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177A -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177A
KR19980050177A KR1019960068956A KR19960068956A KR19980050177A KR 19980050177 A KR19980050177 A KR 19980050177A KR 1019960068956 A KR1019960068956 A KR 1019960068956A KR 19960068956 A KR19960068956 A KR 19960068956A KR 19980050177 A KR19980050177 A KR 1998005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fixed
index
mobile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1710B1 (ko
Inventor
이점도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6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7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71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involving logging of persistent data for recov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이동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목적은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NV 메모리 내부의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정 메모리 부분을 이중화시켜 손실이 발생시 이를 쉽게 복구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 특징은 메모리의 선두부분에 이미 할당된 고정 메모리 영역과 동일한 내용을 가진 예비 고정 메모리를 NV 메모리 번지의 마지막 부분에 할당하는 단계 및 첫번째 고정 메모리의 인덱스 아이템을 읽거나 쓸 때에 인덱스 어드레스 값에 에러가 발생하면 예비로 할당되어 있는 예비 고정 메모리 영역을 참조하여 에러를 복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이 이중화 방법
본 발명은 CDMA 이동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 중 고정 메모리 부분의 손실에 대한 복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MA 이동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 이동단말기에 사용되는 비휘발성(Non Volatile, 이하 NV라고 약칭함) 메모리인 EEPROM은 사용자 및 이동단말기의 주요 데이터를 반영구히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NV 메도리의 손실중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NV 메모리의 선두번지에 저장되는 고정영역 부분으로 이부분은 단말기의 고유정보 및 인덱스 어레이 부분이 위치하는 부분이다.
NV 메모리는 이동단말기의 시스템 파라미터, 사용자 중요정보 등을 기록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각각의 파라미터를 영구히 저장하며, 필요할 때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도록 한 메모리이다. 이동단말기 NV 메모리 데이터 중에 가장 중요한 영역이 고정 메모리 데이터이다. 고정영역을 이중화시키면, 내부적인 원인 또는 전기적인 충격의 원인으로 손실된 고정영역을 NV 메모리의 다른 위치에 저장된 동일한 내용의 예비 데이터(제 2 고정 데이터)로 복구할 수 있다. NV 메모리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고정 아이템과, 가변 아이템으로 구성된다. 고정 아이템은 이동단말기의 고유정보를 말하며, 한번 기록되면 변경되지 않는 값으로 ESN(Electronic Serial Number),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SCM(Station Class Mark), VER NO. 등이 있다. 가변 아이템은 이동단말기 사용중 수시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말하며, 종류로는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제어 레지스터 값, 이동단말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번호 등을 저장한 사용자 정보 등을 말한다. 고정 데이터 영역은 고정 아이템과 가변 아이템이 기록된다. 가변 아이템은 상대 어드레스 번지 지정방식에 따라 고정 데이터 영역에 인덱스 포인터 배열이 있기 때문에 아이템이 기록된 번지를 가리키는 포인터 값을 저장한다. 도 1은 기존의 NV 메모리 고정 메모리 구조를 보인 것이다. 기존의 NV 메모리 저장방식은 NV 메모리 영역의 시작점에 오직 하나의 고정 메모리 영역이 위치하며 이 부분이 전체 데이터의 저장위치인 아이템의 어드레스(포인터)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도 3은 NV 메모리 데이터를 고정 메모리 영역에서 읽는 기존의 방법을 보인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읽기방법은 읽고자 하는 아이템을 가져오기 위해서, 고정 메모리 영역을 우선 읽어, 읽고자 하는 데이터의 포인터 값을 읽는다.(301). 읽어 온 데이터가 NV 메모리의 인덱스 번지 값인가를 확인(302)하여, 인덱스 값이면, 해당 인덱스 포인터 값이 지시하는 번지로 가서 저장된 아이템의 읽고자 하는 데이터를 읽어 온다(303). 만약 읽어 온 데이터가 NV 메모리의 인덱스 번지 값이 아니면 에러로 처리한다(304).
