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278B1 - 위생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위생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278B1
KR100763278B1 KR1020070059199A KR20070059199A KR100763278B1 KR 100763278 B1 KR100763278 B1 KR 100763278B1 KR 1020070059199 A KR1020070059199 A KR 1020070059199A KR 20070059199 A KR20070059199 A KR 20070059199A KR 100763278 B1 KR100763278 B1 KR 10076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ing
sanitary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수
Original Assignee
강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문수 filed Critical 강문수
Priority to KR102007005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2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having means for operat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단지 나 일반주택가 등에 설치되어 음식 찌꺼기를 수집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에 결합되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에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며 하측으로 고정홈을 형성한 곡면형상의 수직봉을 구성한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수직봉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홈과 제1고리를 형성한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쓰레기통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발판을 구성한 누름부와, 상기 이동부의 수직봉이 고정되는 고정고리와 상기 누름부의 수평봉이 삽입되는 유동홈을 형성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고정되되 'ㄷ'자 형태의 고정턱과 제2고리를 형성한 밑판과 상기 누름부의 제1고리와 제2고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구성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위생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쓰레기통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이동부에 형성된 걸이부를 이용하여 쓰레기통의 뚜껑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쓰레기통이나 위생개폐장치가 파손되게 되면, 쓰레기통과 위생개폐장치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이 이루어진 쓰레기통이나 위생개폐장치중 하나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에 설치된 어떤 종류의 쓰레기통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초기의 투자비용만으로도 쓰레기통의 종류에 따라 위생개폐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음식물쓰레기, 뚜껑, 쓰레기통, 발판, 위생

Description

위생개폐장치 {Hygienic opening and shutt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쓰레기통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쓰레기통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위생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위생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부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누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지지부의 탄성부재가 스프링일 때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지지부의 탄성부재가 쇼크 업 쇼바일 때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부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지지부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위생개폐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부 11 : 걸이부
12 : 연결봉 13 : 고정홈
14 : 수직봉 20 : 누름부
21 : 결합홈 22 : 제1고리
23 : 수평봉 24 : 발판
30 : 지지부 31 : 고정고리
32 : 유동홈 33 : 지지봉
34 : 고정턱 35 : 제2고리
36 : 밑판 37 : 탄성부재
40 : 고정부 41 : 걸쇠
42 : 회전봉 43 : 고정봉
44 : 결합봉 45 : 삽입홈
46 : 고정대 47 : 지지대
48 : 마감판
50 : 위생개폐장치
본 발명은 위생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단지 나 일반주택가 등에서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을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개폐하지 않고, 발로 이용하여 뚜껑을 개폐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쓰레기통개폐장치(5)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특허등록번호 10 - 0407165, 실용신안등록번호 - 0340494와 같이 사용자가 밟아서 사용하는 페달(1)과 쓰레기통(2)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쓰레기통(2)에 부착된 페달(1)을 사용자가 밟게 되면, 페달(1)의 작동에 의해 쓰레기통(2)의 뚜껑(3)이 열리면서, 사용자가 쓰레기통(2)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쓰레기통(2)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밟도록 형성된 페달(1)은 쓰레기통(2)의 전방에서 많이 튀어 나와 있지 않고, 단순히 측면으로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페달(1)을 밟기 위해서는, 쓰레기통에 가까이 다가가 페달(1)을 밟아야 했기 때문에, 쓰레기통(2)에서 나는 악취로 인한 불쾌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쓰레기통(2)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쓰레기통개폐장치(5)는 쓰레기통(2)의 뚜껑(3)과 직접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페달(1)을 발로 밟아 뚜껑(3)을 열 때, 사용자가 페달(1)을 발로 밟는 압력에 의해 뚜껑(3)이 갑자기 열리면서 뚜껑(3)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나, 액체가 사용자의 몸이나 의복에 튀게 되어 사용자가 의복을 세탁해야 하거나 음식찌꺼기에 기생하는 세균들이 사용자의 몸에 묻음으로써,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쓰레기통개폐장치(5)가 쓰레기통(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쓰레기통(2)에 가득 차게 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쓰레기수거차량이 쓰레기통(2)을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쓰레기통(2)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때나, 사용자에 의해 쓰레기통(2) 또는 위생개폐장치(5)가 파손되게 되면, 쓰레기통(2)과 쓰레기통개폐장치(5)를 따로 유지보수 하지 못하고, 쓰레기통(2)과 쓰레기통개폐장치(5)를 전부 교체해야함으로써,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및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쓰레기통개폐장치(5)는 쓰레기통(2)에 형성된 바퀴의 축에 페달(1)이 결합되어 있어, 상기 쓰레기통(2)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쓰레기통개폐장치(5)를 