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083A -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083A
KR19980048083A KR1019960066623A KR19960066623A KR19980048083A KR 19980048083 A KR19980048083 A KR 19980048083A KR 1019960066623 A KR1019960066623 A KR 1019960066623A KR 19960066623 A KR19960066623 A KR 19960066623A KR 19980048083 A KR19980048083 A KR 19980048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ferromagnetic powder
recording medium
magnetic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9387B1 (ko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이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준 filed Critical 이석준
Priority to KR101996006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38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11B5/848Coating a support with a magnetic layer by extrusion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자성 지지체상에 강자성 분말 및 카본블랙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한 도포액을 사용하여 비자성지지체와 인접한 제1의 비자성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강자성분말 및 카본블랙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킨 도포액을 제2의 자성층으로 형성한 후 배향, 건조, 표면 평활화, 경화 및 제단공정을 통해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비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부피비가 1.0~7.5이고,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비표면적비가 2~16이고, 제2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부피비가 0.02~0.3이고,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비표면적비가 0.05~0.6인 자기기록매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구조의 자기기록매체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비자성지지체 상에 자성층만이 적층된 종래의 자기기록매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Ⅰ:비자성 지지체Ⅱ:비자성층
Ⅲ:자성층
본 발명은 비자성 지지체상에 자성층을 형성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디오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등의 자기 테이프 및 플로피디스크등의 자기 디스크등으로 된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제품보다도 넓은 영역을 가지는 비자성 지지체상에 자성도포액을 도포해서 자성층을 형성하고, 배향 처리 등을 하여 건조한 후 상기 자성층을 표면 평활화 처리하여 자기기록매체의 원판을 만든다. 그 후 경화 공정을 거쳐 최종의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최종의 공정으로 카세팅 등의 공정을 거쳐서 다음 단계의 최종 제품인 카세트를 만들 수도 있다.
상기 자성 도포액의 제조는 강자성 분말, 알루미나 카본블랙등의 기타 무기물 및 윤활제, 경화제, 분산제 등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하여 제조하고, 상기 표면 평활화 처리는 자성층 표면의 평활화 및 충진밀도 등을 향상시키므로써, 도포 두께의 균일화 등을 달성 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표면의 평활화는 자기기록매체의 재생출력의 향상 및 노이즈의 감소에 매우 유효하다.
최근 자기기록 시스템 및 고밀도 기록등의 기술발달로 인하여 자기기록매체의 기억용량이 많은 기록매체의 제조가 요구되므로 상기 기록매체의 단위면적당 정보기억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기록의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을 하는 자기헤드로부터 발생하는 기록 자속을 미소한 면적에 집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기 자기헤드가 소형화되고, 발생 자속량이 감소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처럼 감소되어지는 자속에서 자성체의 자화방향을 국부에서 반전하기 위하여는 상기 자성층 체적의 감소 즉, 자성체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서 완전한 자화반전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자성층의 체적이 감소하게되면 광차폐효과의 저하, 박막의 층형성으로 인한 표면성 저하, 표면성 저하로 인한 특성 저하 및 드롭아웃트의 증가, 내구성 저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자기기록매체는 비자성 지지체(Ⅰ) 상에 강자성 분말을 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한 자성 도포액을 도포한 자성층(Ⅲ)을 형성하므로써 제조되는데, 이때 자기기록매체의 두께는 VHS 규격에서 17㎛이상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프는 비자성 지지체의 두께가 13에서 16㎛범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질물질을 사용하고 그 위에서 2에서 4㎛ 정도의 자성층을 도포하거나 증착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므로써,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자성체를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하게되는데, 