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325A -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325A
KR19980047325A KR1019960065810A KR19960065810A KR19980047325A KR 19980047325 A KR19980047325 A KR 19980047325A KR 1019960065810 A KR1019960065810 A KR 1019960065810A KR 19960065810 A KR19960065810 A KR 19960065810A KR 19980047325 A KR19980047325 A KR 1998004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erivatives
vitamin
detergent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1982B1 (ko
Inventor
강길성
박해훈
박덕배
이동탁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60065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98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8Liquid soap, e.g. for dispensers; capsul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2Protein hydrolysate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4Animal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지용성 비타민과 영양오일을 함유하는 캡슐 0.05∼10.0%와 맥반석 0.05∼2.0%를 함유한다. 지용성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E유도체, 비타민 A유도체, 비타민 K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영양 오일로서는 호호바유(jojoba oil), 식물의 정유(essential oil), 메도우폼 오일(meadowfoam oil), 마카다미아 오일(macadamia nut oil), 에뮤 오일(emu oil, caraya oil), 오일상 실리콘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용 세제 조성물은 헹굼시 미끄럽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영양과 활력을 부여하며,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의 미용기능을 지닌다.

Description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은 비누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헹굼시 미끄럽지 않으면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며,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목욕이나 샤워시 사용하는 세정제는 고형 비누보다는 욕용 액체 세정제가 선호되고 있는데, 서구인들은 주로 샤워 후의 매끄러움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비누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욕용세정제를 많이 사용한다. 이 경우, 세정 성분으로는 주로 SLS, SLES, 사코시네이트, 술포숙시네이트, 이소티오네이트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betaine)등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CDE,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등의 비이온성 계면화성제 등 비비누(non-soap)성분으로 구성된다. 비누성분이 아닌 세정제 성분을 함유하는 제품들은 기포력이 풍부하고, 물의 경도에 영향을 적게 받는 장점은 있으나, 기포가 크리미(Cream-like)하지 못하고, 헹굼시 촉감이 미끈거려, 빠른 헹굼성과, 헹굼후의 깔끔하고 뽀드득한 촉감을 선호하는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욕용세정제 조성물 내에 비누 성분을 함유시켜 헹굼시 미끄러움을 개선하고, 깔끔한 촉감을 줄 수 있는 제품들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 때 사용되는 비누 성분은 주로 칼륨 비누여서 액성이 산도 9∼10정도로 강알칼리성이므로 피부자극정도가 크고, 안정한 상태의 제품 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부 보호나 보습 및 영양을 위한 추가 성분의 사용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다. 드물게는, 트리에탄올아민(TEA)을 비누 중화제로 사용한 TEA비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액성이 산도 8 정도로 중성 부근이고, 비누의 장점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지만, 제조시 중화가 어렵고 제품이 부폐되기 쉬울 뿐 아니라, TEA중에는 발암물질인 니트로스아민이 불순물로 소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되어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을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세정성분으로서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나 비누 성분을 함유하는 욕용 세정제나 고형비누의 경우, 피부의 오염이 문제가 될 뿐 아니라, 피부가 필요로 하는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마저도 세정해버리므로, 사용후 피부가 건조해지고 갈라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부에 자극을 주는 비누 성분 대신에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면서도 헹굼시 미끈거리지 않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며 피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욕용 액체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용성 비타민과 영양오일을 함유하는 캡슐 0.05∼10.0%와 맥반석 0.05∼2.0%를 함유하는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중량%(wt%)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헹굼시 미끈거리는 촉감을 갖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활력을 부여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비누 성분을 사용하는 대신에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며, 영양공급 및 피부 노폐물 제거를 위해 지용성 비타민과 영양 오일을 함유하는 캡슐 및 맥반석을 함유한다.
상기 캡슐내에 충전되는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E유도체, 비타민 A유도체, 비타민 K유도체 등을 포함하고, 영양 오일로는 호호바유(jojoba oil)와 같은 에스테르유, 일부 식물의 정유(essential oil), 메도우폼 오일(meadow foam oil)이나 마카다미아 오일(macadamia oil) 등 소위 식물성 쿠션 오일(cushion oil), 에뮤 오일(emu oil, caraya oil) 등의 동물성유 및 오일상의 실리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용성 비타민과 영양 오일은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한다.
캡슐의 벽체(capsule wall)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한천, 알긴산 유도체, 셀룰로오스 등의 식물성 폴리머, 젤라틴 등의 동물성 폴리머,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알콜 등의 합성폴리머 및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캡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성 캡슐의 제조 방법은 JP 4638244, JP 5030030 B, JP 56100631 A, JP 5174B, JP 1231934 A, JP 567335 B, USP 3697437, USP 3607775, USP 4115315, USP 4394287, USP 5185115, EP 0332175A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주로 5∼5,000 μm 크기의 마이크로 캡슐 제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캡슐벽의 두께는 액체 제품에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50.0∼1,500μm, 바람직하게는 100.0∼700.0μm 두께의 캡슐을 사용한다. 캡슐의 크기는 0.2∼6.0mm인 것이 제품중의 혼용에 적당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3∼3.0mm의 크기가 효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캡슐입자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0.05∼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6.0중량%이다.
맥반석은 고대 중국에서부터 한방약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고, 우리 나라의 경우도 오랫동안 이용되고 있다. 그 실례로서, 이시진의 본초강목과 허준의 동의보감, 1921년에 발간된 중국의 중국의학대사전, 1969년에 발간된 중국 약학대사전 등에 그 효능 및 사용예에 관한 기재를 발견할 수 있다. 서양에서도 맥반석을 마법의 돌이라고하여 질병 치유의 목적으로 민간에서 사용했던 기록이 있다.
맥반석의 기능은 생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치료 속도를 증가시키는 활성수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맥반석의 주요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고, 이들 성분 중, 게르마늄, 망간, 코발트, 규소 등의 소량 성분의 작용으로 인하여 생체의 성장이 촉진되며, 환 부위가 치유되기도 하고, 독성 물질이 제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 1]
