19980059294U KR 19980059294 U KR19980059294 U KR 19980059294U KR 2019980012196 U KR2019980012196 U KR 2019980012196U KR 19980012196 U KR19980012196 U KR 19980012196U KR 19980059294 U KR19980059294 U KR 199800592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power cable
spiral
tub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명인
Original Assignee
양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명인 filed Critical 양명인
Priority to KR2019980012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294U/ko
Publication of KR19980059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294U/ko

Links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 회로를 구성하는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간판의 생산원가를 줄이기 위해 케이블 유니트(30)의 사용하지 않고 점등관(20)의 접속단자(24) 및 형광등(10)의 전극(11,12)에 전원케이블(34)의 나선부를 작업자가 감아서 연결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작업자에 따라 결속력 및 접속력이 각양각색이고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전하며, 이에 따라서 접속불량이나 숏트로 인한 안전사고 라든가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다란 도선의 외부에 절연제로 피복되어 있는 전원케이블(34); 이 전원케이블(34)의 일측단부와 형광등(10) 길이보다 긴 위치에 부분적으로 형성시킨 하나의 나선부(탭부)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에 형광등(10) 양단의 전극(11,12)을 접속시키기 위한 원통캡형 접속편(301)이 콕킹되고 그 외부에 절연튜브(302)가 씌워진 접속 콘넥터(303); 상기 나선부 사이의 전원케이블(34)에 또 하나의 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가 점등관(200)의 접속단자(240)에 직접연결된 점등관(200);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접등관 콘넥터가 필요없어 그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본 고안은 형광등 회로를 구성하는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등관의 접속단자에 전원케이블의 나선부를 직접적으로 끼워넣어 콕킹하여 고정하므로 그 접속구조가 단순하며 이로 인한 부품수 및 작업공정이 줄어들음은 물론 원가절감과 생산성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형광등 유니트는 형광등 회로를 이루는 전원케이블에 상용전원(110V-220V)이 인가되면 안정기 - 형광등의 전극 - 점등관(스타터 램프:Stater Lamp) - 형광등의 전극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러한 형광등 회로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점등관이 가열되면서 일정한 온도에서 점등관은 순간 오프(Off)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안정기의 코일은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형광등의 전극에 고전압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형광등은 양단의 전극에서 고전압으로 방전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점등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이때 안정기는 회로전압을 분압하여 형광등에는 소전력이 흐르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 형광등에 사용되는 점등관은 유리관내에 고정전극과 가동전극(바이메탈)을 봉입하고 그 선단을 나사부를 형성시켜 체결하는 나사체결방식과, 절연판 상의 접속단자에 부품소자인 콘덴서와 와이어벌브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원터치방식이 있다.
이러한 원터치방식의 점등관(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단에 헤드부(21)를 갖고 상단에 부품소자(22)의 리이드가 끼워지는 리이드홀(23)이 형성된 접속단자(24)와, 2개의 접속단자(24)가 고정되는 절연재의 베이스(25)와, 상기 접속단자(24)의 리이드홀(23)에 끼워져 콕킹되는 부품소자(22)와, 상기 부품소자(22)를 덮어 씌우고 베이스(25)에 고정되는 케이스(2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점등관이 구비된 케이블 유니트를 도 2에 나타었는데 이를 간판에 설치하는 과정을 예를들어 설명한다.
