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7596A -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7596A
KR19980057596A KR1019960076894A KR19960076894A KR19980057596A KR 19980057596 A KR19980057596 A KR 19980057596A KR 1019960076894 A KR1019960076894 A KR 1019960076894A KR 19960076894 A KR19960076894 A KR 19960076894A KR 19980057596 A KR19980057596 A KR 1998005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ase
water
tank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7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7596A/ko
Publication of KR1998005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96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중,저,소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단자가 수조 저면에 직접 설치되고 이들 단자가 수압에 따라 승강되는 이동단자에 의해 각각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구조를 간소화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내부에 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세탁수가 급수되어 교반날개에 의해 휘저어짐에 있어서, 상기 수조 저면에 상기 세탁조와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와 직접 연결되며 내부에 부구가 설치된 부구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부구케이스 상부에 고,중,저,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다수개의 단자가 다단으로 형성된 단자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케이스 내부에 상기 부구의 상승에 따라 상기 각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이동단자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중,저,소수위 단자가 수조 저면에 직접 설치된 상태에서 수압에 따라 이동단자가 이들과 다단으로 접촉되면서 수위가 감지되도록 함으로서, 구조를 간소화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본체(1) 내부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2)가 구비되고 걸이봉(2a)에 의해 본체(1)의 내부에 매달려 설치된다. 또한 수조(2) 내부에 원통형의 세탁조(3)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이의 내부 바닥에 교반날개(4)가 정역회전 가능 토록 설치된다. 교반날개(4)는 세탁과정에서 정역회전 되는 것으로서, 세탁조(3)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를 휘저어 회전수류를 일으킨다. 이처럼 발생된 회전수류에 의해 빨래감이 서로 비벼지면서 세탁된다.
또한 수조(2)의 저면 중앙에 모터(5)로 회전되는 동력절환수단(6)이 설치된다. 동력절환수단(6)은 상부에 세탁축(6a)과 탈수축(6b)이 형성되며 세탁축(6a)은 교반날개(4)와 결합되고 탈수축(6b)은 세탁조(3)의 저면에 결합된다. 또한 수조(2)의 저면에 유출구(8)가 마련되고 유출구(8)와 호스(7a)로 연결된 수위감지센서(7)가 구비된다. 수위감지센서(7)는 세탁조(3) 내부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세탁조(3) 내부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수조(2)와 유출구(8) 쪽으로 흐른 다음 호스(7a)를 거쳐 수위감지센서(7) 쪽으로 전달된다. 이때 수위감지센서(7)는 수압의 변화에 따라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3) 내부에 빨래감이 담기고 세탁수가 급수된 상태에서 세탁이 진행된다. 세탁과정에서 모터(5)가 정역회전 되면 이의 회전력이 동력절환수단(6)으로 전달되고 동력절환수단(6)에서 감속된 다음 그 정역회전력이 세탁축(6a)을 통하여 교반날개(4) 쪽으로 전달된다. 이때 교반날개(4)가 정역회전 되면 세탁수가 회전수류를 일으키게 되고 회전수류에 의해 빨래감이 서로 비벼지면서 세탁이 진행된다. 또한 세탁과정에서 세탁조(3) 내부로 급수되면 이를 수위감지센서(7)가 감지하여 수위를 조절한다. 즉 세탁조(3) 내부로 급수되면 수위감지센서(7)가 호스(7a)를 통하여 수압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수위가 결정된다. 또한 세탁 완료후 세탁수가 배수된 다음 탈수가 진행된다. 탈수과정에서 모터(5)가 일방향으로 고속회전 되면 동력절환수단(6)에 의해 세탁축(6a)과 탈수축(6b)이 함께 고속 회전 되고 이때 세탁조(3)가 고속회전 된다. 세탁조(3)가 고속회전 되면 빨래감에 원심력이 작용되어 빨래감이 세탁조(3)의 내주면 쪽으로 퍼지게 되고 이때 빨래감에 묻은 세탁수가 탈수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수위감지센서(7) 쪽으로 수압을 인가시키기 위해 유출구(8)가 형성되고 호스(7a)가 구비됨으로 구조가 복잡한 등의 단점이 있다. 즉 유출구(8)는 수조(2)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하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이를 밀폐하기 위해 마개(8a)를 초음파 등의 수단으로 융착해야되고 또한 수위감지센서(7)가 수조(2)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호스(7a)를 이용하여 유출구(8)와 수위감지센서(7)를 서로 연결시켜야 됨으로 조립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중,저,소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단자가 수조 저면에 직접 설치되고 이들 단자가 수압에 따라 승강되는 이동단자에 의해 각각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구조를 간소화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수위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세탁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수위감지장치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설명
10 - 본체, 11 - 수조,
12 - 세탁조, 13 - 교반날개,
20 - 유출구, 30 - 부구케이스,
31 - 부구, 32 - 격판,
34 - 이동핀, 35 - 밸로우즈캡,
40 - 단자케이스, 41 - 이동단자,
42 - 로드, 43,44,45,46 - 단자,
50 - 수압조절케이스, 51 - 스프링,
52 - 조절나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세탁수가 급수되어 교반날개에 의해 휘저어짐에 있어서, 상기 수조 저면에 상기 세탁조와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와 직접 연결되며 내부에 부구가 설치된 부구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부구케이스 상부에 고,중,저,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다수개의 단자가 다단으로 형성된 단자케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케이스 내부에 상기 부구의 상승에 따라 상기 각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이동단자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수위감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수위감지장치의 단면도 로서, 수조(11)의 저면 일측에 유출구(20)가 형성되고 유출구(20)와 직접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태의 부구케이스(30)가 구비된다. 또한 부구케이스(30) 내부에 부구(31)가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되며 부구케이스(33) 상부에 단자케이스(40)가 나사부(36)를 통하여 결합 설치된다. 또한 부구케이스(30)와 단자케이스(40) 사이에 격판(32)이 설치되고 격판(32)의 중앙에 이동핀(34)이 설치된다. 이때 이동핀(34) 하단의 이동판(33)이 부구(31) 상면과 접한 상태에서 부구(31)의 승강시 이동핀(34)이 함께 승강된다.