기타 소량 함유 무기질로서는 바나듐(V), 바륨(Ba), 게르마늄(Ge), 스트론튬(Sr), 크롬(Cr), 니켈(Ni), 주석(Sn), 몰리브덴(Mo), 코발트(Co), 아연(Zn), 붕소(B), 구리(Cu), 할로겐족 원소 등이다.
맥반석의 구체적인 작용은 다음과 같다.
① 맥반석 내에 형성되어 있는 모세관의 흡착 작용으로 수용액 중의 중금속 및 오염 물질을 제거해 준다.
② 수질을 조정하고, 잡균의 번식을 억제한다.
③ 생체에 필수적인 무기질을 용출하여 신진대사를 촉진한다.
④ 4∼14μm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생체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맥반석 분말은 10μm이하의 크기로 미세하게 분쇄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3μm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세정제 성분으로는 대부분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주로 알킬황산염류나 카르복실레이트류와 단백계 또는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탄소수 8∼22의 알킬라디칼을 갖거나, 에틸렌옥사이드가 부가된 경우는 부가 몰수가 1∼12로서, 주로 나트륨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아민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되며, 함량은 활성량으로 4.0∼30.0%, 바람직하게는 8.0∼20.0%이다.
보조 세정제 또는 순한 세정제로 자주 사용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로(Amphoteric surfactant)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등의 베타인계와 코카미도프로필설테인 등의 설테인계,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등의 이미다졸계 계면활성제(imidazoline 또는 Zwitterionic surfactant)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탄소쇄도 C8∼C2@이고, 활성량으로 1.5∼10.0%, 바람직하게는 2.0∼6.0%의 함량을 갖는다.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함량 비율은 2/1∼3/1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피부에 대한 항자극 효과와 컨디셔닝 효과면에서 바람직하다.
증점 또는 기포 안정성이 있는 물질로서는 보통 아민옥사이드류나 알카놀아미드류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탄소수 8∼16의 알카놀아미드류 중에서도 모노 또는 디에탄올아미드를 주로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LDE)나 코카미드디에탄올아미드(CDE), 라우로일미리스토일디에탄올아미드(LMDE) 또는 코카미드모노에탄올아민(CME)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5∼6.0%의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제로서는 PVM/MA데카디엔 크로스폴리머를 활성량으로 0.15∼2.0%, 바람직하게는 0.2∼1.3%를 사용하고, 미리 용해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분산제를 중화하여 계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중화제를 사용하는데, 그 예로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하는데, 반드시 중화량 까지 투입할 필요는 없고, 완성 제품의 산도가 pH 5.0∼7.7 정도 되게 하면 된다. 투입시 미리 물로 희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제로서는 헥실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젖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시산나트륨(PCA-Na)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3∼3.5%, 바람직하게는 0.7∼2.0%를 사용하며, 점도 및 기타 조건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EDTA 등의 금속이온 봉쇄제, 자외선 차단제, 특정 물질의 안정화를 위한 트윈계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특성에 따라, 발색물질, 향료 및 방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성 캡슐이나 맥반석 분말은 세정제와 비교하여 비중이 각각 낮거나 높기 때문에, 하기 수학식 1에 표시된 스토크스의 법칙(Stokes' law)에 의해, 제품의 베이스 중에 안정화하기 어려운 성질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세정제 기제로는 고루 분산하여 안정화될 수 없다.
[수학식 1]
상기에서, v는 침강 또는 상등 속도(sedimentation rate),
g는 중력상수 (gravity constant),
ΔQ는 분산입자와 제품 기제의 밀도차,
d는 입자의 직경,
η는 제품 기제의 점도이다.
위의 함수에서, ΔQ에 의해 일반적인 계에서는 유성 캡슐과 맥반석의 분산된 입자가 시간에 따라 침강 또는 상등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없고, 더욱이 분리속도가 입자의 직경의 제곱승에 비례하기 때문에, 도저히 분리를 막을 수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유성 캡슐과 맥반석의 작용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세정제 내에 고루 분산시키고, 시간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원형 그대로 안정화시킨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욕용 액제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가온 설비가 되어 있는 용해조에 필요량의 물을 넣고 교반하면서 분말상의 PVM/MA 데카디엔 크로스폴리머를 투입하고, 점차 교반 속도를 높여가면서 60℃이상 가열하여 분산제를 미리 프리믹스화한다. 제조 배치(batch)에 잔량을 물을 투입하고, 상기 분산제 프리믹스를 서서히 투입한 후, 세정제들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적절히 교반한다. 이 때, 계의 온도는 60℃ 전후로 유지한다. 이어서, 보습제와 중화제를 동시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적정 산도가 되게 한 다음, 45℃이하로 냉각하여 캡슐과 맥반석 분말을 투입하고, 캡슐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서서히 교반한다. 다시 35℃ 이하로 계를 냉각하여, 저온 첨가물을 투입하고 교반한 다음, 향료 및 방부제를 첨가하여 제조를 완료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참고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실시예 4
상기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하기 표 2에 기재된 함량을 가진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2]
비교예 1∼비교예 4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용으로, 종래 시판되고 있는 욕용 세정제 조성물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비누성분 및 합성 계면활성제에 피부영양제 및 피부보호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고, 비교예 2는 지방산을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화한 중성비누와 합성계면활성제에 피부영양제 및 피부보호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고, 비교예 3 및 비교예 4는 합성계면활성제를 위주로 피부영양효과를 높히도록 제조한 것이다.
[표 3]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세정제 조성물과 종래 제품인 비교예 1∼4의 제품에 대하여, 선별된 소비자군의 가정 유치 품평 시험(Home use test)에 의하여 효과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18세 내지 50세의 여성 26명을 각 세정제에 대한 품평군으로 위촉하여 5주간 제품을 사용하게 한 뒤, 만점 7점을 기준으로 사용성능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게하고, 그 평균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누가 함유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는, 헹굼시의 느낌 항목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건조후의 피부 감촉 항목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합성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비교예 3 및 4에서는 기포발생량에서는 양호한 평가를 받은 반면, 헹굼시 느낌 항목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제형들은 전 항목에 걸쳐 기존 제형들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은 평가를 받았고, 특히 건조후 피부 상태의 항목에서 월등한 평가를 받았다. 상기 표에 나타내지 않은 기타 항목으로는, 실시예 1∼4의 제품을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피부 미용효과가 두드러진다는 반응도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용 세제 조성물은 헹굼시 미끄럽지 않으면서도, 피부에 영양과 활력을 부여하며, 노폐물을 제거하는 등의 미용기능을 지닌다.

