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702A -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702A
KR19980052702A KR1019960071721A KR19960071721A KR19980052702A KR 19980052702 A KR19980052702 A KR 19980052702A KR 1019960071721 A KR1019960071721 A KR 1019960071721A KR 19960071721 A KR19960071721 A KR 19960071721A KR 19980052702 A KR19980052702 A KR 1998005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tomatic gain
amplifier
output
gai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3860B1 (ko
Inventor
신일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7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8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860B1/ko

Link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자동이득조정장치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가변이득조정부와, 상기 가변이득조정부에서 조정된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소정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직류증폭부와, 상기 직류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로그함수의 특성으로 안정화하는 신호안정부로 구성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이득조정장치에서 안정된 입력 신호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본 발명은 제어전압을 이용하여 입력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된 신호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이득조정장치는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일정하게 조정한다.
도1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변이득증폭부100와 신호크기검출부102와 비교부104와 직류증폭부106과 신호조정부108과 완충증폭부110으로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가변이득증폭부100는 입력신호Si를 입력받아 제어전압Vc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Si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신호크기검출부102는 가변이득증폭부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의 크기를 검출한다. 비교부104는 신호크기검출부102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기준전압Vr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직류증폭부106는 비교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제어전압Vc으로 출력한다. 신호조정부108는 지수함수의 특성을 갖는 회로로서, 직류증폭부10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지수함수의 특성을 갖는 신호Vi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완충증폭부110는 가변이득증폭부1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완충증폭하여 일정한 크기의 출력신호So로 출력한다.
도2a는 도1과 같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변이득증폭부100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Si와 직류증폭부106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Vc의 관계는 로그함수의 특성을 갖는다.
도2b는 도1과 같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따른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직류증폭부106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Vc과 신호조정부108에서 출력되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Vi의 관계는 지수함수의 특성을 갖는다. 즉, 제어전압Vc와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Vi의 관계는 도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력신호Si와 제어전압Vc의 관계인 로그함수 특성과 상반된 지수함수의 특성을 갖는다.
도2c는 도1과 같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따른 입력신호와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입력신호Si와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Vi는 일정한 비례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에서 신호조정부108는 지수함수의 특성을 가지는 회로로 구현되어, 입력신호의 크기가 작으면 신호의 출력 이득도 작고, 상기 입력신호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신호의 출력 이득도 커진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지수함수의 특성을 가지는 회로는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지수함수의 특성은 신호의 출력 중 일부가 입력측으로 궤환됨으로 인해 입력의 크기가 더 커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수함수 회로의 특성은 큰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출력이 매우 커지게 되므로 안정된 회로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그함수의 특성으로 입력신호를 안정화하는 자동이득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가변이득조정부와, 상기 가변이득조정부에서 조정된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소정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직류증폭부와, 상기 직류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로그함수의 특성으로 안정화하는 신호안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도1과 같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크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도1과 같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도1과 같은 종래의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입력신호와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도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도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입력신호와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변이득증폭부100와 신호크기검출부102와 비교부104와 직류증폭부106과 완충증폭부110과 신호안정화부200으로 구성된다.
도4a는 도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변이득증폭부100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Si와 신호안정화부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Vc의 관계는 로그함수의 특성을 가진다.
도4b는 도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제어전압과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신호안정화부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Vc과 직류증폭부106에서 출력되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Vi의 관계는 로그함수의 특성을 가진다.
도4c는 도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이득조정장치의 구성에 의한 입력신호와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가변이득증폭부100으로 입력되는 입력신호Si와 직류증폭부106에서 출력되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Vi은 일정한 비례 관계를 가진다.
도3 및 도4a 내지 도4c을 참조하면, 가변이득증폭부100는 입력신호Si를 입력받아 제어전압Vc에 따라 상기 입력신호Si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전압Vc와 상기 입력신호Si의 관계는 도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그함수의 특성을 나타낸다. 신호크기검출부102는 가변이득증폭부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고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비교부104로 전달한다. 비교부104는 인가되는 기준전압Vr과 신호크기검출부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직류증폭부106는 비교부1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직류분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신호안정화부200는 로그함수의 특성을 가지는 회로로서, 직류증폭부10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Vi를 안정화하여 가변이득증폭부100에 인가되는 제어전압Vc를 출력한다. 상기 직류증폭부106에서 출력되는 신호 즉, 입력신호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Vi와 상기 제어전압Vc의 관계는 상기 도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그함수의 특성을 갖는다. 완충증폭부110는 가변이득증폭부1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완충증폭하여 일정한 크기의 출력신호So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이득조정장치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매우 큰 경우에도 제어전압에 따라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을 일정하게 하는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제어전압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가변이득조정부와,
    상기 가변이득조정부에서 조정된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인가되는 소정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직류증폭부와,
    상기 직류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안정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득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안정화부는 로그함수의 특성을 가지는 회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득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은 상기 신호안정화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득조정장치.
KR1019960071721A 1996-12-24 1996-12-24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KR100193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21A KR100193860B1 (ko) 1996-12-24 1996-12-24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21A KR100193860B1 (ko) 1996-12-24 1996-12-24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702A true KR19980052702A (ko) 1998-09-25
KR100193860B1 KR100193860B1 (ko) 1999-06-15

Family

ID=6638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721A KR100193860B1 (ko) 1996-12-24 1996-12-24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977A (ko) * 2004-05-24 2005-11-29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이득 보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3860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4539A3 (en) Receiver capable of outputting a high quality signal without regard to an input signal level
US5015839A (en) Automatic gain multiplication fac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7551031B2 (en) Amplifier
US4147892A (en) Speakerphone with dynamic level discriminator
JPH05206771A (ja) 自動出力電力制御回路
KR100193860B1 (ko) 안정된 신호의 특성을 가지는 자동이득조정장치
KR970063155A (ko) 신호 처리를 위한 광디스크의 프리앰프
JPH02209029A (ja) 自動利得制御装置
JP2001036351A (ja) 電力増幅装置
KR0151414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KR0152002B1 (ko) 자동이득 제어되는 전력증폭회로
JP2713126B2 (ja) 光受信装置
CA2053124A1 (en) Speech detection circuit
KR940009480B1 (ko) 색신호의 윤곽 강조회로
JPH0832384A (ja) バースト波対応apc回路
JPH0691396B2 (ja) 自動利得制御増幅器
JP3253845B2 (ja) 自動電力制御回路
JPH06244645A (ja) 増幅回路
KR20020014253A (ko) 바이어스 전압 조정이 가능한 전력 증폭 회로
JP2574706B2 (ja) 送信機
JPS5815347A (ja) 光受信回路の自動利得制御方式
KR0159660B1 (ko) 다단 자동이득 조절 증폭기 설계에 따른 왜곡 방지회로
KR20010009635A (ko) 고주파 전력증폭기의 이득감쇄회로
JP3012850B2 (ja) 自動利得制御回路
JPS62146010A (ja) 検出スイツ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