도 5는 NV 메모리 데이터를 고정 메모리 영역에서 쓰는 기존의 방법을 보인 것이다. 기존의 방법은 쓰고자 하는 데이터를 해당 인덱스 포인터가 지시하는 번지에 쓰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 메모리 영역의 해당 포인터가 기록된 인덱스 포인터를 읽는다(501). 읽어 온 데이터가 NV 메모리의 인덱스 번지 값인가를 확인(502)하여 인덱스 값이면 해당 포인더가 지시하는 번지로 가서 쓰고자 하는 데이터를 쓴다(503). 읽어 온 데이터가 인덱스 번지값이 아니면 에러로 처리(504)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에 대한 신뢰도가 낮고 손실 발생시 이를 쉽게 복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에 대한 신뢰도를 향샹시키기 위해 NV 메모리 내부의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정 메모리 부분을 이중화시켜 손실이 발생시 이를 쉽게 복귀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메모리의 선두부분에 이미 할당된 고정 메모리 영역과 동일한 내용을 가진 예비 고정 메모리를 NV 메모리 번지의 마지막 부분에 할당하는 단계 및 첫번째 고정 메모리의 인덱스 아이템을 읽거나 쓸 때에 인덱스 어드레스 값에 에러가 발생하면 예비로 할당되어 있는 예비 고정 메모리 영역을 참조하여 에러를 복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동단말기 NV 메모리의 주요 데이터 저장 부분인 고정데이터 부분을 이중화시키면, 첫번째 고정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했을 때, 예비의 고정영역에 저장된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실된 부분의 고정영역을 복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CDMA이동단말기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CDMA 이동단말기의 기존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도시한 메모리 맵,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이동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 데이터의 저장방법을 도시한 메모리 맵,
도 3은 CDMA 이동단말기의 기존의 비회발성 메모리 읽기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DMA 이동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 읽기동작의 흐름도,
도 5는 CDMA 이동단말기의 기존의 비휘발성 메모리 쓰기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CDMA 이동단말기의 비회발성 메모리 쓰기동작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개선한 이중화 고정 메모리 저장방법을 보인 것이다.
예비 고정 메모리는 NV 메모리 영역의 마지막 번지 부분에 위치하며, 본래의 고정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이 들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아이템을 두 개의 동일한 인덱스 포인터가 지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기존의 방법을 개선한 본 발명의 이중화 고정 메모리 영역의 NV 메모리 데이터 읽기동작을 보인 것이다. 읽고자 하는 데이터를 NV 메모리에서 가져 오기 위해서는 첫번째 고정 메모리를 읽어 해당 아이템의 인덱스 포인터 값을 읽는다(401). 읽은 데이터 값이 NV 메모리의 인덱스 번지인가(4022)를 검출하고, 읽은 값이 인덱스 번지이면 해당 인덱스가 지시하는 번지로 가서 읽고자 하는 아이템을 읽어(403)온다. 만약 읽은 데이터 값이 인덱스 번지 값이 아니라면 예비(제 2)의 고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동일한 인덱스 포인터 값을 읽는(404)다. 읽은 데이터 값이 NV 메모리의 인덱스 값인가(405)를 검출하고, 인덱스를 지시하는 값이 아니면, 에러발생으로 처리(406)한다. 인덱스 포인터 값이면 예비 데이터를 에러가 발생한 첫번째 고정 메모리 영역의 해당 아이템에 동일한 값을 복사(407)하고, 해당 인덱스가 지시하는 번지로 가서 읽고자 하는 아이템을 읽어(403)온다.
도 6은 기존의 방법을 개선한 본 발명의 이중화 고정 메모리 영역의 NV 메모리 데이터 쓰기동작을 보인 것이다. 쓰고자 하는 데이터를 NV 메모리에 가져가기 위해서는 첫번째 고정 메모리를 읽어 해당 아이템의 인덱스포인터 값을 가져온(601)다. 읽은 데이터 값이 NV 메모리의 인덱스 번지인가를(602) 검출하고 읽은 값이 인덱스 번지이면 해당 인덱스가 지시하는 번지로 가서 쓰고자 하는 아이템을 쓴(603)다. 만약 읽은 데이터 값이 어레이번지 값이 아니라면, 예비(제 2)의 고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동일한 인덱스 포인터 값을 읽는(604)다. 읽은 데이터 값이 NV 메모리의 인덱스 값인가(605)를 검출하고, 인덱스를 지시하는 값이 아니면 에러발생으로 처리(606)한다. 인덱스 포인터 값이면, 예비 데이터를 에러가 발생한 첫번째 고정 메모리 영역의 해당 아이템에 동일한 값을 복사(607)하고, 해당 인덱스가 지시하는 번지로 가서 쓰고자 하는 아이템을 쓴(603)다.
