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561U -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561U
KR19980044561U KR2019960057696U KR19960057696U KR19980044561U KR 19980044561 U KR19980044561 U KR 19980044561U KR 2019960057696 U KR2019960057696 U KR 2019960057696U KR 19960057696 U KR19960057696 U KR 19960057696U KR 19980044561 U KR19980044561 U KR 199800445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flat blade
section
blad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남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7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561U/ko
Publication of KR199800445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56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에 관한 것으로, 다각형상의 취부공을 용이하게 가공하고, 직경이 큰 취부공의 가공도 단일작업으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되며, 정비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다각취부공도 가공할 수 있어 보수비가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할 수 있도록, 공구의 일측에는 단면이

Description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본 고안은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수리시 패널에 각종의 취부공을 가공하는 경우 펀치날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패널의 펀칭부 형상이 다각형화 할 수 있고, 펀치날에서 연장된 확개부가 원형의 펀칭작업도 할 수 있는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펀칭작업에 사용되는 펀칭기는 그 일단이 일점타격이 가능하도록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원뿔의 꼭지점을 금속재의 패널에 대고 펀칭기의 타단을 해머나 공압기로 타격하여 패널에 원형단면의 취부공을 가공하는 기구이다.
종래의 펀칭기는 그 단면이 원형이며 일점타격시 원뿔의 꼭지점에 타격하중이 집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정비소에서도 이러한 일반적인 펀칭기가 사용되고, 차량의 정비나 차체의 패널을 교환하는 작업에 있어서는 차량의 규격에 일치하는 순정부품을 사용하여 교체를 하는 것인데, 순정부품은 그 호환성을 기준으로 제작되므로 순정부품의 여러곳에 취부공을 펀칭하는 것이 요구되고, 이러한 취부공의 형상은 단순한 원형형상이 아닌 다각형상의 취부공을 가공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의 일반적인 펀칭기로는 다각형상의 취부공을 가공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그 취부공의 규격도 다양하여 일정한 지름으로 형성된 일반적인 펀칭기로는 큰 직경의 취부공을 가공하기가 불가능하여 다중펀칭작업을 하므로 그 가공형상의 정밀도가 저하되며 큰 규격의 다각취부공의 가공은 정비자의 숙련도에 의지하므로 정비의 보수비가 상승하고 가공도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각형상의 취부공을 용이하게 가공하고, 직경이 큰 취부공의 가공도 단일작업으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되며, 정비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다각취부공도 가공할 수 있어 보수비가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할 수 있는 파워펀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몸체부의 일단으로 단면이평면날이 형성되고, 이 평면날에서 연장되어 그 단면이 점차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확개부가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 펀치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평면날과 확개부가 동일평면상에 형성되어 몸체부의 일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파워펀칭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평면날20 : 확개부
30 : 몸체부40 : 펀치헤드
50 : 손잡이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날(10)과 확개부(20)와 몸체부(30)와 손잡이(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평면날(10)은 단면이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확개부(20)는 상기 평면날(10)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단면이 점차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30)는 상기 확개부(20)에서 일체로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이 몸체부(30)와 상기 평면날(10)과 확개부(20)가 동일평면상에 형성되고 몸체부(30)의 일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손잡이(5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30)의 일단에는 펀치헤드(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수리와 정비작업시 차체의 패널(5)에 다각형상의 취부공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 파워펀칭기의 평면날(10)을 패널(5)의 가공면에 밀착시킨 후 펀치헤드(40)의 상부를 해머로 타격하면 취부공(60)이 가공되는 것인데, 가공되는 취부공(60)의 형상에 따라 가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워펀칭기로 장공이나 단품중 그릴이 취부되는 일자형의 취부공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파워펀칭기의 손잡이(50)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패널(5)의 가공면에 상기 평면날(10)을 밀착시키고 펀치헤드(40)를 해머로 타격하면 평면날(10)의 단면형상이가공되는 취부공의 형상도가공되며 그 길이가 평면날(10)보다 좁은 경우에는 평면날(10)을 패널(5)의 가공면에서 세워서 타격하면 그 길이가 작게 가공되며 취부공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평면날(10)과 동일길이의 취부공을 가공한 후에 가공되는 취부공의 길이에 적합하도록 평면날(10)의 타격횟수를 증가시키면 취부공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고, 취부공의 폭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각형상의 취부공이 가공되는 경우에는 손잡이(50)를 파지하여 상기 평면날(10)을 가공면에 밀착시킨 후장공을 사각형상의 외면을 네번 타격하여 취부공의 모따기를 실시하면 사각형의 취부공이 가공되고, 다각형상의 취부공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직경이 큰 원형단면의 취부공을 가공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잡이(50)를 파지하여 평면날(10)을 패널(5)의 가공면에 밀착, 타격하면 상기 확개부(20)의 단면형상이 점진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타격 후 작업자가 손잡이(50)를 좌,우로 비틀며 취부공의 형상을 단면으로 가공시키면 취부공의 직경을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는 것이고, 취부공의 최대 직경은 몸체부(30)의 대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가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파워펀칭기는 취부공의 가공이외에 수리시 용접작업을 수행하면 용접면의 불필요한 팁이나 불규칙적인 용접부의 형상을 상기 평면날(10)로 깍음작업을 행하면 용접면의 형상도 다듬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50)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패널(5)의 취부공 가공면에 평면날(10)을 밀착하고 타격을 수행하며 그 가공되는 취부공의 형상에 맞게 작업자가 타격의 횟수를 증감시키며 다각형상의 취부공을 가공할 수 있고, 취부공이 원형인 경우에는 평면날(10)을 타격한 후 손잡이(50)를 좌,우로 비틀면 확개부(20)를 통해 취부공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는, 손잡이가 펀칭되는 타격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펀칭의 타격작업이 용이하며 타격시 작업자의 손이 부상되는 사고가 방지되며, 평면날의 단면이 다각형상의 취부공을 가공하기 용이하여 다각의 취부공가공이 가능하여 정비자가 숙련이 미숙해도 그 가공의 정밀성 향상이 가능하며, 평면날에서 연장형성된 확개부가 원형단면의 취부공 직경을 조절할 수 있어 여러 직경의 취부공 가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평면날을 비스듬히 세워 깍음작업하면 패널의 용접부 형상을 다듬을 수 있어 단일의 펀칭기로 다각형상의 취부공과 여러 직경의 취부공 및 용접면의 다듬기 등 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금속재의 패널(5)에 취부공을 천공하는 공구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일측에는 단면이평면날(10)이 형성되고, 이 평면날(10)에서 연장되어 그 단면이 점차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확개부(20)가 형성되고, 이 확개부(20)에서 일체로 원형단면의 몸체부(30)가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펀치헤드(40)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날(10)과 확개부(20)와 몸체부(30)가 동일평면상에 놓여 평면날(10)과 펀치헤드(40)가 몸체부(30)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몸체부(30)의 일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손잡이(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KR2019960057696U 1996-12-27 1996-12-27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KR199800445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696U KR19980044561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696U KR19980044561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561U true KR19980044561U (ko) 1998-09-25

