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114U - Monitor Screen Saver - Google Patents

Monitor Screen Sa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114U
KR19980059114U KR2019970003617U KR19970003617U KR19980059114U KR 19980059114 U KR19980059114 U KR 19980059114U KR 2019970003617 U KR2019970003617 U KR 2019970003617U KR 19970003617 U KR19970003617 U KR 19970003617U KR 19980059114 U KR19980059114 U KR 199800591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level
mute signal
terminal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6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기봉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3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9114U/en
Publication of KR19980059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114U/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장치는, 소정의 음(-) 전압을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공급하여 캐소드로부터 형광막으로 방출되는 전자량를 조절함으로써 수상관 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에 있어서, 정상 동작시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 변환시 상기 제 1 레벨과 역레벨인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0)과 ; 상기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소정 전압을 커패시터(C)에 충전하는 충전부(20) ; 및 상기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여 상기 방전된 음(-) 전압을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공급하는 방전부(30)로 구성되어 있어, 모드 변경시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공급되는 음(-) 전압을 승압시켜 캐소드에서 방출되는 전자량을 극도로 억제함으로써, 모드 변환시 화면에 나타나는 잔상을 제거한다는 데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otection device of a monitor,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to control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to the fluorescent film A monitor adapted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a screen, comprising: a microcomputer 10 for outputting a mute signal of a first level in normal operation and a mute signal of a second level that is inverse to the first level in mode switching; A charging unit 20 charg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apacitor C by the mute signal of the first level; And a discharge part 30 for discharg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by the mute signal of the second level to supply the discharged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When the mode is changed, the negative voltage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is boosted to suppress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to be extremely effective. have.

Description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Monitor screen protector

본 고안은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드 전환시 화면에 나타나는 잔상을 제거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protector of a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protector of a monitor which is configured to remove an afterimage appearing on a screen when a mode is switched.

일반적으로 다중모드 모니터는 컴퓨터내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신되어진 신호에 따라 비디오 화상을 재현하게 되는데, 상기 수신 신호의 타이밍 파라미터에 따라 회로의 각 부분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In general, a multi-mode monitor reproduces a video imag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received from a video card in a computer, which requires adjustment of each part of the circuit according to a timing parameter of the received signal.

여기서, 비디오 모드에 따른 모니터의 분류를 표 1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look at the classification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video mode through Table 1.

[표 1]TABLE 1

비디오 모드에 따른 분류Classification by video mode

상기 표 1 에서와 같이 비디오 카드에서 지원하는 모드에 따라 수평 주파수와 수직 주파수가 다르고, 특히 다양한 모드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 예를 들어 VGA 와 SVGA 및 고해상도 전용 모드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를 모니터에 탑재한다면, 각 모드의 수평 주파수가 갖는 범위는 약 30∼75 KHz 정도가 된다.As shown in Table 1, horizontal and vertical frequencies differ according to the modes supported by the video card, and in particular, a video card supporting various modes, for example, a video card supporting VGA and SVGA and high resolution only modes, is mounted on the monitor. If so, the range of the horizontal frequency of each mode is about 30 to 75 KHz.

즉, 다중 모드 모니터에서 모드가 변경될 경우에 모니터 내부 회로에서 변경되어져야 할 부분이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화상의 크기 및 위치의 변경, 수평 수직의 동기화 및 편향부의 최적화, 그리고 각종 편향 보정 회로의 재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That is, when the mode is changed in the multi-mode monitor,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changed in the internal circuits of the monitor. For exampl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mag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the optimization of the deflection unit, and the various deflection correction circuits Readjustment should be done.

