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875U -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875U
KR19980045875U KR2019960059017U KR19960059017U KR19980045875U KR 19980045875 U KR19980045875 U KR 19980045875U KR 2019960059017 U KR2019960059017 U KR 2019960059017U KR 19960059017 U KR19960059017 U KR 19960059017U KR 19980045875 U KR19980045875 U KR 199800458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mergency light
open
ca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9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875U/ko
Publication of KR19980045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87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정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다가 도로변에 차를 세우고 내릴때 간혹 오토바이나 자전거등등 도어를 여는 것과 동시 이 도어에 충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코져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어 콘택 스위치를 기존의 비상등에 병열 연결한 것이고 세차시나 가타 일반적 주차후 문을 열때에도 비상등이 켜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선택 스위치를 I.P 에 설치 하여 필요시만 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또 도어가 하나라도 열려 있으면 계기판에 표시등이 점멸되게 하여 운전자가 문이 열려 있는 상태도 알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정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운행하다가 도로변에 차를 세우고 내릴때 간혹 오토바이나 자전거등 도어를 여는 것과 동시 이 도어에 충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코져 한 것이다.
자동차 운행에 있어서 안전은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 안전 문제는 운전자 스스로의 과속, 추월, 부주의, 운전 미숙으로 인한 주행사고도 있지만 운전자 외적 상황에 사고가 발발하여 피해를 받는 수도 많다,
결국 자신의 보호를 위하여는 운전 외적 상황에도 안전을 고려해야 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 메이커측에서는 운전 외적 상황에 대한 기구적 배려가 미흡하다.
즉 각종 비상사태에 대비한 신호체제와 경고 시스템이 운전 상황에 한정되어 있고 운전 외적 상황에는 등한시 되어있다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자동차 신호 체계에 있어서 비상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자동차가 고장등의 불안전한 상황에 처해 있을때 이를 점멸 되게 함으로서 전,후방차량에게 신호하여 연쇄사고가 나지 않게 주의를 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을 도로변 주차후 문을 열고 내릴 때 후방에서 돌진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등의 충돌사고에 대하여는 아무런 조치가 없다는 점에 본 고안이 창안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주차후 도어를 열때의 종래 결점에 감안한다.
본 고안은 주차후 어느 한 쪽 도어를 열면 비상등이 점멸 작동되게 하는 전기 회로도로서 완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도어 콘택 스위치를 기존의 비상등에 병열 연결한 것이고 세차시나 가타 일반적 주차후 문을 열때에도 비상등이 켜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선택 스위치를 I.P 에 설치하여 필요시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 도어가 하나라도 열려 있으면 계기판에 표시등이 점멸되게 하여 운전자가 문이 열려 있는 상태도 알 수 있게 하였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 위치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기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W1) :도어 콘택 스위치 (SW2) : 선택 스위치
(SW3) : 작동 스위치 (P1) : 비상등
(P2) : 표시등 (A)(B)(C)(D) : 도어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위치도로서, 자동차의 4개의 도어(A)(B)(C)(D)에 있는 콘택 스위치(SW1)의 설치위치를 보여준다.
도 2 는 본 고안의 전기 회로도인바, 상기한 도어 콘택 스위치(SW1)가 선택 스위치(SW2)와 같이 비상등(P1)의 일반 작동 스위치(SW3)에 병열 접속되어 비상등(P1)에 인가되어 있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계기판에 설치한 표시등(P2)이 비상등(P1)에 병열 연결된 회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도로변에 주차하고 내릴때 도어(A)(B)(C)(D)의 어느 한개 또는 복수개를 열개 된다.
이때 해당 도어 콘택 스위치(SW1)가 접촉됨으로서 비상등(P1)이 점멸되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오토바이등 충돌요소가 이를 감지하고 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한 주차시나 세차등의 목적 주차시 선택 스위치(SW2)를 단절시키면 도어가 열려도 비상등은 점등되지 않음으로 필요없는 작동은 방지된다.