또한 격판(32)의 상부에 이동핀(34)을 감싸는 밸로우즈캡(35)이 형성되어 부구케이스(30) 내부의 세탁수가 단자케이스(4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또한 밸로우즈캡(35)의 저면이 이동핀(34)의 상단과 접한다. 또한 단자케이스(40)의 내부에 로드(42)가 설치되고 로드(42)의 하단이 밸로우즈캡(35)의 상면과 접한다. 또한 로드(42)의 상단이 단자케이스(40)의 상면으로 돌출되며 단자케이스(40)의 상부에 수압조절케이스(50)이 나사부(47)를 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수압조절케이스(50)은 내부에 스프링(51)이 구비되고 스프링(51)의 하단이 로드(42)의 상단과 접한다. 또한 스프링(51)의 상단은 조절나사(52)가 설치되어 스프링(51)의 압축력이 조절되며 단자케이스(40)의 내주면에 다단으로 고,중,저,소수위단자(43)(44)(45)(46)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각 단자(43)(44)(45)(46)는 로드(42)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동단자(41)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즉 수압의 변화에 따라 로드(42)가 승강되면 이동단자(42)가 이들 단자(43)(44)(45)(46)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이때 수위가 감지된다.
도 3은 본 발명 세탁기의 단면도 로서,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의 본체(10) 내부에 수조(11)가 걸이봉(16)을 통하여 매달려 설치되고, 수조(11) 내부에 세탁수와 빨래감이 담기는 세탁조(12)가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세탁조(12)의 내부에 교반날개(13)가 설치되고 수조(11) 저면에 결합된 동력절환수단(15)의 세탁축(15a)에 의해 정역회전 되면서 회전수류를 일으킨다. 또한 수조(11) 저면에 동력절환수단(15)을 작동시키는 모터(14)가 설치되고 동력절환수단(15)의 탈수축(15b)은 세탁조(12)의 저면 또한 중앙에 결합되어 탈수시 이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 시킨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수조(11)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유출구(20)에 부구케이스(30)가 결합되고 부구케이스(30) 내부에 수위에 따라 승강되는 부구(31)가 설치된다. 또한 부구케이스(30) 상부에 단자케이스(40)가 나사부(36)를 통하여 조립되고 이들 케이스(30)(40) 사이에 이동핀(34)을 갖는 격판(32)이 설치된다. 또한 격판(32)의 상부에 이동핀(34)을 감싸는 밸로우즈캡(35)이 신축성 있게 설치되고 단자케이스(40)의 내부에 승강 가능토록 로드(42)가 설치되어 이의 하단이 밸로우즈캡(35)의 상단과 접한다. 또한 로드(42)에 형성된 이동단자(34)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고,중,저,소수위단자(43)(44)(45)(46)가 단자케이스(40)의 내주연에 다단으로 조립되고 단자케이스(40)의 상부에 수압조절케이스(50)가 나사부(47)를 통하여 조립된다. 또한 수압조절케이스(50) 내부에 로드(42)의 상단을 가압하는 스프링(51)이 조절나사(52)에 의해 설치된다.
이처럼 조립되는 본 발명은 세탁조(12)의 내부에 빨래감이 담기고 세탁수가 급수된다. 또한 세탁수가 급수되면 수조(11)를 통하여 유출구(20)쪽으로 세탁수가 흐르고 이때 부구케이스(30)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된다. 또한 세탁수가 유입되면 부구(31)가 수압에 의해 상승되고 이 과정에서 이동판(33)과 연결된 이동핀(34)이 상승된다. 또한 이동핀(34)의 상승으로 밸로우즈캡(35)이 늘어나면 이후 밸로우즈캡(35)의 상단과 접한 로드(42)가 상승된다. 또한 로드(42)가 상승되면 이에 형성된 이동단자(41)가 상승되면서 각 단자(43)(44)(45)(46)와 접하게 된다. 또한 설정된 수위와 일치되는 단자 예컨데 사용자가 중수위를 설정하면 이동단자(41)가 중수위단자(44)와 접촉된 상태에서 수위가 감지되고 이때 급수가 중단된다. 또한 조절나사(52)는 스프링(51)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세탁기의 조립과정에서 수압에 비례하도록 스프링(51)에 적정한 압력을 준다.