Family

ID=5399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696U KR19980044561U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56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9B1 (ko) * 2013-08-12 2015-01-15 (주)씨엔티 천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89B1 (ko) * 2013-08-12 2015-01-15 (주)씨엔티 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585B1 (en) Double cutting edged saw blade for hand-held reciprocating power saws
EP0761927A1 (en) A masonry drill bit
WO2001010610A1 (en) Hardened insert for cutting tools
CN101460284A (zh) 用于螺旋线圈插入件的安装工具和校正工具
US5044244A (en) Heavy duty punch
KR19980044561U (ko) 자동차 패널용 파워펀칭기
CN104227093B (zh) 钻尖定心锪刀
US5626446A (en) Flat drill bit with opposing vertical cutting edges
EP0711636A1 (de) Hand-Oszillationsmaschine
US1822394A (en) Hammer
US8936418B2 (en) Guide device for hand-held spot welding electrode milling cutter
US3336647A (en) Weldor's slag hammer
US4813134A (en) Sheet metal punching and cutting tool
CN209936894U (zh) 一种自定位标识打刻工装
EP0406202B1 (en) A clamping device for making nails
JP3827184B2 (ja) ドーム形電極チップの整形方法
US3965992A (en) Internally silenced impact driven tools and impacting means therefor
KR200236371Y1 (ko) 드릴 작업용 깊이 조절 지그
US9221166B1 (en) Protective shield for hand-held tools
JP3085025B2 (ja) ネジ山のバリ除去方法
KR100219466B1 (ko) 스폿용접건용 전극팁 교환공구
JP3895904B2 (ja) ドリルビット
CN216758286U (zh) 一种新型快速排屑可打铁木工钻
CN210314413U (zh) 一种超声波消应力机
KR200286591Y1 (ko) 자동차용 부품나사축의 나사산 재생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