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721U -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 Google Patents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721U
KR19980048721U KR2019960061886U KR19960061886U KR19980048721U KR 19980048721 U KR19980048721 U KR 19980048721U KR 2019960061886 U KR2019960061886 U KR 2019960061886U KR 19960061886 U KR19960061886 U KR 19960061886U KR 19980048721 U KR19980048721 U KR 19980048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earing
propeller shaft
fastening
cor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1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7851Y1 (ko
Inventor
최선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1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851Y1/ko
Publication of KR19980048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60Positive connections with threaded parts, e.g. bolt and nu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6Drive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propeller shaft center bearing)용 심(shim)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후륜 구동 자동차의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센터베어링캐리어와 센터베어링의 고정편 또는 하부차체에 설치되는 심조립체에 있어서, 센터베어링캐리어(7)를 관통하며 나선이 형성된 일단부(11a)를 지닌 체결로드(11), 및 상기 체결로드(11)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12)로 구성되는 체결볼트(10);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에 삽입되는 중앙구멍(21)이 형성되고, 외주변 전체에 나선부(22)가 형성되는 제 1심(20); 상기 제 1심(20)이 하부개구부(32a)로 삽입되어 나선부(22)가 나사결합되는 나선구멍(32)이 형성된 조절너트(30);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에 삽입되는 중앙구멍(41), 및 상기 조절너트(30)의 상부개구부(32b)로 삽입되어 나선구멍(32)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42)가 전체 외주면에 주변에 형성된 제 2심(40); 및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의 일단부(11a)에 고정되는 체결너트(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프로펠러샤프트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를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프로펠러샤프트의 소음 또는 진동이 방지될 뿐 아니라 프로펠러샤프트의 정확한 회전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본 고안은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propeller shaft center bearing)용 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륜구동자동차의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의 높이 또는 프로펠러샤프트와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고 신속하게하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오른나사 및 왼나사 원리를 이용하는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림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자동차는 전륜구동방식과 후륜구동방식으로 구분되며, 이중 후륜구동방식 자동차에는 프로펠러샤프트가 장착되어 있어 트랜스미션과 디퍼렌셜 기어를 연결하여 각각의 바퀴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같은, 일반적인 프로펠러샤프트가 하부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일반적인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일반적인 프로펠러샤프트는 유니버셜조인트(3)에 의해 트랜스미션(TR)에 연결되는 제 1샤프트부재(1) 및 유니버셜조인트(4)에 의해 디퍼렌셜기어(DG)에 연결되는 제 2샤프트부재(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샤프트부재(1,2)는 중앙부에서 유니버샐조인트(5) 및 센터베어링(6)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이와같이 각각의 샤프트부재(1,2)가 유니버샐조인트(3,4,5)에 의해 상호연결되거나 각각의 부품에 연결되는 것은 자동차의 구동중 연속적으로 비트림토오크를 받으면서 고속회전하기 때문에 프로펠러샤트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6)은, 상기 각각의 프로펠러샤프트부재(1,2)의 양단부를 보호하는 베어링으로서 각각의 프로펠러샤프트부재(1,2)와 각각의 프로펠러샤프트부재(1,2)에 연결된 트랜스미션(TM)과 디퍼렌셜기어(DG)와의 각도를 조절하여 진동을 억제하고 회전구동을 적절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따라 이같은 센터베어링(6)은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센터베어링캐리어(7)에 의해 하부차체에 고정되는바, 이같은 센터베어링(6)과 캐리어(7)간의 고정에는 심조립체(8)가 이용된다.