특히, 모드 변경시 모니터 화면에 잔상 등이 나타나게 되는데, 상기 잔상은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a mode is changed, an afterimage and the like appear on the monitor screen. The afterimage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r is visually uncomfortable.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드 변경시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잔상을 제거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protection device of a monitor that is to remove the afterimage appearing on the monitor screen when the mode is chang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는, 소정의 음전압을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에 공급하여 캐소드로부터 형광막으로 방출되는 전자량를 조절함으로써 수상관 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에 있어서, 정상 동작시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 변환시 상기 제 1 레벨과 역레벨인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 상기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소정 전압을 커패시터에 충전하는 충전부 ; 및 상기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여 상기 방전된 음전압을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에 공급하는 방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en protection device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of the water pipe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water pipe screen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to the fluorescent film 1. A monitor configured to perform: a micom for outputting a mute signal of a first level in normal operation and a mute signal of a second level that is inverse to the first level in mode conversion; A charging unit which charges a capacitor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by the mute signal of the first level;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by the mute signal of the second level and supplying the discharged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of the water pipe.

즉, 본 고안은 정상 동작시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에 소정 전압을 충전시켰다가, 모드 변경시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켜, 모드 변환시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에 공급되는 음전압을 승압시킴으로써, 캐소드에서 방출되는 전자량을 극도로 억제하여 모드 변환시 화면에 나타나는 잔상을 제거하도록 된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or is charged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by a mute signal of the first level output from the micom in normal operation, and the mute signal of the second level is output from the micom when the mode is changed. By discharging the charged voltage to boost the negative voltage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of the water pipe during mode switching,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is extremely suppressed to remove afterimages appearing on the screen during mode switching.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protection device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Names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마이콤 20 : 충전부10: microcomputer 20: charging unit

30 : 방전부 G1 :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30: discharge part G1: control grid of the water pipe

C : 커패시터 D : 다이오드C: Capacitor D: Diode

R 1,2,3,4,5,6,7,8,9,10 : 저항 Q 1,2,3,4,5 : 제 1,2,3,4,5 트랜지스터R 1,2,3,4,5,6,7,8,9,10: resistance Q 1,2,3,4,5: 1,2,3,4,5 transis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protection device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0)과 ; 충전부(20) ; 및 방전부(30)로 구성되어 있다.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microcomputer 10; A charging unit 20; And a discharge unit 30.

여기서 상기 충전부(20)는, 베이스단이 저항(R1)을 통해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를 입력받고, 에미터단이 소정 전압(Vcc1)을 입력받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 베이스단이 저항(R3,R4)을 통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 2 트랜지스터(Q2) ; 베이스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저항(R5)을 통해 소정 전압(Vcc2)을 입력받는 제 3 트랜지스터(Q3) ; 및 한쪽단이 다이오드(D)를 통해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제 1 저항(R6)을 통해 접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저항(R6)과는 병렬로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charging unit 20 has a first transistor Q1 through which a base terminal receives a mute signal of a first level from the micom 10 through a resistor R1 and an emitter terminal receives a predetermined voltage Vcc1. Wow ; A second transistor Q2 having a bas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rough resistors R3 and R4 and having an emitter terminal grounded; A third transistor Q3 having a bas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emitter terminal receiving a predetermined voltage Vcc2 through a resistor R5;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end of the third transistor Q3 through the diode D,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grounded through the first resistor R6 a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or R6. It consists of a capacitor (C) connect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여기서 상기 방전부(30)는, 베이스단이 저항(R7,R8)을 통해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를 입력받고, 에미터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 ; 베이스단이 저항(R9)을 통해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저항(R10)을 통해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커패시터(C)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콜렉터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 5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discharge unit 30 includes: a fourth transistor Q4 whose base end receives a second level mute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10 through the resistors R7 and R8, and the emitter end is grounded; The bas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transistor Q4 through the resistor R9, and the emitter terminal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Q3 and the capacitor C through the resistor R10. And the fifth transistor Q5 having the collector terminal grounded.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효과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Then look at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전원 온/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시 각 모니터 회로에 필요한 전압( 정격 전압 )을 일시에 공급하게 되면 각 모니터 회로에 이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전원 온/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 초기에는 각 모니터 회로가 워밍업을 한 후 정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정격 전압보다 낮은 준비 전압을 공급한 다음에, 정격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뮤트 기능이라 하며, 상기 뮤트 기능을 수행하는 뮤트 신호는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출력된다.In general, supplying the necessary voltage (rated voltage) to each monitor circuit at the time of power on / off or mode switching of the monitor causes an abnormality in each monitor circuit. After the circuit warms up, it is necessary to supply a ready voltage lower than the rated voltage so that it can operate normally, and then supply the rated voltage. This is called a mute function, and a mute signal for performing the mute function is output from the micom 10.