또한 급수가 중단된 다음 교반날개(13)가 정역회전 되면서 세탁이 진행된다. 즉 모터(14)가 회전되면 이의 회전력이 동력절환수단(15)을 타고 세탁축(15a)으로 전달되고 이때 정역회전 되는 세탁축(15a)에 의해 교반날개(13)가 정역회전 되면서 회전수류가 발생된다. 또한 회전수류에 의해 빨래감이 서로 비벼지며 세탁이 진행되고, 세탁완료후 탈수가 진행된다. 즉 모터(14)의 구동으로 동력절환수단(15)이 작동되면 세탁축(15a)과 탈수축(15b)이 고속으로 회전되고 이때 세탁조(12)가 일방향으로 고속회전 되면서 빨래감이 탈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의 저면에 유출구가 직접 형성되고 유출구에 부구를 갖는 부구케이스가 설치된다. 또한 부구케이스의 상부에 고,중,저,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다수개의 단자가 다단으로 설치된 단자케이스가 구비되고 단자케이스의 내부에 이들 각 단자들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이동단자가 로드에 의해 설치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급수되면 부구가 상승되고 이와 접한 로드의 상승으로 이동단자가 각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하면서 설정 수위가 되면 급수를 정지시킴으로 수위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별도의 호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10) 내부에 수조(11)와 세탁조(12)가 설치되고 상기 세탁조(12)의 내부에 세탁수가 급수되어 교반날개(13)에 의해 휘저어짐에 있어서,
    상기 수조(11) 저면에 상기 세탁조(12)와 연통되는 유출구(20)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20)와 직접 연결되며 내부에 부구(31)가 설치된 부구케이스(30)가 구비되고, 상기 부구케이스(30) 상부에 고,중,저,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다수개의 단자(43)(44)(45)(46)가 다단으로 형성된 단자케이스(40)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케이스(40) 내부에 상기 부구(31)의 상승에 따라 상기 각 단자(43)(44)(45)(46)에 선택적으로 접하는 이동단자(4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케이스(30)와 단자케이스(40) 사이에 격판(32)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32)의 중앙에 상기 부구(31)와 연동되는 이동핀(34)이 구비되며 상기 단자케이스(40) 내부에 상기 이동핀(34)의 상부를 감싸는 밸로우즈캡(35)이 마련되고 상기 단자케이스(40) 내부에 상기 밸로우즈캡(35)의 상단과 접하고 외주면에 상기 이동단자(41)가 형성된 로드(4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케이스(40)의 상부에 상기 로드(42)의 상단을 감싸는 수압조절케이스(50)이 설치되고 상기 수압조절케이스(50)의 내부에 상기 로드(42)의 상단을 가압하는 스프링(51)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51)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52)가 상기 수압조절케이스(50)의 상부에 체결됨을 특징으로하는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19960076894A 1996-12-30 1996-12-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9980057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894A KR19980057596A (ko) 1996-12-30 1996-12-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894A KR19980057596A (ko) 1996-12-30 1996-12-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96A true KR19980057596A (ko) 1998-09-25

Family

ID=6639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894A KR19980057596A (ko) 1996-12-30 1996-12-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75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372B1 (ko) * 2004-03-11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KR100730942B1 (ko) * 2005-07-01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801242B1 (ko) * 2006-06-21 2008-02-04 동양기전 주식회사 도금조의 수위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372B1 (ko) * 2004-03-11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
KR100730942B1 (ko) * 2005-07-01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801242B1 (ko) * 2006-06-21 2008-02-04 동양기전 주식회사 도금조의 수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1809A (ko) 전자동 세탁기
KR19980057596A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9980029548U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192452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 용해 제어방법
KR100487342B1 (ko) 세탁기
KR20000028079A (ko) 세탁기의 탈수시간 자동 보정방법
KR200182429Y1 (ko) 세탁기
KR100198568B1 (ko) 드럼세탁기의 거품발생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1187296A (ja) 洗濯機
KR19980063378U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15006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295965B1 (ko) 분리세탁이가능한세탁기
KR20015006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상태 검출장치
KR0151205B1 (ko) 전자동세탁기의 실링장치
KR20030044490A (ko) 세탁기의 배수 감지 장치 및 그에 따른 탈수 제어 방법
KR19990079503A (ko) 2조식 세탁기
KR19990016530U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설치구조
KR19990042144A (ko) 세탁기의 탈수상태 감지장치 및 제어방법
KR0131275Y1 (ko) 삶는 세탁기의 전원단자 보호장치
KR0147217B1 (ko) 세탁기의 뚜껑개폐 감지장치
KR200153544Y1 (ko) 세탁기의 풀리구조
KR200157159Y1 (ko) 2조식세탁기의 배수구조
KR19980067581U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9980049687U (ko) 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KR19990014030U (ko) 세탁기의 수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