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183U -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183U
KR19980059183U KR2019970026722U KR19970026722U KR19980059183U KR 19980059183 U KR19980059183 U KR 19980059183U KR 2019970026722 U KR2019970026722 U KR 2019970026722U KR 19970026722 U KR19970026722 U KR 19970026722U KR 19980059183 U KR19980059183 U KR 19980059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pocket
elastic member
main bod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5804Y1 (ko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식 filed Critical 윤정식
Priority to KR2019970026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8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8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 요대부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신축 가변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편의 성 증대 및 식후, 자세변화 등에 따른 복부 압박감을 해소하고, 또한 체중변화에 따라 바지 요대부를 수선해야 하는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지 요대부(10)와; 상기 바지 요대부(10)와 별도로 분리되는 호주머니 요대부(20)와; 상기 바지 요대부(10)의 호주머니 상부 중앙부위에 부착되는 가변대(30)와; 상기 가변대(30)에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되는 신축부재(40)와; 상기 호주머니 요대부(20)의 중앙부를 상기 신축부재(40)의 선단에 고정시키는 고정구(50)와; 상기 가변대(30)의 양측에 위치하는 바지 요대부(10)의 일측전면 및 호주머니 요대부(20)의 타측배면에 길이방향의 교호로 양단에 각각 봉제되는 지지대(60)(61)와; 상기 지지대(60)(61)에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수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하단이 호주머니 요대부(20)의 일측단배면 및 바지 요대부(10)의 타측단전면에 각각 봉제되는 신축가이드(70)(71)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본 고안은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바지 요대부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신축 가변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편의성 증대 및 식후,자세변화 등에 따른 복부 압박감을 해소하고, 또한 체중변화에 따라 바지 요대부를 수선해야 하는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는 착용시 흘러 내리거나 꽉 조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지 요대부는 착용자의 허리사이즈 보다 약간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즉, 바지 요대부가 착용자의 허리사이즈 보다 너무 크게 되면 활동시 바지가 흘러내리게 되고, 바지 요대부가 착용자의 허리사이즈 보다 작으면 복부를 압박하게 된다.
한편, 바지 요대부의 사이즈가 착용자의 허리사이즈 보다 클 경우 혁대를 이용하여 바지 요대부를 조였으나, 이러한 혁대로 바지 요대부를 조이는 경우 요대부가 접혀져 주름이 생겨 외관상으로 보기 좋지 않기 때문에, 스타일을 중요시하는 현재에는 혁대가 그 본래의 기능과는 달리 단순히 바지 요대부인 허리에 착용하는 장식물로 이용된다.
따라서, 최근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기성복 또는 맞춤시 스타일을 고려하여 바지 요대부가 자신의 허리사이즈 보다 약간의 여유가 있는 것을 선호하고, 혁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장식물로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바지 요대부가 신체조건에 따라서 별도로 신축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바지 요대부가 신축되지 않기 때문에, 식후(특히 과식후)에 복부가 팽만하거나 복부가 눌리는 신체 자세로부터 복부에 압박이 가해질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혁대와 바지 요대부의 후크를 끌려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착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중변화에 따라 허리사이즈가 약간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 바지 요대부의 사이즈를 줄이거나 늘리도록 수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때 특히 하루가 다르게 신체가 크게 향상되는 청소년의 경우와 같이 허리사이즈가 크게 커질때에는 바지 수선이 불가능하므로 바지를 입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바지 요대부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신축 가변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편의 성 증대 및 식후,자세변화 등에 따른 복부 압박감을 해소하고, 또한 체중변화에 따라 바지 요대부를 수선해야 하는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바지 요대부에 별도로 호주머니 요대부를 분리시키고, 호주머니의 상부에 위치하는 바지 요대부에 신축부재가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된 가변대를 부착하여, 상기 호주머니 요대부를 신축부재에 좌,우로 신축가능하게 고정구로 결합시키고,상기 가변대의 양측에 위치하는 바지 요대부와 호주머니 요대부에 결합 및 신축을 안내하는 지지대와 신축가이드를 각각 교호로 봉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고안에 의한 바지 요대부와 호주머니 요대부의 분리상태를 보인 정면도.