사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통개폐장치(5)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쓰레기통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이동부에 형성된 걸이부를 이용하여 쓰레기통의 뚜껑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쓰레기통이나 위생개폐장치가 파손되게 되면, 쓰레기통과 위생개폐장치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이 이루어진 쓰레기통이나 위생개폐장치중 하나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에 설치된 어떤 종류의 쓰레기통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초기의 투자비용만으로도 쓰레 기통의 종류에 따라 위생개폐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한 위생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이동부의 수직동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발판을 밟아 수직봉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봉이 원을 그리면서 천천히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뚜껑이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상기 뚜껑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사용자에게 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위생적으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직봉을 일자형태로 할 경우, 수직봉이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상기 수직봉과 수평봉이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야 하지만, 상기 수직봉을 곡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봉이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수평봉과 수직봉이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위생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누름부의 발판은 쓰레기통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릴 때, 상기 발판을 밟기 위해 사용자가 쓰레기통 가까이 갈 필요없이 먼거리에서 발판을 밟을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통에서 발생되는 악취로부터 사용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위생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지지부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리고 난 후, 발판에서 발을 빼면 쓰레기통의 뚜껑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뚜껑이 자중에 의해 곧바로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하측으로 천천히 내려옴으로써, 뚜껑의 자중에 의해 곧바로 하측으로 이동하여 쓰레기통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쓰레기통이나 뚜껑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사용자의 몸이나 의복에 튀지 않아,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생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위생개폐장치에 형성된 고정부를 쓰레기통과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쓰레기통이 쓰러지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충격을 가하여 쓰레기통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쓰레기통이 쓰러지면서 쓰레기통의 내측에 있던 음식물 찌꺼기가 도로로 흘러내리지 않고, 이에 따라, 도로가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더러워지거나 음식물찌꺼기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함은 물론, 위생적으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위생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생개폐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 3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생개폐장치(50)는 이동부(10)와, 누름부(20)와 지지부(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동부(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아파트단지 등에 일정위치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2)의 뚜껑(3)에 결합되는 걸이부(11)와 상기 걸이부(11)에 연결되는 연결봉(12)과 상기 연결봉(12)에 연결되며 하측으로 고정홈(13)을 형성한 곡면형상의 수직봉(1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봉(14)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자형태로 형성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누름부(20)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에 형성된 고정홈(13)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홈(21)과 제1고리(22)를 형성한 수평봉(23)과 상기 수평봉(23)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쓰레기통(2)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발판(2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부(30)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이 고정되는 고정고리(31)와 상기 누름부(20)의 수평봉(23)이 삽입되는 유동홈(32)을 형성한 지지봉(33)과 상기 지지봉(33)이 고정되되 'ㄷ'자 형태의 고정턱(34)과 제2고리(35)를 형성한 밑판(36)과 상기 누름부(20)의 제1고리(22)와 제2고리(35)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을 곡면형상이 아닌 일자형태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수직봉(14)이 결합되는 지지부(30)의 고정고리(31)는 수직봉(14)이 원활하게 상,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20)의 수평봉(23)에 형성된 결합홈(21)의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20)의 제1고리(22)와 지지부(30)의 제2고리(35)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7)는 스프링(37a) 또는 쇼크업쇼바(37b)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의 밑판(36)에는 볼트(B)를 이용하여 땅과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38)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의 밑판(36)에 고정되는 지지봉(33)은 결합파이프(39)를 더 형성하여 상기 결합파이프(39)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봉(33)이 밑판(36)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밑판(36)과 용접결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33)은 결합파이프(39)에 결합될 때, 더욱 견고히 고정되도록 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위생개폐장치(50)에는 쓰레기통(2)이 쓰러지지 않도록 고정부(40)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통에 형성된 뚜껑(3)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쇠(41)와 회전봉(42)을 형성한 고정봉(43)과 상기 회전봉(42)이 삽입되는 중공형태의 결합봉(44)과 상기 결합봉(44)이 연결되며 삽입홈(45)과 고정대(46)를 형성한 지지대(47)로 이루어진다.