상기 뮤트 신호는 정상 동작시 로우 레벨을 유지하다가, 전원 온/오프시나 혹은 모드 변환시 잠시동안 하이 레벨로 천이된다.The mute signal maintains a low level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n transitions to a high level for a while during power on / off or mode switching.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정상 동작시와 모드 변환시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normal operation and mode conversion as follows.

1. 정상 동작시1. In normal operation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제 1 레벨( 로우 레벨 )의 뮤트 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PNP형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상기 로우 레벨의 뮤트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된다.Since the mute signal of the first level (low level) is output from the micom 10, the low level mute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PNP typ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first transistor Q1 is applied. Is turned on.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NPN형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하이 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된다.As the first transistor Q1 is turned on, a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NPN-typ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n.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PNP형 제 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As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n, a low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of the PNP type third transistor Q3, and the third transistor Q3 is turned on.

한편, 상기 NPN형 제 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도 로우 레벨의 뮤트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된다.Meanwhile, a low level mute signal is also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NPN-type fourth transistor Q4 to turn off the fourth transistor Q4.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가 턴오프됨에 따라 상기 PNP형 제 5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에 하이 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된다.As the fourth transistor Q4 is turned off, a high leve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PNP type fifth transistor Q5, thereby turning on the fifth transistor Q5.

결과적으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고 제 5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됨에 따라, 소정 전압(Vcc2)이 제 3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단에 인가되어 콜렉터단을 통해 커패시터(C)에 충전된다.As a result, as the third transistor Q3 is turned on and the fifth transistor Q5 is turned off, a predetermined voltage Vcc2 is appli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Q3 to allow the capacitor C to pass through the collector terminal. ) Is charged.

2. 모드 전환시2. When switching mode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제 2 레벨( 하이 레벨 )의 뮤트 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PNP형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상기 하이 레벨의 뮤트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된다.Since the mute signal of the second level (high level) is output from the micom 10, the high level mute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PNP type first transistor Q1, and the first transistor Q1 is applied. Is turned off.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됨에 따라 상기 NPN형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된다.As the first transistor Q1 is turned off, a low leve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NPN-type second transistor Q2, so that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ff.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됨에 따라, 상기 PNP형 제 3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된다.As the second transistor Q2 is turned off, a high level signal is input to the base terminal of the PNP type third transistor Q3, and the third transistor Q3 is turned off.

한편, 상기 NPN형 제 4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에도 하이 레벨의 뮤트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된다.On the other hand, a high level mute signal is also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NPN type fourth transistor Q4, and the fourth transistor Q4 is turned on.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PNP형 제 5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에 로우 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가 턴오프된다.As the fourth transistor Q4 is turned on, a low level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terminal of the PNP type fifth transistor Q5, and the fifth transistor Q5 is turned off.

결과적으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고 제 5 트랜지스터(Q5)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C)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저항(R10)을 통해 제 5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단에 인가되어 콜렉터단을 통해 제 1 저항(R6)으로 방전되므로, (A) 포인트 전압이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공급된다.As a result, as the third transistor Q3 is turned off and the fifth transistor Q5 is turned on,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is passed through the resistor R10 to the emitter of the fifth transistor Q5. Since it is applied to the terminal and discharged to the first resistor R6 through the collector terminal, (A) point voltage is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이때 상기 (A) 포인트 전압은 음(-) 전압을 나타내며, 상기 저항(R10,R6)을 통해 상기 음(-)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 point voltage represents a negative voltage and the magnitude of the negative voltage may be adjusted through the resistors R10 and R6.

