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018A - 폭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폭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018A
KR19980045018A KR1019960063175A KR19960063175A KR19980045018A KR 19980045018 A KR19980045018 A KR 19980045018A KR 1019960063175 A KR1019960063175 A KR 1019960063175A KR 19960063175 A KR19960063175 A KR 19960063175A KR 19980045018 A KR19980045018 A KR 19980045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ignal
subscriber
congestion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2475B1 (ko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6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4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91Congestion or overloa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66Bandwidth allocation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75Fault management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라이언트/서버 서비스망에 있어서 서버의 대역폭 상태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관리 및 제어를 하는 폭주 제어 장치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전송망을 통하여 신호서버와 연결하여 호의 연결시에 전송로를 거쳐서 신호를 보내고 폭주 제어 장치에 따라서 대역폭 상태 메모리 내용을 참조하고 대역폭 상태의 상황을 신호서버에 통보하고, 서비스 제공 종료 시에 신호 서버로부터 해당 폭주 제어 장치에 서비스 종료를 통지하고 해당 가용대역폭을 증가하고 이 상태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으로써 착신측의 신호서버로부터 착신 서버의 정보를 얻지 않고 서버의 대역폭 상태를 관ㄹ기함으로써 전송망의 신호수, 신호량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폭주를 서비스 요구 클라이언트의 근방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서버로 향하는 집중 서비스 요구에 기인하는 이상 폭주를 서비스 요구측의 신호서버에서 폭주상태에 이르기 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폭주 제어방법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서버 서비스방식에 있어서, 착신 서버의 대역폭 상태를 원격 감시하는 것에 의해서 착신 서버로 집중하는 호에 의해 발생하는 이상 폭주를 제어하는 폭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서비스 방식에는 신호서버에 수용되는 서버의 대역폭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해당 서버를 직접 수용하고 있는 신호서버가 준비하고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 서버의 대역폭 상태 관리기능은 해당 서버를 직접 수용하는 신호서버에만 부여되어서 해당 서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여도 해당 서버를 직접 수용하는 신호서버에 연결되기까지 해당 서버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정할 수 없고, 가끔 이상 폭주가 발생하여 해당 서비스 요구 뿐만 아니라 다른 일반 서비스의 요구에 대해서도 악영향을 주는 결점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의 대역폭 상태를 기억하는 망 관리용의 데이타 베이스를 설치하여 서비스 요구측 신호서버로부터 해당 데이타 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착신측 서버의 상태에 대응하여 서비스 요구측 신호서버는 해당 착신측 서버에 대응하는 호 처리를 제어하는 수단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 기술에 대해서도 착신측 서버의 상태를 축차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해당 데이타 베이스에 통지해야할 필요가 있고, 신호 전송로의 고정적인 신호량을 증대 시키는 결점이 있으며, 또 신호 전송 지연, 주기적인 통지에 있어서는 주기 지연에 따라서 데이타 베이스의 보유 상태와 실제의 서버 상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서버 서비스망에 있어서 서버의 대역폭 상태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관리 및 제어를 하는 폭주 제어 장치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전송망을 통하여 신호서버와 연결하여 호의 연결시에 전송로를 거쳐서 신호를 보내고 폭주 제어 장치에 따라서 메모리 내용을 참조하고 대역폭 상태의 상황을 신호서버에 통보하고,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제공 