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037U -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 Google Patents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037U
KR19980058037U KR2019970002379U KR19970002379U KR19980058037U KR 19980058037 U KR19980058037 U KR 19980058037U KR 2019970002379 U KR2019970002379 U KR 2019970002379U KR 19970002379 U KR19970002379 U KR 19970002379U KR 19980058037 U KR19980058037 U KR 19980058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electrode
dust
collecting electrode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4614Y1 (ko
Inventor
김범식
Original Assignee
장병국
주식회사 동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국, 주식회사 동진정밀 filed Critical 장병국
Priority to KR2019970002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61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전극침(-)으로부터 코로나방전을 일으키도록 +전극을 인가시킴은 물론 이 때 발생되는 코로나방전에 의한 자장의 흐름으로 실내공기에 함유된 먼지를 외부에 감은 집진필터에 집진되도록 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할 정도의 오존을 발생시켜 살균하도록 하는 집진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집진전극을 단일체로 구성하여 단일전원을 연결하되 집진전극의 중앙에 다수의 전자유도공을 천설하여 집진시 음전극침에서 발생되는 전자의 방출량을 늘리고 흐름을 활발하게 유도하여 음이온의 발생량을 늘리고 집진력을 뛰어나게 한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본 고안은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전극침(-)으로부터 코로나방전을 일으키도록 +전극을 인가시킴은 물론 이 때 발생되는 코로나방전에 의한 자장의 흐름으로 실내공기에 함유된 먼지를 외부에 감은 전극필터에 집진되도록 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할 정도의 오존을 발생시켜 세균 등을 살균하도록 하는 집진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집진전극을 단일체로 구성하여 단일전원을 연결하되 집진전극의 중앙에 다수의 전자유도공을 천설하여 집진시 음전극침에서 발생되는 전자의 방출량을 늘리고 흐름을 활발하게 유도하여 집진력을 뛰어나게 한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에 관한 것이다.
복잡다변화하는 현대산업문명의 발달에 따라 바쁜 현대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제각기 대기오염의 심각성으로 건강에 대한 깊은 우려를 갖고 있는데 그 예로 특히 학교, 사무실, 호텔, 음식점 등의 밀폐된 내부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점차 길어지고 있기 때문에 내부공기의 오염으로 인해 현대문명의 병이라고 할 수 있는 피부질환과 알레르기, 호흡기장해 등 각종 질환이 발병되어 시달리고 있는 것이 현실인 것이다. 이에 각종 오염물과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이 분포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만들고자 다양한 구조의 공기청정기들이 개발되었는데 특히 음전극으로부터 양전극으로 코로나방전을 가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발생시켜 건강을 도모토록 하며 인체에 무해할 정도의 오존을 발생시켜 인체에 유해한 세균 등을 박멸함은 물론 집진기능을 갖도록 된 전자식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전자식 공기청정기들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전극(+)이 인가되는 집진전극(1)을 다수개의 밴드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집진전극(1)의 하측에 음전극(-)이 인가되는 음전극침(2)을 구성하여 상기 음전극침(2)으로부터 집진전극(1)으로 코로나방전을 일으켜서 집진전극(1)의 외부에 감합된 집진필터(3)에 전극이 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음이온의 발생량이 적으며 집진필터(3)에 집진이 고르게 되지 않고 국부적으로 몰리는 등 집진효율이 떨어졌다.
