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7217U -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7217U
KR19980047217U KR2019960060373U KR19960060373U KR19980047217U KR 19980047217 U KR19980047217 U KR 19980047217U KR 2019960060373 U KR2019960060373 U KR 2019960060373U KR 19960060373 U KR19960060373 U KR 19960060373U KR 19980047217 U KR19980047217 U KR 199800472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shaft
side gear
spline
ring
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60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7217U/ko
Publication of KR19980047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217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을 보다 쉽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면에 각각 스플라인(11,21)을 형성하고, 상기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단면 사각형상의 링홈(13)을 외주연을 따라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21)을 통과한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형성된 링홈(13)에 단면 사각형상의 링(50)을 체결하여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을 보다 쉽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커브길이나 울퉁불퉁한 길을 주행할 때 바같쪽 바퀴가 안쪽바퀴의 회전수 비례를 조정하여 회전 또는 주행이 원활히 되도록 하는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는 대부분 도 1과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액슬샤프트(10)의 일측 외주연과 피니언기어(30)와 맞물려 회전되는 사이드기어(20)의 내경(21)에 각각 서로 맞물리는 스플라인(11,21)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스플라인(11,21) 소정부위에 단면 원형상의 링홈(12,22)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 방법은 우선 액슬샤프트(10)의 링홈(12)에 단면 원형상의 링(40)을 삽입하고, 링(40)이 삽입된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을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21)에 삽입하여 링(40)이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21)을 가이드 하다가 링홈(22)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를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구조는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11)에 링(40)을 결합한 스플라인(11)의 삽입할 경우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링(40)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체결 후 링홈(12,22)에서 미끄러져 이탈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단지 링(40)이 방사선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힘만으로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결속력이 약해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체결이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에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체결구조에 대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을 보다 간편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가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슬샤프트
11. 스플라인
20. 사이드기어
21. 스플라인
13. 링홈
50. 링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면에 각각 스플라인(11,21)을 형성하고, 상기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단면 사각형상의 링홈(13)을 외주연을 따라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21)을 통과한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형성된 링홈(13)에 단면 사각형상의 링(50)을 체결하여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는 단면 원형상의 액슬샤프트(10)의 일측 외주연에 축방향으로 일정구간 홈(11a)이 다수 형성된 스플라인(11)을 형성하고, 상기 액슬샤프트(10)와 결합되는 사이드기어(20)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체결공(25)에 상기 스플라인(11)이 맞물리며 체결되도록 스풀라인(21)을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기어(20)에 액슬샤프트(10)를 결합했을 경우 사이드기어(20)의 일측면 위치하는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외주연을 따라 단면 사각형상의 링홈(1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링홈(13)에 착탈되는 링(50)은 일측 절개된 단면 사각형상으로 일부분에 탈거하기에 용이하도록 걸림홈(51a)을 갖는 걸림부(51)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를 결합할 경우에는 우선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을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21)에 삽입 체결한 후 사이드기어(20)를 통과한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형성된 링홈(13)에 링(50)을 체결하여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를 결합을 고정하고, 결합된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를 분리할 경우에는 역순으로 액슬샤프트(10)의 링홈(13)에 결합된 링(50)을 탈거하고 액슬샤프트(10)를 잡아당기면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21)에서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이 이탈되며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가 분리되게 된다. 또한, 링홈(13)과 이에 삽탈되는 링(50)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지지되는 면적이 넓어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면에 각각 스플라인을 형성하여 체결하고, 사이드기어를 통과한 액슬샤프트의 스플라인에 체결상태를 고정하는 링을 결합하도록 구성한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결합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결합면에 각각 스플라인(11,21)을 형성하고, 상기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단면 사각형상의 링홈(13)을 외주연을 따라 형성하며, 상기 사이드기어(20)의 스플라인(21)을 통과한 액슬샤프트(10)의 스플라인(11)에 형성된 링홈(13)에 단면 사각형상의 링(50)을 체결하여 액슬샤프트(10)와 사이드기어(20)의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KR2019960060373U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KR199800472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73U KR19980047217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73U KR19980047217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217U true KR19980047217U (ko) 1998-09-25

Family

ID=5399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373U KR19980047217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721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064B1 (ko) * 2008-04-14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동장치
KR102619398B1 (ko) 2023-03-06 2023-12-29 주식회사 미래환경 열교환 및 오존 처리기
KR102641889B1 (ko) 2023-02-17 2024-03-08 박보람 D형 홈이 있는 기어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064B1 (ko) * 2008-04-14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동장치
KR102641889B1 (ko) 2023-02-17 2024-03-08 박보람 D형 홈이 있는 기어 구조체
KR102619398B1 (ko) 2023-03-06 2023-12-29 주식회사 미래환경 열교환 및 오존 처리기
KR102619391B1 (ko) 2023-03-06 2023-12-29 주식회사 미래환경 유기성 폐기물 소멸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9134B2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アセンブリ
JP3146326B2 (ja) 径方向内側にのびるディスク面をもつ組立て車輪
DE19724327B4 (de) Nabe für ein Speichenrad
KR970042080A (ko) 자전거의 주행장치
JPH0135964Y2 (ko)
US4169394A (en) Anti-differential device
US4561518A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limited differential
JP2007203771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9980047217U (ko) 자동차 차동장치의 액슬샤프트와 사이드기어의 결합구조
SE9802634D0 (sv) Hjulnav- och bromsskiveanordning för tunga fordon
US20030111284A1 (en) Electrical driving apparatus for bicycle
US4360094A (en) Gear structure for a manual transmission for an automobile
US4577530A (en) Differential cross shaft retaining means
DE3911647A1 (de) Radnabenverlaengerung fuer die antriebsachsen von kraftfahrzeugen
JPS58136563A (ja) 荒地走行用車輛
US4267909A (en) Unilaterally alternating backlash torque lock
JPS5827150Y2 (ja) 模型自走車用差動歯車装置
JP2004068873A (ja) ピニオンワッシャー
KR200142739Y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
US5662185A (en) Drive assembly for radio-controlled cars
KR200291810Y1 (ko) 차동 자동 제한장치
JP3255779B2 (ja) 自転車の車輪カバー
KR100589075B1 (ko) 차동기어장치의 피니언축 고정장치.
US5451097A (en) Bicycle hub shell
US6419255B1 (en) Driving structur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