종료 시에 신호서버로부터 해당 폭주 제어 장치에 서비스 종료를 통지하고 해당 가용대역폭을 증가하는 것으로써 착신측의 신호서버로부터 착신 서버의 정보를 얻지 않고 서버의 대역폭 상태를 관리함으로써 전송망의 신호수, 신호량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폭주를 서비스 요구 클라이언트의 근방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폭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폭주 제어방법은 미리 등록된 등록 가입자의 가입자 번호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해당 기억된 가입자의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 가입자의 연결 가능 상태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전송로를 거쳐 상기 등록 가입자와 중계 신호서버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해당 중계신호서버는 발측 가입자 신호서버로부터 서버의 가입자 번호를 수신하여 전송로를 거쳐서 폭주 제어장치에 서버의 가입자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서버의 가입자 번호를 수신하여 대역폭 관리 메모리로부터 접속가능 상태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읽어낸 상태가 접속가능 상태일 때에는 서버로 향하는 연결이 가능함을 중계 신호서버에 통지함과 더불어 서버의 가입자 번호에 대응하는 대역폭 관리 메모리의 가용 대역폭을 감소하고, 등록 가입자의 상태가 연결 불가능 상태인 때에는 연결이 불가능함을 중계 신호서버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중계 신호서버가 발측 가입자 신호서버로부터 서비스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폭주 제어장치에 서버의 가입자 번호와 서비스 종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폭주 제어장치가 서버의 가입자 번호와 서비스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의 가입자 번호에 대응하는 대역폭 관리 메모리의 가용대역폭을 증가로 바꾸어 쓰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주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및 1B:클라이언트2:서버
3 및 4:가입자 신호서버5:중계선 신호서버
6:폭주 제어장치7:메모리
이하, 본 발명의 폭주 제어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주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1A 및 1B는 일반 클라이언트, 2는 등록된 서버, 3 및 4는 가입자 신호서버로서 클라이언트 및 서버중 어느 한쪽 또는 모두를 수행하는 가입자가 연결되고, 5는 중계선 신호서버, 6은 폭주 제어장치, 7은 메모리이다. 서버(2)의 등록은 운용자로부터 서버(2)의 서버신호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중계선 신호서버(5) 및 폭주 제어장치(6)에 입력한다. 등록정보를 수신하려면 중계선 신호 서버(5)에 서버(2)의 서버번호를 기억하고, 폭주 제어장치(6)에는 메모리(7)에 서버(2)의 서버번호를 등록하여 그 번호에 대하여 서버(2)의 대역폭 상태를 기억하는 영역(이하, 대역폭 관리 메모리라 칭함)을 설정한다. 대역폭 관리 메모리는 폭주 제어장치(6)의 제어에 따라서 수시로 읽기/쓰기가 가능하다. 클라이언트(1A)로부터 서버(2)에 서비스를 요구하면 가입자 신호서버(3)는 서비스 전송료를 경유하여 중계선 신호서버(5)에 연결된다. 중계선 신호서버(5)는 수신한 서비스 요구 신호가 서버(2)로 향하는 것을 식별하면 전송로를 거쳐서 폭주 제어장치(6)에게 수신한 서버(2)에 대한 서비스 요구신호에 대해서 서버(2)의 대역폭 상황을 조회한다. 폭주 제어장치(6)는 중계선 신호서버(5)로부터 수신한 서버(2)에 대한 서비스 요구신호를 이용하여 메모리(7) 내에 기억되어 있는 서버(2)의 대역폭 관리 메모리를 읽어내어 사용 가능한 대역폭이 있으면 전송로를 거쳐서 중계선 신호서버(5)에게 서버(2)에 연결이 가능함을 응답신호로서 통지함과 아울러 서버(2)의 대역폭 관리 메모리의 가용 대역폭을 감소시킨다. 중계선 신호서버(5)에는 전송로를 거쳐서 폭주 제어장치(6)로부터 서버(2)가 여유 대역폭이 있는 지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종래와 같은 연결법에 따라서 서비스 전송로를 거쳐 가입자 신호서버(4)를 경유하여 서비스를 요구한 클라이언트(1A)와 서버(2)를 연결한다. 클라이언트(1A)와 서버(2)의 연결이 이루어진 뒤 클라이언트(1B)가 중계선 신호서버(5)에 연결되번 중계선 신호서버(5)는 앞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2)로 향하는 서비스 요구 연결과 같이 수신한 서버(2)에 연결요구가 발생했음을 전송로를 거쳐서 폭주 제어장치(6)에 통지한다. 폭주 제어장치(6)에는 수신한 서버(2)에 대한 서비스 요구신호를 이용하여 메모리(7) 내에 기억되어 있는 대역폭 관리 메모리를 읽어낸다. 이때,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클라이언트(1A)와 등록된 서버(2)가 이미 연결중이기 때문에 만일 여유 대역폭이 없으면 서버(2)의 대역폭 관리 메모리는 폭주 상태를 유지하면서 폭주 제어장치(6)는 폭주 상태임을 응답신호로 전송로를 거쳐서 중계선 신호서버(5)에 반송한다. 