이때, 도포층이 1층이므로 자기기록매체에 요구되는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기에는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비자성 지지체에 형성되는 자성층의 도포형태 및 부피농도의 구성이 매체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규정하므로써 각각의 자성층의 역할을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밀도 기록이 가능하고 자기특성이 우수하며, 특히 전자변환 특성이 우수한 고품위의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자성 지지체상에 강자성 분말 및 카본블랙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한 도포액을 사용하여 비자성지지체와 인접한 제1의 비자성층을 형성하고, 그위에 강자성분말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킨 도포액을 제2의 자성층으로 형성한 후 건조, 표면 평활화, 경화 및 제단공정을 통해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비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부피비가 1.0~7.5이고,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비표면적비가 2~16이고, 제2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부피가 0.02~0.3이고,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비표면적비가 0.05~0.6인 자기기록매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자기기록매체의 단면도로서, 비자성 지지체상(Ⅰ)에 강자성 분말 및 카본 블랙을 주성분으로하여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켜 제1층인 비자성층(Ⅱ)을 형성하고 그위에 제2층인 강자성분말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한 자성 도포액을 도포한 자성층(Ⅲ)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물질로서 구성된 비자성 지지체 상에 강자성 분말 및 카본 블랙을 주성분으로 하여 윤활제, 분산제등의 물질을 결합제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한 비자성 도포액을 고분산 공정을 거쳐 제조한 후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강자성 분말, 연마제, 카본블랙 등의 무기물과 윤활제, 경화제, 분산제 등을 결합제용액에 고분산 공정을 거쳐 분산시켜 제조한 자성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2자성층을 형성을 한 후 배향, 건조 표면 평활화, 경화 및 제단공정을 거쳐 주행성, 주행내구성등이 우수하고 특히 전자변환 특성이 극히 우수한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자성지지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아라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아라미드 등의 공지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비자성 지지체는 중심선 평균표면조도가 0.1㎛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또 이러한 비자성 지지체는 단순히 중심선평균표면조도가 작아야하는 것 뿐만 아니라 1.0㎛ 이상의 조대돌기가 없을수록 좋다. 또 표면조도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필라로 자유롭게 콘트롤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필라로는 Ca, Si, Ti 등의 산화물과 탄산염, 아크릴계 등의 유기미립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성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강자성 분말은 특별한 제한은 없다. 그 예로 γ-Fe2O3, Co함유, γ-Fe2O3, Fe3O4, Co함유 Fe3O4, CrO2, Co-Ni-P 합금, Fe-Co-Ni 합금, 바륨페라이트, 스트로튬페라이트 등의 공지의 강자성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며 Co함유 γ-Fe2O3, Co함유 Fe3O4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마제로는 알파페라이트, SiO2, TiO2, ZrO2, SnO2, Sb2O3, Cr2O3및 Al2O3등의 무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카본블랙의 종류는 스페샬블랙 또는 고무용 블랙등이 있고, 구체적으로는 40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펠렛(비드) 또는 파우드 타입의 카본블랙의 종류로서는 카보트상의 블랙펄즈엘, 리갈 600 시리즈, 불간 9A32, 불칸P, 모나크 880, 모나크 800, 블랙펄즈 880, 블랙펄즈 800, 불칸 XC-72, 리갈 330R, 리갈99R 등과 데구사의 프린덱스 시리즈인 프린덱스 85, 75, L, 55, 45, 40, 35 등과 콜롬비아사의 레이븐 2000, 콘덕텍스 900, 레이븐 1250, 1170, 1020, 850 등과 미쯔비시사의 #850, MCF 88, MA600, #3150, #45, #47, #44, #33, CF9 등과 (주)럭키의 하이블랙시리즈인 600L, 60L, 50LB, 40B1, 40B2, 45LB, 40L, 30L, 30LB, 20L, 5L, 40, 30, 20B, 20, 20B, 10, 10B 등을 단독 또는 혼합사용할 수 있고, 40nm 이상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펠텔(비드) 또는 파우드 타입의 카본블랙의 종류로서는 카보트상의 블랙펄즈 280, 130, 모나크 120 등과 데구사의 프린덱스 A, G 콜롬비안사의 레이븐 14, 430 미쯔비시사의 #20, #10 (주)럭키의 하이블랙 150B, 160B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윤활제의 종류는 에스테르계 지방산, 지방산 등이 있고, 구체적으로 라우린산, 