이에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전극(10)을 단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음전극침(20)을 집진전극(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구성하여 상기 집진전극(10)의 외부에 감합된 집진필터(30)에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고르게 집진되도록 한 것이 안출되었는데 이는 집진전극(10)의 양측에 고르게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는 장점은 있으나 음전압을 발생하는 음전극침(20)이 설치된 집진전극(10)의 중간 밴드부(11)가 표면이 넓은 평면상태로 되어 있어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이 일어남으로써 코로나방전이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음이온의 발생량이 적어서 그만큼 집진효율이 떨어졌다. 즉, 코로나방전은 음전극침과 집진전극의 면보다는 끝이 날카롭고 뽀족한 선부분에서 더욱 활발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집진전극면이 넓으면 넓을수록 그만큼 코로나방전이 활발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집진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집진전극의 구성을 달리하여 음전극침과의 코로나방전이 극대가 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을 대량으로 방출하도록 하여 상기 집진전극의 외부에 감합된 집진필터에 먼지 등의 실내 오염물이 더욱 활발하게 집진되도록 하여 집진효율을 높혀서 보다 깨끗한 실내공기를 만들어 국민건강에 일익을 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집진전극의 구성상태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집진전극의 구성상태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집진전극110 : 밴드부
110a : 전자유도공120 : 연결부
121 : 구멍200 : 음전극침
300 : 집진전극
상기와 같은 목적을 두고 안출한 본 고안은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일판재에 피어싱가공을 하여 중앙에 밴드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다수의 구멍이 천설된 망상의 연결부를 형성하되 상기 밴드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전자유도공을 천설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체로된 판재에 피어싱가공을 하여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밴드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110)의 양측으로 다수의 구멍(121)을 천설함으로써 망상의 연결부(120)가 형성된 집진전극(100)을 형성하되 상기 집진전극(100)의 밴드부(110)면에 길이방향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전자유도공(110a)을 천설하여 상기 집진전극(100)의 밴드부(110)면에 대향되도록 공기청정기의 외부케이스(500) 중간에 설치되는 음전극침(200)의 끝이 뽀족한 선단부(200a)가 각각 전자유도공(110a)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집진전극(100)을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공기청정기에 장착하고 그 외부에 집진필터(300)를 감합한 다음 전원을 인가하여 고전압을 걸명 상기 음극(2)인 음전극침(200)의 끝이 뽀족한 선단부(200a)로부터 양극(+)인 집진전극(100)을 향하여 대량의 전자가 공기중에 방출하는 코로나방전이 일어나면서 대기중의 먼지 등을 집진전극(100)쪽으로 끌어당겨져 상기 집진전극(100)을 감싸고 있는 집진필터(300) 표면에 흡착이 된다.
이 때, 상기 본 고안의 집진전극(100)의 밴드부(110)에는 음전극침(200)의 끝단부와 일치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전자유도공(110a)을 천설하였기 때문에 상기 음전극침(200)에서 방출되는 음전기를 띤 전자들이 밴드부(110)의 전자유도공(110a)의 내주연으로 더욱 활발히 유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코로나방전이 극대화되어 집진필터에 먼지 등이 집진되는 집진효율이 극대화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가장 핵심적인 심장부라 할 수 있는 집진전극을 개선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의 대량 방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집진이 더욱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코로나방전을 더욱 활발히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먼지 등의 실내 오염물이 집진되는 집진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실내공기를 만들어 국민건강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실사용에 있어서 매우 획기적이고 신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일판재에 피어싱가공을 하여 중간에 밴드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다수의 구멍이 천설된 망상의 연결부를 형성하되 상기 밴드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전자유도공을 천설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KR2019970002379U 1997-02-17 1997-02-17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KR200154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379U KR200154614Y1 (ko) 1997-02-17 1997-02-17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379U KR200154614Y1 (ko) 1997-02-17 1997-02-17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037U true KR19980058037U (ko) 1998-10-26
KR200154614Y1 KR200154614Y1 (ko) 1999-08-16

Family

ID=1949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379U KR200154614Y1 (ko) 1997-02-17 1997-02-17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6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4614Y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9741B2 (ja) 非放電型空気清浄器、非放電型空気清浄方法、及び、非放電型空気除菌器
EP1605565B1 (en) Negative ion generator using carbon fiber
CN209524586U (zh) 一种净化组件及空气净化设备
CN205797491U (zh) 等离子滤网装置
CN111765556A (zh) 空气净化装置
JP3818101B2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風装置
KR200154614Y1 (ko)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CN103706477A (zh) 蜂窝型平板油烟净化器
KR200154615Y1 (ko) 음전극침이 중앙에 위치한 전자식 공기청정기
KR100215079B1 (ko) 전자식 공기청정기의 집진전극
CN210425334U (zh) 一种带灭菌功能的空气除尘净化装置
CN216879839U (zh) 集尘极板及空气净化装置
CN206191768U (zh) 一种具有小粒径负离子发生器的空气净化器
CN217288819U (zh) 空气过滤装置
CN210963029U (zh) 一种便于拆卸且有效过滤的艾灸用滤烟装置以及艾灸仪
US20220333800A1 (en) Air filtering device
CN109806974A (zh) 一种基于蜂窝静电场的单元模块、电凝并除尘装置及方法
KR890007870Y1 (ko) 공기 청정기의 집진장치
JPH0317948Y2 (ko)
CN212566169U (zh) 空气净化装置
KR200273524Y1 (ko) 음이온발생및 금·은용액제조장치
KR20030075703A (ko) 공기청정기의 집진 필터
WO2023130524A1 (zh) 空气消杀装置
KR200143341Y1 (ko) 주름형 구조의 집진판을 갖는 전자식 공기 청정기
JPS63317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