(나)는 (가)의 결합상태를 보인 장면도.
도 3은 본 고안 신축 가변장치를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의 (가)는 도 4의 조립단면도.
(나)는 장력조절시의 작동상태도.
도 6은 걸림턱과 단속돌기의 결합구조를 보인 가변대의 평면도.
도 7의 (가)와 (나)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다)와 (라)는 (가),(나)의 결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지 요대부20: 호주머니 요대부
30 : 가변대40 : 신축부재
50 : 고정구51 : 후크편
60,61 : 지지대70,71 : 신축가이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지 요대부(10)와; 상기 바지 요대부(10)와 별도로 분리되는 호주머니 요대부(20)와; 상기 바지 요대부(10)의 호주머니 상부 중앙부위에 부착되는 가변대(30)와; 상기 가변대(30)에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되는 신축부재(40)와; 상기 호주머니 요대부(20)의 중앙부를 상기 신축부재(40)의 선단에 고정시키는 고정구(50)와; 상기 가변대(30)의 양측에 위치하는 바지 요대부(10)의 일측전면 및 호주머니 요대부(20)의 타측배면에 길이방향의 교호로 양단에 각각 봉제되는 지지대(60)(61)와; 상기 지지대(60)(61)에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수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하단이 호주머니 요대부(20)의 일측단배면 및 바지 요대부(10)의 타측단전면에 각각 봉제되는 신축가이드(70)(71)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대(3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본체(310)와, 상기 본체(310)내의 중앙에 형성되어 그 외주연으로 상기 신축부재(40)가 감겨지는 고정축(311)과, 상기 본체(310)의 타측 후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하부에 결합공(312)이 천공되는 결합부(313)와, 상기 결합부(313)의 측면에서 본체(3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신축부재(40)의 출몰을 안내하는 신축부재안내공(314)과, 상기 고정축(311)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315)과, 상기 고정축(311)과 뚜껑(315)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축공(316)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변대(30)는 본체(31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부(313)를 바지 요대부(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결합공(312)을 통해 가변대(30)를 바지 요대부(10)에 봉제하여 부착시킴과 동시에 고정축(311)과 뚜껑(315)을 관통한 축공(316)에 여러가닥의 실을 끼워서 그 실을 상기 지지대(60)에 봉제하여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가변대(30)는 바지 요대부(1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신축부재(40)는 나선형으로 감긴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 선단의 상,하부에는 고정홈(41)이 구비된다. 이러한 신축부재(40)의 태엽스프링은 가변대(30)의 고정축(311)에 끼워져 본체(310)내에 내장된 상태에서 그 선단이 신축부재 안내공(314)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고정구(5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구(50)를 당기면 태엽스프링은 탄력적으로 인출되고, 놓으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하여 다시 감겨진다.
상기 고정구(50)는 그 배면 상,하부에 호주머니 요대부(2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41)에 결합되는 후크편(511)이 돌출된 후크(510)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구(50)의 후크(510)의 호주머니 요대부(20)를 신축부재(40)에 연결하여 호주머니 요대부(20)가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하여준다.