미리스친산,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부틸, 올레인산, 올레일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분산제로는 티타늄계의 경우 이소프로필 트리이소스테아로릴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 트리(도데실)벤젠술포닐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 트리(디옥틸)포스페이토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 트리(디옥틸)피로포스페이토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 트리에틸티타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알루미늄계로는 디이소부틸(올레일)아세토 아세틸 알루미네이트, 디이소프로필(올레일) 아세토아세틸 알루미네이트, 아세토알콕시알루미늄 디이소프로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로는 염화비닐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로부터 분리된 혼합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각 결합제에는 -COOM, -OSO3M, -SO2M, PO(OM1)(OM2), -OPO(OM1)(OM2), NR4X(여기서 M, M1, M2는 Li, Na, K, H, -NR4또는 HNR3을 표시하고, R은 알킬기 또는 H를 표시하고, X는 할로겐 원자를 표시한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니온 카바이드사의 UCAR-527, UCAR-569, VAGH, VYHH, VMCH, VAGF, VAGD, VROH, VYES, VYNC, VMCC, XYHL, XYSG, PKHH, PKHJ, PKHC, PKFE 등과 일신화학공업사의 MPR-TA, MPR-TA5, MPR-TAL, MPR-TSN, MPR-TMF, MPR-TS, MPR-TM, MPR-TAO 등과 전기화학사의 100OW, DX80, DX82, DX83, 100FD 등과 일본 제은사의 MR105, MR100, MR-110 등과 일본 폴리우레탄사의 닛포란 N2301, N2302, N2304, 대일본잉크사의 판텍스 T-5105, T-R3080, T-5201 등과 몰톤사의 CA-271, CA-237, CA-2237, CA-236, CA-239, CA-397, CA-398, CA-399, 84847, CA-151HT, CA-152 등과 삼양화성사의 TI시리즈인 TI-9200, TI-1331, TI-8222, TI-8202, TI-8321, TI-8405, TI-8550, TI-8800, TI-8860, TI-8870, TI-8890, TI-8900, TI-8911, TI-8912 등과 BF 굳리치사의 5714F1, 5703P, 5701F1P, 5788P, 5719P, 5715P, 5706P, 5755P, 5778P, 5799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로는 적정량의 NCO기를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경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시소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로 이용할 수 있는 유기용매는 임의 비율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사이크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메틸사이크로헥사논 등의 알코올류, 초산메틸, 초산부틸, 초산이소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글리콜디메틸에테르, 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다이옥산 등의 글리콜에테르계,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클로라이드, 사염화탄소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제는 반드시 100% 순도일 필요는 없고 주성분 이외에 이성체, 부반응물, 분해물 등의 10~30%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0% 이하의 불순물이 있어도 관계없다.
상기의 사용가능한 자성체, 카본블랙 및 연마제 등의 무기물을 용도에 맞는 적절한 함량으로 결합제 용액에 적절히 초기 분산시킨 후 결합제 및 윤활제, 경화제 등의 부원료를 부가한 후 재차 분산공정을 통하여 도료를 제조하거나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의 목적에 맞게 도료를 제조한다.
상기의 도료를 고속으로 주행하는 비자성 지지체상에 동시 또는 일련의 순서에 의해 일정부피로 도포한 후 건조, 평활화, 경화 및 제단 공정을 거쳐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제1의 비자성층의 도포액속에 함유된 카본블랙은 제2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차지하게되므로 자성도료가 가지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성과 뉴토니안(Newtonian) 특성 등의 유변학적 거동이 동시에 나타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료의 파이프 유동시와 같은 저전단에서는 뉴토니안(Newtonian) 거동을 나타내다가 도포시와 같이 고전단에서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성을 나타내므로 양호한 도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포후 레블링(Leveling)시에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비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의 함량이 상기 제2자성층의 함유된 카본블랙의 함량에 비해 높기 때문에 광차페 효과가 우수하며 표면성이 양호하여 상기 제2자성층 형성시 표면성이 양호해지고 단일층 형성시에 사용되어지는 카본블랙의 함량보다 낮게 제2자성층이 설계됨에 따라 전자변환 특성의 향상 및 드롭아웃트 수율의 항샹이 가능하며 자기기록에 필요한 두께로 제2자성층을 형성하므로써 원가의 절감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동시 중층도포시에 나타나는 계면의 불안정 문제점이 유동학적 거동으로 해결이 가능하므로 전체 자성 도막의 표면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의 