따라서 수상관에 공급되는 제어 그리드(G1) 전압을 승압시킴으로써, 캐소드로부터 형광막으로 방출되는 전자량를 극도로 억제시킨다.Therefore, by boosting the control grid G1 voltage supplied to the water pipe,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to the fluorescent film is extremely suppressed.

일반적으로 수상관상에 화면이 나타나게 하려면 형광막에 상기 스포트 하나가 나타나게 하고, 이 스포트를 좌우 상하로 편향시켜서 라스터를 만듬과 동시에 영상 신호로서 스포트의 밝기를 변화시켜야만 한다.In general, in order for a screen to appear on an image tube, one spot must appear on a fluorescent film, and the spot must be deflected from side to side to make the raster and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spot as an image signal.

상기 스포트(Sport)란 CRT의 형광막에 전자빔이 충돌하면서 생기는 작은 빛의 점으로써, 모니터의 전원을 온시키면 전자총의 캐소드(음극)가 충분히 가열되어 전자를 방출하게 되고, 이렇게 방출된 전자는 형광막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스포트가 발생하게 된다.The spot is a small point of light generated when an electron beam collides with a fluorescent film of a CRT. When the monitor is turned on, the cathode (cathode) of the electron gun is sufficiently heated to emit electrons. Spots are generated by hitting the film.

이러한 스포트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Fly-Back Transformer : FBT )로부터 수상관에 공급되는 제어 그리드(G1) 전류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 그리드(G1) 전류는 CRT의 캐소드에서 발산되는 전자의 양을 제어하여 휘도 변조( 밝기 변조 )를 컨트롤한다.This spot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grid (G1) current supplied from the fly-back transformer (FBT) to the water pipe. The control grid (G1) current controls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of the CRT. Control the brightness modulation (brightness modulation).

이때 제어 그리드(G1)에 음(-) 전압을 크게 공급할수록 상기 캐소드의 전자 방출을 억제하는 힘이 커지기 때문에 형광막에 충돌하는 전자량이 감소되어 스포트를 약화시킴으로써 화면이 어두어진다.At this time, the larger the negative voltage is supplied to the control grid G1, the greater the power for suppressing the electron emission of the cathode, so that the amount of electrons colliding with the fluorescent film is reduced, thereby darkening the spot.

즉, 제어 그리드(G1)의 전압을 변화시키면 스포트의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That is, by changing the voltage of the control grid (G1)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spot.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장치는, 제어 그리드(G1) 전압이 수상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모드 변경시 수상관 화면에 나타나는 잔상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oltage of the control grid (G1) directly affects the water pip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afterimage appearing on the screen of the water pipe when the mode is chang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정상 동작시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C)에 소정 전압을 충전시켰다가, 모드 변경시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켜,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음(-) 전압에 공급되는 음(-) 전압을 승압시킴으로써, 캐소드에서 방출되는 전자량을 극대로 억제하여 모드 변환시 화면에 나타나는 잔상을 제거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voltage is charged to the capacitor C by a mute signal of the first level output from the micom 10 in a normal operation, and then the microcom 10 is changed from a mode change. By discharging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by the output mute signal of the second level, by boosting the negative voltage supplied to the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The effect is to remove the afterimages appearing on the screen during mode conversion by suppressing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to the maximum.

Claims (3)

