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868U -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868U
KR19980046868U KR2019960060023U KR19960060023U KR19980046868U KR 19980046868 U KR19980046868 U KR 19980046868U KR 2019960060023 U KR2019960060023 U KR 2019960060023U KR 19960060023 U KR19960060023 U KR 19960060023U KR 19980046868 U KR19980046868 U KR 199800468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rash
piece
opening
ste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5757Y1 (ko
Inventor
이재량
Original Assignee
이재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량 filed Critical 이재량
Priority to KR2019960060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7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8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8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통의 뚜껑 힌지축 일측에 90도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하여 작동간 일측지지편과 연결되도록 승하강봉을 끼우고 발판에는 해정보턴과 록킹장치인 슬라이드편이 내설되어 쓰레기 투여시 발판을 밟으면 뚜껑이 90도 각으로 열리는 동시에 발판내의 슬라이드편 인입부에 좌대 전방 록크편이 끼워져 뚜껑을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여 쓰레기를 버리기 용이하도록 하며, 뚜껑을 닫을 때에는 발판 상부로 돌출된 해정보턴을 밟았다 놓으면 작동간이 승하강봉을 당겨 쓰레기통 뚜껑을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된 족답식 쓰레기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본 고안은 본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공고 제95-9730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16327호의 개량 고안으로서, 쓰레기통 뚜껑을 개폐할 수 있게 된 발판에 록킹장치를 설치하여 뚜껑을 90도로 열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록킹장치 해정시 발판의 해정보턴을 눌러 작동간과 연결된 승하강봉을 당겨서 뚜껑을 닫을 수 있도록 된 족답식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족답식 쓰레기통은 발판을 밟아 뚜껑을 개방시 뚜껑이 완전히 열리지 못하고 80~90 이하로 열리기 때문에 쓰레기를 버릴 때 뚜껑을 다시 손으로 잡아 열고 쓰레기통 내의 내통을 들어 내야 할 뿐만 아니라 뚜껑 개방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발판을 계속 밟고 있어야 하며 발을 떼면 뚜껑의 자중에 의해 닫혀지게 되는 것으로 쓰레기를 한 번만 투입시킬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많은 량의 쓰레기를 분할하여 투입하거나 여러 군데의 쓰레기를 수회에 걸쳐 투입시켜야 할 때에는 쓰레기 투입시마다 매번 발판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쓰레기통의 뚜껑 힌지축 일측에 90도로 절곡된 절곡편을 형성하여 작동간 일측 지지편과 연결되도록 승하강봉을 끼우고, 발판에는 해정보턴과 록킹장치인 슬라이편이 내설되어 쓰레기 투여시 발판을 밟으면 뚜껑이 90도로 열리는 동시에 발판내의 슬라이드편 사이에 좌대 일측 록크편이 끼워져 뚜껑을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쓰레기 투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뚜껑을 닫을 때에는 발판 상부로 돌출된 해정보턴을 밟으면 작동간이 승하강봉을 당겨 쓰레기통 뚜껑을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1(가)는 본 고안의 사시도.
(나)는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발판 괘정상태 분리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괘·해정부재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간 일부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쓰레기통2 : 뚜껑
3 : 좌대3' : 삽입부
3'' : 축홈4 : 발판
5 : 작동간5' : 축핀
5a, 5b : 통공6, 7, 8 : 스프링
9 : 탄발구10 : 지지편
11 : 힌지축12 : 승하강봉
13 : 절곡편14 : 해정보턴
14' : 해정편15, 15' : 슬라이드편
16 : 인입부17 : 고정편
17' : 인입출공18 : 록크편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로 밟아 쓰레기통(1) 뚜껑(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족답식 쓰레기통에 있어서;
쓰레기통(1) 저단의 좌대(3) 삽입부(3') 축홈(3'')에 작동간(5) 축핀(5')이 끼워지고, 작동간(5) 상면 일측통공(5a)에는 스프링(7)이 내장된 탄발구(9)가 삽입되며, 그 일측에 지지편(10)과 뚜껑(2) 힌지축(11)의 천정에 하향으로 돌출된 절곡편(13)이 승하강봉(12)으로 연결되어 뚜껑(2)을 90도로 개구시킬 수 있게 설치된 것이다.
