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864A -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864A
KR19980044864A KR1019960063011A KR19960063011A KR19980044864A KR 19980044864 A KR19980044864 A KR 19980044864A KR 1019960063011 A KR1019960063011 A KR 1019960063011A KR 19960063011 A KR19960063011 A KR 19960063011A KR 19980044864 A KR19980044864 A KR 19980044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cone
rod
shift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864A/ko
Publication of KR1998004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864A/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축에 제공되어 변속시의 구동축의 회전저항을 증대시켜 후진기어와 아이들 기어의 톱니가 서로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버스 콘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리어 커버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의 공차에 의한 소음 발생 및 리버스 콘(6)의 별도 가공공정을 없애고, 상기 동기장치의 조립 공정을 또한 간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입력축이 회전 관성으로 회전하는 동안의 후진 변속시, 슬리브가 싱크로나이저 링을 밀게 되고 싱크로나이저 링은 리버스 콘의 면과 마찰을 일으켜 회전 관성을 줄여주기 위한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의 하단에 입력축과 나란히 배열된 5단 및 후진 시프트 로드의 리버스 콘쪽의 단부를 개방된 중공상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시프트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리버스 콘의 하면상에 관통구멍을 형성시켜 이를 통해 고정축을 삽입시켜 시프트 로드의 중공 단부내에 결합시킴으로써, 리버스 콘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축에 제공되어 변속시의 구동축의 회전저항을 증대시켜 후진기어와 아이들 기어의 톱니가 서로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진 동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진 동기장치의 리버스 콘에 홀을 내어 시프트 로드(shift rod)에 고정시킴으로써 리어 커버와 리버스 콘간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기란 엔진에 클러치를 통하여 연결된 입력축과, 구동륜에 연결된 출력축 사이에서 자동차의 주행상태의 변화에 따라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변속기의 일종으로서, 양축간에 배치된 복수조의 기어장치중 1조를 선택적으로 구동 전달상태가 되도록 하는 기어식 변속기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기어식 변속기에는 통상 입력축, 또는 출력축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진 기어장치의 기어 스플라인과 허브, 및 슬리브의 맞물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동기장치가 마련된다.
이러한 동기장치중 마찰결합부를 2개소와 3개소로 하여 동기용량을 높이도록 한 것이 소위 삼중동기와 삼중동기 장치로서, 모두 통상 인너 링, 아우터 링, 더블콘, 및 싱크로나이저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중동기 장치는 허브 및 슬리브가 기어 스플라인에 맞물리는데 선행하여 인너 링 및 아우터 링이 더블콘에 양쪽으로부터 2개소에서 마찰결합하고, 삼중동기 장치는 전술된 2개소에다 인너 링과 기어의 보스부간의 마찰결합부 1개소가 더 추가되어, 이에 의해 기어 스플라인과 허브 및 슬리브를 동기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동기 장치가 구비된 종래의 수동변속기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변속기는 5단 변속기로서, 엔진이 연결된 입력축(동력축 : 1)이 차동장치에 연결되는 출력축(2)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각 축에는 순차적으로 한 쌍의 1단 기어, 2단 기어, 3단 기어, 4단 기어, 및 5단 기어가 끼워져 있다. 본 도면은 후방부의 5단기어부를 나타낸 것으로, 순차적으로 5단 기어(3)와 그 후방부의 5단 기어 슬리브(4)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 말단부의 리어 커버(5) 부근에는 리버스 콘(6)이 설치되어 슬리브(4)의 하단에 싱크로나이저 링(7)과 함께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어 커버(5)와 리버스 콘(6)은 결합부(8)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1)이 회전 관성으로 회전할 때의 후진 변속시 슬리브(4)가 싱크로나이저 링(7)을 밀게 되고 링크로나이저 링(7)은 다시 리버스 콘(6)의 면과 마찰을 일으켜 회전 관성을 줄여주게 된다. 이 때, 상기 리버스 콘(6)이 싱크로나이저 링(7)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힘이 생기게 되지만, 상기 리버스 콘(6)은 리어 커버(6)와 결합부(8)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힘을 소멸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동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5)와 리버스 콘(6)은, 상술된 바와 같이, 입력축(1)의 회전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결합부(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나 이러한 고정방법은 상기 커버(5)와 리버스 콘(6)을 고정시키는 결합부(8)의 공차가 맞지 않을 경우, 소음이 발생되게 되고, 또한 리어 커버에 반복하중을 주게 되어 재질에 피로를 증가시키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되며, 더욱이 상기 리버스 콘을 따로이 가공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상기 리버스 콘(6)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리어 커버(5)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의 공차에 의한 소음 발생 및 리버스 콘(6)의 별도 가공공정을 없애고, 상기 동기장치의 조립 공정을 또한 간편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리버스 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콘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입력축2 : 출력축