상기한 표시등(P2)은 어느 한개 또는 그 이상의 도어가 열렸으때 계기판에서 점멸되게 함으로서 운전자가 이를 보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물론 일반 작동 스위치(SW3)를 ON함으로서 정규적인 비상등을 작동시키는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이다.
자동차 운행에 있어서 안전은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 안전 문제는 운전자 스스로의 과속, 추월, 부주의, 운전 미숙으로 인한 주행사고도 있지만 운전자 외적 상황에 사고가 발발하여 피해를 받는 수도 많다,
결국 자신의 보호를 위하여는 운전 외적 상황에도 안전을 고려해야 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이 실용화 됨으로서 종래 자동차 메이커측에서는 운전 외적 상황에 대한 기구적 배려가 충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을 도로변 주차후 문을 열고 내릴 때 후방에서 돌진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의 충돌사고에 대하여는 안전 조치이루어져 운전 외적 상황에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 비상등 점멸체계에 있어서 도어 콘택 스위치(SW1)가 선택 스위치(SW2)와 같이 비상등(P1)의 일반 작동 스위치(SW3)에 병열 접속되어 비상등(P1)에 인가되고 계기판에 설치한 표시등(P2)이 비상등(P1)에 병열 연결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도로변에 주차하고 내릴때 도어(A)(B)(C)(D)의 어느 한개 또는 복수개를 열게 되면 해당 도어 콘택 스위치(SW1)가 접촉됨으로서 비상등(P1)이 점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KR2019960059017U 1996-12-27 1996-12-27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KR199800458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017U KR19980045875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017U KR19980045875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75U true KR19980045875U (ko) 1998-09-25

Family

ID=5399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017U KR19980045875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87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63B1 (ko) * 2011-05-1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급제동 및 도어 열림 표시방법
US9966674B2 (en) 2014-02-21 2018-05-08 Ls Cable & System Ltd. Termination kit for DC cab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63B1 (ko) * 2011-05-19 2013-04-03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급제동 및 도어 열림 표시방법
US9966674B2 (en) 2014-02-21 2018-05-08 Ls Cable & System Ltd. Termination kit for DC c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164A (en) Safety light marker system for motor vehicles
US20030043033A1 (en) Vehicle safety warning control system
US4127844A (en) Vehicle strobe warning light system
KR19980045875U (ko) 자동차 도어 열림시 비상등 점멸 장치
US3492639A (en) Integrated emergency and turn indicator lighting system
KR200152477Y1 (ko) 자동차용 도어열림 경고장치
KR200222524Y1 (ko)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KR200291424Y1 (ko) 차량의 도어 오픈 경보 장치
KR100247889B1 (ko) 자동차의 도어열림 경고방법 및 그 장치
KR910006918Y1 (ko) 비상신호장치
WO2002032720A1 (en) Automatic emergency indicator for vehicles
CA2116637A1 (en) Rear mounted luminous three-light car indicator
KR970010194B1 (ko) 자동차 비상등의 자동점등 장치
KR200337165Y1 (ko) 택시 정차등 제어 장치
KR200170783Y1 (ko) 자동차의 유턴 표시장치
KR200185259Y1 (ko) 방향지시등이 겸설된 자동차 사이드 밀러
KR19980023158U (ko) 승객 하차 표시 경광등
US2994061A (en) Traffic signalling means for vehicles
CA2096376A1 (en) 911 road emergency unit
KR19990027108A (ko) 방향지시등의 표시등이 부가설치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970000883A (ko) 자동차의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KR19990012126A (ko) 자동차 비상등 작동시 회전 표시등 작동 장치
KR19980067302U (ko) 자동차의 비상점멸 표시등 장치
KR19990004515U (ko) 자동차 트렁크 도어 내측에 부착되는 비상등
KR970026411A (ko) 자동차 사고 발생시 비상등 자동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