덧붙여, 상기 고정대(46)는 삽입홈(45)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40)에는 지지부(30)의 지지봉(33)과, 고정부(40)의 고정봉(43)의 외측으로 마감판(48)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지지부(30)와 고정부(40)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며, 상기 위생개폐장치(50)에 놓여 지는 쓰레기통을 가려,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작자는 아파트단지 나 일반주택가 등에 설치된 쓰레기통(2)의 일측으로 상기 지지부(30)의 밑판(36)에 형성된 고정공(38)에 볼트(B)나 결합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밑판(36)을 바닥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밑판(36)에 고정공(38)에 볼트(B)를 이용하여 땅에 고정하는 이유는 위생개폐장치(50)가 설치되는 장소의 땅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졌을 경우 굴곡진 땅에 의해 쓰레기통(2)이 쓰러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바닥에 설치된 밑판(36)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쓰레기통(2)을 올려놓는다.
그런 후, 상기 지지부(30)에 형성된 유동홈(32)에 누름부(20)의 수평봉(23)을 삽입고정시킨 후, 상기 누름부(20)의 제1고리(22)와 지지부(30)의 제2고리(35)에 탄성부재(37)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누름부(20)에 형성된 발판(24)은 상기 쓰레기통(2)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쓰레기통(2)에 뚜껑(3)을 열기 위해 발판(24)을 밟을 때, 악취가 나는 쓰레기통(2)의 먼 위치에서 발판(24)을 밟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식찌꺼기로 인한 악취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0)에 형성된 걸이부(11)를 이용하여 쓰레기통(2)의 뚜껑(3)에 결합시킨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을 지지부(30)의 고정고리(31)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에 형성된 고정홈(13)과 누름부(20)의 수평봉(23)에 형성된 결합홈(21)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합부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여 이동부(10)의 수직봉(14)과 누름부(20)의 수평봉(23)을 고정결합시킨 뒤, 이동부(10)의 걸이부(11)를 쓰레기통(2)의 뚜껑(3)에 결합시킨다.
그런 후, 상기 고정부(40)를 지지부(30)에 결합시킨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40)에 형성된 걸쇠(41)를 상기 쓰레기통(2)과 뚜껑(3)이 연결되는 부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고정결합하고, 결합봉(44)에 회전봉(42)을 삽입함과 동시에, 지지대(47)에 형성된 삽입홈(45)까지 상기 회전봉(42)을 관통시킨 후, 지지대(47)의 밑면을 상기 지지부(30)에 형성된 밑판(36)에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대(47)에 형성된 삽입홈(4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회전봉(42)의 일측으로 고정대(46)를 용접결합하여 지지대(47)에 회전봉(42)이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대(46)를 회전봉(42)과 연결하는 이유는 상기 회전봉(42)이 연결된 고정봉(43)이 지지대(47)에서 이탈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상기 결합봉(44)에 삽입된 회전봉(42)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회전봉(42)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상기 고정부(40)와 쓰레기통(2)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40)를 쓰레기통(2)에 연결하게 되면, 쓰레기통(2)이 강한 바람이나 사용자가 가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쓰레기통(2)이 쓰러지면서 쓰레기통(2)의 내측에 찬 음식물찌꺼기가 도로상으로 흘러내리면서 바닥이 더럽혀지거나 음식물찌꺼기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위생적으로 불편함을 주고 쓰레기를 다시 치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위생개폐장치(50)를 쓰레기통(2)에 설치를 하고 난 후,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누름부(20)에 형성된 발판(24)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부(20)의 수평봉(23)이 상기 지지부(30)에 형성된 유동홈(32)의 내측에서 시소작용에 의해 발판(24)이 형성된 수평봉(23)의 타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누름부(20)의 수평봉(23)에 형성된 결합홈(21)과 결합되는 상기 이동부(10)의 고정홈(13)이 형성된 수직봉(14)이 지지부(30)에 형성된 고정고리(31)의 공간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직봉(14)과 연결된 연결봉(12)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쓰레기통(2)의 뚜껑(3)과 상기 연결봉(12)과 연결된 걸이부(11)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쓰레기통(2)의 뚜껑(3)이 열리게 되면, 쓰레기통(2)의 내측으로 사용자가 버리려고 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버리고 난 후, 사용자가 누름부(20)의 발판(24)에서 발을 떼어냄과 동시에, 상기와 같은 작용이 반대로 이루어지면서 뚜껑(3)이 닫힘으로써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에, 상기 지지부(30)에는 상기 누름부(20)의 제1고리(22)와 지지부(30)의 제2고리(35)와 연결되는 탄성부재(37)로 인하여, 뚜껑(3)이 자중에 의해 바로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천천히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뚜껑(3)이나 쓰레기통(2)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사용자의 몸이나 의류에 튀지않아, 사용자가 보다 위생적으로 위생개폐장치(5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뚜껑(3)을 열기 위해 발판(24)을 밟게 되면, 상기 수직봉(14)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직봉(14)이 일자형태로 이동하지 않고, 곡면을 그리면서 뚜껑(3)이 천천히 열리게 되어, 이에 따라 상기 뚜껑(3)이 갑자기 열리면서 뚜껑(3)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사용자의 몸이나 의복에 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도록 함은 물론, 음식물 찌꺼기가 사용자의 몸이나 의복에 묻음으로써 발생하는 불쾌감과 세균에 의한 감염을 줄이기 위함이다.