먼저, 간판프레임에 수개의 형광등(10)을 와이어로 매달고 상기 형광등(10)의 전극에 점등관(20)을 포함하는 케이블 유니트(30)로 연결한다. 상기 형광등(10)에 케이블 유니트(30)를 연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형광등(10)의 일측으로부터 점등관 콘넥터(31)의 호형파지부(32)를 끼운다음 형광등(10) 양단의 전극(11)(12)에 전극 콘넥터(33a)(33b)를 끼워 조립한다. 상기 케이블 유니트(30)의 점등관 콘넥터(31)가 마련되는 반대편의 전원케이블(34)에 별도의 안정기와 스위치를 연결한다. 상기 점등관 콘넥터(31)에 점등관(20)을 조립하므로써 완제품의 간판을 얻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에 있어서는 전원케이블(34)에 2개의 전극 콘넥터(33a)(33b)와 점등관 콘넥터(31)으로된 케이블 유니트(30)를 이용하여 형광등(10) 양단의 전극(11)(12)은 물론 점등관(20)을 접속연결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으며 이에 따라서 조립시 작업공수증가로 작업능률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유니트(30)의 전극 콘넥터(33a)(33b)와 점등관 콘넥터(31)를 각각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2개의 사출금형이 소요되었고 이에 따라서 부대금형비가 가중되어 생산원가의 상승과 경쟁력의 약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간판의 생산원가를 줄이기 위해 케이블 유니트(30)의 사용하지 않고 점등관(20)의 접속단자(24) 및 형광등(10)의 전극(11,12)에 전원케이블(34)의 나선부를 작업자가 감아서 연결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작업자에 따라 결속력 및 접속력이 각양각색이고 전기적인 접속이 불안전하며, 이에 따라서 접속불량이나 숏트로 인한 안전사고 라든가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형광등의 전극엔 구조가 지극히 단순한 접속콘넥터를 끼워 연결하고 점등관의 접속단자에 전원케이블의 나선부를 직접적으로 끼워 콕킹함으로써 별도의 접등관 콘넥터가 필요없으므로 그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서 생산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원가절감과 경쟁력의 확보가 이루어 지도록 한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은 길다란 도선의 외부에 절연제로 피복되어 있는 전원케이블; 이 전원케이블의 일측단부와 부분적으로 형성시킨 하나의 나선부(탭부)에 형광등 양단의 전극을 접속시키기 위한 원통캡형 접속편이 콕킹되고 그 외부에 절연튜브가 씌워진 접속 콘넥터; 상기 나선부 사이의 전원케이블에 또 하나의 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가 점등관의 접속단자에 직접연결된 점등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에 있다.
상기 점등관의 접속단자는 하단에 헤드부를 갖고 그 양단에 부품소자의 리이드나 전원케이블의 나선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리이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통상의 점등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점등관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형광등의 전극에 접속 콘넥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형광등 11,12: 전극 20,200: 점등관
21: 헤드부 22: 부품소자 23,230: 리이드홀
24,240: 접속단자 25: 베이스 26: 케이스
30,300: 케이블 유니트 34: 전원케이블 301: 원통캡형 접속편
302: 절연튜브 303: 접속 콘넥터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점등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접속단자에 전원케이블 끝단의 나선부가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광등(10)은 그 양측단의 전극(11)(12)에 점등관(200)를 포함하는 전원케이블 유니트(300)로 연결되되, 상기 케이블 유니트(300)는 길다란 도선의 외부에 절연제로 피복되어 있는 전원케이블(34)과, 이 전원케이블(34)의 일측단부와 부분적으로 형성시킨 하나의 나선부(탭부)에 형광등(10) 양단의 전극(11)(12)을 접속시키기 위한 원통캡형 접속편(301)이 연결되그 외부에 절연튜브(302)가 씌워진 접속 콘넥터(303); 상기 나선부 사이의 전원케이블(34)에 또 하나의 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가 점등관(200)의 접속단자(240)에 직접연결된 점등관(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등관(200)은 하단에 헤드부(21)를 갖고 그 양단에 부품소자(22)의 리이드나 전원케이블(34)의 나선부가 끼워지는 리이드홀(23,230)이 형성된 접속단자(240)와, 2개의 접속단자(240)가 고정되는 절연재의 베이스(25)와, 상기 접속단자(240)의 리이드홀(23,230)에 끼워져 콕킹되는 부품소자(22)와, 상기 부품소자(22)를 덮어 씌우고 베이스(25)에 고정되는 케이스(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선에 절연제가 씌워진 일정한 길이의 전원케이블(34)을 마련한다음 그 일측단과 이로부터 형광등(10)의 길이보다 길은 위치에 나선부를 마련하여 각각의 나선부에 형광등(10)의 전극(11,12) 외측으로 끼워지는 원통캡형 접속편(301)을 콕킹하고 상기 원통캡형 접속편(301)의 외표면이 도출되지 않도록 절연튜브(302)를 씌워 접속 콘넥터(303)를 마련한다.