상기 지지대(60)(61)와 신축가이드(70)(71)는 바지 요대부(10)와 호주머니 요대부(20)의 결합 및 이들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호주머니 요대부(20)의 신축작용시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지지대(60)(61)는 가변대(30)의 양측에 위치하는 바지 요대부(10)의 일측 전면과 호주머니 요대부(20)의 타측 배면과 그 양단을 안쪽으로 접어 봉제로 부착하고, 상기 신축가이드(70)(71)는 지지대(60)(61)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운 상태에서 그 상,하단을 안쪽으로 접어 호주머니 요대부(20)의 배면 일측단과 바지 요대부(10)의 전면 타측단에 봉제로 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바지의 양측 호주머니 요대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식후 또는 자세변화 등에 따라 착용자의 복부가 팽만해지거나 조건에 따라 복부가 수축되는 경우 호주머니 요대부(20)가 신축부재(40)에 의해 자동적으로 좌,우로 신축되기 때문에,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지는 것과 바지가 흘러 내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대(30)와 신축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가변대(30)는 상부가 개구되어 그 내부 하단양측으로 걸림턱(320)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321)와, 상기 본체(321)내에 승,하강가능하게 내장되어 중앙으로는 상기 신축부재(40)의 끝단이 끼워지는 삽입홈(322)이 관통되고 그 하단양측으로는 상기 걸림턱(320)에 걸리는 단속돌기(323)가 돌출되는 고정축(324)과, 상기 본체(321)의 양측 후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하부에 결합공(325)이 천공되는 결합부(326)와, 상기 타측 결합부(326)의 측면에서 본체(321)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신축부재(40)의 출몰 및 승,하강을 안내하는 신축부재안내공(327)과, 상기 고정축(324)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3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신축부재안내공(327)은 신축부재(40)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4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 선단에는 걸림편(42)이 일체로 벤딩되고, 상기 고정구(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크(510)의 배면으로 호주머니 요대부(20)를 관통하여 상기 걸림편(42)에 결합되는 후크편(5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징은 상기 신축부재(40)인 판스프링의 장력을 착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신축부재(40)인 판스프링의 끝단을 신축부재안내공(327)을 통해 본체(321)에 넣어 고정축(324)의 삽입홈(322)에 끼우고, 고정축(324)의 상부에 뚜껑(328)을 나사 조립한 후 도 5의 (나)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328)을 돌려서 적당하게 장력을 조정하여 고정축(324)을 도 5의 (가)와 같이 밑으로 내려 고정축(324)의 단속돌기(323)가 본체(321)내에 돌출된 걸림턱(320)에 걸리도록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320)이 걸리는 단속돌기(323)는 고정축(324)의 회전을 막아 권취된 판스프링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신축부재(40)인 판스프링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편(42)에 후크(510)를 통해 호주머니 요대부(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후크(510)가 당겨지면 단속돌기(323)가 걸림턱(320)에 고정된 고정축(324)은 고정되고, 고정축(324)에 감긴 판스프링이 탄력적으로 풀리면서 인출되고, 놓으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하여 다시 감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이와 같이 작용을 하면서 호주머니 요대부(20)를 신축시키는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히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의 (가)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의 (나)와 같이 뚜껑(328)을 위로 당기면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축(324)의 단축돌기(323)가 걸림턱(320)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판스프링을 돌리면서 스프링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스프링의 장력조절이 끝나면 다시 도 5의 (가)와 같이 다시 뚜껑(328)을 밑으로 밀어 넣어 고정시키면 장력조절이 끝난다. 이때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뚜껑(328)을 당겨 단속돌기(323)을 걸림턱(320)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판스프링이 신축부재안내홈(327)의 상부에 걸리므로 더 이상 뚜껑(328)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고정축(324) 본체(3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대(30)와 신축부재(40) 및 고정구(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가)와 (다)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변대(30)는 반원호형으로 형성한 상,하부체(330)(331)의 양측단과 중앙부에 틀(332) 및 축(333)이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그 축(333)의 외경으로는 롤러(334)가 끼워지며, 상기 양측 틀(332)의 중앙부에는 바지 요대부 결합용 핀공(335)이 천공되고, 상기 신축부재(40)는 롤러(334)에 감겨지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 선단으로는 리벳공(43)이 천공되며, 상기 고정구(50)는 호주머니 요대부(20)를 관통하여 리벳공(43)에 결합되는 한조의 스냅리벳(520)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변대(30)는 양측 틀(332)이 바지 요대부(1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양측 핀공(335)으로 핀(336)이 각각 끼워지고, 이 핀(336)은 바지 요대부(10)를 관통하여 그 끝단이 바지 요대부(10)의 배면에 준비된 핀고정구(337)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벌어져 결합된다.