아울러, 음식물 찌꺼기가 가득 차게 된 쓰레기통(2)을 비우기 위해 쓰레기 수거차량에 음식물 찌꺼기를 버릴 때, 상기 이동부(10)에 형성된 걸이부(11)를 편리하게 쓰레기통과 분리시켜 쓰레기 수거차량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하도록 함으 로써, 쓰레기 수거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쓰레기통(2)에 수집된 음식물 찌꺼기를 버릴 때, 기계장치에 의해 쓰레기통이 파손되더라도 쓰레기통(2)과 분리형으로 형성된 위생개폐장치(50)까지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된 쓰레기통(2)만을 교체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개폐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쓰레기통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이동부에 형성된 걸이부를 이용하여 쓰레기통의 뚜껑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쓰레기통이나 위생개폐장치가 파손되게 되면, 쓰레기통과 위생개폐장치를 전부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이 이루어진 쓰레기통이나 위생개폐장치중 하나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에 설치된 어떤 종류의 쓰레기통에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초기의 투자비용만으로도 쓰레기통의 종류에 따라 위생개폐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의 수직동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발판을 밟아 수직봉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직봉이 원을 그리면서 천천히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뚜껑이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상기 뚜껑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사용자에게 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위생적으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직봉을 일자형태로 할 경우, 수직봉이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상기 수직봉과 수평봉이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야 하지만, 상기 수직봉을 곡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봉이 고정되는 고정고리를 수평봉과 수직봉이 결합되는 위치까지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의 발판은 쓰레기통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릴 때, 상기 발판을 밟기 위해 사용자 가 쓰레기통 가까이 갈 필요없이 먼거리에서 발판을 밟을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통에서 발생되는 악취로부터 사용자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지지부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버리고 난 후, 발판에서 발을 빼면 쓰레기통의 뚜껑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뚜껑이 자중에 의해 곧바로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하측으로 천천히 내려옴으로써, 뚜껑의 자중에 의해 곧바로 하측으로 이동하여 쓰레기통에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쓰레기통이나 뚜껑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사용자의 몸이나 의복에 튀지 않아,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위생개폐장치에 형성된 고정부를 쓰레기통과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쓰레기통이 쓰러지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충격을 가하여 쓰레기통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쓰레기통이 쓰러지면서 쓰레기통의 내측에 있던 음식물 찌꺼기가 도로로 흘러내리지 않고, 이에 따라, 도로가 음식물 찌꺼기로 인해 더러워지거나 음식물찌꺼기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사용함은 물론, 위생적으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2)

  1. 아파트단지 나 일반주택가 등에 설치되어 음식 찌꺼기를 수집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을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는 위생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에 결합되는 걸이부(11)와 상기 걸이부(11)에 연결되는 연결봉(12)과, 상기 연결봉(12)에 연결되며 하측으로 고정홈(13)을 형성한 곡면형상의 수직봉(14)을 구성한 이동부(10);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에 형성된 고정홈(13)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홈(21)과 제1고리(22)를 형성한 수평봉(23)과 상기 수평봉(23)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쓰레기통의 전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발판(24)을 구성한 누름부(20);