제1비자성층과 제2자성층에 대해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자성층은 국부적인 자화반전이 가능하게하기 위하여 박막 도포가 되어야 하는데 박막 도포시에 자기기록매체의 내구성, 과차페, 도포후의 표면성 등의 확보가 불리하며 자성층에 자기기록에 관여하는 강자성체 이외의 부원료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게되어 강자성체의 성능향상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2자성층은 자기기록에 관여하는 강자성 분말을 중심으로 설계하여 전자변환특성 향상 및 드롭아웃트 등이 우수한 고품위의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하게 하며 상기 제1비자성층은 강자성 분말의 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카본블랙의 함량을 높게 함으로서 광차페 효과는 물론 자기기록매체의 필요한 대전효과 및 내구성 등을 중심으로 하여 설계 가능하다. 또 제1비자성층 형성시 입자가 매우 작은 카본블랙의 함량이 높아 비자성 지지체가 가지는 표면성에 비해 우수한 표면성을 부여할 수 있어 상기 제2자성층 형성시 우수한 표면성을 가지는 자기기록매체의 제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제1비자성층에는 강자성 분말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자성도표가 가지는 틱소트로픽(Thixotropic)성이 나타나므로 도포시에는 낮은 점도 거동의 도료확보가 가능하여 도포성이 우수하고 특히 동시 중층 형성시는 두층의 유변학적 거동을 조절하여 계면에서 나타는 도료의 스트레스 불균일 및 계면의 불안정 현상을 제거함으로서 두층의 계면의 안정된 표면성이 우수한 자기기록매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1비자성층은 연마제의 첨가가 필요없고 부피가 큰 카본블랙의 함유량이 낮아 자기기록매체의 원가에 있어서도 유리한 역할을 하며 윤활제의 종류를 선정하여 각층에서 적절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윤활제를 첨가함으로서 주행성과 주행 내구성이 우수한 고품위의 자기기록매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성, 주행 내구성, 광차페 효과 및 표면성, 전자변환 특성 등이 우수한 고품위의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할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제1비자성층의 조성
강자성 분말:5에서 60중량부
[마그네타이트, Co-γ-Fe2O3or γ-Fe2O3]
카본 블랙:15에서 35 중량부
PU 결합제:30 중량부
윤활제:3 중량부
[미리스틴산]
분산제:2 중량부
[이소프로필트리(도데실)벤젠술포닐티타네이트]
경화제:5 중량부
[트릴렐 디 이소시아네이트]
유기용매 :사이클로헥사논10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100 중량부
.톨루엔90 중량부
-강자성분말과 카본블랙의 함량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변화시킴.
제2자성층의 조성
강자성 분말:100 중량부
카본 블랙:0.5-20 중량부
PU 결합제:25 중량부
윤활제:0.1에서 5 중량부
분산제:0.05에서 4 중량부
경화제:3에서 9 중량부
유기용매 :사이클로헥사논150 중량부
.메틸에틸케톤150 중량부
.톨루엔130 중량부
-강자성분말을 기준으로 카본 블랙의 함량을 변화시킴
상기의 조성으로 제1비자성층과 제2자성층을 동시 또는 일련의 순서에 의해 비자성 지지체상에 도포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1.0, 총비표면적비가 2.2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26, 총비표면적비가 0.55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1.4, 총비표면적비가 3.0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16, 총비표면적비가 0.33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2.1, 총비표면적비가 4.4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1, 총비표면적비가 0.22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7.3, 총비표면적비가 15.5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06, 총비표면적비가 0.11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15, 총비표면적비가 32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0, 총비표면적비가 0.0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2.1, 총비표면적비가 4.4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36, 총비표면적비가 0.78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15, 총비표면적비가 32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1, 총비표면적비가 0.22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자성 지지체상에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 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5, 총비표면적비가 1.0가 되게 제1비자성층을 형성하고, 상기의 조성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 분말의 총부피비가 0.0, 총비표면적비가 0.0가 되게 제2자성층을 형성하여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한 비디오 테이프의 전자 변환 특성, 동마찰계수, 내구성, 드롭아웃트, 3차원 표면조도, 광 투과율 등의 특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RF-출력
비디오 테이프를 일본 빅터사의 비디오테크(BR-7000)에 장착하여 100% 백색신호를 기록한 다음 재생시의 출력을 측정하고, 여기서 얻어진 비디오 테이프의 RF-출력을 0dB로 정하고, 이 값을 기준으로 하여 그 차이를 나타내었다.