중계선 신호서버(5)에는 서버(2)의 응답신호를 폭주 제어장치(6)로부터 수신하면 서비스 전송로를 통해 가입자 신호서버(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1B)에게 신호를 보낸다. 또 클라이언트(1A)와 서버(2)간의 서비스가 종료하여 중계선 신호서버(5)가 가입자 신호서버(3)로부터 서비스 종료 신호를 수신하면 중계선 신호서버(5)로부터 전송로를 거쳐서 서버(2)의 가입자 번호와 서비스 종료신호를 폭주 제어장치(6)로 보낸다. 폭주 제어장치(6)에는 중계선 신호서버(5)로부터 서버(2)의 서비스 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여 메모리(7) 내에 있는 서버(2)의 대역폭 관리 메모리의 사용 대역폭을 감소시키고 갱신을 완료함에 따라서 착측의 가입자 신호서버(4)로부터 착신 가입자인 서버(2)의 정보를 조금도 얻지 않고 서버(2)에 대하여 집중 서비스 요구로 인하여 발생하는 폭주를 서비스 요구측의 가입자 신호서버(3)에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폭주 제어장치(6)로 향하는 신호 송출 및 호의 제어를 중계선 신호서버(6)로 실시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폭주 제어장치(6) 및 메모리(7)로 향하는 전송로를 가입자 신호서버(3 및 4)에 설치하여 중계선 신호서버(5)에 대해 가입자 신호서버(3 및 4)에서 폭주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폭주 제어장치(6)는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중계선 신호서버(5), 가입자 신호서버(3 및 4)에 설치하여 경제성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계선 신호서버(5)에는 일반 클라이언트(1A 및 1B)와 서버(2) 간의 가입자 번호를 기억했으나 서버(2)를 특정 신호서버에 수용하는 것으로 하면 중계선 신호서버(5)는 서버(2)를 수용한 특정 신호서버를 알고 있는 것만으로 서버인지 아닌지의 식별이 가능하며 중계선 신호서버(5)에 추가되는 기능이 적게되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폭주 제어장치(6)는 기존의 중계선 신호서버 혹은 가입자 신호서버에 신호 전송로를 설치하여 해당 신호 전송로를 거쳐서 정보의 송수신기능 등록, 가입자의 관리기능 등록, 가입자의 대역폭 관리기능 등록, 가입자의 대역폭상태 통지기능 등을 부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주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도로서, S1단계에서 운용자로부터 서버의 서버번호를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등록하고, S2단계에서 호 입력을 한 후 S3단계에서 등록 가입자의 접속 요구를 판단하여 접속 요구가 없으면 S4단계에서 종래와 동일한 호 접속을 한 후 완료하고, 만일 등록 가입자로부터 접속요구가 있으면 S5단계에서 가입자 상태 문의신호를 송출한다 .이 때, S6단계의 폭주 제어장치에서 S7단계의 가입자 상태 문의 신호를 수신하면 S8단계에서 가입자 대역폭 관리 메로리를 읽어내어 S9단계에서 가용 대역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메모리로부터 가용 대역폭이 없으면 S11단계에서 폭주 상태를 표시하는 동시에 S12단계의 접속가능 신호 수신 모드에 들어가고, 메모리로부터 가용 대역폭이 있으면 S10단계에서 가용 대역폭을 감소시콕, S18단계에서 접속가능 신호를 통지한 후 S12단계의 접속가능 신호 수신 모드에 들어간다. 이와 동시에 S20단계에서 사용중임을 알리고 완료된다. S13단계에서 연결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후 연결이 불가능하면 S14단계에서 접속 불능신호를 송출한 후 완료하며, 연결이 가능하면 S15 내지 S17단계의 호접속, 서비스 실시 및 서비스 종료 통지를 한 후 완료된다. 이때, 서비스 종료통지를 받으면 S19단계에서 메모리의 가용 대역폭을 증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서버 서비스 방식에 있어서 신호서버와 전송망을 거쳐서 연결된 폭주 제어장치와 가입자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설치하여 해당 가입자로 향하는 연결 및 서비스 종료제어를 할 때 폭주 제어장치로부터 메모리 내용을 참조하여 대역폭 관리 메모리의 대역폭 상태를 갱신을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 가입자에 대한 집중적인 서비스 요구가 해당 가입자를 직접 수용하는 신호서버에 연결되기 전에 서비스 요구측 근방의 신호서버에서 제어하여 집중적인 서비스 요구로 인한 이상 폭주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클라이언트 및 서버 서비스망을 갖는 폭주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등록 가입자의 가입자 번호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해당 기억된 가입자의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 가입자의 연결 가능 상태를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전송로를 거쳐 상기 등록 가입자와 중계 신호서버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해당 중계신호서버는 발측 가입자 신호서버로부터 서버의 가입자 번호를 수신하여 전송로를 거쳐서 폭주 제어장치에 서버의 