소정의 음(-) 전압을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공급하여 캐소드로부터 형광막으로 방출되는 전자량를 조절함으로써 수상관 화면의 밝기를 제어하도록 되어진 모니터에 있어서,In a monitor adapted to control the brightness of a picture tube screen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picture tube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electrons emitted from the cathode to the fluorescent film, 정상 동작시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를 출력하고 모드 변환시 상기 제 1 레벨과 역레벨인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0)과 ;A microcomputer 10 for outputting a mute signal of a first level in normal operation and a mute signal of a second level that is inverse to the first level in mode conversion; 상기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소정 전압을 커패시터(C)에 충전하는 충전부(20) ; 및A charging unit 20 charg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apacitor C by the mute signal of the first level; And 상기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에 의해 상기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여 상기 방전된 음(-) 전압을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공급하는 방전부(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And a discharge part 30 which discharges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 by the mute signal of the second level and supplies the discharged negative voltage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The screen protector of th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2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unit 20, 베이스단이 저항(R1)을 통해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제 1 레벨의 뮤트 신호를 입력받고, 에미터단이 소정 전압(Vcc1)을 입력받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A first transistor Q1 through which a base terminal receives a mute signal of a first level from the microcomputer 10 through a resistor R1 and an emitter terminal receives a predetermined voltage Vcc1; 베이스단이 저항(R3,R4)을 통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 2 트랜지스터(Q2) ;A second transistor Q2 having a bas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Q1 through resistors R3 and R4 and having an emitter terminal grounded; 베이스단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저항(R5)을 통해 소정 전압(Vcc2)을 입력받는 제 3 트랜지스터(Q3) ; 및A third transistor Q3 having a bas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2 and the emitter terminal receiving a predetermined voltage Vcc2 through a resistor R5; And 한쪽단이 다이오드(D)를 통해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제 1 저항(R6)을 통해 접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저항(R6)과는 병렬로 상기 수상관의 제어 그리드(G1)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C)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end of the third transistor Q3 through the diode D,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through the first resistor R6 a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esistor R6. A screen protection device for a monitor,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apacitor (C) connected to the control grid (G1) of the water pi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30)는,The discharge unit 30 of claim 2, 베이스단이 저항(R7,R8)을 통해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제 2 레벨의 뮤트 신호를 입력받고, 에미터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 4 트랜지스터(Q4)와 ;A fourth transistor Q4 whose base end receives a second level mute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10 through resistors R7 and R8 and whose emitter end is grounded; 베이스단이 저항(R9)을 통해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과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저항(R10)을 통해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과 커패시터(C)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콜렉터단이 접지되어 있는 제 5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 보호 장치.The bas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fourth transistor Q4 through the resistor R9, and the emitter terminal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hird transistor Q3 and the capacitor C through the resistor R10. And a fifth transistor (Q5) whose collector end is grounded.
KR2019970003617U 1997-02-28 1997-02-28 Monitor Screen Saver KR1998005911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617U KR19980059114U (en) 1997-02-28 1997-02-28 Monitor Screen Sa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617U KR19980059114U (en) 1997-02-28 1997-02-28 Monitor Screen Sa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114U true KR19980059114U (en) 1998-10-26

Family

ID=6968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617U KR19980059114U (en) 1997-02-28 1997-02-28 Monitor Screen Sa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114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9114U (en) Monitor Screen Saver
US5903111A (en) CRT protective circuit
KR200148415Y1 (en) Brightness control apparatus of crt
KR0173267B1 (en) Brightness control circuit of monitor
KR200159449Y1 (en) A circuit for protecting a horizontal-output-transistor in a multi-mode monitor
KR100195753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rt
KR200150312Y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cathode ray tube protection function
KR200224874Y1 (en) Spot elimination circuit of image display device
KR0151605B1 (en) Luminance mute circuit of multi-sync. monitor
KR19980047486U (en) G1 voltage muting circuit in multi-sync monitor
KR200150311Y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cathode ray tube protection function
JP3858815B2 (en) Cathode ray tube equipment
KR200327956Y1 (en) CRT display apparatus
KR930000450Y1 (en) High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display device
KR200158597Y1 (en) Video mute circuit
KR100312782B1 (en) A circuit for limiting a phase-difference-voltage of horizontal oscillation circuit in a video display system
KR20000009202U (en) Monitor spot elimination circuit
KR20060014890A (en) Display apparatus
KR970004899Y1 (en) A cathode - ray tube high voltage discharge circuit
KR19990034336A (en)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Protection Circuit in Multi-Mode Monitors
KR19980079107A (en)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Protection Circuit in Multi-Mode Monitors
JPS63158974A (en) Spot killer circuit
GB2327025A (en) Scan-frequency-dependent drive signal amplitude in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for a multi-mode monitor
JP2003036044A (en) Video display device
KR20000014597U (en) Monitor spot elimin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