이같은 심조립체(8)는 통상적인 볼트(8a), 너트(8b) 및 심(8c)을 포함한다. 이같은 심조립체(8)의 심(8c)은 다양한 두께를 지니는 와셔(washer)형으로 형성되며, 센터베어링(6)과 캐리어(7) 사이 또는 하부차체(UB)와 캐리어(7)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삽입됨으로써 센터베어링(6)의 높이 또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심조립체(8)로 센터베어링(6)의 높이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심조립체(8)를 완전히 분해한 상태에서 심(8c)을 추가 삽설하거나 또는 제거해야하므로 조절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심(8c)의 기본적인 두께에 의해 조절범위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없어 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가 적절히 유지되지 못하여 프로펠러샤프트가 최적상태로 구동되지 못하여 소음 및 진동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로펠러샤프트의 각각의 샤프트부재의 각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를 미세범위까지 조절할 수 있는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를 자체의 분해없이 영구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후륜 구동 자동차의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센터베어링캐리어와 센터베어링의 고정편 또는 하부차체에 설치되는 심조립체에 있어서, 센터베어링캐리어를 관통하며 나선부가 형성된 일단부를 지닌 체결로드, 및 상기 체결로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로 구성되는 체결볼트;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로드에 삽입되는 중앙구멍이 형성되고, 외주변 전체에 나선이 형성되는 제 1심; 상기 제 1심이 하부개구부로 삽입되어 나선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선구멍이 형성된 조절너트;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로드에 삽입되는 중앙구멍, 및 상기 조절너트의 상부개구부로 삽입되어 나선구멍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가 전체 외주면 주변에 형성된 제 2심; 및 상기 체결볼트의 체결로드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제 1심의 나선부의 나선과 제 2심의 나선부의 나선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프로펠러샤프트가 하부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심조립체가 센터베어링 및 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부분절취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센터베어링 7: 센터베어링캐리어
10: 체결볼트11: 체결로드
12: 헤드20 : 제 1심
21: 중앙구멍22: 나선부
30: 조절너트31: 파지부
32: 나선구멍40: 제 2심
41: 중앙구멍42: 나선부
50: 체결너트51: 체결구멍
52: 파지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가 센터베어링캐리어 및 센터베어링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부분절취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심조립체는 고정볼트(10), 제 1심(20), 조절너트(30) 제 2심(40) 및 체결너트(5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볼트(10)는 센터베어링캐리어(7) 및 센터베어링(6)의 고정편(6a) 또는 하부차체를 관통하는 체결로드(11), 및 체결로드(11)에 일체로 형성된 헤드(1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로드(11)의 일단부(11a)에만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11a)로부터 헤드까지는 평탄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심(20)은 상기 고정볼트(10)의 체결로드(11)에 삽설되는 중앙구멍(21)이 형성되며, 외측주변 전체에는 나선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부(22)는 왼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너트(30)의 외측에는 그자체를 용이하게 회전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파지부(31)가 형성되며, 조절너트(30)에는 또한 나선이 형성된 나선구멍(32)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나선구멍(32)의 양단부에는 하부개구부(32a)와 상부개구부(32b)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구멍(32)의 하부개구부(32a)를 통해 상기 제 1심(20)이 나사결합된다.
제 2심(40)은 상기 체결볼트(10)에 삽설되는 중앙구멍(41)이 형성되며, 외측주변 전체에는 나선부(42)가 형성되는 바, 상기 나선부(42)는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심(40)은 상기 조절너트(30)의 상부개구부(32b)를 통해 나사결합된다.
