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429Y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429Y1
KR200182429Y1 KR2019960042628U KR19960042628U KR200182429Y1 KR 200182429 Y1 KR200182429 Y1 KR 200182429Y1 KR 2019960042628 U KR2019960042628 U KR 2019960042628U KR 19960042628 U KR19960042628 U KR 19960042628U KR 200182429 Y1 KR200182429 Y1 KR 200182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shing
tank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564U (ko
Inventor
조인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2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4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체로 구성된 하우징에 배수구와 마개를 형성한 다음 수조 저면에 결합시키면 배수구와 배수구멍이 연결되고 또한 마개가 코어구멍에 밀폐되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도록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 내부에 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저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수위감지센서와 연결되는 감지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구멍이 각각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과 코어구멍을 동시에 덮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배수구멍과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상기 코어구멍을 밀폐하는 마개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코어구멍에 각각 결합되는 배구수와 마개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도록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본체(10) 내부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담수되는 수조(11)가 구비되고 걸이봉(16)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 매달려 설치된다. 또한 수조(11) 내부에 세탁조(12)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이의 내부바닥에 교반날개(13)가 정역회전 가능토록 설치된다. 교반날개(13)는 세탁과정에서 정역회전 되는 것으로서, 세탁조(12)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를 휘저어 회전수류를 일으킨다. 이처럼 발생된 회전수류에 의해 빨래감이 서로 비벼지면서 세탁된다.
또한 수조(11)의 저면에 동력절환수단(15)이 설치되고 이의 상부에 세탁축(15a)과 탈수축(15b)이 형성되어 세탁조(12)와 교반날개(13)를 회전시킨다. 또한 수조(11)의 저면 일측에 배수구멍(17a)과 연결된 배수구(17)가 설치되고 배수구(17)는 배수밸브(17)를 갖는 배수호스(17b)와 연결된다. 또한 수조(11)의 하부 외주면에 감지구멍(18b)이 형성되고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수위감지센서(18)가 설치되며 감지구멍(18b)과 수위감지센서(18)가 호스(18c)로 연결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12) 내부에 빨래감이 담기고 세탁수가 급수된 다음 세탁이 진행된다. 이때 세탁조(12) 내부로 급수되는 과정에서 감지구멍(18b)과 호스(18c)를 통하여 수위감지센서(18) 쪽으로 세탁수의 수압이 전달되어 수위가 측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한 수위에 도달되면 급수가 중지되고 이후 모터(14)가 정역회전 되면 이의 회전력이 동력절환수단(15)으로 전달되며 감속된 다음 그 정역회전력이 세탁축(15a)을 통하여 교반날개(13) 쪽으로 전달되고 회전수류에 의해 빨래감이 서로 비벼지면서 세탁이 진행된다.
또한 세탁 완료후 세탁수가 배수된 다음 탈수가 진행된다. 이때 배수밸브(17c)가 개방되면 세탁수가 배수구멍(17a)과 배수구(17) 및 배수호스(17b)를 거쳐 외부로 배수되고 배수 완료후 모터(14)가 일방향으로 고속회전 되면 동력절환수단(15)에 의해 세탁축(15a)과 탈수축(15b)이 함께 고속 회전 되고 이때 세탁조(12)가 고속회전 된다. 세탁조(12)가 고속회전 되면 빨래감에 원심력이 작용되어 세탁조(12)의 내주면 쪽으로 퍼지게 되고 이때 빨래감에 묻은 세탁수가 탈수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수조(11)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멍(17a)에 배수구(17)가 체결 고정되고 또한 감지구멍(18b)을 형성하기 위해 수조(11)의 저면에 형성된 코어구멍(18a)이 별도의 마개(18d)에 의해 밀폐됨으로 조립성이 저하된다. 즉 수조(11)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수조(11)의 측면에 형성된 감지구멍(18b)을 형성하기 위해 코어가 빠질수 있는 코어구멍(18a)이 수조(11)의 저면에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코어구멍(18a)이 배수구멍(17a)과 근접된 상태로 형성됨으로 배수구(17)를 배수구멍(17a)에 결합시키고 또한 코어구멍(18a)을 밀폐하기 위해 별도의 마개(18d)를 열 융착 등의 수단으로 고정시켜야 됨으로 조립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일체로 구성된 하우징에 배수구와 마개를 형성한 다음 수조 저면에 결합시키면 배수구와 배수구멍이 연결되고 또한 마개가 코어구멍에 밀폐되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이 향상되도록한 세탁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세탁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수조의 저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수조의 일부발췌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조
12 : 세탁조 18 : 수위감지센서
20 : 배수구멍 30 : 코어구멍
31 : 감지구멍 40 : 하우징
41 : 배수구 42 : 마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내부에 수조와 세탁조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저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수위감지센서와 연결되는 감지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구멍이 각각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과 코어구멍을 동시에 덮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배수구멍과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상기 코어구멍을 밀폐하는 마개가 형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수조의 저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수조의 일부 발췌단면도로서, 제1도와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수조(11)는 사출성형 과정에서 저면 일측에 배수구멍(20)이 형성되고 또한 이와 대응토록 일측에 코어구멍(30)이 형성된다. 코어구멍(30)은 수조(11)의 하부 외주면에 감지구멍(31)을 형성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사출성형과정에서 코어가 수조(11) 내부로 끼워지고 이때 외주면에 감지구멍(31)이 형성된다. 또한 감지구멍(31)은 수위감지센서(18)와 연결된 호스(18c)의 하단이 결합되고 코어구멍(30)과 배수구멍(20)에 단일체로 결합되는 하우징(40)이 마련된다.
