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534A -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534A
KR19980044534A KR1019960062627A KR19960062627A KR19980044534A KR 19980044534 A KR19980044534 A KR 19980044534A KR 1019960062627 A KR1019960062627 A KR 1019960062627A KR 19960062627 A KR19960062627 A KR 19960062627A KR 19980044534 A KR19980044534 A KR 1998004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search
search code
ser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현
이승훈
신창둔
박명아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6006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4534A/ko
Publication of KR1998004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534A/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다양한 유사 단어를 동의어 사전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제공자가 정의한 키워드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고 유사한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용자로부터 검색 코드나 키워드를 입력받는 제 1 단계; 검색 코드이면 검색 코드로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정보를 송출하는 제 2 단계; 키워드이면 키워드 처리를 한 후에 키워드 테이블에 입력된 키워드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있으면 키워드를 검색 코드로 변환하여 검색 코드로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정보를 송출하는 제 4 단계; 및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없으면 동의어 사전을 검색하여 검색 코드를 찾지 못하면 실패 메시지를 송출하고, 검색 코드를 찾으면 검색 코드로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정보를 송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음성정보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중 주파부호(MFC : Multi Frequency Code) 전화기를 가진 사용자가 한글 표시 전화기 자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에 관한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정보제공자가 선정한 특정 키워드(keyword)로 제한하지 않고 유사 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성 정보 서비스의 검색 방법은 메뉴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검색 번호를 나열하거나 또는 직접 검색 코드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정보량이 많은 경우에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음 및 모음 등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전화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종래의 메뉴 방식에서와 같이 모든 정보를 안내해야 하는 정보 제공의 제약성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정보제공자가 선정한 하나의 키워드(keyword)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keyword)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어 서비스 성공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현재 검색 코드 번호 입력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는 관광 정보 안내 서비스에 있어서, 지리산에 관한 정보는 지리산국립공원으로 통용되고 있으나 일반 사용자들은 단순히 지리산으로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정보제공자가 정의한 키워드(keyword)와 사용자들이 생각하는 키워드(keyword)간에 차이점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서비스 접속 성공율이 저하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쉽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자가 선정한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다양한 유사 단어를 동의어 사전으로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보제공자가 정의한 키워드(keyword)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고 유사한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접속 성공율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향상시킨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동의어 사전 구성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한글 대응 자판 부착 전화기 2 : 전화망
3 :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 4 : 데이타베이스
5 : 동의어 사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접속 안내 및 서비스 검색 방법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검색 코드나 키워드(keyword)를 입력받으면 입력신호를 해석하여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검색 코드이면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합성음으로 송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키워드이면 키워드 처리를 한 후에 키워드 테이블에 입력된 키워드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있으면 키워드를 검색 코드로 변환하여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합성음으로 송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없으면 동의어 사전을 검색하여 검색 코드를 찾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접속 실패 메시지를 송출하고, 검색 코드를 찾으면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합성음으로 송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한글 대응 자판 부착 전화기, 2는 전화망, 3은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 4는 데이타베이스, 5는 동의어 사전을 각각 나타낸다.
전자식 전화기(1)는 숫자 자판에 한글이 표시 또는 부착된 것으로,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에 대한 접속 요구는 전화망(2)을 통하여 사용자가 호출한 전화 번호에 의해 접속된다.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는 사용자의 접속 요구에 따른 전화기 인터페이스 처리,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 :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처리, 문자 정보 처리, 데이타베이스 검색, 및 합성음 송출 등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특정 키워드(keyword) 입력에 따른 검색 오류시 유사 단어에 대한 동의어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는 검색한 정보를 전화기를 통하여 합성음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동의어 사전 구성의 예시도이다.
사용자로부터 키워드가 입력되면 키워드 테이블에 입력된 키드워드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키워드 테이블에 입력된 키워드가 있으면 그 키워드로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키워드 테이블에 입력된 키워드가 없으면 동의어 사전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제공자가 선정한 검색 코드를 찾아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이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전자식 전화기를 가진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에 접속되면,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에서 안내 음성을 송출한다. 사용자는 송출되는 안내 음성에 따라 원하는 서비스 항목 선택 코드 또는 전화 번호에 의한 키워드(keyword)를 입력한다. 입력된 코드 또는 키워드(keyword)를 이용하여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합성음으로 정보를 송출한다. 키워드(keyword)로 원하는 정보의 검색에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동의어 사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에 적합한 키워드(keyword)를 선정하여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송출한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를 종료한다.
본 발명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중 주파부호(MFC) 전화기를 가진 사용자가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로 전화를 걸면(41) 전전자 교환기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호출한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에 접속시켜 준다(42).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3)는 사용자에게 접속 안내 및 서비스 검색 방법 메시지를 송출하고(43), 사용자는 안내 방송에 따라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검색 코드를 입력거나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키워드(keyword)를 한글 자판 번호에 따라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로 입력한다(44). 입력된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를 해석하여(45) 입력신호의 종류를 식별자를 이용하여 판단한다(46). 이는 기존의 검색 코드 방식과 문자 입력 방식을 병행하기 위하여 문자 입력 방식은 식별자를 부가한 *(또는 #) + XXXX(한글문자 번호열)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하기 때문이다.