상기 뚜껑(2)의 개폐수단인 작동간(5) 일측 발판(4) 상부에는 해정편(14')을 갖는 해정보턴(14)이 끼워지고 그 저부에는 양측에 스프링(6)이 개재된 슬라이드편(15)(15')이 설치되어 인입출공(17')을 갖는 고정판(17)에 지지되며, 좌대(3) 전방발판(4)에는 인입출공(17')을 통하여 슬라이드(15)(15')인입부(16)에 걸릴수 있도록 록크편(18)이 입설된 구성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간(5) 전면 저부에 통공(5b)을 형성시켜 스프링(8)이 내장된 탄발구(9)를 삽입함으로써 발판(4)측의 작동간(5)을 위로 탄발시키도록 하여 승하강봉(12)이 절곡편(13)을 당겨 뚜껑(2)을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20은 쓰레기통 내에 위치하는 내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쓰레기를 쓰레기통(1)에 넣기 위해 뚜껑(2)을 개구시 쓰레기통(2) 전면 하단과 좌대(3) 사이에 설치된 발판(4)을 발로 밟으면 좌대(3) 삽입부(3') 중앙 양측 축홈(3'')에 끼워진 작동간(5)의 축핀(5')을 중심으로 발판(4)은 하향되고, 타측은 상승되어 지지편(10)이 승하강봉(12)을 밀어올리므로 뚜껑(2)일측 천정에서 하향으로 돌출된 절곡편(13)이 상부로 밀리면서 뚜껑(2)이 힌지축(11)을 중심으로 90도로 도 3과 같이 개방된다.
이때 작동간(5)상면 일측 통공(5a)에 끼워진 탄발구(9)는 쓰레기통(1) 저면 바닥과 대응되어 스프링(17)이 압축된 상태이고, 발판(4)내의 슬라이드편(15)(15') 인입부(16)에는 좌대(3)전면에 입설된 록크편(18)이 끼워져 고정된 상태이다.
슬라이드편(15)(15') 양측 돌기에는 스프링(6)이 끼워져 항상 탄발되는 상태로서 슬라이드편(15)과 슬라이드편(15')은 서로 마주보는 대응된 상태를 이루므로 인입부(16)에 끼워진 록크편(18)이 걸쳐진 형상으로서 작동간(5)의 발판(4)을 잡아당긴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발판(4)을 계속 밟지 않아도 쓰레기통(1) 뚜껑(2)이 90도 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쓰레기를 여러번 반복하여 넣어도 뚜껑(2)은 닫히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쓰레기통(1)에 쓰레기를 넣은 후에는 발판(4) 상면에 돌출된 해정보턴(14)을 밟았다 놓으면 내측에 일체로 하향된형의 해정편(14')의 슬라이드편(15)과 슬라이드편(15')이 대응된 인입부(16)를 벌리면서 하향되므로 양측 돌기에 개재된 스프링(6)이 압축되는 동시에 슬라이드편(15)(15')은 양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부(16)가 벌어져 록크편(18)의 록킹상태가 해정되며, 작동간(5) 일측 상면 통공(5a)에 압축된 탄발구(9)가 탄발되면서 작동간(5)을 하향으로 밀게되므로 축핀(5')을 중심으로 발판(4)은 상승되고 지지편(10)은 하향되는 동시에 승하강봉(12)이 당겨져 절곡편(13)을 회전시켜 뚜껑(2)을 쓰레기통에 닫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작동간(5) 전면측의 저면에 통공(5b)을 형성시켜 탄발구(9)를 삽입함으로써 뚜껑(2)개구시 발판(4)을 눌러 괘정시키면, 탄발구(9)가 작동간(5) 저면에서 압축상태를 이루고 발판(4)을 해정시키면 탄발되면서 작동간(5)을 상부로 올릴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쓰레기통의 쓰레기를 버릴때에는 발판(4)을 밟아 괘정시키면 뚜껑을 90도 각도 세워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내통(20)을 뚜껑(2)에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로이 인입출 시킬 수 있으며, 뚜껑을 닫을 때에는 발로 발판(4)의 해정보턴(14)을 한 번만 누르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쓰레기 투여때마다 사람이 일일이 뚜껑을 개폐시킬 필요가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 발로 자유로이 뚜껑을 개폐시키고 손은 쓰레기를 투여하는데만 사용함으로써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투여시 바닥에 흘려 지져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이점을 갖게 되었다.