하우징(40)은 일측 저면에 배수호스(17b)가 끼워지는 배수구(41)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토록 타측에 코어구멍(30)을 밀폐하는 마개(42)가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40)과 수조(11) 저면 사이에 패킹(43)이 설치되고 하우징(4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나사못(44)이 설치되어 수조(11)의 저면에 체결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단일체로 구성된 하우징(40)의 일측에 배수호스(17b)가 끼워지는 배수구(41)가 마련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에 마개(42)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40)이 수조 저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패킹(43)이 놓이고 또한 나사못(44)이 하우징(40)과 수조(11) 사이에 체결된다. 또한 하우징(40)이 결합되면 배수구멍(20)과 배수구(41)가 일치되고 코어구멍(30)이 마개(42)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코어구멍(30) 직 상부의 감지구멍(31)에 호스(18c)의 하단을 연결하면 수위감지센서(18)에 의해 세탁수의 수압이 감지된다.
이처럼 조립되는 본 고안은 세탁조(12)의 내부에 빨래감이 담기고 세탁수가 급수된 상태에서 세탁이 진행된다. 이때 급수되는 세탁수는 감지구멍(31)을 타고 호스(18c) 쪽으로 흐르며 호스(18c) 상단의 수위감지센서(18)에 의해 세탁조(12) 내부의 수위가 감지된다. 따라서 설정수위가 되면 급수가 자동으로 중단되며 이후 모터(14)가 회전되면 이의 회전력이 동력절환수단(15)을 세탁축(15a)으로 전달된다. 이때 정역회전 되는 세탁축(15a)에 의해 교반날개(13)가 정역회전 되면서 회전수류가 발생되고 빨래감이 서로 비벼지며 세탁이 진행된다.
또한 세탁완료후 탈수가 진행된다. 탈수하는 과정에서 세탁조(12) 및 수조(11) 내부의 세탁수가 배수구멍(20)과 배수구(41)에 의해 외부로 배수된다. 즉 배수호스(17b)에 설치된 배수밸브(17c)가 개방되면 세탁수가 배수구(41)와 배수호스(17b)를 거쳐 외부로 배수되며 이후 모터(14)의 구동으로 동력절환수단(15)이 작동되면 세탁축(15a)과 탈수축(15b)이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세탁조(12) 내부의 빨래감이 탈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조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와 코어구멍이 단일체로 구성된 하우징에 의해 밀폐됨과 동시에 배수호스와 연결된다. 즉 하우징에는 배수구멍과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이의 일측에 코어구멍을 밀폐하는 마개가 형성됨으로 하우징이 수조 저면에 체결되면 배수구가 배구구멍과 일치되며 마개에 의해 코어구멍이 밀폐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 하우징을 조립하면 배수구와 배구구멍이 일치되고 마개가 코어구멍과 일치됨으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0) 내부에 수조(11)와 세탁조(12)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11)의 저면에 배수구멍(20)이 형성되고 또한 수위감지센서(18)와 연결되는 감지구멍(31)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구멍(30)이 각각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멍(20)과 코어구멍(30)을 동시에 덮는 하우징(4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0)의 일측에 상기 배수구멍(20)과 연결되는 배수구(41)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0)의 타측에 상기 코어구멍(30)을 밀폐하는 마개(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19960042628U 1996-11-27 1996-11-27 세탁기 KR200182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28U KR200182429Y1 (ko) 1996-11-27 1996-11-27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28U KR200182429Y1 (ko) 1996-11-27 1996-11-27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64U KR19980029564U (ko) 1998-08-17
KR200182429Y1 true KR200182429Y1 (ko) 2000-06-01

Family

ID=1947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628U KR200182429Y1 (ko) 1996-11-27 1996-11-27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4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64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900A (ko) 전자동 세탁기
JP4389732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182429Y1 (ko) 세탁기
JPH09220395A (ja) 脱水兼用洗濯機の回転槽
KR200150324Y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용 압력호스 및 호스연결관
KR200158628Y1 (ko) 세탁기
KR200142473Y1 (ko) 세탁기
KR200141148Y1 (ko) 전자동 세탁기의 배수구조
KR19980029567U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9980029548U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269464B1 (ko) 세탁기의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0187381Y1 (ko) 세탁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9980057596A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0221419Y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고정구조
KR100261486B1 (ko) 세탁기의 펌프 케이스 고정구조
KR100231329B1 (ko) 절수형 세탁기의 배수장치
KR200289520Y1 (ko) 세탁기용 밸런서
KR940009427A (ko) 세탁기
KR200150327Y1 (ko) 세탁기의 급수호스연결장치
KR200152510Y1 (ko) 절약형 세탁기의 배수장치
KR0133052Y1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JPS6022949Y2 (ja) 洗濯機の水位制御装置
KR19990070177A (ko) 세탁기의 펌프 케이스 고정구조
KR200153537Y1 (ko) 세탁기의 벨로우즈구조
KR100261487B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