입력된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를 해석하여 식별자가 없는 경우에는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53) 합성음으로 송출한 후에(54) 종료인지를 판단하여(55) 종료가 아니면 검색 코드 또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44)부터 반복 수행하고, 종료이면 서비스를 해제하고 종료한다(56).
입력된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를 해석하여 식별자가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에서 정의한 키워드 처리를 한 후에(47) 키워드 테이블에 입력된 키워드가 있는지를 판단한다(48).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있으면 이 키워드를 검색 코드로 변환하여(49)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53) 합성음으로 송출한 다음에(54) 종료인지를 판단하여(55) 종료가 아니면 검색 코드 또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44)부터 반복 수행하고, 종료이면 서비스를 해제하고 종료한다(56).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없으면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제공자가 선정한 검색 코드를 찾기 위하여 동의어 사전을 검색하여(50,51) 검색 코드를 찾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접속 실패 메시지를 송출하고(52) 서비스를 해제하고(56), 검색 코드를 찾으면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53) 합성음으로 송출한 다음에(54) 종료인지를 판단하여(55) 종료가 아니면 검색 코드 또는 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44)부터 반복 수행하고, 종료이면 서비스를 해제하고 종료한다(5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를 정확하게 알고 있지 않더라도 유사한 단어로 원하는 정보를 서비스받을 수 있으며, 정보제공자는 기존 시스템 하드웨어의 변동없이 사용자에게 보다 더 유연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접속 성공율을 향상시켜 서비스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음성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접속 안내 및 서비스 검색 방법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검색 코드나 키워드(keyword)를 입력받으면 입력신호를 해석하여 입력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검색 코드이면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합성음으로 송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키워드이면 키워드 처리를 한 후에 키워드 테이블에 입력된 키워드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있으면 키워드를 검색 코드로 변환하여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합성음으로 송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없으면 동의어 사전을 검색하여 검색 코드를 찾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접속 실패 메시지를 송출하고, 검색 코드를 찾으면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합성음으로 송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다중 주파부호(MFC) 전화기를 가진 사용자가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로 전화를 걸면 전전자 교환기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호출한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 서비스 센터는 사용자에게 접속 안내 및 서비스 검색 방법 메시지를 송출하여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항목에 대한 검색 코드를 입력받거나 검색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한 키워드(keyword)를 한글 자판 번호에 따라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로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를 해석하여 입력신호의 종류를 식별자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입력된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를 해석하여 식별자가 없는 경우에는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를 합성음으로 송출한 후에 종료인지를 판단하여 종료가 아니면 상기 검색 코드 또는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종료이면 서비스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있으면 키워드를 검색 코드로 변환하여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를 합성음으로 송출한 후에 종료인지를 판단하여 종료가 아니면 상기 검색 코드 또는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종료이면 서비스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키워드 테이블에 키워드가 없으면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제공자가 선정한 검색 코드를 찾기 위하여 동의어 사전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동의어 사전 검색 단계의 검색 결과, 검색 코드를 찾지 못하면 사용자에게 접속 실패 메시지를 송출한 후에 서비스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동의어 사전 검색 단계의 검색 결과, 검색 코드를 찾으면 검색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타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합성음으로 송출한 다음에 종료인지를 판단하여 종료가 아니면 상기 검색 코드 또는 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종료이면 서비스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KR1019960062627A 1996-12-06 1996-12-06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KR19980044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627A KR19980044534A (ko) 1996-12-06 1996-12-06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627A KR19980044534A (ko) 1996-12-06 1996-12-06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534A true KR19980044534A (ko) 1998-09-05

Family

ID=6647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627A KR19980044534A (ko) 1996-12-06 1996-12-06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45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498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text editor application
RU2316040C2 (ru) Ввод текста в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US20020126097A1 (en) Alphanumeric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using reduced keyboard and context related dictionaries
US20030234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diction of a text message input
US81593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mi-automatic dialing from a mixed entry sequence having numeric and non-numeric data
US20020021311A1 (en) Data entry using a reduced keyboard
KR20010024309A (ko) 감소된 키보드 명확화 시스템
US69640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struction of a canned message in a microbrowser environment
EP1593029A1 (en) Text entry mechanism for small keypads
KR20000077128A (ko) 양방향 이동성 통신장치용 철자 수정 시스템
US7395512B2 (en) Character input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GB2373907A (en) predictive text algorithm
KR20000045107A (ko) 음소단위의 적합도함수를 이용한 한글 유사단어 검색방법
JP3322262B2 (ja) 無線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
JPH09330195A (ja) 情報案内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62589B1 (ko) 이동전화 단말기에서의 초성 자음을 이용한 문자정보서비스 검색방법
CN100422987C (zh) 网络中智能信息处理的方法和系统
CN100345089C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预测文本输入系统
KR0183140B1 (ko) 초성 자음을 이용한 음성정보 서비스 검색방법
US20030023792A1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text input aid and dictionary function
KR19980044534A (ko) 동의어 사전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의 음성 정보 서비스 방법
JP2000353044A (ja) Urlアドレス検索用サーバ、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およびurlアドレス特定方法
KR20020084739A (ko) 숫자입력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 및 접속 방법
JPH10164249A (ja) 情報処理装置
JPH11252281A (ja) 電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