다음, 도 7의 (나)와 (라)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변대(30)는 일측이 개방되는 박스형 본체(340)의 배면 양측에 바지 요대부(10)로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편(341)이 돌출되며, 상기 신축부재(40)는 장방형으로 권취된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그 인장스프링의 양단이 고정핀(342)과 한조의 스냅리벳(520)을 통해 본체(340) 및 호주머니 요대부(20)에 각각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변대(30)는 박스형 본체(340)의 배면 양측에 돌출된 후크편(341)이 바지 요대부(10)를 관통한 상태에서 그 후크편(341)의 끝단이 외측으로 벌어져 결합되며, 상기 신축부재(40)를 장방형으로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한 신축부재(40)의 폭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가변대(30), 신축부재(4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효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식후 또는 자세변화 등에 따라 착용자의 복부가 팽만해지거나 조건에 따라 복수가 수축되는 경우 호주머니 요대부(20)가 신축부재(40)에 의해 자동적으로 좌,우로 신축하면서 복부에 압박감이 가해지는 것과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같다. 그러나, 도 7의 (가)(나)(다)(라)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가변대(30)의 폭 크기를 최대한 줄여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본 고안은 바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혀두며, 필요에 따라서는 치마의 요대부에도 본 고안의 신축 가변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지 요대부가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신축 가변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편의성 증대 및 식후, 자세변화 등에 따른 복부 압박감을 해소하고, 또한 체중변화에 따라 바지 요대부를 수선해야 하는 불편함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7)

  1. 바지 요대부(10)와; 바지 요대부(10)와 별도로 분리되는 호주머니 요대부(20)와; 바지 요대부(10)의 호주머니 상부 중앙부위에 부착되는 가변대(30)와; 가변대(30)에 탄력적으로 출몰가능하게 내장되는 신축부재(40)와; 호주머니 요대부(20)의 중앙부를 신축부재(40)의 선단에 고정시키는 고정구(50)와; 가변대(30)의 양측에 위치하는 바지 요대부(10)의 일측전면 및 호주머니 요대부(20)의 타측배면에 길이방향의 교호로 양단에 각각 봉제되는 지지대(60)(61)와; 지지대(60)(61)에 좌,우로 유동가능하게 수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하단이 호주머니 요대부(20)의 일측단배면 및 바지 요대부(10)의 타측단전면에 각각 봉제되는 신축가이드(70)(71)를 포함하는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변대(3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본체(310)와, 본체(310)내의 중앙에 형성되어 그 외주연으로 신축부재(40)가 감겨지는 고정축(311)과, 본체(310)의 타측 후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하부에 결합공(312)이 천공되는 결합부(313)와, 결합부(313)의 측면에서 본체(3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신축부재(40)의 출몰을 안내하는 신축부재안내공(314)과, 고정축(311)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315)과, 고정축(311)과 뚜껑(315)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축공(316)을 포함하는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신축부재(40)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 선단의 상,하부에는 고정홈(41)이 구비되고, 고정구(50)는 그 배면 상,하부에 호주머니 요대부(20)를 관통하여 고정홈(41)에 결합되는 후크편(511)이 돌출된 후크(5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가변대(30)는 상부가 개구되어 그 내부 하단양측으로 걸림턱(320)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321)와, 본체(321)내에 승,하강가능하게 내장되어 중앙으로는 신축부재(40)의 끝단이 끼워지는 삽입홈(322)이 관통되고 그 하단양측으로는 걸림턱(320)에 걸리는 단속돌기(323)가 돌출되는 고정축(324)과, 본체(321)의 양측 후방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하부에 결합공(325)이 천공되는 결합부(326)와, 타측 결합부(326)의 측면에서 본체(321)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신축부재(40)의 출몰 및 승,하강을 안내하는 신축부재안내공(327)과, 