3 : 5단 기어4 : 5단 슬리브
5 : 리어 커버6 : 리버스 콘
7 : 싱크로나이저 링8 : 결합부
9 : 출력축10 : 5단 포오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입력축이 회전 관성으로 회전하는 동안의 후진 변속시, 슬리브가 싱크로나이저 링을 밀게 되고 싱크로나이저 링은 리버스 콘의 면과 마찰을 일으켜 회전 관성을 줄여주기 위한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의 하단에 입력축과 나란히 배열된 5단 및 후진 시프트 로드의 리버스 콘쪽의 단부를 개방된 중공상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시프트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리버스 콘의 하면상에 관통구멍을 형성시켜 이를 통해 고정축을 삽입시켜 시프트 로드의 중공 단부내에 결합시킴으로써, 리버스 콘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드내에 삽입되는 고정축의 단부는 로드의 내면과 습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로드의 스트로우크에 따라 로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콘의 고정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의 하단에는 5단 및 후진 변속을 위한 시프트 로드(9)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시프트 로드(9)에는 포크(10)가 로드(9)의 외주면상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포크(10) 및 로드(9)를 관통 연장된 핀홀(11)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프트 로드(9)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리버스 콘(6)의 하면상에 관통구멍을 형성시켜 이를 통해 고정축(12)을 삽입시켜 시프트 로드(9)의 한쪽 단부내에 결합시키고, 상기 로드(9)내에 삽입되는 고정축(12)의 단부는 로드(9)의 내면과 습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로드(9)의 스트로우크에 따라 로드(9)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리버스 콘(6)이 5단 및 후진 시프트 로드(9)에 고정됨으로써, 후진 변속시의 입력축의 회전 관성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에 의하면, 상기 후진 동기장치의 리버스 콘의 고정구조를 기존의 리어 커버와 결합시키지 않고, 5단 및 후진 변속을 위한 시프트 로드에 고정측을 사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의 리어 커버와 리버스 콘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의 공차에 따른 이음 발생 및 리버스 콘의 별도 가공공정을 없애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리버스 콘의 형상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수동 변속기의 입력축이 회전 관성으로 회전하는 동안의 후진 변속시, 슬리브가 싱크로나이저 링을 밀게 되고 링크로나이저 링은 리버스 콘의 면과 마찰을 일으켜 회전 관성을 줄여주기 위한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의 하단에 입력축과 나란히 배열된 5단 및 후진 시프트 로드의 리버스 콘쪽의 단부를 개방된 중공상태로 형성시키고, 상기 시프트 로드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리버스 콘의 하면상에 관통구멍을 형성시켜 이를 통해 고정축을 삽입시켜 시프트 로드의 중공 단부내에 결합시킴으로써, 리버스 콘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내에 삽입되는 고정축의 단부는 로드의 내면과 습동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로드의 스트로우크에 따라 로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KR1019960063011A 1996-12-09 1996-12-09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KR19980044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011A KR19980044864A (ko) 1996-12-09 1996-12-09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011A KR19980044864A (ko) 1996-12-09 1996-12-09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864A true KR19980044864A (ko) 1998-09-15

Family

ID=6652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011A KR19980044864A (ko) 1996-12-09 1996-12-09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8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2986B2 (en) Dual input automatic transaxle
US4573371A (en) Auxiliary power transmission having synchronizing mechanism
US4823631A (en) Transmission synchronizer
KR100352349B1 (ko) 토크록특징을포함하는동기장치
JPH0457895B2 (ko)
KR19980044864A (ko) 후진 동기장치의 고정방법
JP3242516B2 (ja) 歯車式変速装置の同期機構
JPH08159170A (ja) 同期噛合装置の潤滑構造
KR200181791Y1 (ko) 체인구동부변속기의 4륜 구동변환장치
JPH0716105Y2 (ja) 変速機の同期噛合装置
JP2890416B2 (ja) 歯車変速機の同期噛合装置
JPH0842596A (ja) 変速機の同期装置
JPH0768984B2 (ja) 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KR0184511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후진동기치합장치
KR970000910Y1 (ko) 자동차용 부변속기의 동력전달 장치
KR100260404B1 (ko) 수동변속기 리버스 체인 구동에 따른 더블 쉬프트 포오크
KR19980016714A (ko) 동기 장치
KR100521220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19980034464U (ko) 슬리브 기어 구조
JPH02304220A (ja) クラッチ式変速機のボークリング
KR19980022404A (ko) 차량의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징 링의구조
JPH0716110Y2 (ja) 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KR950001341B1 (ko) 자동차용 변속기
KR19980034465U (ko) 슬리브 기어 구조
KR19980058968A (ko) 수동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슬리이브의 기어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