상기 전원케이블(34)의 나선부 사이에 또 하나의 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를 점등관(200)의 접속단자(240)에 형성된 리이드홀(230)로 끼운다음 접속단자(240)의 헤드부(21) 위부분을 눌러 전원케이블(34)의 나선부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콕킹한다.
이렇게 조립된 케이블 유니트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형광등(10) 양단의 전극(11,12) 외측에 각각 접속 콘넥터(303)의 원통캡형 접속편(301)을 끼워 접속하고 상기 점등관(200)이 마련되는 반대편의 전원케이블(34)에 별도의 안정기와 스위치를 연결하여 완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에 의하면, 전극 코넥터와 점등관 콘넥터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형광등의 전극엔 구조가 지극히 단순한 접속콘넥터를 끼워 연결하고 점등관의 접속단자에 전원케이블의 나선부를 직접적으로 끼워 콕킹함으로써 별도의 점등관 콘넥터가 필요없으므로 그 구조가 단순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서 생산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원가절감과 경쟁력의 확보가 이루어지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길다란 도선의 외부에 절연제로 피복되어 있는 전원케이블(34); 이 전원케이블(34)의 일측단부와 형광등(10) 길이보다 긴 위치에 부분적으로 형성시킨 하나의 나선부(탭부)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에 형광등(10) 양단의 전극(11,12)을 접속시키기 위한 원통캡형 접속편(301)이 콕킹되고 그 외부에 절연튜브(302)가 씌워진 접속 콘넥터(303); 상기 나선부 사이의 전원케이블(34)에 또 하나의 나선부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가 점등관(200)의 접속단자(240)에 직접연결된 점등관(2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관(200)의 접속단자(240)는 하단에 헤드부(21)를 갖고 그 양단에 부품소자(22)의 리이드나 전원케이블(34)의 나선부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리이드홀(23,2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KR2019980012196U 1998-07-04 1998-07-04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KR199800592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96U KR19980059294U (ko) 1998-07-04 1998-07-04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196U KR19980059294U (ko) 1998-07-04 1998-07-04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294U true KR19980059294U (ko) 1998-10-26

Family

ID=6950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196U KR19980059294U (ko) 1998-07-04 1998-07-04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2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11A (ko) * 2000-09-04 2002-03-09 송해영 광고용 형광등 전원접속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11A (ko) * 2000-09-04 2002-03-09 송해영 광고용 형광등 전원접속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6024A (en) Lamp socket structure
US5289079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base combination, and method of lamp-base assembly
US6116754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internal connections
US10938126B2 (en) Wire connector
US4928032A (en) Means for converting a lamp with a screw-type base into a lamp with a bi-pin base
KR100521236B1 (ko) 소형저압방전램프
JP3700267B2 (ja) コードスイッチ
KR19980059294U (ko) 형광등용 케이블 유니트
KR19980070517A (ko) 소형 저압 방전 램프
US6805569B2 (en) Unit consisting of a proximity switch and a cable terminal part and a process for its manufacture
EP0538799B1 (en) Single-capped low-pressure discharge lamp
JP4221095B2 (ja) コンパクトな低圧放電灯
KR200233193Y1 (ko) 변압기용 부싱 터미널
US6577046B2 (en) Electric discharge lamp with forked contacts
KR20050067850A (ko) 외부전극 형광램프의 외부전극 장치 및 그를 이용한시공방법
KR200393122Y1 (ko) 형광등기구
KR200344100Y1 (ko) 무전극램프의 전극고정대
KR0147897B1 (ko) 소켓램프
CN114909612B (zh) 一种led灯丝灯
KR100464178B1 (ko) 형광등 전원연결구조
US4980602A (en) Electric lamp and socket therefor
US5686783A (en) Cementless electrical lamp-base combination
KR200306815Y1 (ko) 형광등 기구용 안정기
KR960032524A (ko) 플라이백 변성기
JPH0721807A (ja) ガイドラ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