고정축(324)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뚜껑(32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신축부재(4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선단에는 걸림편(42)이 일체로 벤딩되고, 고정구(50)는 그 배면 상,하부에 호주머니 요대부(20)를 관통하여 걸림편(42)에 결합되는 후크편(511)의 돌출된 후크(5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가변대(30)는 반원호형으로 형성된 상,하부체(330)(331)의 양측단돠 중앙부에 틀(332) 및 축(333)이 각각 일체로 구비되어 그 축(333)의 외경으로는 롤러(334)가 끼워지며, 양측 틀(332)의 중앙부에는 바지 요대부 결합용 핀공(335)이 천공되고, 신축부재(40)는 롤러(334)는 감겨지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 선단으로는 리벳공(43)이 천공되며, 고정구(50)는 호주머니 요대부(20)를 관통하여 리벳공(43)에 결합되는 한조의 스냅리벳(5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가변대(30)는 일측이 개방되는 박스형 본체(340)의 배면 양측에 바지 요대부(10)로 끼워져 결합되는 후크편(341)이 돌출되며, 신축부재(40)는 장방형으로 권취된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되어 그 인장스프링의 양단이 고정핀(342)과 한조의 스냅리벳(520)을 통해 본체(340) 및 호주머니 요대부(20)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KR2019970026722U 1997-02-19 1997-09-26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KR200165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22U KR200165804Y1 (ko) 1997-02-19 1997-09-26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2477 1997-02-19
KR19970002477 1997-02-19
KR2019970002477 1997-02-19
KR2019970026722U KR200165804Y1 (ko) 1997-02-19 1997-09-26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183U true KR19980059183U (ko) 1998-10-26
KR200165804Y1 KR200165804Y1 (ko) 2000-01-15

Family

ID=6972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722U KR200165804Y1 (ko) 1997-02-19 1997-09-26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8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60B1 (ko) * 2005-09-22 2007-05-04 윤정식 신축 가능한 허릿단이 구비된 바지
CN109938436A (zh) * 2019-03-07 2019-06-28 章文强 自动伸缩皮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18B1 (ko) 2014-10-14 2016-07-20 이상수 콤팩트 휴대용 거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560B1 (ko) * 2005-09-22 2007-05-04 윤정식 신축 가능한 허릿단이 구비된 바지
CN109938436A (zh) * 2019-03-07 2019-06-28 章文强 自动伸缩皮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804Y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6019B2 (en) Strap connector assembly for an orthopedic brace
KR100406088B1 (ko) 절첩식 의자
US6652596B2 (en) Suspension aid for above-knee prosthesis
US9826782B2 (en) Penis retainer and penis securing method
US4905879A (en) Expandable watchband
EP0608354A1 (en) ADJUSTABLE KNEE SUPPORT.
DE112010001994T5 (de) Patientenschnittstelle und ihre Aspekte
US6116985A (en) Sports brassiere
JP4729495B2 (ja) 股部を有する衣類
US20040049834A1 (en) Sleeve for clothing coverage and support
US6681406B2 (en) Extendible belt
US5707266A (en) Swimming/paddling aid
KR200165804Y1 (ko) 바지 요대부 신축 가변장치
JP3360256B2 (ja) 調節用鉤ホック
KR200427532Y1 (ko) 탄력 신축구조를 가진 허리 벨트용 버클
KR200485760Y1 (ko) 신축성 허리벨트
CN210329396U (zh) 一种护脊西装
US20090210997A1 (en) Garment with lowered waist portion
KR960003025Y1 (ko) 신체차광구
JPH0858686A (ja) セミドライスーツ
JPH0642235Y2 (ja) 放射線防護用コートのベルト装置
CN209862354U (zh) 一种帽体大小可调式连帽服
JPH0435375Y2 (ko)
JP6550183B1 (ja) ウエスト伸縮自在ボトムス
CN2140152Y (zh) 吊裤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