가입자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서버의 가입자 번호를 수신하여 대역폭 관리 메모리로부터 접속가능 상태를 읽어내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읽어낸 상태가 접속가능 상태일 때에는 서버로 향하는 연결이 가능함을 중계 신호서버에 통지함과 더불어 서버의 가입자 번호에 대응하는 대역폭 관리 메모리의 가용 대역폭을 감소하고, 등록 가입자의 상태가 연결 불가능 상태인 때에는 연결이 불가능함을 중계 신호서버에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상기 중계 신호서버가 발측 가입자 신호서버로부터 서비스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폭주 제어장치에 서버의 가입자 번호와 서비스 증료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폭주 제어장치가 서버의 가입자 번호와 서비스 종료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의 가입자 번호에 대응하는 대역폭 관리 메모리의 가용대역폭을 증가로 바꾸어 쓰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주 제어방법.
KR1019960063175A 1996-12-09 1996-12-09 폭주 제어방법 KR10021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175A KR100212475B1 (ko) 1996-12-09 1996-12-09 폭주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175A KR100212475B1 (ko) 1996-12-09 1996-12-09 폭주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018A true KR19980045018A (ko) 1998-09-15
KR100212475B1 KR100212475B1 (ko) 1999-08-02

Family

ID=1948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175A KR100212475B1 (ko) 1996-12-09 1996-12-09 폭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957A (ko) * 2000-05-09 2000-12-05 황대훈 우선 순위 부여를 통한 웹 트래픽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957A (ko) * 2000-05-09 2000-12-05 황대훈 우선 순위 부여를 통한 웹 트래픽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475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60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registering endpoints in a network
EP0828367A2 (en) A proxy server apparatus, a proxy server system, and a server apparatus
KR100212475B1 (ko) 폭주 제어방법
US69343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JP3975511B2 (ja) パーソナル通信分散制御方式
KR100383592B1 (ko) 선불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교환기 및 그에 따른 과금처리 방법
KR100273597B1 (ko) 브랜치 프로세서의 망 관리방법
JP2815431B2 (ja) 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
KR940003849B1 (ko) 특정 출중계 루트의 제어 방법
KR101222319B1 (ko) 착신호 자동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66515A (ko) 망관리 시스템간 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JP2825844B2 (ja) 電話交換機
JPS6351584B2 (ko)
KR100939130B1 (ko) 업그레이드 프로토콜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JP2907162B2 (ja) ディジタル交換機網
JPS60183864A (ja) 輻輳制御方式
KR100246612B1 (ko) 지능형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망 사업자용 안내 정보에 대한 원격 관리 방법
JP3708582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端末情報自動設定方法
JP3274547B2 (ja) 網制御情報配備方法
KR100270326B1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의 호처리 용량 및 서비스 품질 측정 장치
JP3199073B2 (ja) ファクシミリ送信機
KR940003850B1 (ko) 전전자 교환시스템에서의 특정 출중계 루트의 트래픽을 cant로 제어하는 방법
KR100493518B1 (ko) 통신망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통화 대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960014418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의 정보료 수납대행 응용 프로세스용 응용 서비스 요소 시뮬레이터 운용방법
JPH06261125A (ja) Lcr機能を備えた構内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