2) 드롭아웃트
비디오테이프에 5단계 단차 신호를 최적 기록 전류로 기록한 다음, 재생때의 비디오 앰프의 감쇄량이 16dB, 지속시간이 15μsec 이상인 것을 드롭아웃트로 간주하고, 10분동안 계속 측정한 후, 1분당의 갯수로 평균하여 나타내었다.
3) 주행 내구성
미국 스타인 버그사에서 제작한 내구성 측정기를 사용하여 비디오테이프의 자성층을 헤드와 접촉시키고, 자성층이 손상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이 4단계로 평가하였다.
A:60분 이상
B:50분 이상-60분 미만
C:40분 이상-50분 미만
D:30분 이상-40분 미만
4)동마찰계수(주행성)
직경이 4인치인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드럼에 비디오테이프를 180°가 되도록 접촉시키고, 100g의 장력(T1)을 걸어 1.8m/분의 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킬때 비디오 테이프에 걸리는 장력(T1)를 측정하여, 다음식에 의해 동 마찰계수를 계산하였다.
5) 광 투과율
자기기록매체를 일본 빅터사의 광 투과율 측정기를 이용하여 800에서 900 나노미터 범위의 파장에서 빛이 투과되는 양을 특정하였다.
VHS 규격이 1.2% 이하이므로 1.2% 미만은 ○, 1.2% 이상은 ×로 표시하였다.
[표 1]
상기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자기기록매체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자기기록매체인 비교예의 자기기록매체와 비교해 볼때, 드롭아웃트 등의 결점이 매우 적고, 내구성, 광 투과율 및 주행성 등이 우수하며 특히 자기기록매체의 중요특성인 전자변환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비자성 지지체상에 도포두께 및 부피농도의 구성을 달리하여 두층으로 도포하여 자성층을 형성하므로써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고품위의 자기기록매체를 제공할 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비자성 지지체상에 강자성 분말 및 카본블랙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켜 제조한 도포액을 사용하여 비자성지지체와 인접한 제1의 비자성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강자성분말을 결합제 용액에 분산시킨 도포액을 제2의 자성층으로 형성한 후 건조, 표면 평활화, 경화 및 제단공정을 통해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1비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부피비가 1.0~7.5이고,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비표면적비가 2~16이고, 제2자성층에 함유된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부피비가 0.02~0.3이고, 카본블랙과 강자성분말의 총비표면적비가 0.05~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KR1019960066623A 1996-12-17 1996-12-17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KR10034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623A KR100349387B1 (ko) 1996-12-17 1996-12-17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623A KR100349387B1 (ko) 1996-12-17 1996-12-17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083A true KR19980048083A (ko) 1998-09-15
KR100349387B1 KR100349387B1 (ko) 2003-01-15

Family

ID=3748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623A KR100349387B1 (ko) 1996-12-17 1996-12-17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583B1 (ko) * 1999-06-08 2006-10-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583B1 (ko) * 1999-06-08 2006-10-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자기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9387B1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9065B2 (ja) 磁気記録媒体
JP2835661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631562B2 (ja) 磁気記録媒体
KR100349387B1 (ko)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JP2566085B2 (ja) 磁気記録媒体
JP2001325716A (ja) 磁気記録媒体
JPH05290361A (ja) フレキシブル磁気ディ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25051B1 (ko) 자기기록매체
US5175048A (en)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528464A (ja) 磁気記録媒体
JP2805404B2 (ja) 磁気記録ディスク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3222113A (ja) 磁気記録媒体
JP2805412B2 (ja) 磁気記録媒体
JPH08306031A (ja) 磁気記録媒体
KR19990074242A (ko)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JP3181038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4243A (ko) 자기기록매체의 제조방법
JP2946257B2 (ja) 磁気記録ディスク
JP2002092855A (ja) 磁気記録媒体
JP2001176050A (ja) 磁気記録媒体
JP2001006151A (ja) 磁気記録媒体
JP2005222650A (ja) 磁気ディスクの記録再生方法
KR20010056148A (ko) 자기기록매체
KR20070052975A (ko) 자기띠의 제조방법
JP2002230743A (ja) 磁気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