    상기 이동부(10)의 수직봉(14)이 고정되는 고정고리(31)와 상기 누름부(20)의 수평봉(23)이 삽입되는 유동홈(32)을 형성한 지지봉(33)과 상기 지지봉(33)이 고정되되 'ㄷ'자 형태의 고정턱(34)과 제2고리(35)를 형성한 밑판(36)과 상기 누름부(20)의 제1고리(22)와 제2고리(35)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7)를 구성하는 지지부(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에 형성된 수직봉(14)은 일자형태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20)의 제1고리(22)와 지지부(30)의 제2고리(35)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7)는 스프링(37a)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20)의 제1고리(22)와 지지부(30)의 제2고리(35)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7)는 쇼크업쇼바(37b)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의 지지봉(33)은 밑판(36)과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의 밑판(36)에는 고정공(38)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에는 지지봉(33)이 밑판(36)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밑판(36)에 결합파이프(39)가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의 지지봉(33)과 결합파이프(39)는 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의 밑판(36)에는 고정부(4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통에 형성된 뚜껑의 일측에 결합되는 걸쇠(41)와 회전봉(42)을 형성한 고정봉(43)과 상기 회전봉(42)이 삽입되는 중공형태의 결합봉(44)과 상기 결합봉(44)이 연결되며 삽입홈(45)과 고정대(46)를 형성한 지지대(47)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의 고정대(46)는 삽입홈(45)보다 크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에는 마감판(48)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위생개폐장치.
KR1020070059199A 2007-06-16 2007-06-16 위생개폐장치 KR10076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99A KR100763278B1 (ko) 2007-06-16 2007-06-16 위생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99A KR100763278B1 (ko) 2007-06-16 2007-06-16 위생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278B1 true KR100763278B1 (ko) 2007-10-04

Family

ID=3941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199A KR100763278B1 (ko) 2007-06-16 2007-06-16 위생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5641A (zh) * 2017-11-28 2019-06-04 中山市隆昶兴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厨房用废渣隔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868U (ko) * 1996-12-28 1998-09-25 이재량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KR200414772Y1 (ko) * 2006-02-10 2006-04-2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회전 스탠드 장치
JP2006151659A (ja) * 2004-12-01 2006-06-15 Aida Kagaku Kogyo Kk 医療廃棄物用処理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868U (ko) * 1996-12-28 1998-09-25 이재량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JP2006151659A (ja) * 2004-12-01 2006-06-15 Aida Kagaku Kogyo Kk 医療廃棄物用処理容器
KR200414772Y1 (ko) * 2006-02-10 2006-04-24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회전 스탠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5641A (zh) * 2017-11-28 2019-06-04 中山市隆昶兴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厨房用废渣隔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30503Y (zh) 一种宠物厕所
US6179151B1 (en) Garbage container
US200700896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orary storage of animal waste
KR100925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수집통의 탈취 및 뚜껑 개폐 장치
KR100763278B1 (ko) 위생개폐장치
KR100760415B1 (ko) 위생개폐장치
KR200411612Y1 (ko) 발판과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BE1012899A3 (nl) Verbeterde inrichting voor het verzamelen van afval.
CN214691488U (zh) 带有支杆开合隔离仓结构的消杀垃圾桶
CN113353504A (zh) 一种住宅小区用脚踏式开启的垃圾桶
KR101371404B1 (ko) 음식물쓰레기수거함용 뚜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수거함
CN211835419U (zh) 一种消化内科秽物收集桶
KR100662947B1 (ko) 싱크대의 음식쓰레기 간편 수거장치
CN203006248U (zh) 洗手间环保垃圾桶
KR10104810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CA2498298A1 (en) Doggy walk scooper
CN210961101U (zh) 一种新型椅子
CN207125876U (zh) 一种环保治疗车
CN212196964U (zh) 一种多功能环保垃圾桶
KR20130071316A (ko) 수동식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
CN221025542U (zh) 一种市政工程用垃圾桶
CN211055893U (zh) 一种口腔修复科专用多功能垃圾桶
CN213444393U (zh) 一种防水多功能垃圾桶
KR200303312Y1 (ko) 다용도 휴지통
JP3156913U (ja) ペット携帯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