기존의 NV 메모리 데이터 관리방식인 하나의 고정 데이터 영역운용을 제 1 고정 데이터 영역과 동일한 내용의 예비 제 2 고정 데이터 영역을 두어 2개의 고정 데이터 영역이 운용되므로 제 1 고정 데이터 영역의 손실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예비 고정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NV 메모리의 내용을 읽을 수 있어, CDMA 이동단말기의 선뢰도의 향상을 기할수 있다는 데에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메모리의 선두부분에 이미 할당된 고정 메모리 영역과 동일한 내용을 가진 예비 고정 메모를 NV 메모리 번지의 마지막 부분에 할당하는 단계, 및 첫번째 고정 메모리의 인덱스 아이템을 읽거나 쓸 때에 인덱스 어드레스값에 에러가 발생하면 예비로 할당되어 있는 예비 고정 메도리 영역을 참조하여 에러를 복구하는 단계로 이루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KR1019960068956A 1996-12-20 1996-12-20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KR10023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956A KR100231710B1 (ko) 1996-12-20 1996-12-20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956A KR100231710B1 (ko) 1996-12-20 1996-12-20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177A true KR19980050177A (ko) 1998-09-15
KR100231710B1 KR100231710B1 (ko) 1999-11-15

Family

ID=1948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956A KR100231710B1 (ko) 1996-12-20 1996-12-20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31B1 (ko) * 1999-12-23 2006-06-01 브이케이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운용방법
KR100824510B1 (ko) * 2005-08-16 2008-04-22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순환 기록 방식의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방법의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3270B2 (ja) 2005-08-16 2010-11-1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6719A (en) * 1987-12-28 1989-06-06 Ford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valve seats and valve stem guides in a deep-walled engine monoblock workpie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31B1 (ko) * 1999-12-23 2006-06-01 브이케이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를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운용방법
KR100824510B1 (ko) * 2005-08-16 2008-04-22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순환 기록 방식의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방법의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1710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332B1 (en) Storage device and alternate processing method for defective sectors of the same
RU2242805C2 (ru) Способ запис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US5734816A (en) Nonvolatile memory with flash erase capability
US6795890B1 (en) Data storage method, and data processing device using an erasure block buffer and write buffer for writing and erasing data in memory
KR100644602B1 (ko) 플래시메모리를 위한 재사상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플래시 메모리의 구조
US5515333A (en) Semiconductor memory
US6725321B1 (en) Memory system
KR100218871B1 (ko) 반도체 디스크 장치
KR0121800B1 (ko) 메모리 카드장치
US6839798B1 (en) Flash memory capable of storing frequently rewritten data
EP0321251B1 (en)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concerning defects on storage media
US5765211A (en) Segmenting non-volatile memory into logical pages sized to fit groups of commonly erasable data
JPH05314019A (ja) メモリカード装置
US20090006749A1 (en) Drive tracking system for removable media
US5450251A (en) Sector relocation system in a magnetic disc apparatus
KR100231710B1 (ko) Cdma 이동단말기의 nv 메모리의 고정영역에 저장되는 인덱스 데이터의 이중화 방법
JP3950316B2 (ja) Icカードおよびicカードのメモリアクセス制御方法
JPS60129976A (ja) 記憶情報の代替方式
JP2005242903A (ja) メモリ装置、メモリ制御方法、及びメモリ制御装置
KR100727399B1 (ko)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증가된 메모리 카드
JPH04153792A (ja) Icカード
CN114371816A (zh) 一种数据存储方法及电子设备
US7409598B2 (en) Information storage system
JP3741535B2 (ja) 不揮発性記憶装置
CN116225326A (zh) 数据存储方法、模块、无人机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