Claims (3)

  1. 지용성 비타민과 영양오일을 함유하는 캡슐 0.05∼10.0%와 맥반석 0.05∼2.0%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을 0.15∼6.0%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E유도체, 비타민 A유도체, 비타민 K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영양 오일은 호호바유(jojoba oil), 식물의 정유(essential oil), 메도우폼 오일(meadowfoam oil), 마카다미아 오일(macadamia nut oil), 에뮤 오일(emu oil, caraya oil), 오일상 실리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19960065810A 1996-12-14 1996-12-14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019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810A KR100191982B1 (ko) 1996-12-14 1996-12-14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810A KR100191982B1 (ko) 1996-12-14 1996-12-14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325A true KR19980047325A (ko) 1998-09-15
KR100191982B1 KR100191982B1 (ko) 1999-06-15

Family

ID=1948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810A KR100191982B1 (ko) 1996-12-14 1996-12-14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708A (ko) * 2001-05-31 2001-07-27 도경표 비누
KR20160055358A (ko) * 2014-11-07 2016-05-18 이종걸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708A (ko) * 2001-05-31 2001-07-27 도경표 비누
KR20160055358A (ko) * 2014-11-07 2016-05-18 이종걸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발 세정용 천연 한방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982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5257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
US20130045961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Having Dried Zinc Pyrithione
CN103841953A (zh) 减少气味的方法
KR19990022877A (ko) 헹궈내는 화장품 세정 조성물
US20150196477A1 (en) Methods of reducing malodor and bacteria
CN107095807A (zh) 一种双层沐浴液及其制备方法
CN108472268A (zh) 个人护理组合物
MXPA03008632A (es) Composiciones para exfoliar la piel y tratar las espinillas.
EP061251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hosphate surfactant and a co-surfactant
KR100191982B1 (ko) 욕용 액체 세정제 조성물
CN104688634A (zh) 一种无患子祛屑止痒洗发露
EP0808152A1 (en) Cosmetic cleansing compositions comprising esters of alkylglycosides
RU2666539C1 (ru) Бруски очищающего мыла с таурином
JPH09291016A (ja) 頭髪化粧料
CN107595745A (zh) 一种中药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14634849A (zh) 一种抑菌除螨美容皂及制备方法
JP2001072574A5 (ko)
US11065290B2 (en) Topical composition
KR101490833B1 (ko) 탄산수가 포접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JPH08245368A (ja) 痒い皮膚の処置用化粧品組成物
JPH0676312B2 (ja) 洗顔,洗髪及び入浴剤
KR900002924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RU2187996C1 (ru) Шампунь для мытья волос
AU2021106526A4 (en) A solid concentrate
KR102253878B1 (ko) 액상비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