또한 체결너트(50)는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의 일단부(11a)에 해제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체결구멍(51)이 형성되며 그 외주변에는 용이한 파지를 위한 파지부(52)가 형성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심조립체를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6)에 체결하는 방식에 의하면, 먼저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를 캐리어(7)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로드(11)에 제 1심(20)을 삽입하고, 상기 제 1심(20)에 조절너트(30)를 나사결합한 후 제 2심(40)을 상기 조절너트(30)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센터베어링(5)의 체결편(7a)을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너트(50)를 상기 체결로드(11)의 일단부(11a)에 나사결합시켜 체결고정함으로써 프로펠러샤프트에 대한 심조립체의 장착을 완료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심조립체를 캐리어(7) 및 센터베어링(5)에 장착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같은 심조립체는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7)와 하부차체의 연결고정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와같이 심조립체를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에 설치하면, 조절너트(30)를 오른방향 또는 왼방향으로 돌리면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6)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바, 예컨대 조절너트(30)를 오른방향으로 돌리면 제 1심(20) 및 제 2심(40)이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센터베어링의 높이가 높아지며, 역으로 조절너트(30)를 왼방향으로 돌리면 각각의 심(20,40)이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센터베어링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같은 조절은 조절너트(30) 및 각각의 심(20,40)의 나선(22,42)의 피치(pitch)에 의해 매우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어 센터베어링(6) 뿐 아니라 각각의 프로펠러샤프트부재간의 상호각도 및 주변 구성요소간의 각도를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심조립체를 프로펠러샤프트의 센터베어링에 설치하면, 심조립체를 분해함이 없이 용이하게 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다수의 심이 필요없이 정확하고 미세하게 센터베어링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프로펠러샤프트의 각각의 샤프트부재의 각도를 정확히 조절하여 전체적인 밸런스를 정확히 맞출 수 있으며, 이에따라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뿐 아니라 정확한 회전운동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후륜 구동 자동차의 프로펠러샤프트(propeller shaft)의 센터베어링(center bearing)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센터베어링캐리어와 센터베어링의 고정편 또는 하부차체에 삽입설치되는 심조립체에 있어서,
    센터베어링캐리어(7)를 관통하며 나선이 형성된 일단부(11a)를 지닌 체결로드(11), 및 상기 체결로드(11)에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12)로 구성되는 체결볼트(10);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에 삽입되는 중앙구멍(21)이 형성되고, 외주변 전체에 나선부(22)가 형성되는 제 1심(20);
    상기 제 1심(20)이 하부개구부(32a)로 삽입되어 나선부(22)가 나사결합되는 나선구멍(32)이 형성된 조절너트(30);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에 삽입되는 중앙구멍(41), 및 외주변 전체에 상기 조절너트(30)의 상부개구부(32b)로 삽입되어 나선구멍(32)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42)가 전체 외주면에 형성된 제 2심(40); 및
    상기 체결볼트(10)의 체결로드(11)의 일단부(11a)에 고정되는 체결너트(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심(20)의 나선부(22)의 나선과 제 2심(40)의 나선부(42)의 나선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KR2019960061886U 1996-12-30 1996-12-30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KR200147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86U KR200147851Y1 (ko) 1996-12-30 1996-12-30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1886U KR200147851Y1 (ko) 1996-12-30 1996-12-30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721U true KR19980048721U (ko) 1998-09-25
KR200147851Y1 KR200147851Y1 (ko) 1999-06-15

Family

ID=1948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1886U KR200147851Y1 (ko) 1996-12-30 1996-12-30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8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7851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3999B2 (en) Fastener with opposite hand threads for securing two components together
JP3388357B2 (ja) 車両用差動ユニット
US5651588A (en) Bolt fastening structure for easily fastening bolts
US4943263A (en) Structure for mounting damper on rotary shaft
EP3820769B1 (en) Electric bike
US5598749A (en) Table turning apparatus
US5913938A (en) Gear reduction assembly
US6976922B2 (en) Precision thrust bearing joint
KR200147851Y1 (ko)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용 심조립체
GB2086498A (en) Axle differential
US7101296B1 (en) Synchronous rear belt drive system for motorcycles and method of use
US5868626A (en) Universal joint yoke having axially-extending grooves
US4635505A (en) Axle-controlled differential
US4840089A (en) Axle-controlled, positive differential
US4520692A (en) Speed differential device
KR200141715Y1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
US4530415A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front-engine front-drive car
CN220096447U (zh) 一种转向器的角度调节装置
JP2602744Y2 (ja) ポンプ取付構造
KR0117959Y1 (ko) 자동차용 조향 조인트와 조향기어 체결구조(A joint structure in steering-joint and steering-gear for car)
JPH1047365A (ja) 可撓軸継手
JP2963409B2 (ja) 自動車用ハンドルボス
KR19980038372U (ko) 유니버설 조인트 체결장치
JPH0710924Y2 (ja) トルク伝達軸
KR19980040342U (ko) 충격흡수를 위한 자동차 추진축 플렌지 요크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