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6340U -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6340U
KR19980046340U KR2019960059493U KR19960059493U KR19980046340U KR 19980046340 U KR19980046340 U KR 19980046340U KR 2019960059493 U KR2019960059493 U KR 2019960059493U KR 19960059493 U KR19960059493 U KR 19960059493U KR 19980046340 U KR19980046340 U KR 199800463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xed structure
tray
parts
battery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9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6340U/ko
Publication of KR19980046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34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11)를 받쳐주기 위한 배터리 트레이(12)가 설치되고, 상기한 배터리(11)가 배터리 트레이(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서 배터리(1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5)의 내부홀을 관통하여 나비 볼트(13)가 세워지며, 상기한 나비 볼트(13)는 용접너트(14)를 통해서 배터리 트레이(12)와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부품수를 간단히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 및 해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이 고안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부품수를 간단히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 및 해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내연기관이 장착된 차량은 자력으로 시동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시동을 함과 동시에, 엔진이 동작되고 있지 않은 때에는 상기한 배터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각종의 램프(제동등, 전조등, 실내등, 미등, 차폭등 등) 및 전기장치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는, 배터리(1)를 받쳐주기 위한 배터리 트레이(2)가 설치되고, 상기한 배터리(1)가 배터리 트레이(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서 배터리(1)의 옆에 프로텍트바(3)가 세워지고, 상기한 프로텍트바(3)를 자지하기 위하여 지지대(4)가 가로방향으로 연결되고, 너트(5)를 이용하여 상기한 프로텍트 바(3)를 지지대(4)에 고정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는, 부품수가 많아서 조립공수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다른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다른 고정구조는, 배터리(6)를 받쳐주기 위한 배터리 트레이(7)가 설치되고, 상기한 배터리(6)가 배터리 트레이(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서 배터리(6)의 하단부에 프로텍터(8)가 설치되고, 상기한 프로텍터(8)가 볼트(9)에 의해서 배터리 트레이(7)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다른 고정구조는, 볼트(9)의 조립해체작업시에 공구(10)를 사용해야 하며, 볼트(9)의 위치를 배정하는 경우에 상기한 공구(10)를 할 수 있는 공간(1)을 충분하게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수를 간단히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 및 해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다른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 11:배터리2, 7, 12:배터리 트레이
3:프로텍트 바4;지지대
5:너트8:프로텍터
9:볼트10:공구
13:나비 볼트14:용접 너트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는, 배터리(11)를 받쳐주기 위한 배터리 트레이(12)가 설치되고, 상기한 배터리(11)가 배터리 트레이(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서 배터리(1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5)의 내부홀을 관통하여 나비 볼트(13)가 세워지며, 상기한 나비볼트(13)는 용접너트(14)를 통해서 배터리 트레이(12)와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나비볼트(13)를 배터리(11)의 돌기부(15)의 내부홀을 관통시켜 배터리 트레이(12)에 꽂은 뒤에 용접 너트(14)를 이용하여 이를 고정조립 시킴으로써 간단하면서도 단순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부품수를 간단히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조립 및 해체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용 축전지의 취부장치 분야에서 이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11)를 받쳐주기 위한 배터리 트레이(12)가 설치되고, 상기한 배터리(11)가 배터리 트레이(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서 배터리(11)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5)의 내부홀을 관통하여 나비 볼트(13)가 세워지며, 상기한 나비볼트(13)는용접너트(14)를 통해서 배터리 트레이(12)와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KR2019960059493U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KR199800463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493U KR19980046340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493U KR19980046340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340U true KR19980046340U (ko) 1998-09-25

Family

ID=5399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493U KR19980046340U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634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3521Y1 (ko) 유압펌프모터의 장착구조
KR19980046340U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구조
KR0140677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KR0123267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타 장착구조
KR200269875Y1 (ko)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JPH03243418A (ja) 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構造
KR0117962Y1 (ko) 자동차용 램프 고정 구조
KR200161474Y1 (ko) 공구가 불필요한 자동차용 축전지(battery) 단자의 고정구조
KR19980046320U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장치
JP2005219545A (ja) 自動車用灯具
KR100314463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
KR100195997B1 (ko) 철제 범퍼를 갖는 화물차량의 등화 관제등 조립구조
KR200151622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지지용 패널구조
KR19980036450U (ko) 배터리의 마운팅 구조
JPH0683484U (ja) 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の取り付け構造
KR20030097072A (ko) 자동차의 와셔액 리저버 장착구조
KR19980062194A (ko) 자동차의 밧데리 고정구조
KR19980031249A (ko) 차량용 축전지 단자기둥 설치구조
KR0125732Y1 (ko) 일체형 콤비네이션 램프의 벌브 교체 구조
KR19990041316A (ko) 범퍼와 휀더패널의 마운팅구조
KR20020039001A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
KR19980064856U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 마운팅구조
KR19980042671U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취부구조
KR20030032371A (ko) 자동차의 와셔탱크 결합장치
KR19990001668U (ko) 자동차의 배터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