본 고안은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판을 밟아 뚜껑을 개구시키면 뚜껑이 쓰레기통으로부터 90도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개방됨으로써 쓰레기 인입출이 자유로와지도록 고안된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발로 밟아 쓰레기통(1) 뚜껑(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족답식 쓰레기통에 있어서, 쓰레기통(1) 저단의 좌대(3) 삽입부(3') 축홈(3'')에 작동간(5) 축핀(5')이 끼워지고, 작동간(5) 일측 상면 통공(5a)에는 스프링(7)이 내장된 탄발구(9)가 삽입되며, 그 일측 지지편(10)과 뚜껑(2) 힌지축(11)의 천정에 하향으로 돌출된 절곡편(13)이 승하강봉(12)으로 연결시켜 뚜껑(2)을 90도 각으로 개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작동간(5) 일측 발판(4) 상부에는 해정편(14')을 갖는 해정보턴(14)이 돌출되도록 끼워지고, 그 저부에는 양측에 스프링(6)이 개재된 슬라이드편(15)(15')을 설치시켜 인입출공(17')을 갖는 고정판(17)으로 지지하며, 좌대(3) 전방발판(4) 저부에 인입출공(17')을 통하여 슬라이드(15)(15')인입부(16)에 걸릴수 있도록 록크편(18)이 입설되어 뚜껑(2)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작동간(5) 전면 저부에 통공(5b)을 형성시켜 스프링(8)이 내장된 탄발구(9)를 삽입하여 발판(4)측의 작동간(5)을 위로 탄발시켜 승하강봉(12)을 당김으로써 뚜겅(2)이 닫히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KR2019960060023U 1996-12-28 1996-12-28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KR200145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23U KR200145757Y1 (ko) 1996-12-28 1996-12-28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23U KR200145757Y1 (ko) 1996-12-28 1996-12-28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68U true KR19980046868U (ko) 1998-09-25
KR200145757Y1 KR200145757Y1 (ko) 1999-06-15

Family

ID=1948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023U KR200145757Y1 (ko) 1996-12-28 1996-12-28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75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10A (ko) * 2002-06-04 2002-08-13 김명원 누름 발판과 평벨트의 결합 구조로 되어진 쓰레기통
KR100763278B1 (ko) * 2007-06-16 2007-10-04 강문수 위생개폐장치
KR100775621B1 (ko) * 2006-09-01 2007-1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 도어의 개폐구조
KR100886969B1 (ko) * 2007-10-30 2009-03-09 일월정밀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9775120A (zh) * 2019-03-22 2019-05-21 河南水利与环境职业学院 自动启盖低气流扰动的垃圾桶及其使用方法
CN112061646A (zh) * 2020-09-30 2020-12-11 佛山市第一人民医院(中山大学附属佛山医院) 一种垃圾收集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10A (ko) * 2002-06-04 2002-08-13 김명원 누름 발판과 평벨트의 결합 구조로 되어진 쓰레기통
KR100775621B1 (ko) * 2006-09-01 2007-1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 도어의 개폐구조
KR100763278B1 (ko) * 2007-06-16 2007-10-04 강문수 위생개폐장치
KR100886969B1 (ko) * 2007-10-30 2009-03-09 일월정밀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9775120A (zh) * 2019-03-22 2019-05-21 河南水利与环境职业学院 自动启盖低气流扰动的垃圾桶及其使用方法
CN109775120B (zh) * 2019-03-22 2023-10-24 河南水利与环境职业学院 自动启盖低气流扰动的垃圾桶及其使用方法
CN112061646A (zh) * 2020-09-30 2020-12-11 佛山市第一人民医院(中山大学附属佛山医院) 一种垃圾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5757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702A (en) Hands free waste container having a closed cover that automatically opens when the container is moved outside its cabinet enclosure
US4164178A (en) Container, closable by a lid, for receiving and compressing waste
US20130048641A1 (en) Trash container with easily removable bag and interlocking ring
US6102343A (en) Step and lift refuse liner removal system
JPH10273202A (ja) ロールバックするふたをもつごみ容器
EP1716059A1 (de) Abfallsammler
KR10085111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9980046868U (ko)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US20050224496A1 (en) Trash can receptacle
KR101924105B1 (ko) 압축 쓰레기통
US4460222A (en) Drawer apparatus
US20200299993A1 (en) Lock device for a waste receiving device and waste receiving device with such a lock device
NL8600583A (nl) Spoelkast.
EP3476769A1 (en) Compactor device for waste collection
KR20200118310A (ko) 쓰레기통
GB2371229A (en) De-odourising device for refuse bins
US20120126676A1 (en) Hands free waste container
KR200414772Y1 (ko) 회전 스탠드 장치
KR200419036Y1 (ko)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KR0132932Y1 (ko)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CN217836967U (zh) 重力复位按压提手结构和脚踏式垃圾桶
KR20090114739A (ko) 쓰레기통
EP1183196B1 (en) Refuse collection container
JPS6038569Y2 (ja) 容器の底蓋開閉装置
CN214242320U (zh) 抽拉式垃圾袋的自动封袋结构及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