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829A -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829A
KR19980047829A KR1019960066346A KR19960066346A KR19980047829A KR 19980047829 A KR19980047829 A KR 19980047829A KR 1019960066346 A KR1019960066346 A KR 1019960066346A KR 19960066346 A KR19960066346 A KR 19960066346A KR 19980047829 A KR19980047829 A KR 19980047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dialing
hook dialing
ke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829A/ko
Publication of KR19980047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829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장치를 사용한 온-훅다이얼링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한 온-훅 다이얼링 기능은 발신음을 스피커를 통해 들은 후 상대측이 응답했을 시 사용자가 통화키를 눌러야 정상적인 통화가 가능했던 문제점을 해결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용자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해 통화하고자 할 시 온-훅 다이얼키를 입력하여 다이얼링한 후 소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절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장치를 사용한 온-훅다이얼링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전화기는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휴대장치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고자 할 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데이타를 상기 고장장치에서 수신하여 통화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러한,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자 할 시 휴대장치를 사용자의 귀에 댄후 발신음을 확인하고, 다시 휴대장치에 부착된 다이얼링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까지 이동시켜 다이얼링 해야 함으로 번거로웠다. 그러므로 상기 번거러운 점을 해소하기 위해 온-훅 다이얼기능을 부가하여 스피커를 통해 발신음을 듣고 상대방측에서 응답이 있을 시 통화키를 눌러 정상적인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훅 다이얼링 기능 역시 발신음을 스피커를 통해 들은 후 상대측 사용자가 응답했을 시 사용자는 통화키를 눌러야 정상적인 통화가 가능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해 통화하고자 할 시 온-훅 다이얼키를 입력하여 다이얼링한 후 소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절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온-훅 다이얼링 키신호를 발생하는 온-훅 다이얼링 기능키와, 상기 온-훅 다이얼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에 음성신호 및 각종 신호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의 온-훅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휴대장치 통화모드일 시 상기 온-훅 다이얼링 기능키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온-훅 다이얼링기능키의 입력이 있을 시 온-훅 다이얼링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발신음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발신음이 송출될 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얼링을 수행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송/수화부를 이용한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온-훅 다이얼링(on-hook dialing 이하 온-훅다이얼링 이라 함)을 수행하는 제어흐름도 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CPU(130)는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의 휴대장치로 통화를 하고자 할 시 자체에 부착된 키매트릭스(100)를 사용하여 다이얼링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190)는 ID데이타 및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및 인식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다. 키매트릭스(100)는 각종 기능키 및 숫자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CPU(130)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150)는 국선과 연결된 통화용 음성신호를 음성처리한다. 마이크(200)은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스피커(190)는 전기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한다. 제1 및 제2 증폭부(170, 180)는 상기 마이크(200)과 스피커(190)의 입출력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표시장치(120)는 상기 키입력 상태에 따라 각 처리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DTMF발생기(140)는 상기 CPU(130)의 제어에 의해 DTMF신호를 발생하여 음성처리부(150)로 제공한다. 링검출회로(210)는 상기 국선라인으로부터 착신되는 링을 검출하여 상기 CPU(13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CPU(290)는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자체 발생되는 무선데이타를 고정장치로 송출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270)는 휴대장치의 ID데이타와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및 인식데이터를 저장한다. 키매트릭스(280)는 각종 기능키 및 숫자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CPU(290)로 출력한다. 제4증폭부(360)는 음성 신호 및 각종 송수신데이타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RF송수신부(350)는 상기 CPU(290)의 제어에 의해 송신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증폭부(360)로 출력한다. 마이크(340)은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제1스피커(330)는 전기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한다. 제2스피커(380)는 온-훅 다이얼모드 수행 시 발신음 및 전기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한다. 제1, 제2증폭부(310, 320, 370)들은 상기 송/수화부인 마이크(340)과 제1스피커(330)의 입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제3증폭부(370)는 제2스피커(380)의 입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표시장치(300)는 상기 CPU (290)의 제어에 의해 키의 입력 상태와 휴대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 1 및 도 2의 블록구성도를 참조하여 도 3의 제어흐름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이용한 온-훅 다이얼링(on-hook dialing 이하 온-훅다이얼링 이라 함)을 수행하는 제어흐름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400단계를 수행하여 휴대장치 통화모드를 수행할 시 CPU(290)는 외부 키매트릭스(280)을 통해 온-훅 다이얼 기능키의 입력이 있는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온-훅 다이얼 기능키의 입력이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CPU(290)는 420단계를 수행하여 일반 통화모드(즉, 통화키를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를 수행하도록 한 후 종료한다. 하지만, 상기 온-훅 다이얼 기능키의 입력이 검출될 시 430∼440단계에서 상기 CPU(290)는 온-훅 다이얼링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제2스피커(380)을 통해 발신음을 외부에 출력한다. 그런후, 450단계에서 사용자는 키매트릭스(280)를 통해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그런후, 460단계에서 상기 CPU(290)는 미리 설정된 다이얼링 시간( 다이얼링 시 디지트와 디지트간의 시간간격을 측정한 소정시간)이 되었는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다이얼링 시간이 되었을 시 상기 CPU(290)는 470∼480단계를 수행하여 송/수화부 즉, 제1마이크(340) 및 제1스피커(320)을 통해 통화를 수행하도록 해당부를 절환하여 정상통화를 수행한 후 프로그램을 종료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해 통화하고자 할 시 온-훅 다이얼키를 입력하여 다이얼링한 후 소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절환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사용자의 온-훅 다이얼링 키신호를 발생하는 온-훅 다이얼링 기능키와, 상기 온-훅 다이얼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에 음성신호 및 각종 신호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무선전화기의 온-훅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휴대장치 통화모드일 시 상기 온-훅 다이얼링 기능키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온-훅 다이얼링기능키의 입력이 있을 시 온-훅 다이얼링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발신음을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피커를 통해 발신음이 송출될 시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당계와,
    상기 다이얼링을 수행한 후 소정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송/수화부를 이용한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온-훅 다이얼링 방법.
KR1019960066346A 1996-12-16 1996-12-16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KR19980047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346A KR19980047829A (ko) 1996-12-16 1996-12-16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346A KR19980047829A (ko) 1996-12-16 1996-12-16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829A true KR19980047829A (ko) 1998-09-15

Family

ID=6644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346A KR19980047829A (ko) 1996-12-16 1996-12-16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441B1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KR100327731B1 (ko)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KR19980047829A (ko) 무선전화기에서 온-훅 다이얼링 방법
KR100194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우선권 부여방법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KR100194470B1 (ko) 무선전화기에서 링착신음 발생방법
KR19980047834A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로 통화 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다이얼링하는 방법
KR0120014B1 (ko)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KR940017282A (ko) 키패드분리형 휴대폰 및 그것의 통화방법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200190597Y1 (ko)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100206174B1 (ko) 무선전화기에서 통화구현방법
KR0177317B1 (ko) 전화기의 이어폰을 이용한 영상 및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 청취 장치 및 방법
KR19980065581A (ko) 무선전화기에서 송화레벨 조절장치 및 방법
JP2560884B2 (ja) 携帯無線電話機
KR20000020442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디티엠에프 신호 수신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19990049845A (ko)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방법
KR20000007281A (ko) 무선전화기의 유선통화방법
KR19980075442A (ko) 통신장치에 구비된 휴대장치에서 오디오기기 음소거 방법.
KR19980074472A (ko) 무선단말기의 착신 링 거부방법
KR19980056078A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20060070863A (ko) 통화 호 연결중에 있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dtmf 신호에 대응되는 키 정보 표시가 가능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1197188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